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록사 대주교 앤드루
Andrew, Archbishop of Kalocsa앤드루 | |
---|---|
칼록사 대주교 | |
대교구 | 칼로사 |
설치된. | 1176 |
기간이 종료됨 | 1186 |
전임자 | 스티븐 |
후계자 | 폴. |
기타 게시물 | 갸르 주교 |
개인내역 | |
죽은 | 1186 로마, 교황청 |
국적 | 헝가리인 |
디노미네이션 | 가톨릭의 |
앤드루(헝가리어: 안드라스; 1186년 사망)는 12세기 후반 헝가리 왕국의 수도원이었다. 그는 1176년과 1186년 사이에 칼록사의 대주교였고, 1169년부터 1176년까지 가이트르의 주교였다.
초기 경력
앤드류는 고학력의 성직자와 숙련된 외교관으로, 교황 알렉산더 3세의 제자가 되었다.[1] 1179년에 발행된 그의 편지에서 교황은 앤드류를 "과학적이고, 종교적이며, 도덕적인"이라고 묘사했다.[2]
1169년 성당 지부에 의해 갸르 주교로 선출되었고, 헝가리의 스테판 3세 왕의 후보로 선출되었다. 그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전임자는 게르바시우스였는데, 그는 1158년에 그 자격으로 마지막으로 언급되었다.[3] 그러나, 교황 알렉산더와 스테판 3세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에스떼르곰 대주교 루카스는 앤드류의 비수상적인 선거 때문에, 앤드류의 성직을 방해하려고 시도했다. 그해 헝가리에 교황 공관 역할을 했던 맨프레드 추기경이 루카스에게 앤드류의 성직을 축하하라고 훈계했지만, 그는 여전히 이를 거절했다. 이 사건은 루카스와 앤드류 사이의 오랜 경쟁의 토대가 되었다.[4]
칼록사 대주교
헝가리 가톨릭교회장
"우리가 과학과 종교와 덕행으로 지극히 친절하고 환영한다고 여기는 우리 목사님 동생 [안드류]가 적들의 재촉으로 당신의 은혜에서 너무나 떨어진 것 같아 그뿐만 아니라 [하위]도 억울한 굴욕을 당하게 되고, 또 우리[하위]도 당치 않은 굴욕을 당하게 된다는 것은 참으로 우리를 우울하게 만들고 있소. 이 대주교는 [...] 로마 교회의 큰 불만과 당신의 [벨라] 이름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일로 그의 관직을 박탈당했다. 사실 이 대주교는 우리 앞에 나타나서, 할 수 있는 한,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일에 있어서 폐하와 당신의 존엄성을 전혀 침해하지 않았다고 강력하고 단호하게 진술했으며, 만일 그가 완전히 부인했던 당신이 이전에 우리에게 불평했던 것처럼 결국 말로써 당신을 불쾌하게 했다면, 그는 삼두사미로 인해 용서를 받아야 마땅하다.너도 알다시피, 그의 모욕의 정의는, 혀가 젖은 곳에 있기 때문에, 가끔 미끄러지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고, 행복은 언어적으로 불쾌감을 주지 않는 사람이다. [...]"
스테판 3세의 사망에 이어 동생 벨라가 콘스탄티노플에서 헝가리로 돌아와 만장일치로 헝가리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루카스 대주교가 그의 의식을 거행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그의 대관식이 연기되었다;[6] 그는 벨라의 통치하에 "스시즘"의 영향력이 커질 것을 우려했다(그러나 그의 저항은 교황 알렉산더에 의해서도 거부되었다).[7] 루카스 대주교는 벨라의 환심을 사게 되었고, 재위 첫 해에 그에게 무시당했다. 앤드류는 1176년 칼록사 대주교의 품격으로 올라섰고, 벨라의 통치에도 반대했던 스테판 대신이 되었다.[8] 루카스가 국정을 강제로 망명했기 때문에, 숙련된 외교관이었던 앤드류가 사실상 헝가리 가톨릭 교회의 수장이 되었고, 교황 알렉산더 3세도 그의 지위를 인정받았다.[9]
신성로마 황제 프레데릭 바르바로사가 친파적 관계 때문에 아달베르트의 잘츠부르크 대주교 품위를 박탈하자, 교황 알렉산더는 알바노의 주교 월터(Walter)를 보내 분쟁을 해결했다. 교황은 이 문제를 중재하기 위해 베를라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0] 1176년 여름, 새로 선출된 앤드류 대주교는 헝가리 교회 대표단을 이끌고 가이어로 갔으며, 여기에는 앤드류의 강력한 우방인 그레고리 미코드, 세케스페헤르바르 지부장과 판논할마 주지사 레이날드도 포함된다. 그들은 그곳에서 교황 공관을 만났고, 그들은 아달베르트와 프레데릭의 후보인 헨리, 베르흐테스가덴의 프로보스트를 소환했다. 1176년 8월 초, 아달버트만이 갸르 궁정 앞에 나타나 그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고 헨리를 잘츠부르크 대주교직에서 박탈했다.[1] 월터에 따르면, 앤드류와 그의 동료들은 조언으로 그의 사법 활동을 도왔다.[11]
그러나 베를라 3세와의 관계는 1178년과 1179년 무렵 극적으로 악화되었다.[12] 군주에 따르면, 그 결과, 벨라는 곧 대주교와 그의 지지자인 세케스페헤르바르의 총독 그레고리를 그들의 직위를 박탈하고 대주교의 수입을 빼앗았다.[12][13] 비슷한 시기에 왕은 7년간의 공백 끝에 왕실에서 세력을 회복한 루카스 대주교와 화해했다. 앤드류는 헝가리를 도망쳐 로마 쿠리아에 탄원하면서 1179년 3월 제3차 라테란 평의회에서 조사를 요청했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베를라 3세를 면직 협박하고 교회주의적인 제재로 처벌했지만 루카스는 그를 면직시키고 칼록사의 앤드루와 그의 성직자들을 면직시켰다.[13] 루카스는 앤드류에게 전통적으로 에스테르곰 대교구의 영토권하에 놓여 있던 왕실 교회의 사제들과 성직자들을 불법적으로 지배한 혐의를 씌웠다. 개인적인 갈등과는 별개로 이번 사건은 헝가리 교회 조직의 지도력을 위해 에스떼르곰과 칼로사 사이에 오랜 경쟁의 장이기도 했다. 이전 해에 앤드류는 루카스의 희생으로 주교와 메트로폴리탄으로서의 자신의 권한을 연장하여 에스떼르곰 대교구의 특권을 남용할 작정이었다.[14] 1179년 3월 헝가리에 보낸 거친 어조의 편지에서 교황 알렉산더는 자신이 앤드류에게 가한 형벌을 그대로 유지하면 루카스를 파문시키겠다고 협박했다. 또 다른 서한에서 알렉산더 교황은 헝가리 성직자들에게 루카스의 지시에 복종하지 말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와 동시에 교황은 베를라 3세에게 편지를 보내 왕에게 앤드류를 다시 자기 자리로 데려가 달라고 부탁했다.[15] 그 갈등은 교황청이 중재한 타협안으로 끝났다: 앤드류 대주교는 군주의 용서를 요청했고 왕은 그를 회복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앤드류는 왕실에서 이전의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했다.[12]
만년
앤드류는 칼록사 대교구(현 세르비아 바치)의 제2차 대교구(현재의 세르비아 바치)를 본 후 라테란 제3차 평의회의 문서에 의해 "바흐스의 대주교"로 칭해졌다. 결과적으로, 앤드류는 그의 영구적인 자리를 그곳에 유지했다.[16] 헝가리의 왕실에서 영향력이 몰락한 후, 앤드류는 남은 임기 중 거의 모든 시간을 로마에서 보냈고, 오직 교회적인 일만을 다루었다.[17] 이사회의 결의에도 불구하고, 헝가리의 원장들 사이에서는 독신주의가 보편적이지 않았다. 앤드루 대주교는 성직자에게 유부남자가 성직자가 되겠다고 신청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안내해 달라고 부탁했다. 알렉산더 교황은 1180년 편지에서 유부남자가 아내의 동의를 얻어 이혼하고 서품 전에 순결 서약을 하면 사제 서품을 받을 수 있다고 답변했다.[18] 앤드류는 또한 반 벨로시가 수십 년 전에 설립한 쿠 수도원의 베네딕타인 수도원 소속의 불복종 장구들을 시르미아(칼록사의 교회적 권한 아래 놓여 있었다)에서 다루었다. 앤드류는 베네딕트교에서 수도원을 몰수하여 헤브론 계곡의 아브라함의 승려들에게 넘겼다.[18]
1185년의 계좌에 따르면, 앤드류는 그 해에 2,500개의 은색 마크를 벌어들였다.[16] 그는 이듬해인 1186년 로마에 거주하다가 사망했다.[17] 그는 1188년경 폴에 의해 칼록사 대주교로 계승되었다.[8]
메모들
- ^ a b 우드바르디 1991, 74페이지.
- ^ Thoroczkay 2018, 페이지 220.
- ^ Zsoldos 2011, 페이지 91.
- ^ 1989년 106페이지.
- ^ Thoroczkay 2018, 페이지 220–221.
- ^ 크리스토 & 막크 1996, 페이지 210.
- ^ 1989년 108페이지.
- ^ a b Zsoldos 2011, 페이지 84.
- ^ Thoroczkay 2018, 페이지 214.
- ^ 1989년 113페이지.
- ^ 반크 1968년, 페이지 26.
- ^ a b c 크리스토 & 막크 1996 페이지 214.
- ^ a b 1989년 114페이지.
- ^ 막크 1989년 174페이지.
- ^ Thoroczkay 2018, 페이지 215–221.
- ^ a b 우드바르디 1991, 페이지 76.
- ^ a b 디오스 1993, 페이지 251.
- ^ a b 우드바르디 1991, 페이지 75.
원천
- Bánk, József, ed. (1968). Győregyházmegyei almanach. Schematizmus Dioecesis Jaurinensis [Almanac of the Diocese of Győr] (in Hungarian). Authority of the Diocese of Győr.
- Diós, István (1993). Magyar katolikus lexikon [Hungarian Catholic Lexicon] Vol. I (in Hungarian). Szent István Kiadó.
- Kristó, Gyula; Makk, Ferenc (1996). Az Árpád-ház uralkodói [Rulers of the House of Árpád] (in Hungarian). I.P.C. Könyvek. ISBN 963-7930-97-3.
- Makk, Ferenc (1989). The Árpáds and the Comneni: Political Relations between Hungary and Byzantium in the 12th century (Translated by György Novák). Akadémiai Kiadó. ISBN 963-05-5268-X.
- Thoroczkay, Gábor, ed. (2018). Írott források az 1116–1205 közötti magyar történelemről [Written Sources of the Hungarian History between 1116 and 1205] (in Hungarian).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ISBN 978-615-80398-3-3.
- Udvardy, József (1991). A kalocsai érsekek életrajza (1000–1526) [Biographies of Archbishops of Kalocsa, 1000–1526] (in Hungarian). Görres Gesellschaft.
- Zsoldos, Attila (2011). Magyarország világi archontológiája, 1000–1301 [Secular Archontology of Hungary, 1000–1301] (in Hungarian). História, MTA Történettudományi Intézete. ISBN 978-963-962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