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윤리학
Animal ethics동물 윤리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 그리고 인간이 아닌 동물들이 어떻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조사하는 윤리의 한 분야다.주제는 동물권, 동물복지, 동물법, 종차별, 동물인식, 야생동물보호, 야생동물고통,[1] 비인간 동물의 도덕적 지위, 비인간적 인간성의 개념, 인간적 예외주의, 동물이용의 역사, 정의의 이론 등이다.[2][3]현재 도덕과 정치철학에서 옹호하고 있는 여러 이론에 따라 이 분야를 검토하기 위해 몇 가지 다른 이론적 접근법이 제안되었다.[4][5][6]윤리라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달라 완전히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없지만 동물권이나 공리주의 등 사회적으로 더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있다.[7][8]
역사
동물 연구 규제의 역사는 동물 윤리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조치였는데, 이때가 '동물 윤리'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기 때문이다.[9]초기에는 동물윤리라는 용어는 오로지 잔인함과 연관되어 현대사회에서 불충분하다고 여겨졌던 20세기 후반에야 바뀌었다.[10]1966년 미국 동물복지법은 동물 연구의 문제들을 다루려고 시도했지만, 그들의 영향은 헛된 것으로 여겨졌다.많은 이들은 실험으로 인한 인간의 이익이 있다면, 동물들의 고통은 정당하다는 것을 전달했기 때문에 이 행위를 지지하지 않았다.사람들이 대중 앞에서 지지하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동물권 운동의 설립이 아니었다.동물윤리는 이러한 운동을 통해 표현되었고 동물윤리의 힘과 의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동물권
최초의 동물권리법은 1635-1780년 사이에 처음 도입되었다.1635년, 아일랜드는 동물보호법 '태일의 쟁기질 금지법'을 통과시킨 최초의 국가였다.[11]1641년 매사추세츠 식민지는 동물에 대한 "티라니 또는 잔혹함"에 대한 규제를 포함하는 자유의 몸이라고 불린다.[12]1687년, 일본은 고기를 먹는 것과 동물을 죽이는 것에 대한 금지를 다시 도입했다.[13]1789년 철학자 제레미 벤담은 '도덕과 입법의 원리 소개'에서 동물의 고통은 지성이 아니라 권리를 부여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또한, 그들은 말할 수 있는가? 그러나 그들은 고통을 받을 수 있는가?왜 법은 어떤 민감한 존재에게도 보호를 거부해야 하는가?"[14]
1822년에서 1892년 사이에,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더 많은 법이 통과되었다.1822년 영국 의회는 소의 잔혹한 취급법을 통과시켰다.[15]1824년 영국에서 리처드 마틴, 아서 브롬, 루이스 곰퍼츠, 윌리엄 윌버포스 동물학대방지협회에 의해 최초의 동물권리학회가 설립되었고, 이후 RSPCA가 되었다.[16]같은 해 곰퍼츠는 인간의 상황과 브뤼테의 상황에 대한 도덕적 질문(Moral Questions of Man and Bruttes)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1세기 이상 후에 비건주의로 알려질 것을 옹호하는 최초의 책 중 하나이다.[17]1835년 영국은 제1차 동물학대법을 통과시켰다.[18]1866년 미국동물학대방지협회는 뉴요커 헨리 버그에 의해 설립되었다.[19]1875년 프란체스 파워 코베는 영국에 국립 바이러스 방지 협회를 설립했다.[20]1892년 영국의 사회 개혁가 헨리 스티븐스 솔트는 동물의 권리: 사회적 진보와 관련하여 고려됨을 출판했다.[21]
1970년에 리처드 D. 라이더는 종족 구성원에 기초한 동물에 대한 차별의 용어인 종족주의를 만들었다.[22]이 용어는 철학자 겸 윤리학자 피터 싱어가 1975년 펴낸 저서 동물해방(Amal Revolution)에서 대중화했다.1970년대 후반에는 동물을 지각 있는 존재로 인식해야 하며 불필요한 위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묘사한 동물권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23]18세기 이후, 많은 단체들이 동물 권리의 다른 측면을 지원하고 다른 방식으로 그들의 지원을 수행하도록 조직되었다.한편 '동물해방전선'은 펜실베이니아 침범을 주창한 영국 단체로, 미국에서 설립된 '동물의 윤리적 대우를 위한 사람들' 등의 단체는 같은 목표를 지지하지만 입법적 이득을 노리고 있다.[24]
동물실험
생물 의학 연구를 위한 동물 실험은 고대 그리스인들의 저술에 기인한다.[25]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티스트라투스 같은 의사-과학자가 살아 있는 동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파악된다.[25]그들 뒤에는 그리스인이었지만 로마에 거주하고 있던 갈렌도 있었고,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약리학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살아있는 동물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25]그 이후 동물 실험은 상당히 발전했고 지금도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마리의 실험동물이 사용되고 있는 현대에 이루어지고 있다.[26]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그것은 대중과 동물 운동가 단체들로부터 심한 비난을 받아왔다.반대론자들은 동물실험이 인류에게 제공하는 혜택은 그 동물들의 고통에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찬성론자들은 동물실험이 생물의학 지식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20세기에 동물에 대한 약물 테스트가 폭발했다.1937년 미국의 한 제약회사가 "Elixir Sulfanilamide"라는 악명 높은 약을 만들었다.이 약에는 인간에게 독성이 있는 DEG라는 화학물질이 들어 있었지만 당시에는 인간에게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예방책도 없이 일반에 공개돼 집단 중독의 원인이 됐다.DEG는 결국 1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죽이고 문명을 떠들썩하게 했다.[25]따라서 193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연방식품의약품화장품법을 제정했다.[27]이것은 제품을 판매하기 전에 동물에 대한 약물의 테스트를 보장하여 그것이 인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확인했다.
하지만 규제가 시행된 이후 동물실험 사망자가 늘었다.미국에서는 매년 100만 마리 이상의 동물들이 실험으로 죽임을 당한다.[28]게다가, 이 동물들의 죽음은 역겨운 것으로 여겨진다; 독성 가스를 들이마시고, 피부를 태워버리고,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것.
3 Rs
3 Rs는 동물학자 W. M. S. 러셀과 미생물학자 R. L. Burch의 1959년 저서 '인간적인 실험 기법의 원리'에서 처음 소개되었다.[29]3 Rs는 교체, 감소 및 정교함을 의미하며, 시험 및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윤리적 처리에 대한 지침 원칙이다.[30]
- 교체:컴퓨터 모델이나 실험과 관련하여 고통에 덜 민감한 동물과 같이 무생물을 위해 동물을 교체하여 실험에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 감소:가능한 한 가장 적은 수의 동물을 사용할 계획을 세우는 것; 충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더 적은 수의 동물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더 적은 수의 동물을 사용하기 위해 각 동물의 데이터 양을 최대화하는 것.
- 정제: 동물에게 가해지는 불필요한 고통의 감소;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 절차를 수정한다.[31]
3 Rs 원칙은 현재 많은 나라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동물 실험을 수반하는 어떤 실천에도 사용된다.
동물 연구를 위한 윤리 지침
연구에 사용되는 동물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광범위하다.동물들이 도덕적 지위를 가지고 있고 그들이 어떻게 다루어지는가는 윤리적 고려를 받아야 한다는 일반적인 의견들이 있다; 몇몇 입장은 다음과 같다.
- 동물들은 존중되어야 할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 동물들은 고통을 느낄 수 있고 그들의 관심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 우리의 모든 동물/실험실 동물에 대한 대우는 우리의 태도를 반영하고 우리의 도덕적 존재에 영향을 준다.[32]
노르웨이의 과학기술 윤리 연구 위원회(NENT)는 연구에 동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일련의 윤리 지침을 가지고 있다.
- 동물의 존엄성 존중:연구원들은 동물들의 가치와 살아있는 지각 있는 동물로서의 동물들의 관심사와 상관없이 동물들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연구자들은 주제/방법 선택과 연구를 확장할 때 존중해야 한다.연구자들은 또한 각 실험실 동물들에게 필요에 맞는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32]
- 옵션 고려에 대한 책임(교체):다른 대안이 있을 때, 연구원들은 동물 실험을 위한 대안들을 연구할 책임이 있다.이용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없을 때, 연구원들은 좋은 대안이 개발될 때까지 연구를 연기할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동물에 대한 실험을 정당화할 수 있는 반면, 연구자들은 대체 옵션이 없고 즉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충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32]
- 비례성의 원칙: 고통과 이익을 고려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책임:연구자들은 실험실 동물들이 직면하게 될 고통과 고통의 위험 모두를 고려하고 동물, 사람, 환경의 연구와의 관계의 가치로 그들을 평가해야 한다.연구자들은 이 연구가 동물, 사람 또는 환경을 개선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책임이 있다.연구의 가능한 모든 편익은 단기 및 장기적 관점에서 모두 고려, 입증 및 명시되어야 한다.또한 이러한 책임에는 실험의 과학적 품질과 실험에 관련된 과학적 효익이 있는지 여부를 모두 고려해야 할 의무가 수반된다.고통은 동물, 사람 또는 환경에 실질적이고 가능성 있는 이익의 균형을 이루어야만 동물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위해성과 편익을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하기 때문에 연구기관은 적합한 모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연구자는 동물 실험을 계획할 때 분석 방법을 사용할 책임이 있다(지침 5 참조).[32]
- 동물 수를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책임(Reduce):연구자들은 실험이 사용하려는 동물의 수를 줄이고 실험의 과학적 품질과 결과와의 관련성 모두에 필요한 수를 포함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할 책임이 있다.실험 전에 연구자들은 읽기 연구를 수행하고 대체 설계를 고려해야 하며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32]
- 고통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동물 복지를 개선하는 책임(Refine):연구자들은 실험실 동물에 대한 기대 효과를 평가할 책임이 있다.연구원들은 고통의 위험을 줄이고 뛰어난 동물 복지를 제공해야 한다.고통은 고통, 굶주림, 영양실조, 갈증, 비정상적인 추위/열. 공포, 스트레스, 질병, 부상, 동물이 자연스럽고 정상적으로 행동할 수 없는 곳에 대한 제한 등을 포함한다.상당한 고통의 양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어떤 동물이 가장 고통받는지를 기준으로 연구자의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동물들이 겪게 될 고통에 대한 의심이 있다면 동물들이 결정적인 요소라고 생각한다.연구자들은 실험 중에 동물이 견딜 수 있는 직접적인 고통을 고려해야 하지만, 그 고통 전후에는 사육, 운송, 트랩, 안락사, 라벨링, 마취, 찔림 등 위험이 있다.이는 모든 연구자가 실험 전후 적응 기간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2]
- 생물학적 다양성 유지에 대한 책임:연구자들은 또한 실험동물의 사용이 생물학적 다양성을 방해하거나 위험에 빠뜨리지 않도록 해야 할 책임이 있다.이는 연구자들이 주식과 그들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멸종위기종 사용은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동물을 연구에 포함시키고 특정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결과를 주식과 생태계 전체에 가져올 수 있다는 신뢰할 수 있고 불확실한 지식이 있을 때, 연구자들은 예방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 서식지에 개입할 때의 책임:연구자들은 동물들의 자연적인 행동의 혼란과 영향을 줄일 책임이 있다. 동물들, 그리고 동물들과 그들의 주변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자들을 직접 지도하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한다.환경 기술과 감시에 관한 것과 같은 대부분의 연구와 기술 관련 프로젝트는 동물과 그들의 생활 배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그러한 경우, 연구자들은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고 가능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지침 3 참조).[32]
- 데이터 및 자료의 개방성 및 공유에 대한 책임: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모든 동물 실험의 자료와 자료의 공유를 용이하게 할 책임이 있다.동물에게 같은 실험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투명성과 공유가 중요하다.또한 대중에게 자료를 공개하기 위해 투명성이 중요하며, 연구자들의 불순물에 대한 책임의 일부분이다.동물 실험의 부정적인 결과는 공적인 지식이어야 한다.다른 연구자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발표하면 어떤 실험을 추구할 가치가 없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줄 수 있고, 불행한 연구 설계에 빛을 비추고, 연구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동물에 대한 전문지식의 요건: 살아있는 동물을 연구하고 다루는 연구원 및 기타 당사자는 모든 동물에 대한 적절하고 최신의 문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여기에는 문제의 동물 종의 생물학에 대한 지식이 포함되며, 기꺼이 동물을 적절하게 돌볼 수 있다.
- 적절한 관리 요구 사항:연구자와 연구책임자 모두가 준수해야 할 실험동물에 관한 많은 법률, 규칙, 국제협약, 협약 등이 있다.동물을 실험에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현재의 규칙을 숙지해야 한다.[32]
윤리학 이론
![]() | 이 섹션은 위키백과 편집자의 개인적인 감정을 진술하거나 주제에 대한 원론적인 주장을 제시하는 개인적인 성찰, 개인적인 에세이 또는 논쟁적인 에세이처럼 쓰여진다.(2020년 7월) (이 를 과 시기 |
윤리적 사고는 사회가 동물 윤리를 최소한 세 가지 방법으로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첫째, 동물 윤리의 본래의 발흥과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다.둘째로, 동물 윤리의 진화는 이 이념이 처음 제안된 것처럼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세 번째 방법은 인간이 직면하는 도전, 도덕의 일관성, 그리고 일부 사례의 정당성을 고려하는 것이다.[33]
결과론
결과론은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윤리 이론의 집합체다. 그 행동이 해보다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오면 좋은 것이고, 유익보다 더 많은 해를 가져오면 나쁜 것이다.[34]결과론 이론의 가장 잘 알려진 유형은 공리주의다.[35][36]
1975년 피터 싱어의 저서 동물해방(Animal Revolution)의 출판은 상당한 관심을 모았고 동물권 문제에 대해 그의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했다.[33]싱어가 받은 관심 덕분에 그의 견해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따라서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졌다.그는 여전히 논란이 많지만 동물 연구의 토대가 되는 공리주의 이론을 지지했다.공리주의 이론은 "작용이 이용 가능한 대체 행동보다 이익과 위해의 균형을 더 잘 만들어낼 경우에만 옳다"고 말하므로, 이 이론은 그 결과의 고통에 대한 쾌감을 저울질하여 어떤 것이 옳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33]그것은 과정과 관계없고, 그 과정에 대한 결과의 무게만 상관하지 않으며, 결과론 이론이 어떤 행동이 나쁜지 좋은지 암시하는 반면, 공리주의는 결과의 이익에만 초점을 맞춘다.이것이 일부 동물 연구와 식량 조달에 적용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공리주의에 대한 몇 가지 반론이 제기되었다.싱어는 공리주의를 지각에 기초하여 지지하기로 결심하고, 인간과 동물의 차등적 요소로서 그 측면을 선택했다; 자기 의식의 능력, 자율성의 능력, 그리고 도덕적으로 행동한다.[33]이것은 결국 "미소한 사건에서 나온 주장"[33]으로 불리게 되었다.그러나, 비평가들은 모든 도덕적으로 관련이 있는 존재들이 이 범주에 속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식물인간 상태가 지속적이고 자신이나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없는 일부 사람들은 그렇다.[37]싱어의 주장에 근거하여, 이러한 비지향적인 인간에 대한 의학 연구에서 다른 (지향적인) 동물들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는 것이 정당화될 것이다.동물 윤리에 공리주의를 적용하는 또 다른 한계는 예를 들어 의료 실험에서 피해를 입은 동물의 고통을 수혜자의 이익과 정확하게 측정하고 비교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제프 세보는 공리주의는 동물 윤리에 대해 세 가지 주요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공리주의는 그럴듯하게 모든 척추동물과 적어도 일부 무척추동물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고, 코끼리 같은 큰 동물은 평균적으로 더 중요하고 개미와 같은 작은 동물은 총체적으로 더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둘째로, 공리주의는 그럴듯하게 우리가 많은 실제 사례에서 동물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도록 도덕적으로 시도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셋째, 공리주의는 그럴듯하게 우리가 양식되고 야생적인 동물 복지를 우선시하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진전을 이루기 위해 한 번에 다양한 개입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8]
신물학
신학(神學)은 도덕적인 행동을 단지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것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이론으로, 그 행동의 결과에 근거는 도덕적인 행동을 평가하는 이론이다.[38]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의무라면 결과에 관계없이 도덕적으로 옳고, 의무를 다하지 못하면 도덕적으로 잘못이라는 뜻이다.많은 종류의 신학 이론들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론은 종종 임마누엘 칸트와 관련이 있다.[39]이 윤리 이론은 상충하는 측면에서 실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연구자는 동물을 고통스럽게 하여 수백만 명의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것이 그들의 의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신학학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옳은 것이다.반면에, 동물 활동가는 실험 대상이 되는 이러한 동물들을 구하는 것이 그들의 의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이 생각에서 모순을 만들어낸다.게다가 이 이론의 또 다른 모순되는 성질은 탈출한 닭이 어디로 갔는지에 대해 거짓말을 해야 할지, 아니면 진실을 말하고 닭을 죽음으로 보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두 가지 부과적인 도덕적 의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다.거짓말은 비도덕적인 의무지만 닭을 죽게 만드는 것도 마찬가지다.
칸트 이론의 두드러진 결함은 인간 이외의 동물, 특히 인간에게만 해당되지 않았다는 점이다.[38]이 이론은 공리주의에 반대한다. 공리주의는 그 결과에 관여하는 대신에 의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말이다.그러나 둘 다 동물윤리에 기여하는 근본이론이다.
덕덕윤리
덕행윤리는 행동의 결과나 의무 어느 한쪽을 정확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덕행하는 사람같이 행동하는 행위에서 비롯된다.[40]따라서 그런 행동이 덕망 있는 사람인지, 아니면 악질적인 사람인지를 묻는 것이다.덕이 있는 사람으로부터 기인한다면 도덕적으로 옳다고 하고, 악덕한 사람으로부터 기인한다면 부도덕한 행동이라고 한다.도덕적인 사람은 존경, 관용, 정의, 평등과 같은 자질을 지녔다고 한다.이 이론이 다른 이론들보다 가지고 있는 한 가지 이점은 인간의 감정을 고려해서 앞의 두 가지에서 없었던 도덕적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그러나 덕망 있는 사람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이 매우 주관적이어서 그 사람의 도덕적 나침반에 급격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흠이다.이 근본적인 문제로는 이 윤리 이론을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없다.
환경윤리와의 관계
그 두가지 윤리적 위치 사이의 갈등의 치료에 동물 윤리와 환경 윤리. 안에 동물들, 특히 야생에서 사는 것에 대해 달리 개념들과 의무가 있고 원인이 되어;어떤 철학자들은 사건 반면 다른 이들은 그러한 의견 불일치가 주장해 왔다는 두개의 위치 incompatible,[41]고 있다. 할 수 있다극복되다[42]
참고 항목
참조
- ^ Moen, Ole Martin (2016-05-09). "The ethics of wild animal suffering". Etikk I Praksis - Nordic Journal of Applied Ethics. 10 (1): 91–104. doi:10.5324/eip.v10i1.1972. ISSN 1890-4009.
- ^ Beauchamp, Tom L. "소개서"의 Tom L. Beauchamp and R.G. Frey.옥스포드 동물 윤리학 핸드북.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1.
- ^ 셰프너, 조안 E.동물과 법에 대한 소개.Palgrave MacMillan, 2011, 페이지 16세
- ^ 윌슨, 스콧 2001년피에저, 제임스 & 다우든, 브래들리(에드)의 "동물과 윤리"인터넷 철학 백과사전
- ^ 암스트롱, 수잔 J & 보틀러, 리처드 G.2003년. 동물 윤리 독서자.뉴욕: 루트리지.
- ^ "Ethical theories and nonhuman animals". Animal Ethics. Retrieved 2020-04-27.
- ^ Ideland, M. (2009-04-01). "Different views on ethics: how animal ethics is situated in a committee culture". Journal of Medical Ethics. 35 (4): 258–261. doi:10.1136/jme.2008.026989. hdl:2043/8746. ISSN 0306-6800. PMID 19332584. S2CID 27790049.
- ^ a b Sebo, Jeff (2021). "Utilitarianism and Nonhuman Animals". Utilitarianism.net. Retrieved 2021-11-06.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롤린, 버나드 E. "동물 연구의 규제와 동물 윤리의 출현: 개념적 역사."이론의학 및 생명윤리학 27.4 (2006): 285-304.
- ^ Rollin, Bernard E. (2006). "The regulation of animal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animal ethics: a conceptual history" (PDF). Theoretical Medicine and Bioethics. 27 (4): 285–304. doi:10.1007/s11017-006-9007-8. ISSN 1386-7415. PMID 16937023. S2CID 18620094.
- ^ Gannett, Jennifer (2011). "Confronting Animal Abuse: Law, Criminology, and Human-Animal Relationships" (PDF). Journal for Critical Animal Studies. 9.
- ^ "1641: Massachusetts Body of Liberties". Online Library of Liberty. Retrieved 2019-10-14.
- ^ White, Chris (2014-07-08). "Vegetarian Japan: A short history". JapanTravel. Retrieved 2019-10-14.
- ^ Bentham, Jeremy (1789).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 ^ Uvarov, Dame Olga (January 1985). "Research with animals: requirement, responsibility, welfare". Laboratory Animals. 19 (1): 51–75. doi:10.1258/002367785780890640. ISSN 0023-6772. PMID 3883054. S2CID 35799876.
- ^ "The History of the RSPCA". Animal Legal & Historical Center. 1972. Retrieved 2020-07-26.
- ^ Gompertz, Lewis (1992) [1824]. Singer, Peter (ed.). Moral Inquiries on the Situation of Man and of Brutes. Fontwell, Sussex: Centaur Press. ISBN 978-0-900001-37-6. OCLC 27752919.
- ^ Carr, Daniel James (2017-10-31).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nimal Welfare Law in Nineteenth Century Scotland". Rochester, NY. SSRN 3062845.
{{cite journal}}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History of the ASPCA". ASPCA. Retrieved 2019-10-14.
- ^ "The history of the NAVS". National Anti-Vivisection Society. 2012-07-24. Retrieved 2020-07-26.
- ^ "Animals' Rights, Considered in Relation to Social Progress". Henry S. Salt Society. Retrieved 2020-07-26.
- ^ Ryder, Richard D. (Spring 2010) [1970]. "Speciesism Again: The Original Leaflet" (PDF). Critical Society.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11-14.
- ^ Francione, Gary L. (1995–1996).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Rutgers Law Review. 48: 397.
- ^ Robbins, William; Times, Special To the New York (1984-06-15). "Animal Rights: A Growing Movement in U.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7-26.
- ^ a b c d Hajar, Rachel (2011). "Animal Testing and Medicine". Heart Views. 12 (1): 42. doi:10.4103/1995-705X.81548. ISSN 1995-705X. PMC 3123518. PMID 21731811.
- ^ Doke, Sonali K.; Dhawale, Shashikant C. (2015-07-01). "Alternatives to animal testing: A review". Saudi Pharmaceutical Journal. 23 (3): 223–229. doi:10.1016/j.jsps.2013.11.002. ISSN 1319-0164. PMC 4475840. PMID 26106269.
- ^ Schechtman, Leonard M. (2002). "The safety assessment process—setting the scene: an FDA perspective". ILAR Journal. 43 Suppl: S5–10. doi:10.1093/ilar.43.suppl_1.s5. ISSN 1084-2020. PMID 12388844.
- ^ "Experiments on Animals: Overview". PETA. 2004-11-11. Retrieved 2020-07-26.
- ^ Zurlo, J; Rudacille, D; Goldberg, A M (August 1996). "The three Rs: the way forward".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04 (8): 878–880. doi:10.1289/ehp.96104878. ISSN 0091-6765. PMC 1469425. PMID 8875163.
- ^ "Laboratory Animal Ethics: The Three Rs". Bitesize Bio. 2017-02-21. Retrieved 2019-04-24.
- ^ Badyal D., Desai C. (2014). "Animal use in pharmacology education and research: The changing scenario". Indian Journal of Pharmacology. 46 (3): 257–65. doi:10.4103/0253-7613.132153. PMC 4071700. PMID 24987170.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b c d e f g h "Ethical Guidelines for the Use of Animals in Research: Text: The Norwegian National Committees for Research Ethics Photo: Maiken Aa Solbakken". Etikkom. September 24, 2018. Retrieved 2019-04-22.
- ^ a b c d e Russow, Lilly-Marlene (1999-01-01). "Bioethics, Animal Research, and Ethical Theory". ILAR Journal. 40 (1): 15–21. doi:10.1093/ilar.40.1.15. ISSN 1084-2020. PMID 11533512.
- ^ Sinnott-Armstrong, Walter (2019), "Consequentialism",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19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20-07-26
- ^ "Ethics Explainer: What is Consequentialism?". The Ethics Center. 2016-02-15. Retrieved 2020-07-26.
- ^ MacAskill, William; Chappell, Richard (2020). "Elements and Types of Utilitarianism". Utilitarianism.net. Retrieved 2021-11-06.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Multi-Society Task Force on PVS (1994-06-02). "Medical Aspects of the Persistent Vegetative Stat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0 (22): 1572–1579. doi:10.1056/NEJM199406023302206. ISSN 0028-4793. PMID 8177248.
- ^ a b Misselbrook, David (April 2013). "Duty, Kant, and Deontology".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63 (609): 211. doi:10.3399/bjgp13X665422. ISSN 0960-1643. PMC 3609464. PMID 23540473.
- ^ Secker, B. (February 1999). "The appearance of Kant's deontology in contemporary Kantianism: concepts of patient autonomy in bioethics". The Journal of Medicine and Philosophy. 24 (1): 43–66. doi:10.1076/jmep.24.1.43.2544. ISSN 0360-5310. PMID 10223442.
- ^ Hursthouse, Rosalind (2011-10-26). Beauchamp, Tom L; Frey, R. G (eds.). "Virtue Ethics and the Treatment of Animals". The Oxford Handbook of Animal Ethics. doi:10.1093/oxfordhb/9780195371963.001.0001. ISBN 9780195371963. Retrieved 2020-07-26.
- ^ Faria, Catia; Paez, Eze (July 2019). "It's Splitsville: Why Anim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Are Incompatibl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63 (8): 1047–1060. doi:10.1177/0002764219830467. ISSN 0002-7642. S2CID 150854523.
- ^ Callicott, J. Baird (1988-07-01). "Animal Liberation and Environmental Ethics: Back Together Again". Between the Species. 4 (3). doi:10.15368/bts.1988v4n3.1.
추가 읽기
- 피셔, 밥동물 윤리학: 현대적 도입.루트리지, 2021년
- 프래쉬, 파멜라 D. 외동물 법칙은 간단하다.2010년 서부.
- 그루엔, 로리.윤리 및 동물: 소개.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11.
- 롤랜드, 마크우리와 같은 동물들.2002년 Verso.
- 선스타인, 카스 R, 누스바움, 마사(eds).동물권리: 현재 토론과 새로운 방향.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5.
- 테일러, 앤거스동물과 윤리: 철학적 논쟁의 개요, 3번째 에디션.브로드뷰 프레스, 2009.
- 웨그먼, 브루스 A;와이스만, 소니아 S; 프래쉬, 파멜라 D.동물법: 사례와 자료.캐롤라이나 아카데미 프레스, 2009.
- 월다우, 폴.동물 권리: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 것.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1.
웹링크
- Scott Wilson. "Animals and Ethic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로리 그루엔의 "동물의 도덕적 지위" 항목
- 제프 세보(2021년), 윌리엄 맥아스킬 & 리처드 채펠의 공리주의와 비인간 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