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로 노먼 말
Anglo-Norman horse![]() 앵글로 노먼 말 | |
보존상태 | 소멸된 |
---|---|
원산지 | 프랑스. |
앵글로노르만 말은 프랑스 북부의 로어 노르망디에서 개발된 따뜻한 말 품종이다.말 사육의 주요 중심지였던 이 지역은 서로 번식한 후 러버브레드와 교차하여 앵글로 노먼을 형성하는 수많은 지역 유형을 가지고 있었다.앵글로-노르만 품종 내에서 다양한 체형이 발달했으며, 그 중 두 품종이 분리되어 노먼 코브와 프렌치 트로터가 형성되었다.비록 그 품종의 순응의 "하이브리드" 성질에 대한 비판은 여전했지만, 나머지 종류들은 결국 표준화되었다.하지만 국제적인 스포츠 말로서, 특히 쇼 점프 종목에서는 성공적이다.앵글로-노르만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몇 가지 다른 품종의 개발에 기여하기도 했다.
앵글로-노르만은 19세기 초에 개발되었으며, Throughbred 및 현지 노먼 피와 함께 영국과 러시아의 트로트 말 등 다른 품종에서 영향을 받았다.19세기 중반까지 앵글로-노르만은 프랑스 전역에서 인기 있는 품종이 되었고, 1864년에 품종협회가 설립되었다.프랑스군이 구입해 기병과 포병마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앵글로노르만이 군을 위한 최선의 선택인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19세기 후반에는 사육농가의 목표와 군대의 필요성 사이에 분쟁이 남아 있기는 했지만 사육 프로그램이 크게 개선되었다.20세기 초의 기계화는 그 품종에 대한 수요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의 프랑스 점령 동안 싸운 결과, 사육 센터에 큰 피해를 입히고 많은 말들이 죽었다.가축 떼를 재건하는 동안 사육사들은 드래프트와 마차를 피하고 승마 경기를 위한 스포츠 말을 사육하기 시작했다.
1950년에 앵글로 노먼을 위한 스터드북이 만들어졌고, 그 10년 동안 이 품종은 국제 경쟁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958년 앵글로-노르만은 다른 프랑스 유형과 결합하여 프랑스의 국가 안장마 셀레 프랑세스를 탄생시켰다.셀레 프랑수아즈 사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변형은 여전했고, 합병 후에도 수십 년 동안 앵글로-노르만 혈통은 계속 구분이 가능했다.1990년대와 2000년대에 앵글로-노르만 스터드 북을 다시 열고 셀레 프랑수아즈와는 별개의 품종으로 재탄생시키는 운동이 시작되었다.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는 이 계획은 프랑스 스터드북 위원회와 농림부에 제출돼 프랑스 사육계 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2015년에는 앵글로 노먼 스터드북이 다시 개설된다.
품종특성
앵글로 노먼의 순응은 그 여러 가지 영향을 반영했다.1861년까지 프랑스 정부는 많은 양의 러버브레드 피를 추가하여 다양한 역사적인 노르만 말 타입의 외모를 표준화하려고 시도했다.그 결과 낳은 자손은 앵글로 노먼을 낳았다.[1]그러나, 이러한 번식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작가 알프레드 갈리에가 앵글로 노먼을 연구한 1909년까지, 그는 그 종족의 구성원을 "다양한 십자가에서 온 하이브리드"라고 묘사했다.그는 마구경주, 마차경마, 군마 등 세 가지 유형을 구분했다.그는 군형을 더 세분하여 중기병, 경기병, '선(線)의 카발리(프랑스인이 사용하는 특정형)'와 포병(포병)으로 나누었다.[2]앵글로-노르만 트로터는 프랑스에서 가장 [2]빨랐으며 인내심과 근면하다는 평을 받았다.[3]프랑스의 첫 번째 공식적인 트로트 경주는 1836년 체르부르에서 국립 스터드의 장교인 에프렘 후엘의 선동으로 열렸다.[4][5]그는 족발경주가 안장마 생산에 필요한 사육 품목을 선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믿었다.[5]앵글로-노르만족 트로트 말 중 최고는 1820년에서 1870년 사이에 나타났으며,[6] 5개의 주요 종마가 1906년 앵글로-노르만족에서 공식적으로 갈라진 프랑스 트로터족의 혈통이 되었다.[7]앵글로-노르만의 지속적인 번식 목표는 원래 노르만 유형의 더 무거운 암말과 철저한 종말론으로부터의 입력으로 균형 잡힌 품종을 유지하는 것이었다.[8]
1966년까지 앵글로-노르만 품종은 더 표준화되었고 때로는 더 크지만 평균 15.1~16.3 손(61~67인치, 155~170cm)의 높이로 묘사되었다.얼굴 윤곽은 볼록하고 목은 길고 어깨와 뒷부분은 힘이 있었다.그 품종은 너무 오른 어깨 각도가 있는 경향이 있었고 한 저자는 여전히 말들을 "..."라고 비판했다.[재조합] 두 개의 불친절하고 심하게 결속된 조각으로 하나는 노먼이고 다른 하나는 영어"라며 사육자들이 더 높은 품질의 브로다마를 사용한다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시사했다.[9]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앵글로 노먼스는 국제 수준에서 많은 성공적인 말들이 경쟁하는 등 점프 능력으로 유명했다.[9]
역사
노르망디와 브리타니의 원래 말은 기원전 3세기경부터 고대 가울에 정착한 [10]켈트족이 소개한 비데라고 불리는 작은 말이었다.[11]나중에, 로마인들은 더 큰 암말과 함께 그들을 건넜다.[10]6세기에 이르러 이 지역에서 경마의 관행이 기록되었고,[3] 10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노르만 말'이 유럽 전역에서 원하게 되었다.16세기 동안 노르만 말은 무겁고 힘이 세며, 장거리를 당길 수 있고, 포병과 일근병 등을 당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바브와 아라비아의 피는 루이 14세 시대에 첨가되었다.[10][12][13]
현대 앵글로-노르만 말의 발전은 19세기 다른 많은 프랑스 지역 동일인구의 발전과 유사하다. 당시 정부 주도의 국립 스터드는 외국 종마를 도입하여 프랑스 고유 말을 변형시켰다.아랍인과 러버브레드가 큰 영향을 끼쳤다.가장 흔한 이종 교배는 군대에서 사용하는 토종 암말 또는 마차[14] 끌기용 마차와 투르브레드 종말 사이에 있었으며, 1914년까지 이러한 종류는 "데미상" 또는 "반혈" 말들로 인식되었다.반혈마는 프랑스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보통 그들이 사육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다른 종류로 명명되었다.[15]앵글로-노르만의 기원은 기후와 토양 덕분에 말 사육으로 유명한 로어 노르망디였다.그 품종은 지역 고유의 전문화를 개발했다.르메를로르는 기원이 가장 오래된 지역으로 [3]주로 안장마를 생산했고, 코텐틴과 아우게 계곡은 마차용 말을 생산했다.[16]특히 제2차 프랑스 제국 (1852년-1870년) 기간 동안 번식을 위한 주요 중심지는 어린 적들이 목초지에 놓였던 카엔 주변의 평야였다.[17][16]원래 기마병 말의 번식을 위한 군사학자인 생 르와 뒤 핀의 국립 스터드들도 앵글로 노먼 말의 번식에 참여했다.19세기 말, 오르네에서 앵글로 노먼은 거의 알렌손, 특히 멀러트 지역에서 독점적으로 생겨났으며,[18] 몇몇은 칼바도스 학부에서 사육되었다.[19]오늘날에도 여전히 말 사육의 중심지인 노르망디에는 셀레 프랑수아즈 품종의 20%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는 앵글로-노르만에서 상당 부분 개발된 프랑스 국민 스포츠 말이다.이 지역은 국제 경쟁에서 성공한 수많은 셀레 프랑세스를 배출했다.[20]
초기 개발 동안, Carrosier Normand라고도 알려진 노르만 말은 여러 가지 뚜렷한 유형을 가지고 있었다:[1] Merlerault, Caen 평원에서 온 말, 같은 이름의 지역에서 온 코텐틴, 라 헤이그의 말, 그리고 다른 작은 변주.알렌손으로부터 멀레로는 투르브레드에서 개발되어 18세기 후반까지 지속된 안시엔 레기메 말기에 큰 인기를 끌었다.그것은 특히 작은 마차를 타고 끌기에 적합한 중형 타입이었다.[21][22]코텐틴은 앵글로-노르만족이 크게 발달한 카로시어 노르만드 중 가장 오래된 유형이었으며, 노먼 코브의 조상이기도 했다.[23]고급 마차 무역을 위해 고안된 코텐틴 말은 경주를 위해 사육되는 발걸음 말보다 크고 느렸다.[2]14.3~15.3의 손(59~63인치, 150~160cm)으로 서 있는 타입은 거의 항상 검은색이어서 운전자가 쉽게 매치된 팀을 구성할 수 있었다.[23]1775년까지 코텐틴 말은 프랑스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 마차마로서 독보적인 인기를 누렸고, 19세기 초까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마차마 품종 중 하나로 남아 있었는데,[21][24] 이 때까지는 확인되지 않은 교배작용으로 사라지게 되었다.[25]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이후 프랑스에는 안장마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이러한 상황은 도로의 개선으로 악화되어 마차에 대한 수요가 많아져 말타기에 대한 수요는 더욱 줄어들었다.1815년대와 1850년대 사이에는 부자와 군대만이 승마용 말을 계속 구입했다.[26]19세기 초, 로어 노르망디에서 사육사들은 앵글로 노먼과 프랑스 트로터의 조상인 카로시어 노르망드에 집중하였는데,[4] 주로 마차로 사용되었다.1830년경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연습인 Therverbreds와 Carrosier Normand가 교차되었을 때, 그 결과로 생긴 혼합물은 "Anglo-Norman"[3][27][28]이라고 불렸다.그러나 다른 지역 원주민들이 러버브레드와 아랍인들과 교차했을 때, 초기 결과는 실망스러웠다.[29]그러나, 1850년대 초, 저자인 Ephrem Houel은 말 타는 사람들의 수가 매우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르 메를로트에 여전히 존재하는 노르만 안장 말의 한 종류에 주목했다.[30]
1850년대 초반부터 제2차 프랑스 제국이 도래하면서 앵글로 노먼은 프랑스에서는 Therverbred와 경쟁하면서 대중적인 품종이 되었다.가벼운 마차를 타고 끌기에 적합한 다재다능한 말이라는 평을 받았다.[16]1840년부터 1860년까지, 이 품종은 영국에서 온 일부 토르크로브레드의 트로트 말들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31]노르만 지역의 암말들은 수입된 러버브레즈, 노퍽 트로터스, 오를로프 트로터스, 그리고 다른 크로스브레드 말들과 교차되었는데, 그들 자신들은 노퍽과 메클렌버거의 피를 가지고 있었다.[4][32]1855년까지 결과 동물의 질은 그 품종의 성공을 보장했고 앵글로 노먼은 프랑스 전역으로 퍼져 나갔으며, 특히 남쪽에서 온 또 다른 종류의 승마용 말인 리무진 말을 대체했다.[16]1864년 소시에테 뒤 체발 프랑수아 드 데미상(프랑스 혼혈마 사회)이 창립되었고, 이후 소시에테 뒤 앙쿠르(프랑스 말 사육을 장려하는 사회)가 되었다.[33]사육사들은 노만 말, 특히 앵글로 노먼 말들에 대한 설명을 승마와 운전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말들로 널리 퍼뜨렸다.[34]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1830-1847)은 앵글로 노먼을 바브 말과 경쟁하게 했다.[34]1873년 프랑스 말 사육업자에 대한 보험료를 정하면서 수입 말에 세금을 부과하는 보처법이 통과되었다.[35]보호주의는 프랑스 식민지로부터의 수입으로부터 그들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프랑스 토종 사육사들의 욕구의 결과였다.이 법은 칼바도스 출신의 정치인 에드워드 보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그는 이 법이 프랑스 농업, 특히 앵글로-노르만 종을 지지한다고 주장했다.[36]그는 앵글로 노먼을 "모든 서비스에 적합한 시대의 말"이라고 불렀다.그는 그것들이 승마와 운전 모두에 유용하며, 군사적, 상업적 이익 모두에 의해 추구된다고 말했다.[37]이 법은 국가 사육 기준을 크게 높였고, 특히 앵글로 노먼즈(Anglo-Normans)의 군사용 반혈마 생산을 장려했다.[38]앵글로-노르만 안장 말 품종의 개발은 유행하는 마차 말의 생산에 초점을 맞추느라 오랫동안 지연되어 왔다.이것은 군인들이 그들의 말이 군을 위해 수행하는 일을 종종 알지 못하는 사육업자들에게 주요한 사육 변화를 부과하는 결과를 낳았다.그러나 사육사와 군의 갈등은 사육목표를 둘러싼 이견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았다.[39]
1830년대부터 전쟁 기간(1919~1939년)까지 앵글로노르만은 프랑스 기병대가 사용하던 주요 말 중 하나였다.[40]작가 알프레드 갈리에가 이런 용도로 좋은 품종이라고 진술했지만,[41] 반대하는 많은 학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육종업자들이 선호하는 마차 말은 체력과 민첩성을 갖춘 빠른 말을 필요로 하는 군부가 추구하는 스타일과 매우 달라 군사 요건은 노르만 사육업자와 상충했다.[39]군용 승마선수 데니스 보그로스(Denis Bogros)에 따르면, 노르만 말 사육사들의 경제적 무게는 20세기 초까지 프랑스군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바브스나 아랍인보다 더 쉽게 피로해진 크고 과체중 트로트만 생산했다고 한다.[42]보그로스는 노르만 말의 사육자들이 강력한 로비 단체를 통해 프랑스 정부를 속일 수 있었다고 말한다.[34]앵글로 노먼은 마차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기병에게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42]이로써 소시에테 뒤 슈발 드 게레(전마사회)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1906년에는 앵글로 노먼의 사용을 심하게 비판하였다.[43]보그로스는 타르베 근처에서 자란 앵글로 아라비아인들이 군대에 훨씬 더 유용하다고 여겼다.[44]
20세기
20세기 운수·군대의 기계화와 함께 앵글로 노먼은 더 이상 마차·군마로서 수요가 없었다.또한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군의 프랑스 점령으로 생트르 국립 스터드에서 전투로 농장이 파괴되고 말의 절반이 죽으면서 노먼의 본거지인 생트르에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생존자 대부분은 노먼 코브 품종이었고, 말은 사치스럽고 여가의 동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많은 농장들이 폐허가 되었고, 사육업자들은 그들의 사육목적을 재고하게 되었다.마샬 플랜의 어떤 조항들은 그들에게 징용 말 사육에 집중하지 말라고 설득했고, 그 유형은 사라지기 시작했다.[3]그 대신 승마용 말을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게 되었고, 1950년 12월 7일 생 르에 앵글로-노르만 품종을 위한 스터드북이 만들어졌다.[27]1950년대와 1960년대에 앵글로-노르만은 국제 평등 경쟁의 주요 세력이 되었다.[45]196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앵글로 노먼 루터 B가 쇼 점프에서 금메달을 땄다.[9]
1958년, 셀레 프랑수아즈 또는 프랑스 안장마들을 위한 통일된 국가적인 온열기 스터드북을 만들기 위해 앵글로-노르만 스터드북을 데미상 뒤 센터, 벤데엔 등 다른 지역 온열기 안장마들과 결합하였다.[14]프랑스 정부는 지역 유형과 품종의 합병을 적극 지원하여 막대한 재정 지출이 이루어졌다.이러한 합병에도 불구하고, 그 후 수십 년 동안, 앵글로-노르만 혈통의 말들은 순응의 차이로 인해 셀레 프랑수아즈 내에서 분명히 식별되었다.[46]
1996년 8월, "Haras des Rouges" 스터드 농장의 사육사 Fernand Leredde는 Cheval de Sport Anglo-Normand (CSAN, 또는 Anglo-Norman Sport Horse)[47]의 아이디어를 개발하여 셀레 프랑수아즈 품종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4대의 앵글로 노먼 말들의 유전적 유산을 보존하였다.이 계획은 다른 전문 사육사들의 지원을 받아 2008년 8월에 추진되었다.[45][47]그들의 주장은 셀레 프랑세스가 1980년 인공수정이 출현하고 2000년 외국 품종의 말에 스터드북이 개설된 이후 점점 더 유럽 품종들과 교배하게 되었다는 것이었다;[46] 주솔리 이론은 외국 혈통의 말들이 프랑스에서 태어났다면 셀레 프랑세라고 불릴 수 있도록 허용했다.레레드와[20] 교제하고 있는 사육사들은 원래 프랑스 앵글로 노먼으로 돌아가는 것을 지역 스포츠 용어로 선호한다.그러나, 앵글로-노르만 사육자 전체가 투표를 요청받았을 때, 그들은 스터드북을 수정하자는 생각을 거부했다.[46]
새 스터드북에 대한 아이디어는 2009년 12월과 2011년 11월에 위원회(Study Book Commission)에, 2013년 5월 24일에는 농림부에 제시되었다.[47]2013년 6월 18일 베르나르 르 쿠르투아 협회 회장(프랑스 안장마협회)은 스포츠 말 사육 세계에서는 이미 다른 나라와의 경쟁이 치열하며 프랑스 내에서의 경쟁은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48]그는 앵글로-노르만 스터드북의 재개방을 "범죄자"로 묘사하면서, "양심적이지 않고 공상적인 소규모 사육자"가 주도했던 한 발짝 뒤로 물러설 것이라고 말했다.[49]이에 대해 신디카트 데 엘베우르스 외 카발리에스 전문직 종사자 데 쉐보 외 포니 드 스포츠(Union of Briders and Professional Riders of Hors and Sport Fornes)는 앵글로 노먼 스터드 북 프로젝트의 배후에 있는 브리더는 자신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중 하나이며 셀레 프랑스는 책이라고 옹호했다."[50]유럽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고 있다.2014년 8월, 이 새로운 스터드북은 프랑스 정부의 승인을 [51]받아 2015년 5월 27일 공식화되었으며, 2015년 6월 4일 JORF 판에 출판을 위해 제출되었다.[52]2015년[update] 9월 현재 이 스터드북에는 아직 등록된 말이 없다.[53]
다른 품종에 대한 영향
앵글로-노르만은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 몇 종의 다른 말들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여기에는 그리스 원주민의 암말과 앵글로-노르만 종마를 교차시켜 만든 그리스 안드라비다,[54] 루르브레드와 주라 산맥의 토착마들이 어우러진 스위스 프리버거 등이 포함됐다.[55]헝가리 노니우스 품종은 노니우스 시니어(Nonius Senior)라는 앵글로-노르만 종마에서 유래하였으며,[56] 앵글로-노르만 혈통도 독일 올덴부르크에 [57]종마 콘도르(1950년 출생)와 셀레 프랑수아인 후리오소 2세를 통해 정교함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58]앵글로-노르만은 폴란드 소콜스키 말과[59] 중국 하이헤 품종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60]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몰과 가요트, 605페이지
- ^ a b c Gallier 1909 in Bogros, "Les chevo de la cavalery métropolitaine de la III république : 레 앵글로 노망즈" 장
- ^ a b c d e 헨드릭스, 페이지 374
- ^ a b c Collective (2006). Les races de chevaux et de poneys (in French). Éditions Artémis. pp. 68–69. ISBN 2-84416-338-6.
- ^ a b 바타유, 페이지 124
- ^ Edwards, Elwyn Hartley (2006). Les chevaux (in French). Éditions de Borée. pp. 102–103. ISBN 978-2-84494-449-8.
- ^ Poulain, Dominique (2004). Histoires et chronologies de l'agriculture française (in French). Ellipses. p. 223. ISBN 2-7298-1957-6.
- ^ 갈리에 1900, 페이지 135
- ^ a b c 헤이스, 378페이지
- ^ a b c Auzias, Dominique; Michelot, Caroline; Labourdette, Jean-Paul; Cohen, Delphine (2010). La France à cheval (in French). Petit Futé. p. 161. ISBN 978-2-7469-2782-7.
- ^ Staff. "History of the French Language". Site for Language Management in Canada (SLMC). Official Languages and Bilingualism Institute (OLBI) University of Ottaw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1. Retrieved 2013-02-06.
- ^ Dal'Secco, Emmanuelle (2006). Les chevaux de trait (in French). Editions Artemis. p. 23. ISBN 978-2-84416-459-9.
- ^ Collective (2002). Chevaux et poneys (in French). Éditions Artemis. p. 114. ISBN 978-2-84416-338-7.
- ^ a b "Le Selle Français" (in French). Les Haras Nationaux. December 2010. Retrieved 2013-02-21.
- ^ 바타유, 페이지 110
- ^ a b c d Bouchet, Guislaine (1993). Le cheval à Paris de 1850 à 1914. Mémoires et documents de l'École des chartes (in French). Librairie Droz. p. 54. ISBN 978-2-600-04536-0.
- ^ 갤리어 1900, 페이지 40
- ^ 갤리어 1900, 페이지 228
- ^ 갤리어 1900, 페이지 26
- ^ a b "En savoir plus sur l'Élevage du Theil" (in French). Élevage du Theil. Retrieved 2014-01-29.
- ^ a b Denis, Bernard (2012). "Les races de chevaux en France au XVIII. Et les idées relatives à leur amélioration". In Situ (in French) (18). doi:10.4000/insitu.9677.
- ^ 몰과 가요트, 609페이지
- ^ a b Poitrineau, Abel (1984). L'élevage et la vie pastorale dans les montagnes de l'Europe à l'époque moderne (in French). Presses Univ. Blaise Pascal. p. 293.
- ^ 머셋과 로비엔, 220페이지
- ^ Journal des haras, chasses et courses de chevaux, des progrès des sciences zooïatriques et de médecine comparée (in French). Vol. 2. Parent. 1835. p. 248.
- ^ 머셋과 로비엔, 페이지 106-107
- ^ a b 짜그 발렌(2012년)
- ^ "Halfbred/Anglo-Norman descendants". Animal Genetic Data Bank. EAAP. September 22,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7-18. Retrieved 2014-01-28.
- ^ "Trotteur Français" (in French). Webtrotteu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1-07. Retrieved 2014-01-28.
- ^ Houël, Ephrem (1853). Cours de science hippique, professé à l'École des haras, pendant les années 1848, 1849 et 1850 (in French). Bureau du Journal des haras., Tsaag Valren(2012)에서
- ^ 갈리에 1900, 페이지 153
- ^ 갈리에 1900, 페이지 155
- ^ "Historique" (in French). Société d'encouragement à l'élevage du cheval frança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07. Retrieved 2014-01-28.
- ^ a b c 보그로스 장 "라 카발레리 오 마그레브" 및 "1870 – 라허빌레옹 에 라 글루아르"
- ^ 보그로스 장 "La loi sur les haras et remontes"
- ^ 보그로스 장 "Les chevo de la cavalery métropolitaine de la III république : les nomands"
- ^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in French). December 1873. p. 8047.
- ^ 갈리에 1909, 페이지 68
- ^ a b O'Neill, Maurice (1949). Chevaux de France (in French). Éditions Prisma. p. 134.
- ^ 갤리어 1900, 페이지 243–249
- ^ 갤리어 1900, 페이지 247
- ^ a b 보그로스 장 "La mise en œuvre de la loi Bocher" 그리고 "La societé du cheval de guere"
- ^ "Bulletin". Société du cheval de guerre (in French) (1). 1906. 보그로스에서는 "Les chevau de la cavalery métropolitaine de la III république : les nomands."
- ^ 보그로스 장 "두 데미상 앵글로 아라베"
- ^ a b Lecornu-Baert, Nathalie (August 29, 2008). "Le cheval de sport normand marque déposée". Ouest-France (in French).
- ^ a b c Tsaag Valren, Amélie (January 2013). "Le Selle français 1958–2013: de la mondialisation au retour des valeurs régionales". Cheval Savoir (in French) (39).
- ^ a b c "Appel en faveur de l'unité du Stud-book Selle Français" (in French). Cavadeos. June 14,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3, 2014. Retrieved 2014-01-29.
- ^ "Contre le stud-book Anglo-normand". Cheval Magazine (in French) (501): 42. August 2013.
- ^ "Bernard le Courtois, de l'ANSF, s'adresse au Ministre Stephane le Foll" (in French). Grand Prix replay. June 20,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6, 2013. Retrieved 2013-07-27.
- ^ "News" (in French). Syndicat des Éleveurs et Cavaliers professionnels de chevaux et poneys de s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15. Retrieved 2013-07-27.
- ^ L'éperon, Horse Série de l'élevage 2015, 24번째 판(프랑스어)
- ^ 2015년 6월 4일, 9206 페이지, n°0127, 저널 오피셜 드 라 레퓌블리크 프랑세즈.
- ^ 패니 라타흐, 2015년 9월, 체발 매거진 '레 데피스 뒤 셀레 프랑수아즈' n°526, 페이지 39
- ^ 헨드릭스, 페이지 170
- ^ 헨드릭스, 페이지 190
- ^ 헨드릭스, 페이지 312
- ^ 헨드릭스, 323–324 페이지
- ^ Swinney, Nicola Jane; Langrish, Bob (2006). Horse Breeds of the World. Globe Pequot. p. 70. ISBN 1-59228-990-8.
- ^ 헤이스, 403페이지
- ^ 헨드릭스, 페이지 214–215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앵글로 노먼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Bataille, Lætitia (2008). Races équines de France (in French). France Agricole Éditions. ISBN 978-2-85557-154-6.
- Bogros, Denis (2001). Les chevaux de la cavalerie française: de François Ier, 1515 à Georges Clemenceau, 1918. Les Cavales (in French). PSR éditions. ISBN 2-908571-32-3.
- Gallier, Alfred (1900). Le cheval Anglo-Normand: avec photogravures intercalées dans le texte (in French). Paris: Baillière.
- Gallier, Alfred (1909). Mémoir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Arts et Belles-Lettres de Caen (in French).
- Hayes, M. Horace (1976) [1969]. Points of the Horse (7th Revised ed.). New York, NY: Arco Publishing Company, Inc. ASIN B000UEYZHA.
- Hendricks, Bonnie (2007).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orse Breed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 978-0-8061-3884-8.
- Moll, Louis; Gayot, Eugène Nicolas (1861). La connaissance générale du cheval : études de zootechnie pratique, avec un atlas de 160 pages et de 103 figures (in French). Didot.
- Musset, René; Robien, Henry (1917). L'élevage du cheval en France: Précédé d'une bibliographie de l'élevage du cheval en France du XVII à nos jours, suivi d'études sur l'élevage du cheval dans le Perche, le Boulonnais et la Basse-Normandie (in French). Librairie agricole de la maison rustique.
- Tsaag Valren, Amélie (December 2012). "Le Selle français: une race gagnante". Cheval Savoir (in French)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