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 포르투갈어
Angolan Portuguese앙골라 포르투갈어 | |
---|---|
포르투게스 앙골라노, 포르투게스 드 앙골라 | |
네이티브: | 앙골라 |
원어민 | 1200만 명(2016년)[1] 2600만 명(2014년 인구 조사)[2]이 집에서 포르투갈어를 사용했으며, 반투어와 함께 사용하기도 했다. |
언어 코드 | |
ISO 639-3 | – |
글로톨로지 | 없음 |
IETF | pt-AO[3][4] |
앙골란 포르투갈어(포르투갈어: 포르투게 드 앙골라)는 주로 앙골라에서 사용되는 포르투갈어의 방언과 억양의 집단으로, 공용어다. 2005년에는 인구의 60%가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20%는 모국어로 사용하였다. 2016 CIA 세계 팩트북은 인구의 47%인 1230만명이 포르투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많은 부모들은 자식들을 포르투갈어만 말하도록 키운다.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71%가 집에서 포르투갈어를 사용하고, 그 중 상당수는 반투어와 함께 사용하며, 도시에서는 85%, 농촌에서는 49%로 나타났다.[2]
앙골라에는 다른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여러 단계가 있다. 몇몇은 표준 포르투갈어 발음에 가깝고 도시 배경의 상류층과 젊은 세대와 관련이 있다. 앙골라는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로 브라질에 이어 두 번째다.
음운론
앙골라의 표준 음운학은 루소폰 아프리카의 나머지 지역과 마찬가지로 유럽 표준에 기초하고 있다. 자국어 억양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와 유사하며 이러한 유사한 특징들은 역사적 이유가 있다. 그러나 현대 표준 유럽식 포르투갈어가 선호되는 발음이어서 유럽과 브라질의 품종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중간 정도의 과도기적인 사투리가 되었다.
모음.
|
|
|
|
- 닫힌 중앙 모음 ///는 최종의 억제되지 않은 음절(예: preside /pɾeziˈdẽt/)에서만 발생한다.
- 개방 모음 / // 및 /a/는 [a]로 병합되며, 마찬가지로 /ɐ/는 대부분의 비압축 음절에서 발생하는 유럽 포르투갈어와는 달리 비압축 최종 음절에만 나타난다. 비강/비강/이열린다[ã].[6]
- 고유 품종에서 diphthong /ej/는 일반적으로 [e]로 단음화된다. 예: sie / seisej/ < [ˈse].
- 고유 품종에서 diphthong /ow/는 일반적으로 [o], 예를 들어 sou /sow/ < [ˈso]로 단음화된다.
자음
- /ɲ/는 흔히 [j̃], 예: 닌호[ˈnĩj̃u]로 실현되며, 그 앞에 있는 모음의 콧소리를 낸다.
- 특히 포르투갈어를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워드 파이널 /r/ ([ɾ, ʁ])이 탈락된다.
렉시콘
대부분의 어휘는 포르투갈이나 브라질, 모잠비크에서와 같지만, 앙골라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의 영향으로 다소 차이가 있다. 각 영역마다 독특한 언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다르다. 수도 루안다에서는 매우 표준적인 포르투갈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부족 문화와 언어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도 김분두에는 여러 가지 영향이 있다. 이 어휘는 예를 들어 주로 은어로 보여지지만 예외는 있기 때문에 문서나 사업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어휘의 대부분은 미국의 젊은 안골란계 미국인들과 유사하게 젊은 안골란계 미국인들과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주로 젊은 안골란계 미국인들에 의해 주로 사용된다.
앙골라 | 포르투갈 | 브라질 | 번역 |
---|---|---|---|
바자르 | 이르 엠보라, 바자르 (iii) | 이르 엠보라, 바자르 (iii) | 떠나다/집에 가다 |
카킴바 | 포소 | 카킴바, 포소 | 잘 |
츄잉가 | 파스틸하 엘라스티카, 치클렛 | 치클렛 | 츄잉껌 |
가리나 | 라파리가, 미우다, 가리나, 가자 (iii) | 가루타, 구리아 (남쪽) | 소녀 |
진구바 | 수정시키다 | 수정시키다 | 땅콩 |
기계음보 | 오토카로 | ô니버스 | 버스 |
칸동게이로 | 카리냐 | 승합차 | 승합차 |
엔공고 | 페이즈 | 페이즈 | 시골 |
묵시록 | 바이로 다 라타 | 빈민굴 | 빈민가. |
포르투갈어를 주로 사용하는 젊은 루안데스는 심지어 더 넓은 속어 어휘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방언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통념에 해당된다. 이민과 은어의 참신함 때문에 포르투갈의 젊은 세대들은 종종 이민의 사용을 채택한다. 리스본에 있는 앙골라 사람들도 사회적으로나 집단 표현으로 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경향이 있으며, 앙골라 출신의 신참자들조차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새로 온 이들은 수출입업체로 알려져 있다. 다음 목록에는 루안데스와 표준 포르투갈어가 있다.
- Nau tem maka – Nau tem problema("문제 없음")
- 에스타와타 – 에스타 파실("쉽다")
- apanhar uma tona – apanhar uma bebedeira("취하기 위해"))
- 코타 – 벨호("나이든 사람"); 원래 존경할 만한 단어지만 앙골라어 사이에서는 여전히 그렇지만, 포르투갈 젊은이들은 이를 나이든 사람들을 위한 은어로 사용하며, 때로는 친절하지만 때로는 경멸적으로, 예를 들어 "올드 지저"와 같은 말로 사용한다.
- iofé – feio("못생긴"; 포르투갈어 역속어; verlan 참조).
- mboa – mulher ("여자")
- piô, candengue – criansa("어린이")
- 피테우 – comida("음식"; 포르투갈어 사이에서는 "맛있는 음식"을 나타낸다.
- 라토나 – 물라타("물라또 여성")
- mboio – comboio("열차"를 위한 옵션).
- 테이프 – Televisang("televisang")
- 빌라, 빌라우 – 카미사("셔츠")
- 보터 – 카로 ("카")
예를 들어 김분두에서 안골란 포르투갈어로 차용한 단어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큐바타 '집'
- 무암바 'chickenchicken 스튜'
- quinda 'basket'
- 포금보 '마체테'
- 움반다, 밀롱고 '의학'
- '범죄'라는 별명을 붙이다.
임팩트

앙골라어 기원의 많은 단어들이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나 지역에 도달했다. 이 단어들 중에는 번다(뒷면 또는 "아래쪽"), 푸바(maize frow), 몰크("kid"), 그리고 그 외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키좀바, 킬라판다, 킬라팡가, ngoma, 쿠두로와 같이 다른 지역에서 고유하지 않은 단어들도 포함된다. 그러나 어휘의 반투어어 외래어와는 상관없이 문법과 어휘는 진정으로 포르투갈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포르투갈 크리올이라고 여겨서는 안 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앙골라어에 기원이 있는 단어들이 많이 있다. 삼바, 칸돔블레, 카포에이라 등 브라질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는 모두 이 접촉의 언어적 흔적이 남아 있다.
포르투갈에서 앙골라 포르투갈어는 젊은 인구의 자국어에 큰 영향을 미쳐 상당한 양의 사전 편찬에 기여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바자르("떠나라/집으로 돌아가다; 브라질에서 바자르로 철자됨)
- 가리나("소녀")
- 덤바르("앙골라에서 일하는 것, 포르투갈에서 "파티하는 것"; 때로는 봄바르(bombar)로 표현되는 것)
- bué("많은", "많은")
- ia("예")
기타 수많은 예. 이러한 많은 말과 표현은 1970년대 탈식민지화 시대에 포르투갈로 진출했으며, 새로 독립한 국가를 떠난 소위 레토르나도스, 백인 앙골라인들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영향력은 앙골라 내전의 결과로 더욱 최근에 흑인 앙골라인들의 이민에 의해 강화되었다. 이 말들은 심지어 독립 기간과 독립 후 백인 앙골라 난민들에 의해 브라질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까지 전해졌다.
흔히 포르투갈어의 아프리카 억양으로도 보여지는데, 만화와 TV, 영화 제작에서 아프리카 캐릭터를 더빙할 때 포르투갈어는 대개 앙골라 억양을 흉내낸다. 많은 앙골라 포르투갈어 사용자들은 움분두와 같은 아프리카 언어의 사용자로 성장했거나 부모들이 있었으므로 이러한 지역 아프리카 언어들이 포르투갈어의 형태에 어떤 음운학적 영향을 끼친다.
참고 항목
참조
- ^ "Ethnologue report on Angola".
- ^ a b "Angola: Português é falado por 71,15% de angolanos (censo de 2014)" [Angola: Portuguese is Spoken by 71.15% of Angolans (2014 Census)]. Observatório da Língua Portuguesa (in Portuguese). Lusa. April 7, 2016.
- ^ "포르투갈어"; IANA 언어 하위 태그 레지스트리, 이름: pt; 출판 날짜: 2005년 10월 16일; 검색됨: 2019년 1월 11일.
- ^ "앙골라"; IANA 언어 하위 태그 레지스트리, 이름: AO; 출판 날짜: 2005년 10월 16일; 검색된 날짜: 2019년 1월 11일.
- ^ a b Undolo(2014), 페이지 185.
- ^ Undolo(2014), 페이지 183.
참고 문헌 목록
- Di Gregorio, Anete Mariza Torres (2006). "Particularidades lingüísticas no português de Angola" [Linguistic Features in Angolan Portuguese]. Revista Philologus (in Portuguese). 11 (3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6-22.
- Undolo, Márcio (2014). "Caracterização do sistema vocálico do português culto falado em Angola" [Characterization of the Vowel System of Learned Portuguese Spoken in Angola]. Revista de Filologia Romanica (in Portuguese). 31 (2): 181–187. doi:10.5209/rev_RFRM.2014.v31.n2.51071.
외부 링크
- 카테드라 "포르투게스 리구아 세군다 에스트랑지라" — 비블리오그라피아 소브레 오 포르투게스 데 앙골라(포르투갈어). 카테드라 데 포르투게스 리누아 세군다 에스트랑게이라. — 앙골라 포르투갈어 참고 문헌 목록
- O 포르투게 나 아프리카 — 앙골라(포르투갈어). www.linguaportuguesa.ufrn.br
- 퀘타, 클레멘시오. 알건스 측면도 다 린구아 포르투게사 엠 앙골라(포르투갈어). 조르날 드 앙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