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이오 주, 얼라이언스
Alliance, Ohio오하이오 주, 얼라이언스 | |
---|---|
시티 오브 얼라이언스 | |
글래모건 성 | |
닉네임: 카네이션시티 | |
![]() 오하이오 주 얼라이언스의 위치 | |
![]() 스타크 카운티의 동맹국 위치 | |
좌표: 40°54′48″N 81°6′29″w / 40.91333°N 81.10806°W좌표: 40°54′48″N 81°6′29″W / 40.91333°N 81.10806°W | |
나라 | 미국 |
주 | 오하이오 주 |
카운티 | 스타크, 마호닝 |
정부 | |
• 시장 | 앨런 안드레이니 |
면적 | |
• 합계 | 9.05 sq mi(23.45km2) |
• 육지 | 9.01 sq mi(23.33km2) |
• 물 | 0.04 sq mi(0.12km2) |
표고 | 1,210ft(353m) |
인구 | |
• 합계 | 21,672 |
• 밀도 | 2,400/sq mi(920/km2) |
시간대 | UTC-5(동부(EST)) |
• 여름(DST) | UTC-4(EDT) |
우편번호 | 44601 |
지역 번호 | 234 & 330 |
FIPS 코드 | 39-01420[4] |
GNIS 피쳐 ID | 1064313[2] |
웹사이트 | www |
동맹은 미국 오하이오 주에 있는 도시다. 대부분의 도시는 북동쪽 스타크 카운티에 위치하며, 작은 부분은 인접한 마호닝 카운티(Mahoning County)에 위치하며, 광둥에서 북동쪽으로 약 16마일(26km), 영스타운에서 남서쪽으로 27마일(43km), 클리블랜드에서 남동쪽으로 51마일(82km) 떨어져 있다. 인구는 2020년 인구조사 기준 21,672명이다. 동맹은 세 개의 작은 공동체를 결합하여 1854년에 설립되었다. 이 도시는 20세기 상당 기간 동안 제조 및 철도 중심지였으며, 주화인 오하이오주와도 연관되어 있으며, "카네이션 시티"로 알려져 있다. 1846년에 설립된 사립 문과 대학인 마운트 유니온 대학교는 얼라이언스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의 대부분은 오하이오 주 광동-매실런, 오하이오 주 메트로폴리탄 통계 구역의 일부인 반면, 마호닝 카운티의 작은 지역은 오하이오 주 메트로폴리탄 통계 구역의 영스타운-워렌-보드만 내에 있다.
역사
동맹은 윌리엄스포트(1827년 결성), 프리덤(1838년 결성), 리버티(1850년 결성)라는 세 개의 작은 공동체가 합쳐져 1854년에 설립되었다. 네 번째 공동체인 마운트 유니언은 1888년에 추가되었다. 동맹은 1889년에 도시로 통합되었다.[5]
1856년 4월 12일, 연합군은 토네이도에 직접 부딪혀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한 교회의 지붕이 철거되고, 또 다른 교회가 그 기초에서 옮겨졌다. 동맹역에 정차한 열차가 레일에서 밀렸다. 파괴는 1만5000~2만 달러(1856달러, 2020년 57만6074달러에 상당)로 추정됐다. 몇 명의 부상자와 한 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다.[6][7]
도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통속적인 설이 있다. 하나는 그것이 세 개의 작은 정착지가 더 큰 실체로 이루어진 "동맹" 때문에 선택되었다는 것이다.[8] 다른 이론은 이 이름이 클리블랜드와 웰스빌 철도, 오하이오와 펜실베이니아 철도 등 두 개의 주요 철도 노선이 한때 "크로싱"[5][8][9]으로 알려진 얼라이언스에서 교차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고 말한다.
얼라이언스(Aliance)는 원래 메인 스트리트가 도시 교통의 중심인 기차역에 교통을 끌어들이기 위해 마련된 마을이다. 철도는 산업과 개인 수송의 중심지로서 공장용 원료를 들여오고 완제품을 내보냈다. 이 때문에 얼라이언스는 때로 "메인 스트리트가 막다른 골목"[10]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동맹은 1982년 국립 식목일 재단이 인정한 적격 트리 시티 USA가 되었다.[11]
역사적 건축물
얼라이언스는 사회, 산업, 철도 역사가 풍부한 마을로, 모건 엔지니어링 소유주의 이전 거주지였던 글래모건 성,[12] 복원된 지하 철도의 집, 마벨 하르첼의 역사적인 집 등이 있다. 오하이오의 주화인 주홍색 카네이션(주홍색 카네이션)을 재배한 사람 레비 엘 람보른의 이름은 옛 도심지 한 건물 전면에서 지금도 볼 수 있다. 데빈 가의 리처드슨 로마네스크 석조 가옥이 현재 보수되고 있다. 역사적인 도심지에는 역사적인 카부스 인근 메인 스트리트에 토요농민시장이 개장하고, 메인 스트리트에는 미술관과 라이브 공연 공간으로 점포를 개조하는 등 골동품 가게 등 산재해 있는 사업들이 합류하는 등 점진적인 르네상스를 겪고 있다.
캣 팬시어즈 협회는 2011년 6월 이스트 메인 스트리트 260번지에 있는 구 미들랜드-부케예 은행으로 이전하여 미국 최초의 CFA 재단 펠린 역사 박물관을 열었다.
동맹은 또한 1300 East State Street에 있는 College Plaza에 위치한 세계 대전 역사 예술 박물관의 본거지였다. WWHAM은 제1차 세계 대전 부대의 320여 점의 원화와 그림, 1944년 독일 제2 기갑사단의 HO 척도 모형, 제2차 세계 대전 조종사와 항공사의 원예 작품 등 십여 점의 전시물을 소장하고 있었다. 2014년 4월 17일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현재는 순회공연을 하고 있다.[13]
지리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이 도시의 총 면적은 8.96 평방마일(23.21km2)이며, 이 중 8.92 평방마일(23.10km2)은 육지, 0.04 평방마일(0.10km2)은 물이다.[14] 마호닝 강이 도시의 북동부를 흐르지만, 도시 경계 내에 호수는 없다.
인구통계학
역사인구 | |||
---|---|---|---|
인구조사 | Pop. | %± | |
1840 | 315 | — | |
1850 | 500 | 58.7% | |
1860 | 1,421 | 184.2% | |
1870 | 4,063 | 185.9% | |
1880 | 4,636 | 14.1% | |
1890 | 7,607 | 64.1% | |
1900 | 8,974 | 18.0% | |
1910 | 15,083 | 68.1% | |
1920 | 21,603 | 43.2% | |
1930 | 23,047 | 6.7% | |
1940 | 22,405 | −2.8% | |
1950 | 26,161 | 16.8% | |
1960 | 28,362 | 8.4% | |
1970 | 26,547 | −6.4% | |
1980 | 24,322 | −8.4% | |
1990 | 23,376 | −3.9% | |
2000 | 23,253 | −0.5% | |
2010 | 22,322 | −4.0% | |
2020 | 21,672 | −2.9% | |
미국 십수년 인구[15] 조사 |
2010년 인구 조사
2010년 인구조사를[16] 기준으로 이 도시에는 22,322명, 8631가구, 5,232가구가 살고 있다. 인구밀도는 평방마일(966.2/km2)당 2,502.5명이었다. 평방마일(433.8/km2)당 평균 밀도 1,123.5의 주택이 10,022채였다. 도시의 인종적 구성은 화이트 84.6%, 아프리카계 미국인 10.5%, 아메리카 원주민 0.2%, 아시아계 0.8%, 타 인종 0.5%, 2인 이상 인종 3.4% 순이었다. 히스패닉계 또는 라틴계 인종이 인구의 1.9%를 차지했다.
가구수는 8631가구로 이 가운데 18세 미만 자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 29.8%, 부부 37.6%, 남편이 없는 여성 가구주가 17.1%, 아내가 없는 남성 가구주가 5.9%, 비가족이 39.4%를 차지했다. 전체 가구의 32.0%가 개인으로 구성됐으며, 만 65세 이상 독거자가 13.6%에 달했다. 가구원수는 평균 2.38명, 가구원수는 평균 2.96명이었다.
이 도시의 중앙 연령은 35.3세였다. 주민의 22%는 18세 미만, 16.1%는 1824세, 22.4%는 25~44세, 23.9%는 45~64세, 15.7%는 65세 이상이었다. 이 도시의 성별 구성은 남성 47.9%, 여성 52.1%로 나타났다.
2000년 인구 조사
2000년 인구조사를[4] 기준으로 이 도시에는 2만3253명, 8908가구, 5665가구가 살고 있다. 인구밀도는 평방마일(1,042.7/km2)당 2,700.1명이었다. 평방마일(436.3/km2)당 평균 밀도 1,129.8의 9,730채의 주택이 있었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백인 85.51%, 흑인 11.19%, 아메리카 원주민 0.17%, 아시아인 0.77%, 태평양 섬사람 0.02%, 타 인종 0.41%, 2인 이상 인종 1.93%로 나타났다. 어떤 인종이든 히스패닉이나 라틴계 인구는 1.17%에 달했다.
8908가구는 8908가구로 이 중 18세 미만 자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 44.2%는 기혼부부, 14.9%는 남편이 없는 여성 가구주, 36.4%는 비가족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30.8%는 개인으로 구성됐으며, 14.1%는 65세 이상 독거자가 있었다. 가구원수는 평균 2.41명, 가구원수는 평균 2.98명이었다.
도시에서는 18세 미만 23.5%, 18세에서 24세 15.5%, 25세에서 44세 24.8%, 45세에서 64세 20.1%, 65세 이상 16.2% 등으로 인구가 분산됐다. 중위연령은 34세였다. 암컷 100명당 수컷은 87.5마리였다.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83.3명이었다.
도시의 한 가구의 중위소득은 30,078달러였고, 한 가구의 중위소득은 37,011달러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31,033달러였고 여성의 소득은 20,063달러였다. 도시의 1인당 국민소득은 15,185달러였다. 18세 미만 26.8%, 65세 이상 10.7% 등 약 12.7%, 인구 18.0%가 빈곤선을 밑돌았다.
교통
얼라이언스는 이스트 메인 스트리트 820번지에 위치한 얼라이언스 역을 통해 시카고와 워싱턴 D.C. 사이에 있는 암트랙의 캐피톨 리미티드사가 서비스하고 있다. Capital Limited)에서 서비스한다. 이 시군은 스타크 지역 교통국(SARTA) 버스 시스템에서도 운행된다.
카네이션 시티
동맹은 보통 카네이션 시라고 불리는데, 1959년 오하이오 총회에서 그 지정을 받았다.[17] 동맹은 오하이오주에 공식적인 주화인 주홍색 카네이션을 주었다. 카네이션과의 동맹 관계는 1866년 동맹의 의사인 Levi L. Lamborn이 그의 집의 온실에서 자라기 위해 화분에 심은 카네이션 식물 6개를 구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당시 이 꽃은 미국에서 거의 재배되지 않았다. 1876년 람보른은 윌리엄 맥킨리와 경쟁하여 이 지역에서 의회 의석을 차지하였다. 두 사람은 비록 정적이었지만 개인적인 친구였다. 맥킨리는 람보른의 카네이션에 대해 찬사를 표했기 때문에, 람보른은 그들의 정치적 논쟁에 앞서 매킨리에게 옷깃에 달 수 있는 카네이션을 주었다. 맥킨리 씨는 선거에서 승리하여 카네이션의 성공을 자신의 성공과 연관시켰고, 오하이오 주지사와 그 당시 미국 대통령을 위한 성공적인 캠페인 동안 카네이션을 착용했다.[17]
1884년, 람보른은 오하이오가 카네이션을 주의 상징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맥킨리 대통령 암살 3년 뒤인 1904년 오하이오 총회는 "윌리엄 맥킨리 추모의 사랑과 경건의 깨침"으로 주홍색 카네이션을 공식 국화로 지정했다. 매년 1월 29일(맥킨리 대통령 탄생 기념일) 콜럼버스 국회의사당에 있는 맥킨리 동상 손에 붉은 카네이션 꽃다발이 들려 있다.[17]
1960년부터 얼라이언스는 매년 8월에 카네이션 축제를 열어왔다.[18]
교육
초등학교와 중학교
얼라이언스는 얼라이언스시티 학군이 섬기는 것으로, 시에서 유일한 고등학교를 관할한다. 지역 가톨릭 교구 학교인 홀리 크로스 아카데미 – 레지나 코엘리 캠퍼스는 영스타운 교구가 감독하며 유치원에서 8학년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봉사하고 있다.[19][20]
고등교육
마운트 유니언 대학은 1846년에 설립되었으며 유니언 애비뉴와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교차로 근처에 있다. Stark State College는 Alliance에 있는 그것의 위성 센터에서 약간의 수업을 제공한다.
저명인사
- 찰스 암스트롱, 바이러스학자[21]
- 켄 블랙웰 신시내티 시장
- 자기공명영상학의 선구자 물리학자 허먼 카
- 1987년 프로축구 명예의 전당 입성자 렌 도슨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바다에서 패한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생 힐란 에버트
- 윌리엄 밀러 젠킨스 오클라호마 준주 5대 주지사
- 렙티드의 배우 페리 킹
- Levi L. Lamborn, 의사, 원예가, 그리고 도시에 살았던 정치인. 카네이션을 재배하고 오하이오주에 주홍색 카네이션을 주의 꽃으로 만들 것을 촉구했다.
- 유리 로웬탈, 미국 성우
- 제약 및 모터스포츠 기업가인[22] 돈 파노즈
- 디몬트 토마스, NFL 선수
- 거트루드 트레셀 라이더,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 언어학자 겸 인지과학자인 이반 사그
- 로린 B. 세브렐, 고무 화학자[23]
- 휴 윌슨, 식물학자 겸 텍사스 A&M 대학교 교수
참조
- ^ "2019 U.S. Gazetteer File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July 27, 2020.
- ^ a b "US Board on Geographic Nam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7-10-25. Retrieved 2008-01-31.
- ^ "U.S. Census websit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2021-08-20.
- ^ a b "U.S. Census websit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2008-01-31.
- ^ a b 2008-08-27 Wayback Machine, Rodman Public Library 웹사이트에 보관된 Alliance 통합(2008년 2월 3일 액세스)
- ^ 1856년 뉴스의 동맹 토네이도
- ^ 1856년 토네이도
- ^ a b City of Alliance 웹사이트 웨이백머신에 2008-02-13 보관(2008년 2월 3일 액세스)
- ^ "Alliance, Ohio FAQ".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5-17. Retrieved 2008-02-04.
- ^ "A Short History of Alliance, Ohio". Alliance Histor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4. Retrieved 30 November 2014.
- ^ "트리 시티스 오하이오" [1]. "식목일 재단은 2020년 9월 18일에 접속했다.
- ^ "Glamorgan Castle History and Events". Alliance City Schoo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4. Retrieved 30 November 2014.
- ^ "World War History and Art Museum". Retrieved 30 November 2014.
- ^ "US Gazetteer files 2010". United States Census Bure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1-25. Retrieved 2013-01-06.
-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gov. Retrieved June 4, 2015.
- ^ "U.S. Census websit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2013-01-06.
- ^ a b c 로드먼 공공도서관 웨이백머신(2008년 2월 3일 접속)에 2007-02-04년 보관된 람본 박사의 카네이션
- ^ 대 얼라이언스 카네이션 페스티벌 웹사이트
- ^ "Regina Coelli Campus – About Us". rcsjalliance.com.
- ^ "Stark's restructured Catholic schools prepare to open". The Alliance Review. August 15, 2013.
- ^ Beeman, Edward (2007). "Charles Armstrong, M.D.: A Biography" (PDF). Retrieved 26 October 2011.
- ^ "Honorary Degrees". West Virginia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17. Retrieved 21 June 2017.
- ^ Price, Mark J. (April 20, 2009). "Local History: Chemists Form Bonds for Science". Akron Beacon Journal.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오하이오 주 얼라이언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위키보이지는 오하이오 주 얼라이언스 여행 가이드가 있다. |
- 공식 웹사이트
- 얼라이언스 상공회의소
-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1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