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nded-protected article

앨런 플랜

Allon Plan

The Allon Plan (Hebrew: תוכנית אלון) was a plan to partition the West Bank between Israel and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create a Druze state in the Israeli-occupied Golan Heights, and return most of the Sinai Peninsula to Arab control. 이 계획은 1967년 6월 6일 전쟁 직후 이스라엘이갈 알론 장관이 초안을 작성했다.

요르단으로 반환되는 녹지 지역
연한 푸른색 이스라엘에 부속될 지역.
연녹색 가자지구
1970년 이스라엘에 합병될 황색 이스라엘 정착촌들
푸른 바다

이 계획의 넓은 목적은 강에서 요르단 계곡의 대부분을 요르단 강에서 요르단강 서안 언덕 능선, 동예루살렘, 에지온 블록의 동쪽 경사지까지 이스라엘에 합병하는 것이었다. 팔레스타인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르단강 서안의 나머지 지역은 팔레스타인 자치 영토가 되거나, 예리코를 거쳐 요르단으로 가는 복도를 포함한 요르단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요르단 왕 후세인은 그 계획을 거절했다.

앨런은 1980년에 사망했고, 이듬해 이스라엘 정부는 골란고원법을 통과시켜 주지사 대부분을 사실상 합병했다.

계획

알론 계획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의 상당 부분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이 이스라엘의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는 교리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1][2] 반면 앨런은 아랍과 이스라엘의 분쟁 해결을 위해 이스라엘이 인구밀집지역과 시나이 반도의 대부분을 아랍의 통제로 되돌리기를 원했다.[1] 이 계획은 이스라엘이 주장하는 지역에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아랍인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요르단강 서안 팔레스타인 인구를 더 큰 이스라엘로 통합할 가능성을 배제했다. 왜냐하면 요르단강 서안 팔레스타인 인구를 더 큰 이스라엘로 통합시키는 것이 이 주의 유대인 인구통계학적 성향을 극적으로 변화시켰을 것이기 때문이다.[2]

이갈 알롱은 마파이의 레비 에스콜 총리 밑에서 노동부 장관을 지낼 때 이 계획을 제시했다.[1] 알론 계획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요르단 계곡의 대부분을 강에서부터 요르단 강에서 요르단 강 서안 언덕 능선, 동예루살렘, 에지온 블록까지 합병하게 된다. 동시에 요르단에는 예리코가 포함된 복도와 함께 요르단강 서안 언덕 국가의 인구 밀집 지역도 제공될 것이다.[3]

이 계획에는 이스라엘이 점령한 골란고원을 포함해 시리아 쿠네이트라 주(州)에 드루즈 국가를 만드는 내용도 포함됐다.[4]

요르단 대 팔레스타인 옵션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요르단 군주에 대한 요르단강 서안의 대부분의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이양하는 '조르다니아식 선택권'과 팔레스타인인들이 자치권이나 독립국가를 얻는 '팔레스타인 선택권'의 두 가지 가능성을 고려했다.[5]

이갈 알론을 포함한 대다수의 정부들은 팔레스타인의 선택을 선호했다. 1967년 6월, 언론인 르우벤 페다트주르에 따르면, 2007년 하레츠 기사에서 앨런은 요르단식 옵션에 대해 주의를 표명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서안 1인치를 반환하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우리는 후세인을 영원히 현존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 오늘은 후세인이지만 내일은 나불시(Nabulsi)이다. 그리고 그 다음 날 일부 시리아인들이 그들을 붙잡아 소련과 중국과 방위 협정을 맺을 것이고 우리는 훨씬 더 어려운 입장에 처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영원하지 않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것을 살과 피라는 현상에 두고 있으며, 전에 그가 총에 맞지 않는다면 아마도 최대 60년 동안 남을 것이다." 앨런은 "최대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광둥도 아니고, 자치구도 아니고, 아랍의 독립국가가 우리와 이스라엘 영토로 둘러싸인 공동 거주지에서 - 심지어 외교 정책에서도" 1967년 7월 레비 에스콜 총리는 이스라엘의 안보 요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요르단강까지 군사적으로 전 지역을 계속 통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스라엘을 양국민 국가로 만들지 않으려면 요르단강 서안의 아랍 시민들에게 특별한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 준독립자치구가 첫 번째 선택지였다.[5]

계획서 발표

1967년 7월 27일 앨런은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의 자치권을 포함하는 팔레스타인의 옵션에 기초한 자신의 계획의 첫 번째 버전을 제시했다. 자치구는 서쪽의 이스라엘에서 동쪽의 요르단 계곡까지, 대 예루살렘 지역으로 분리된 두 개의 큰 거주지로 구성되었다. 7월 30일 정부 본회의에 상정됐을 때 장관 대다수가 이를 거부했다.

1968년 초에 알론은 팔레스타인 옵션을 포기하고 대신 요르단 옵션을 채택했다. 그는 서안과 요르단 사이의 회랑을 여리고 지역을 통해 추가함으로써 알론 계획을 수정하여, 헤브론 기슭의 일부인 구시 에지온과 동예루살렘과 함께 요르단 계곡이 이스라엘 손에 남아 있을 것을 제안했다. 나머지는 모두 후세인 왕에게 넘겨주곤 했다. 대부분의 정부 구성원들은 그 정책의 기본으로서 알론 계획을 지지했다.[5]

외교적 노력

1968년 2월부터 9월까지 에쉬콜은 팔레스타인 점령지에서 팔레스타인 지도자들과 성과 없이 비밀 회담을 가졌다.[5] 회담과 유사하게, 요르단과의 비밀 대화는 1968년 5월에 런던에서 시작되었고, 그 해 11월에 끝이 났다. 앨런 플랜은 연이은 이스라엘 내각의 공식 승인을 받은 적은 없지만,[1][2][5] 이스라엘이 1968년 9월 후세인 국왕에게 제시한 평화 플랜은 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6][7] 요르단강변(요르단과의 국경), 사해변 유대 사막 대부분, 동예루살렘 등 요르단강변 10~15㎞ 넓이의 땅덩어리(요르단과의 국경)의 비무장화, 요르단강변 이스라엘군 투입 등이 조건이었다.[2][5] 그 합의는 대대로 유효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후세인은 이 계획을 거부했다. 그는 영토는 무력으로 획득할 수 없다는 성명을 포함한 유엔 결의안 242호를 고수했다.[5]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 전역을 군사적으로 통제하고 영토의 약 3분의 1을 부속하는 반면 요르단은 나머지 3분의 2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받게 된다. 결국 후세인 국왕은 회담을 중단했다.[6][7]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지키기를 원했지만, 가자지구의 미래에 대한 논의는 배제하지 않았다. 동예루살렘의 귀환은 논의의 여지가 없었다.[8]

결산정책

점령 첫 10년 동안 이스라엘의 정착 정책은 대체로 알론 계획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9][10] 이 계획이 안보 독트린을 전파하면서 요르단 강은 이스라엘과 "동방전선" 사이의 완충지대의 역할을 하면서 이스라엘의 전략적 경계를 표시했다. 요르단 계곡에 건설된 정착지는 이스라엘이 합병할 요르단 계곡과 유대 사막의 폭 15km 구간에 영구적인 전진배치 경계선으로 설계되었다.[11] 전형적인 농업 정착지인 요르단 계곡의 정착지는 주로 서쪽의 알론 도로와 동쪽의 요르단 계곡의 90번 국도라는 두 개의 주요 남북 우회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 계곡이 요르단강 서안에서 중요한 수자원을 가진 가장 비옥한 지역으로, 미래의 팔레스타인 국가를 위한 빵바구니로 보고 있다.[12]

1967년 6월, 이스라엘은 합병이라는 용어를 신중하게 사용하지 않았지만, 이 지역을 예루살렘 시로 편입시킴으로써 사실상 동예루살렘과 서안 주변 지역을 합병했다.[13] 그 후 몇 년 동안 대 예루살렘 지역에 광범위한 정착촌 건설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의 나머지 지역을 구분하는 이스라엘 정착촌의 고리가 형성되었다.

2013-14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간 평화협상이 결렬되는 동안 그리고 이후 이스라엘 정치인들이 C지역을 합병하기 위한 아이디어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언론에 나타났다.[14] C 지역은 요르단 계곡을 포함하지만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에워싸고 있다.

헤브론

헤브론은 알론 계획에서 팔레스타인 자치구의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968년 이스라엘은 요르단 계곡의 합병과는 별개로 헤브론 지역으로 이어지는 영토를 원한다는 것을 요르단에게 분명히 했다.[8] 2년 후, 노동 정부는 동부 자치 단체 국경 바로 외곽에 있는 키랴트 아르바 정착지의 건설을 승인했다. 키랴트 아르바 모두 알론 계획에서 이스라엘이 주장하는 영토의 서쪽 경계를 표시했고, 동쪽의 헤브론 팔레스타인 건설 지역을 봉쇄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구시가지 남쪽 외곽에 유대인 정착촌이 세워졌다. 1994년 이스라엘은 알슈하다 거리의 팔레스타인 상점들을 폐쇄하고 팔레스타인인들의 접근을 금지했다. 2002년부터 몇 년 동안 키리아트 아르바에서 총대주교 동굴에 이르는 예배자 길이 세워졌다. 키랴트 아르바와 슈하다 지역 사이에 팔레스타인 자유노선이 생기면서 요르단 계곡에서 헤브론까지 계획된 노선이 완성되었다.

1973년 5월 다얀 국방장관의 견해

1973년 5월 18일,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관은 워싱턴 DC의 국무장관에게 "요르단 및 이집트와의 가능한 평화협정에 대한 다얀의 생각"을 주제로 외교 전보를 보냈다. 이 전보에는 다얀의 측근인 가드 야아코비 교통부 차관과의 논의 내용이 담겨 있었는데, 다얀은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요르단으로부터 점령한 옛 요르단 서안 자치구의 자치권 확대를 준비하고 있었다.[15] Yaacobi에 따르면 더 큰"자율성의 서안 지방 자치 단체에 학위"에 라말라의가 이스라엘 시민은 예외와 베들레헴의 주민들,"에, 다얀은"준비하고", 다얀은"요르단 강 서안 인구의 쉬지만 사는 아래 이스라엘로 차차 요르단 시민들"을 상상했다."[16] 야아코비는 또 언론이 다얀을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 요르단으로 돌려보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잘못 전했다고 말했다. 다얀은 비록 아랍 자치체 내에서는 아니지만 이스라엘인들이 알론 계획의 범위 밖에서 정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예루살렘 지역은 라말라, 베들레헴 지역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이스라엘 시민권은 아랍 거주민들에게 부여되어야 한다. 다얀은 '요르단 동부의 아랍국가'의 주권에 따라 수도 나블루스-제닌 단지를 계획했으며, 알론 계획의 규정과는 달리 아랍 경찰과 협력하여 내부 보안 책임은 이스라엘군에게 돌아가게 된다.[17]

가자

알론 계획의 초기 버전에서, 그는 가자 지구가 이스라엘에 합병되는 것을 상상했다. 그러나 이후 계획을 수정하면서 앨론은 가자지구를 요르단-팔레스타인 국가의 일부로 생각했다.[18]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이갈 알론 (Peikowitz) (1918년1980년). 크네셋 웹사이트. 2014년 5월 액세스
  2. ^ a b c d 1967년 앨런 플랜무엇이었습니까? 프로콘. 2014년 5월 액세스
  3. ^ 이안 S. 러스틱, 땅과 주님을 위하여: 이스라엘유대 근본주의, 제3장, 파. 구시 에무님 초기 활동. 1988년, 외교 관계 협의회
  4. ^ 아키바 엘다르, 몇 십 미터 문제. 하레츠, 2008년 6월 1일
  5. ^ a b c d e f g 르우벤 페다츠르, '조르다니아식 선택권'은 죽음거부하는 계획. 하레츠, 2007년 7월 25일
  6. ^ a b 미국의 대외 관계, 1964–1968,XX권, 아랍-이스라엘 분쟁, 1967–68. 볼륨 요약, 구문 분석. 다른 평화 전망에 대한 탐색. 2014년 5월 액세스
  7. ^ a b 353. 요르단에 있는 대사관에서 국무부로의 전보, 파.C., 주5 대 파. 3.E; FRUS 1964–1968 권 XX, 아랍-이스라엘 분쟁, 1967–68. 2014년 5월 액세스
  8. ^ a b 373. 요르단에 있는 대사관에서 국무부로의 텔레그램, 파7-8; FRUS 1964–1968권 XX, 아랍-이스라엘 분쟁, 1967–68. 2014년 5월 액세스
  9. ^ 분리불균등, 제4장. 휴먼 라이츠 워치, 2010년 12월 19일
  10. ^ 구시 에무님. 크네셋 웹사이트. 2014년 5월 액세스
    ″ 구시 에무님(Gush Emunim)은 이츠하크 라빈 초대 정부의 정착 정책이 도출된 '알론 계획'(이갈 알론 참조)에서 논의된 구역 밖의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을 세우려는 시도로 먼저 활동했다.
  11. ^ 분산 및 공격: 요르단 계곡과 북사해이스라엘의 정책, 5-6페이지. B'Tsellem, 2011년 5월. [1]
  12. ^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합병 정책은 2013년 11월 7일 웨이백 머신보관되었다. PLO-NAD, 2013년 9월
  13. ^ 예루살렘 신드롬—성시를 위한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투 53-54페이지. Mosheh ʻAmirav, Sussex University Press, 2009년
    1967년 7월 10일, 압바 에반 외무장관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투표 지지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신호화'라는 용어는 정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이] 취한 조치들은 행정 구역과 시 구역에서의 예루살렘 통합과 관련이 있으며, 예루살렘 성지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가 되었다.
  14. ^ 회담 결렬베넷은 PM에게 C구역대한 제안을 제출한다. 2014년 5월 15일 예루살렘 포스트 허브 키논
  15. ^ 1973년 5월 18일자 케이블: 다얀의 요르단·이집트와의 평화협정 가능성에 대한 고찰
  16. ^ 1973년 5월 케이블, 요약
  17. ^ 1973년 5월 케이블 2, 3c, 4a항
  18. ^ 팔레스타인인: 역사, 287페이지. 바루치 키머링과 조엘 S. Migdal; 하버드 대학 출판부, 2009

추가 읽기

  • 브레그만, 아흐론(2002년). 이스라엘 전쟁: 1947년 이후 역사. 런던: 루트리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