알레산드로 피페르노

Alessandro Piperno
알레산드로 피페르노
태어난 (1972-03-25) 1972년 3월 25일 (49세)
로마, 이탈리
직업소설가
국적이탈리아의
마침표.2000-현재
장르.역사, 문학, 비평

알레산드로 피페르노(Alessandro Piperno, 1972년 3월 25일 로마 출생)는 유대인 계통의 작가 겸 문학평론가로서 유대인 아버지와 천주교인 어머니를 두고 있다.

는 현재 로마 대학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하여 가르치고 연구한다. 2000년에 그는 "프루스트 앤티브레오"라는 제목의 인화적으로 마르셀 프루스트에 대한 논란이 많은 비판적 에세이를 출간했다.

2005년, 그는 그의 첫 소설 "Conle pegiori intenzioni"로 악명을 얻었다. 전반적인 평단의 호평과 코리에르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 대한 긍정적인 평에 이어 그의 책은 이탈리아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몇 달 만에 20만부가 팔렸다). 이 책으로 그는 프리미오 캄피엘로를 최우수 첫 소설로 수상했다. 이 책은 반세기에 걸친 소니노 가문의 이야기, 특히 막내 다니엘의 삶을 다루고 있다. Piperno의 책은 많은 TV 인터뷰와 문학 토론에 Piperno가 참여하면서 미디어에 눈에 띄는 관심을 끌었다. 그의 글은 아이러니하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자기반복적인 것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사회와 삶에 대한 환멸적인 시각을 전반적으로 지니고 있다. 그의 비평가들은 Piperno의 어려운 이야기 줄거리와 그것이 혼동된 것으로 알려진 내레이션을 강조해왔다. 그는 19세기의 위대한 문학뿐만 아니라 현대 아메리카의 문학에서도 영감을 얻었다고 말한다. 프루스트(자연스럽게) 외에도 필립 로스(Philip Roth)와 인연을 맺고 있다.

2012년 Piperno는 소설 Indeparabili(2012년)로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문학상인 Premio Strega를 수상하였다. 아버지 레오 폰테코보의 고통스러운 죽음 이후 필립과 새뮤얼 폰테코르보라는 두 형제의 삶을 추적한다. 2010년 출간된 페르세쿠지온의 속편이다.

Piperno는 기타를 공부했고 음악에 관심이 많다. 작가로서 성공을 거둔 2005년까지는 솔로 기타리스트 겸 가수로서 로마 록블루즈 랜덤에 속해 있었다. 축구팀 라치오의 팬이기도 하다.

참고 문헌 목록

  • 프루스트 앤티브레오(프루스트, Anti-Jew), 프랑코 안젤리 편집기(Critical & Language Series), 2000년 ISBN88-464-1876-X
  • 페지오리 인텐조니, 몬다도리 (이탈리아 & 외국 작가), 2005 ISBN88-04-53802-3; 몬다도리 (콜라나 오스카 베스트셀러), 2006 ISBN88-04-55850-4
  • 일 데몬 리아지오나리오. Sulle tracce del "Baudelaire" di Sartre, Gaffi Editore, (2007)
  • 라 파볼라 델라 비타 베라, 코리레 델라 세라(Corti di Carta), 단편 (2007)
  • 페르세쿠지오네 일푸오코 아미코 데이 리코르디, 몬다도리, (2010)
  • control la memory, Roma, Pandango libri, (2012), ISBN 978-88-6044-279-6
  • 인별가빌리. 일푸오코 아미코 데이 리코르디, 몬다도리, (2012년)
  • Pubblici infuniti, Montdadori, (2013) ISBN 978-88-04-62859-0
  • 도브 스토리아 피니스, 밀라노, 몬도리, (2016년)
  • I manifesto del libero listore: 오토 스크리토리 di cui non so mano, Mondadori, (2017)

발췌

  • "그래, 스완은 적어도 생루프가 자신이 게르만테스라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잊게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는 만큼, 자기 자신의 유대교를 그렇게 자주 잊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분명히 귀족 혈통만큼이나 유대교는 단일 개인을 완전히 압도할 정도의 힘을 지니고 있다. 스완과 생루프는 염색체의 노예화에 대해 어떤 것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완의 얼굴은 말년에 샤일록의 얼굴처럼 비극적이고 수척해지며 생루프의 뒷모습은 샤를루스 삼촌의 얼굴처럼 거의 겹쳐질 정도로 커지게 된다."

-(잘못된) 2006년 1월, 40페이지의 게이 시어의 "A la recherche de Proust"에서 발췌.

  • "모든 반유대인 유태인: 오토 웨이닝거부터 필립 로스까지,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당신이 유대인도 아니고 반유대인도 아니지만 둘 다 되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 때, 그 부자 명단에 자신을 암묵적으로 포함시키는 것?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이유로는: 살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지탱되는 교활함, 작은 삶에서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는 교활함이 제공되어야 한다. 극단적으로 해. 자신에게 가해진 속임수를 희생시키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라… 유대인에 대한 반유대. 유대인을 인종차별주의자로 고발하는 반유대인과 가톨릭 신자들을 에큐메니즘으로 고발하는 반 카톨릭 신자... 당신의 에세이는 단지 당신의 죄 없는 친척들을 해치고, 그리고 당신의 이익을 위해 고안된 거대한 반유대주의 조작일 뿐인데, 그것은 당신을 지적인 정직성으로 오인 마조히즘적 폭력으로 들끓게 하는 자부심이다."

--최악의도(20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