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카르
Amilcar![]() | |
산업 | 제조업 |
---|---|
설립됨 | 1921 |
창시자 | 조셉 라미 에밀 아카르 |
현존하지 않는 | 1939 |
본부 | 생데니스 (프랑스) |
주요인 | 안드레 모렐 |
상품들 | 자동차 |
아밀카는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제조된 프랑스의 자동차였다.
역사
기초 및 위치
아밀카르는 1921년 7월 조셉 라미(Joseph Lamy)와 에밀 아카르(Emile Akar)에 의해 설립되었다.[1] "아밀카"라는 이름은 파트너들의 이름의 불완전한 애너그램이었다.[1] 그 사업은 파리 제11회 아르론분산 때 34루 드 체민베르에 설립되었다.[1] 그러나 아밀카르는 그들의 제한된 도시 중심 구역을 재빨리 벗어나 1924년 중반에 그 회사는 도시의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생 드니스로 이전했다.[1]
초년
원래의 아밀카는 작은 사이클카였다. 쥘 살로몬과 에드몽 모예가 디자인한 이 작품은 전쟁 전 르제브르와 현저하게 닮았다. 이 차량은 1921년 10월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전시되었다.[1] 이 사업은 350kg 이하(건조 중량, 연료, 물 또는 스페어 타이어/휠과 같은 추가 차량)에 대해 연간 100프랑으로 고정된 연간 자동차세율 인하를 약속하는 정부 시책에 의해 촉발된 사이클카 붐의 선도적 수혜자였다. 1100cc 이하의 엔진으로 구동되는 [1]두 사람 차량이 이 한계를 초과하면 사이클카가 되지 않고 대신 공식적으로 차량으로 지정되었다.[1]
4기통 903cc 아밀카 CC는 1922년에 등장했는데, 축간거리는 2,320mm(91인치)에 불과했다.[1] CC는 이후 두 가지 버전으로 더 출시되었다. 아밀카 C4는 약간 더 긴 스포츠카인 반면, 1924년에 도입된 CS는 엔진 크기가 1004cc로 증가하면서 브리즈커 스포츠 버전이었다.[1][1] 사이드 밸브 엔진은 스플래시 윤활이 있었고, 3단 기어박스가 딸려 있었다. 가장 유명한 모델은 1924년의 CGS "그랜드 스포츠"이다; 이것은 1074cc sv 엔진과 4륜 브레이크가 특징이었다. 이것은 차례로 더 스포티한 CGSS "그랜드 스포츠 수르바이세"로 진화했다. 이 모델들은 독일 (명왕성)과 오스트리아 (그로프리) 그리고 이탈리아 (아밀카 이탈리아어로)에서 라이선스 하에 만들어졌다. 이 마크는 풀 레이싱 버전에서 롤러 베어링 크랭크축을 사용한 슈퍼차지 더블 오버헤드 캠축 1100cc 6기통 자동차로 1920년대 중반 자동차 경주에 뛰어들었다. 이 자동차들은 유명한 레이싱 드라이버 안드레 모렐이 운전하는 플레인 메탈 베어링도 이용할 수 있었다.
재정적 도전과 독립성 상실
1920년대 후반에 그 회사는 소형 경제 자동차들의 원래 안락한 구역에서 벗어났는데, 그 결과는 혼재되었다. 창업자인 아카르와 라미는 사업 경영에 덜 관여하게 되어 1931년 안드레 브리스와 마르셀 세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도록 설득되었다.[1] 세는 이미 1929년 1월 회사의 경영에 관여하는 직책에서 해임된 아밀카르를 내부에서 알고 있었다.[1] 1930년대 초는 프랑스에서 몇 년간의 경제 위기였으며, 1933년 말 브리에스와 세에가 소유한 회사가 "소피아"(소피아(Societe financials pour l'automobile)라고 불리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이름으로 계속 기능하고 있는 아밀카를 효과적으로 통제했다.[1]
1928년부터 이 회사는 "M-Type"이라고 불리는 가벼운 투어링카를 제공했으며, 사이드밸브 1200cc 엔진이 탑재되어 1928년에 출시되었다. 이어 M2, M3, M4 버전이 그 뒤를 이었다. M타입과 그 후계자들은 1934년에 생산이 끝났을지언정 1935년까지 매물로 나온 뒤 몇 년간의 재정난을 겪으면서 계속 생산되었다. 1928년에는 ohc 2.3L 엔진으로 만들어진 직선형 8이 도입되었다. 이것, C8은 믿을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곧 겨우 몇 백 대를 생산한 채 사라졌다.
1933년 '소피아'가 아밀카를 인수한 것 자체가 재정 압박을 해소한 것은 아니다. 여전히 실망스러운 판매량에 직면해 있던 1934년 8월말, 생데니스 공장은 경영진이 사업을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면서 마지막으로 문을 닫았다. 새로운 모델이 분명히 필요했고 1934년 10월 딜라헤이가 공급하는 4기통 ohv 2150cc 엔진으로 구동되는 새로운 2리터(12CV) 아밀카르 페가제를 선보였다.[2] 2490cc(14CV) 엔진을 장착한 페가세 경쟁 버전도 있었다.[2] 1935년 10월까지, 더 작은 아밀카 모델들이 단종되었고, 볼로뉴-빌랑쿠르에 있는 구내에서 훨씬 축소된 환경에서 생산된 페가세는 아밀카 모델들 중 유일하게 목록에 올랐다.[2]
또 다른 통제의 변화
단일 모델로 아밀카 사업을 지속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거나 생산해야 할지 확신하지 못하는 경영진은 최근 아밀카 지주회사인 '소피아'의 대규모 지분을 가져간 하치키스에게 눈을 돌렸다.[2] 하치키스는 이 시기에 자신들의 문제가 있었는데, 그들의 엄청나게 수익성이 좋은 군비 사업은 최근 좌파 블럼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었고, 반면 그들의 중간 시장 자동차 사업은 대량 자동차 회사들이 푸조와 같은 모델들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더 효과적이게 되면서 점점 더 압박을 받고 있었다.402호와 시트로엥 트랙션.[2] Henry Mann Ainsworth, Harry Mann Ainsworth, Harry Mann Ainsworth는 유명한 엔지니어 Jean-Albert Grégoire에 의해 작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7CV 범주에 대한 유망한 프로토타입(Adler 섀시를 기반으로 한 그 단계에서)으로 이미 발표되었다.[2] 하치키스와 아밀카의 자동차 사업을 합병하고 프로토타입을 아밀카 컴파운드(Amilcar Complex)가 되는 아밀카(Amilcar) 모델로 개발하기로 합의했다.[2]
전륜 구동 아밀카 컴파운드(amilcar Complex)는 경량 합금과 독립형 서스펜션으로 만든 모노코크 프레임이 사방에 깔려 있어 기술적으로 시대에 맞는 디자인이 진보했다. 출시 당시 엔진은 1185cc의 4기통 사이드밸브 유닛이었다.[3] 컴파운드가 야심 차게 알루미늄을 차체 구조에 사용하고, 전륜구동 구성이란 생산은 느린 출발을 의미했고, 비록 1937년 10월에 출시되었지만, 681대의 객차 중 584대는 1939년부터 생산되었으며, 독일 침공 전인 1940년 초월에 64대가 추가로 생산되었다.f 1940년 5월/6월 파리 지역에서 민간 자동차 생산을 사실상 중단했다.[4] 1939년 여름까지 OHV 1340cc 엔진을 탑재한 개량 컴파운드의 시제품 제작이 진행되었고, 이 버전은 1939년 파리 모터쇼에서 10월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프랑스(그리고 브리타)의 전쟁 개입으로 인해 모터쇼가 취소되고 출시가 무기한 연기되었다.(in)은 1939년 9월 초 독일을 상대로 선언하였다.[4]
아밀카 생산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개되지 않았다.
중요한 아밀카 모델 목록


- 1922년 아밀카르 CC
- 1922년 아밀카 C4
- 1923년 아밀카르 E
- 1924년 아밀카 CGS
- 1925년 아밀카 CS
- 1926년 아밀카 CGSS
- 1927년 아밀카 C6
- 1928년 아밀카르 M
- 1929년 아밀카 C8
- 1930년 아밀카 C8 비스
- 1930년 아밀카 CS8
- 1934년 아밀카르 페가세
- 1938년 아밀카 컴파운드(Amilcar Complex)는 B38로 불리며, 세단은 1938년부터 1940년까지 정기적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사도라 던컨
이사도라 던컨의 흐르는 스카프들에 대한 애정이 1927년 프랑스 니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원인이었다. 유명한 미국 무용수는 아밀카 CGSS의[5] 승객으로 실크 스카프가 열린 바퀴와 뒷축에 엉켜 목이 부러졌다.[6]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Automobilia". Toutes les voitures françaises 1925 (salon Paris Oct 1924). Paris: Histoire & collections. Nr. 72: Page 59. 2005.
- ^ a b c d e f g "Automobilia". Toutes les voitures françaises 1937 (salon Paris Oct 1936). Paris: Histoire & collections. Nr. 72: Page 9. 1997.
- ^ "Automobilia". Toutes les voitures françaises 1938 (salon [Oct] 1937). Paris: Histoire & collections. Nr. 6: Page 9. 1998.
- ^ a b "Automobilia". Toutes les voitures françaises 1940 - 46 (les années sans salon). Paris: Histoire & collections. Nr. 26: Page 12. 2003.
- ^ 르너 & 프레스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자동차 신화와 소문 공개, 모터북, 제1차 에드(2012년 11월)
- ^ 크레인, 데브라, 맥크렐, 쥬디스 2000 옥스퍼드 무용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p152 ISBN 0-19-860106-9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아밀카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