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러피시
Anglerfish앵글러피시 시간 범위: Pre ꞓ S K N | |
---|---|
![]() | |
혹등아구, 멜라노세투스조니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악티노프테르기 |
Clade: | 퍼코몰파 |
주문: | 로피아목 가만, 1899년 |
모식종 | |
로피우스 피스카토리우스 |

(B) Cryptopsaras couesi, 34.5mm SL
(C) 히만톨로퍼스 아펠리, 124mm SL
(D) 삼엽충, 86mm SL
(E) 부초점 웨들리, 96 mm SL
(F) Bufoceratias Shaoi, 101mm SL
(G) 멜라노세투스 유스탈루스, 93 mm SL
(H) 라시오그나투스 암피르암푸스, 157mm SL
(I) 타우마티치티스 빙하미, 83mm SL
(J) 157mm SL, Chaenophryne Quasiramifera.
아귀는 로피아목(/l lfiˈfɔrmizz/)[1]의 물고기이다.그들은 변형된 발광 지느러미 가오리(에스카 또는 일리시움)가 다른 물고기의 미끼 역할을 하는 특징적인 포식 방식 때문에 이름이 붙여진 경골 물고기입니다.이 발광은 [2][3]바닷물로부터 얻은 것으로 생각되는 공생 박테리아로 바다와 그 주변에 살고 있다.
일부 아귀는 극도의 성적 이형성과 수컷이 훨씬 큰 암컷과 성적 공생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심해 아귀 아목인 Ceratiidae에서 볼 수 있다.이러한 종에서 수컷은 [4]암컷보다 몇 배나 작을 수 있다.
아귀는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어떤 것들은 해저에서 멀리 떨어져 사는 반면, 다른 것들은 해저에서 가까이 사는 해저이다.어떤 것들은 심해에서 사는 반면, 다른 것들은 개구리와 로피과와 같은 대륙붕에 삽니다.원양 형태는 가장 자주 측면으로 압축되는 반면, 해저 형태는 종종 극도로 복부적으로 압축되며, 종종 위쪽으로 향하는 [citation needed]큰 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화
미토콘드리아 게놈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아귀는 1억3천만년에서 [5]1억년 전 사이 크레타스 초중기 단기간에 다양해졌다.
분류
FishBase,[1] [6]Nelson 및 Pietch는[7] 18개의 가족을 나열하지만 ITIS는[8] 16개만 나열한다.이들의 진화적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4]다음과 같은 분류법이 마련되었습니다.
해부학
모든 아귀는 육식성이기 때문에 먹이를 잡는데 적합하다.짙은 회색에서 짙은 갈색에 이르는 심해 어종은 먹이를 효과적으로 잡기 위해 안쪽으로 비스듬히 꺾인 길고 송곳니 같은 이빨로 가득 찬 초승달 모양의 입을 가진 커다란 머리를 가지고 있다.몸길이는 2~18cm(1~7인치)로 다양하며, 100cm(39인치)[10]까지 커지는 종류도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주로 성적 이형성에 기인하며, 암컷은 [11]수컷보다 훨씬 크다.개구리와 다른 얕은 물 아귀들은 매복 포식자이며 종종 바위, 스폰지 또는 해초처럼 위장되어 보입니다.[12]
대부분의 성인 암컷 세라티오이드 아귀는 변형된 등가오리 끝에 에스카라고 불리는 발광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기관은 어두운 심해 환경에서 먹이를 유인하는 명백한 목적을 제공한다는 가설이 세워졌지만, 짝짓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컷들의 관심을 암컷들에게 환기시키는 역할도 한다.
발광의 원천은 아마도 구아닌으로 구성된 결정체가 들어 있는 컵 모양의 반사체에 둘러싸인 에스카와 그 주변에 서식하는 공생 박테리아입니다.극소수의 발광 심비온트 종만이 심해 [3]아귀와 교감할 수 있다.몇몇 종에서, 에스카에 모집된 박테리아는 아귀로부터 독립적으로 발광할 수 없으며, 이는 그들이 공생 관계를 발전시켰으며 박테리아가 스스로 발광에 필요한 모든 화학 물질을 합성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그들은 그 차이를 메우기 위해 물고기에 의존한다.일부 종에서 이 박테리아들의 전자 현미경을 통해 캡슐, 포자, 또는 편모가 없는 그램 음성 막대임이 밝혀졌습니다.그들은 이중으로 된 세포벽과 메소솜을 가지고 있다.모공은 에스카와 바닷물을 연결하여 죽은 세균과 세포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배양 배지의 pH와 강장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이것은 이 물고기들이 사는 수심역의 일정한 온도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13][14]배양물의 장기적인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광선은 항상 외부로 열려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바닷물에서 세균을 얻을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 각각의 종은 그들만의 특별한 종류의 박테리아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박테리아는 바닷물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Haygood(1993)는 에스카가 산란 중에 박테리아를 배출하고 그 박테리아가 [14]알로 옮겨진다는 이론을 세웠다.
몇몇 증거들은 몇몇 아귀들이 지역 환경으로부터 그들의 생물 발광 공생체를 얻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공생 박테리아의 유전 물질은 아귀 근처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아귀와 그들의 관련 박테리아가 함께 진화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고 박테리아가 [3]숙주로 들어가기 위해 어려운 여정을 거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멕시코만의 Ceratioid 아귀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확인된 숙주와 관련된 생물 발광 미생물이 유충 표본과 숙주의 발달 전반에 걸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챘다.Ceratioids는 [2]바닷물로부터 생물 발광 공생체를 얻었을 것이다.포토박테륨 포스오름과 키시타니 분지군의 구성원은 [15]심해발광어과의 주요 또는 유일한 생물발광 공생물을 구성한다.
공생 박테리아의 유전자 구성은 [3]숙주와 연관된 이후 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자유생물에 비해 심해 아귀공생물의 게놈은 50% 정도 크기가 줄어든다.아미노산 합성 경로의 감소와 다양한 당을 이용하는 능력이 발견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숙주 밖에서만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화학작용과 운동성과 관련된 유전자는 게놈에 유지된다.심비온트 게놈은 매우 많은 수의 의사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이성 요소의 거대한 확장을 보여준다.게놈 감소 과정은 이러한 공생 계통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며, 유전자 손실은 숙주 [16]의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종에서, 넓은 입은 머리의 앞쪽 둘레 전체에 걸쳐 있고, 안쪽으로 기울어진 이빨의 띠가 양쪽 턱에 늘어서 있습니다.위를 향해 미끄러지는 물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치아를 누를 수 있지만 [17]입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이 아귀는 뼈가 얇고 유연하기 때문에 턱과 위를 [18]몸 전체보다 두 배나 큰 먹이를 삼킬 수 있다.
행동
수영 및 에너지 절약
2005년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근처에서 ROV가 24분 동안 Oneirodes속 암컷 쎄라티오이드 아귀 한 마리를 촬영했다.접근했을 때 물고기는 빠르게 후퇴했지만 비디오 영상의 74%는 수동적으로, 어떤 각도로든 표류했다.전진할 때는 가슴지느러미가 같은 위상을 유지하며 초당 0.24의 속도로 간헐적으로 헤엄쳤다.이 매복 포식자의 무기력한 행동은 [19]심해의 에너지 부족 환경에 적합하다.
다른 3종류의 아귀들을 현장에서 관찰한 결과, 특이한 역수영 행동을 보였다.물고기들이 완전히 움직이지 않고 거꾸로 떠다니는 것이 관찰되었고, 일리시움은 물고기 앞의 약간 아치 모양으로 뻣뻣하게 매달려 있었다.일리시움이 눈에 보이는 작은 굴들 위에 매달려 있었다.이것은 먹잇감을 유인하기 위한 노력이며 저에너지 기회주의적 먹이찾기와 포식자의 한 예라고 제안되었다.ROV가 물고기에게 접근했을 때, 그들은 여전히 [20]뒤집힌 채 폭발적 수영을 보였다.
아귀의 턱과 위는 그 크기의 두 배까지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다.아귀의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양의 먹이 때문에, 이 적응은 아귀가 [21]풍부할 때 먹이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프레데이션

"앵글러피시"라는 이름은 그 종의 독특한 포식 방식에서 유래했습니다.아귀는 전형적으로 머리 중앙에서 자라나는 적어도 하나의 긴 필라멘트를 가지고 있는데, 일리시움이라고 불립니다.일리시움은 앞등지느러미의 처음 세 개의 가시가 분리되어 변형된 것이다.대부분의 아귀 종에서 가장 긴 필라멘트가 첫 번째이다.이 첫 번째 척추는 물고기의 눈 위로 튀어나와 불규칙한 살의 성장으로 끝이 나고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아귀는 먹잇감을 닮기 위해 에스카를 움직일 수 있는데, 이것은 아귀가 먹이를 [22]통째로 집어삼킬 수 있을 만큼 가까이 유인한다.수욕대의 일부 심해 아귀도 먹이를 [23]유인하기 위해 에스카에서 빛을 방출한다.
아귀는 기회주의적인 먹이이기 때문에, 특정 먹이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지는 반면, 크기 스펙트럼의 극단에서 물고기와 함께 선호하는 먹이 범위를 보여준다.중앙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있는 실핀 아귀의 위 내용물을 조사한 한 연구는 이 물고기들이 주로 갑각류와 텔레오스트 물고기 두 종류의 해저 먹이를 먹는다는 것을 발견했다.가장 흔한 먹잇감은 판달리드 새우였다.조사된 위장의 52%가 비어 있어 아귀가 에너지 소비량이 [24]낮다는 관찰을 뒷받침했다.
재생산

케라티과와 같은 일부 아귀나 바다악마는 특이한 짝짓기 [25]방법을 사용한다.지역적으로 개인이 드물기 때문에 만남도 매우 드물다.그러므로 짝을 찾는 것은 문제가 있다.과학자들이 세라티오이드 아귀들을 처음 포획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모든 표본이 암컷이라는 것을 알아챘다.이 개체들은 크기가 몇 센티미터였고 거의 대부분이 기생충으로 보이는 것을 가지고 있었다.이 "기생충"들은 매우 감소된 수컷 세라티오이드인 것으로 밝혀졌다.이것은 아귀의 일부 분류군이 일부다양성 짝짓기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어떤 종류의 아귀에서는 항체가 성숙하고 T세포 수용체를 만들 수 있는 면역 체계 키가 부족하기 때문에 번식할 때 수컷과 암컷 사이의 융합이 가능하다.
어떤 세라티오이드들은 파라바이오틱 번식에 의존한다.자유생활하는 수컷과 기생하지 않는 암컷은 성선이 완전히 발달한 적이 없다.따라서 수컷은 암컷에게 달라붙지 않으면 절대 성숙하지 않고,[4] 암컷을 찾지 못하면 죽는다.태어날 때, 수컷 세라티오이드들은 이미 물에서 냄새를 감지하는 매우 잘 발달된 후각을[26] 가지고 있다.몇몇 종의 수컷들은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짝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크고, 고도로 특화된 눈을 발달시킵니다.수컷 세라티오이드는 암컷 아귀보다 상당히 작고, 심해에서 먹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또한 일부 수컷은 소화관의 성장이 저해되어 먹이를 먹지 못하게 된다.어떤 분류군은 먹잇감 [26]포획에 적합하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은 턱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특징들은 수컷이 죽음을 막기 위해 암컷 아귀들을 빨리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민감한 후각 기관은 수컷이 암컷 아귀의 근접을 알리는 페로몬을 감지하도록 도와줍니다.
아귀가 짝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어떤 종들은 암컷을 식별하기에 부적합한 미세한 눈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종들은 덜 발달된 콧구멍을 가지고 있어 [4]냄새로 암컷을 효과적으로 찾을 수 없다.수컷이 암컷을 발견하면, 암컷의 피부를 물어뜯고, 입과 몸의 피부를 소화시키는 효소를 분비해, 한 쌍을 혈관의 [26]높이로 떨어뜨린다.수컷은 공동 순환계를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음으로써 생존을 위해 암컷 숙주에 의존하게 되고, 그 대가로 암컷에게 정자를 공급하게 된다.융합 후 수컷은 체적이 증가하며 자유롭게 사는 수컷에 비해 훨씬 커진다.암컷이 살아있는 한 번식 기능을 유지하며 여러 번 [4]산란할 수 있다.이 극단적인 성적 이형성은 암컷이 산란을 할 준비가 되었을 때, 즉시 [27]짝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일부 분류군은 "암컷 1마리당 수컷 1마리"[4] 규칙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여러 수컷이 한 종에 최대 8마리까지 한 마리의 암컷으로 통합될 수 있다.
공생은 아귀의 유일한 번식 방법은 아니다.사실, 멜라노케트과, 히만톨로피과, 디세라티과, 그리고 기간티니과를 포함한 많은 과들은 수컷 [28]공생의 증거를 보이지 않는다.이러한 종의 암컷들은 크고 발달된 난소를 가지고 있으며 자유생활하는 수컷들은 큰 고환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성적으로 성숙한 개체들이 조직의 융합을 수반하지 않는 일시적인 성적 애착 동안 알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이 종들의 수컷들은 또한 [28]공생종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사냥에 훨씬 더 효과적인 이빨을 가지고 있다.
성적 공생은 어떤 종류의 [4]낚시에서는 선택적인 전략일 수 있다.오네이로디대에서는 공생 수컷을 가진 암컷이 렙타칸티히티스와 베르텔라에서 보고되었으며, 아직 완전히 기능하지 않은 다른 [4]성선들도 보고되었다.일설에 따르면 수컷은 암컷이 성적으로 성숙하지 않으면 생식 발달에 관계없이 암컷에게 애착을 가지지만 수컷과 암컷 모두 성숙하면 산란 후 [4]분리된다.
외부 비디오 | |
---|---|
![]() | |
![]() | |
![]() |
성적 공생의 진화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심해 환경에서 암컷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아귀 중에서 짝을 선택할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암컷은 큰 난소와 알에서 알이 증명되듯이 번식하기 위해 큰 몸집을 유지한다.남성들은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신진대사 비용을 줄이기 위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고 고도로 전문화된 여성 찾기 능력을 발달시킬 것이다.만약 수컷이 암컷을 찾는 데 성공한다면, 공생 애착은 특히 미래의 짝을 찾을 가능성이 낮을 때, 자유로운 삶에 비해 평생의 건강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공생의 또 다른 장점은 수컷의 정자가 암컷에게 항상 짝짓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 수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더 높은 밀도의 수컷과 암컷의 만남은 통성 공생을 나타내는 종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고 단순히 전통적인 일시적인 접촉 [29]교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로피우스속 아귀의 알은 폭이 25cm(10인치)이고 길이가 [30]10m(33피트)가 넘는 투명한 젤라틴 상태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런 계란 시트는 생선 중에서 드물다.이 시트에 있는 달걀은 각각 자신의 충치에 있는 한 겹으로 되어 있습니다.그 알은 바다에서 자유롭다.유충은 자유롭게 헤엄치며 골반 지느러미가 필라멘트로 [17]길어집니다.
위협
북서유럽 로피우스 종은 ICES에 의해 "안전한 생물학적 [31]한계 밖"으로 등록되어 있다.또한, 아귀는 엘니뇨 동안 가끔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죽은 아귀들의 큰 무리가 [31]표면에 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0년,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은 미국 낚시꾼(로피우스 아메리카누스), 낚시꾼(로피우스 피스카토리우스), 검은배 낚시꾼(로피우스 부데가사)을 해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는데, 이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32]어장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높은 물고기의 목록입니다.
인간의 소비
한 과인 로피과(Lophiidae)는 서유럽, 북미 동부, 아프리카, 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어업과 함께 상업적으로 관심이 있다.유럽과 북미에서는 아귀 또는 구스피쉬(북미)로 알려진 로피우스속 물고기의 꼬리 고기는 요리에 널리 사용되며 맛과 질감에서 종종 바닷가재 꼬리와 비교된다.
아시아,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앙키모로 알려진 아귀 간은 [33]별미로 여겨진다.아귀는 특히 아귀찜과 같은 요리의 주원료로 한국에서 많이 소비된다.
속 연대표

레퍼런스
- ^ a b Froise, Rainer, Daniel Pauly, ed.Fish Base의 "Lophiiformes"입니다.2006년 2월판
- ^ a b Freed, Lindsay L; Easson, Cole; Baker, Lydia J; Fenolio, Danté; Sutton, Tracey T; Khan, Yasmin; Blackwelder, Patricia; Hendry, Tory A; Lopez, Jose V (1 October 2019).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biome and bioluminescent symbionts across life stages of Ceratioid Anglerfishes of the Gulf of Mexico". FEMS Microbiology Ecology. 95 (10): fiz146. doi:10.1093/femsec/fiz146. ISSN 0168-6496. PMC 6778416. PMID 31504465.
- ^ a b c d Baker, Lydia J; Freed, Lindsay L; Easson, Cole G; Lopez, Jose V; Fenolio, Danté; Sutton, Tracey T; Nyholm, Spencer V; Hendry, Tory A (1 October 2019). "Diverse deep-sea anglerfishes share a genetically reduced luminous symbiont that is acquired from the environment". eLife. 8: e47606. doi:10.7554/eLife.47606. ISSN 2050-084X. PMC 6773444. PMID 31571583.
- ^ a b c d e f g h i Pietsch, Theodore W. (25 August 2005). "Dimorphism, parasitism, and sex revisited: modes of reproduction among deep-sea ceratioid anglerfishes (Teleostei: Lophiiformes)". Ichthyological Research. 52 (3): 207–236. doi:10.1007/s10228-005-0286-2. S2CID 24768783.
- ^ Miya, M.; T. Pietsch; J. Orr; R. Arnold; T. Satoh; A. Shedlock; H. Ho; M. Shimazaki; M. Yabe (2010). "Evolutionary history of anglerfishes (Teleostei: Lophiiformes): a mitogenomic perspective". BMC Evolutionary Biology. 10: 58. doi:10.1186/1471-2148-10-58. PMC 2836326. PMID 20178642.
- ^ Joseph S. Nelson (29 April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SBN 978-0-471-54713-6.
- ^ Theodore W. Pietsch (2009) (2009). Oceanic Anglerfishes: Extraordinary Diversity in the Deep S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5542-5.
- ^ "Lophiiforme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3 April 2006.
- ^ a b 보쉬마개구리와 네팔개구리는 ITIS의 Antennariidae에 포함된다.
- ^ "Anglerfish". National Geographic. 10 September 2010. Retrieved 28 February 2019.
- ^ "Fish Identification". fishbase.org. Retrieved 28 January 2019.
- ^ "Camouflage". Retrieved 22 January 2018.
- ^ O'Day, William T. (1974). Bacterial Luminescence in the Deep-Sea Anglerfish (PDF). L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 ^ a b Munk, Ole; Hansen, Kjeld; Herring, Peter J. (2009). "On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Escal Light Organ of Some Melanocetid Deep Sea Anglerfishes (Pisces: Ceratioidei)".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78 (4): 1321. doi:10.1017/S0025315400044520. ISSN 0025-3154.
- ^ Haygood, Margo G.; Distel, Daniel L. (May 1993). "Bioluminescent symbionts of flashlight fishes and deep-sea anglerfishes form unique lineages related to the genus Vibrio". Nature. 363 (6425): 154–156. Bibcode:1993Natur.363..154H. doi:10.1038/363154a0. ISSN 0028-0836. PMID 7683390. S2CID 4346611.
- ^ Hendry, Tory A.; Freed, Lindsay L.; Fader, Dana; Fenolio, Danté; Sutton, Tracey T.; Lopez, Jose V. (26 June 2018). Moran, Nancy A. (ed.). "Ongoing Transposon-Mediated Genome Reduction in the Luminous Bacterial Symbionts of Deep-Sea Ceratioid Anglerfishes". mBio. 9 (3): e01033–18, /mbio/9/3/mBio.01033–18.atom. doi:10.1128/mBio.01033-18. ISSN 2150-7511. PMC 6020299. PMID 29946051.
- ^ a b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에는 현재 퍼블릭
- ^ "Anglerfish". National Geographic. 10 September 2010. Retrieved 18 April 2018.
- ^ Luck, Daniel Garcia; Pietsch, Theodore W. (4 June 2008). "Observations of a Deep-sea Ceratioid Anglerfish of the Genus Oneirodes (Lophiiformes: Oneirodidae)". Copeia. 2008 (2): 446–451. doi:10.1643/CE-07-075. S2CID 55297852.
- ^ Moore, Jon A. (31 December 2001). "Upside-Down Swimming Behavior in a Whipnose Anglerfish (Teleostei: Ceratioidei: Gigantactinidae)". Copeia. 4. 2002 (4): 1144–1146. doi:10.1643/0045-8511(2002)002[1144:udsbia]2.0.co;2. JSTOR 1448539. S2CID 85724627.
- ^ "Deep Sea Anglerfish - Deep Sea Creatures on Sea and Sky".
- ^ Smith, William John (2009). The Behavior of Communicating: an ethological approach. Harvard University Press. p. 381. ISBN 978-0-674-04379-4.
Others rely on the technique adopted by a wolf in sheep's clothing—they mimic a harmless species. ... Other predators even mimic their prey's prey: angler fish (Lophiiformes) and alligator snapping turtles Macroclemys temmincki can wriggle fleshy outgrowths of their fins or tongues and attract small predatory fish close to their mouths.
- ^ Piper, Ross (2007), Excellent Animals: Greenwood Press, 호기심 많고 특이한 동물 백과사전.
- ^ Espinoza, Mario; Ingo Wehrtmann (2008). "Stomach content analyses of the threadfin anglerfish Lophiodes spilurus (Lophiiformes: Lophiidae) associated with deepwater shrimp fisheries from the central Pacific of Costa Rica". Revista de Biología Tropical. 4. 56 (4): 1959–70. doi:10.15517/rbt.v56i4.5772. PMID 19419094. Retrieved 4 October 2013.
- ^ Gorey, Colm (23 March 2018). "Scientists stunned to capture first mating footage of bizarre anglerfish". SiliconRepublic.com. Retrieved 23 March 2018.
- ^ a b c Gould, Stephen Jay (1983). Hen's Teeth and Horse's Toe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p. 30. ISBN 978-0-393-01716-8.
ceratioid males develop gigantic nostrils...relative to body size, some ceratioids have larger nasal organs than any other vertebrate
- ^ Theodore W. Pietsch (1975). "Precocious sexual parasitism in the deep sea ceratioid anglerfish, Cryptopsaras couesi Gill". Nature. 256 (5512): 38–40. Bibcode:1975Natur.256...38P. doi:10.1038/256038a0. S2CID 4226567.
- ^ a b Pietsch, Theodore W. (8 March 1972). "A Review of the Monotypic Deep-Sea Anglerfish Family Centrophrynidae: Taxonomy, Distribution and Osteology". Copeia. 1972 (1): 17–47. doi:10.2307/1442779. JSTOR 1442779.
- ^ Miya, Masaki; Pietsch, Theodore W; Orr, James W; Arnold, Rachel J; Satoh, Takashi P; Shedlock, Andrew M; Ho, Hsuan-Ching; Shimazaki, Mitsuomi; Yabe, Mamoru; Nishida, Mutsumi (1 January 2010). "Evolutionary history of anglerfishes (Teleostei: Lophiiformes): a mitogenomic perspective". BMC Evolutionary Biology. 10 (1): 58. doi:10.1186/1471-2148-10-58. PMC 2836326. PMID 20178642.
- ^ 프린스, E. E. 1891년아귀(Lophius piscatorius)의 발달에 관한 주의사항.스코틀랜드 어업위원회의 제9차 연차 보고서(1890년), 파트 III: 343–348.
- ^ a b Clover, Charles (2004). The End of the Line: How overfishing is changing the world and what we eat. London: Ebury Press. ISBN 978-0-09-189780-2.
- ^ 그린피스 국제 해산물 적색 리스트 2010년 8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Goosefish". All the Sea. Retrieved 20 April 2012.
- ^ Sepkoski, Jack (2002).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Bulletins of American Paleontology. 364: 56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1. Retrieved 17 May 2011.
추가 정보
- 앤더슨, M. 에릭, 레슬리, 로빈 W. 2001.심해 아귀류 검토(Lophiiformes: 남아프리카의 Ceratioidei).J.L.B. 어류학 게시판스미스 어류학 연구소 70호 J.L.B.스미스 어류학 연구소, 로즈 대학교
외부 링크

- 트리 오브 라이프 웹 프로젝트:로피아목
- 동영상 (02:37)– YouTube에서의 아귀 짝짓기
- Lu, D. Anglerfish 면역체계는 그들이 그들의 짝과 융합하도록 한다.뉴 사이언티스트 247, 19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