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피로아

Amphiroa
암피로아
Amphiroa zonata (in Amami).JPG
보부아보보부아쥐
과학적 분류 e
(순위 미지정): 고형성체
중분류: 진달래속
클래스: 꽃잎식물군
주문: 코랄리날레스
패밀리: 코랄리나과
서브패밀리: 암피로이데아과
속: 암피로아
J.V. 라무루, 1812년

암피로아는 55종으로 이루어진 탈로이드 홍조속이다.표본의 크기는 약 30cm에 이를 수 있다.탈리는 갑각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분법적인 가지가 형성되어 있다.그 유기체들은 2차 갱도 연결을 가지고 있다.암피로아는 개념으로 번식한다; 그것은 테트라스포어를 생성한다.그것의 모공관은 평행한 필라멘트로 정렬되어 있다; 모공관의 형태학은 그 [1]속 내의 종을 묘사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이다.

종.

현재 이 속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유효한 종은 다음과 같다.[2]

  1. 암피로아 문합상 베버 보세
  2. 암피로아안셉스 (라마르크) 데카인
  3. 아노보넨시스 필거
  4. 암피로아 아눌라타 나. 르모인
  5. 암피로아 관절 (보리) 아타나시아디스
  6. 보부아보보부아쥐 J.V. 라무루
  7. 암피로아바워방키 하비
  8. 암피로아브라질리아나 데카인
  9. 암피로아 브레비아티큘라타 아레슈우구
  10. 암피로아운하쿠라타 지 마틴스
  11. 암피로아카펜시스 아레슈우구
  12. 암피로아 압축 M.Lemoine
  13. 암피로아크라사 J.V. 라무루
  14. 암피로아 크로스랜디 M.Lemoine
  15. 갑각류 E.Y.다우슨
  16. 암피로아 크립타스로디아 자나르디니
  17. 쿠밍기아과 몽테뉴
  18. 암피로아커래 가네산
  19. 암피로아디모르파 나. 르모인
  20. 히가시카미 옌도
  21. 암피로아 에페드라에아 (라마르크) 데카인
  22. 암피로아 엑실리스 하비
  23. 암피로아폴리아케아 J.V. 라무루
  24. 암피로아프래질리시마 (린내) J.V.라무루
  25. 암피로아프란치스카나 W.R. 테일러
  26. 암피로아 갈라파겐시스 W.R. 테일러
  27. 암피로아 그라실리스 하비
  28. 암피로아 핸콕키 W.R. 테일러
  29. 암피로아 하우엔시스 A.H.S. 루카스
  30. 암피로아 불규칙 쿠칭
  31. 암피로아 이토노이 스리마노바&마사키
  32. 암피로아클로치코바나 A.S. Harvey, W.J.Woelkerling & A.J.K.밀라
  33. 암피로아쿠에칭기아나 트레비산
  34. 암피로아 막달레넨시스 E.Y.다우슨
  35. 암피로아말렉타타 시몬센
  36. 암피로아미누티시마 W.R. 테일러
  37. 히가시카미 옌도
  38. 암피로아 결절증 (팔라스) 데카인
  39. 노들로사노도루사 쿠칭
  40. 암피로아 파시피카 쿠칭
  41. 암피로아페루아나 Areschoug e. W.R.테일러
  42. 암피로아다모르파 M.Lemoine
  43. 암피로아 프리프라질리시마 나. 르모인
  44. 암피로아푸실라 옌도
  45. 암피로아 리기다 J.V. 라무루
  46. 암피로아 루브라 (필리피) 울켈링
  47. 암피로아 세타케아 쿠칭
  48. 암피로아아실린드리카 E.Y.다우슨
  49. 암피로아 타일러리 E.Y.다우슨
  50. 암피로아 트리불루스(J).Ellis & Solander) J.V.Lamouroux - 유형
  51. 암피로아운굴라타 몬태뉴 & 밀라르데
  52. 암피로아발로니오이데스 옌도
  53. 반보세아과 나. 르모인
  54. 암피로아옌도이 뵈르게센
  55. 암피로아옌도이 데토니

레퍼런스

  • Guiry, M.D.; Guiry, G.M. (2008). "Amphiroa".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Retrieved 2009-04-18.
  1. ^ Harvey, A. S.; Woelkerling, W. J.; Millar, A. J. K. (2009). "The genus Amphiroa (Lithophylloideae, Corallinaceae, Rhodophyta) from the temperate coasts of the Australian continent, including the newly described A. klochkovana". Phycologia. 48 (4): 258. doi:10.2216/08-84.1.
  2. ^ Alge Bas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