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Utilitarianism시리즈의 일부(on) |
공리주의 |
---|
철학포털 |
윤리철학에서 공리주의(utilitarism)[1][2]는 모든 영향을 받는 개인의 행복과 안녕을 극대화하는 행동을 규정하는 규범적 윤리 이론의 계열입니다.
다양한 공리주의가 서로 다른 특징을 인정하고 있지만, 이 모든 것의 이면에 있는 기본적인 생각은 어떤 의미에서, 종종 웰빙 또는 관련 개념으로 정의되는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공리주의의 창시자인 제레미 벤담은 효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
어떤 대상이든 그 속성은 이익, 이점, 즐거움, 선, 또는 행복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또는] 이해관계가 고려되는 당사자에게 장난, 고통, 악 또는 불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공리주의는 결과주의의 한 버전으로, 어떤 행동의 결과가 옳고 그름의 유일한 기준이라고 말합니다.이기주의나 이타주의와 같은 다른 형태의 결과주의와 달리, 공리주의는 지각 있는 모든 존재들의 이익을 동등하게 생각합니다.공리주의 지지자들은 가능한 결과에 따라 행동을 선택해야 하는지(행위 공리주의), 대리인이 효용을 극대화하는 규칙을 준수해야 하는지(규칙 공리주의)와 같은 많은 문제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습니다.총효용(총효용주의), 평균효용(평균효용주의), 국민 최악의[3] 효용을 극대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습니다.
비록 이론의 씨앗은 행복을 유일한 선으로 본 쾌락주의자 아리스티푸스와 에피쿠로스에게서 찾을 수 있지만, 중세 인도 철학자 ś탄티데바의 업적에서 현대 공리주의의 전통은 제레미 벤담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존 스튜어트 밀, 헨리 시지윅, R. M. 헤어와 같은 철학자들과 계속되었습니다.피터 싱어.이 개념은 사회복지 경제학, 정의의 문제, 세계 빈곤의 위기, 식량을 위해 동물을 기르는 윤리, 인류에 대한 실존적 위험을 피하는 것의 중요성에 적용되어 왔습니다.
어원
제레미 벤담이 창시한 공리주의 철학인 벤담주의는 공리주의라는 용어를 대중화한 그의 후계자 존 스튜어트 밀에 의해 크게 수정되었습니다.[4]1861년, 밀은 각주에서 벤담이 "'실용주의자'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라고 믿었지만, 그가 발명한 것은 아닙니다"라고 인정했습니다.오히려, 그는 존 골트의 1821년 소설 "교구의 연보"에 나오는 지나가는 표현에서 그것을 차용했습니다.[5]그러나 밀은 벤담이 조지 윌슨에게 보낸 1781년 편지와 1802년 에티엔 뒤몽에게 보낸 편지에서 공리주의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것을 몰랐던 것 같습니다.[4]
역사적 배경
전근대 제형
인간의 목적으로서 행복의 중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습니다.쾌락주의의 형태는 아리스티푸스와 에피쿠로스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에우다이모니아가 인간의 가장 높은 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든 사람은 마지막 끝, 즉 행복을 바라는 데 동의합니다"라고 썼습니다.행복은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서도 그의 수마신학에서 심도있게 탐구되었습니다.[6][7][8][9][10]한편, 중세 인도에서, 8세기 인도 철학자 ś탄티데바는 공리주의의 초기 지지자들 중 한 명이었고, 우리는 "모든 지각 있는 존재들의 현재와 미래의 고통과 고통을 멈추고, 현재와 미래의 모든 즐거움과 행복을 가져와야 한다"고 썼습니다.
모히즘의 국가적 결과주의나 니콜 ò 마키아벨리의 정치철학과 같은 다양한 결과주의가 고대와 중세 세계에도 존재했습니다.모히스트 결과주의는 정치적 안정, 인구 증가, 부 등의 공동체주의적 도덕재를 옹호했지만 개인의 행복을 극대화한다는 공리주의적 개념을 지지하지는 않았습니다.[12]
18세기
뚜렷한 윤리적 입장으로서의 공리주의는 18세기에 와서야 등장했고, 대개 제레미 벤담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되지만, 현저하게 유사한 이론을 제시한 초기의 작가들이 있었습니다.
허치슨
Francis Hutcheson은 "아름다움과 미덕에 대한 우리의 생각의 원본에 대한 탐구(1725)"에서 가장 도덕적인 행동을 선택할 때 특정 행동에서 미덕의 양은 그러한 행복을 가져오는 사람들의 수에 비례한다는 중요한 공리주의적 문구를 처음 소개했습니다.[13]마찬가지로 도덕적 악, 즉 악은 고통을 받게 하는 사람들의 수에 비례합니다.가장 좋은 행동은 가장 큰 수의 행복을 얻는 것이고, 가장 나쁜 행동은 가장 큰 불행을 일으키는 것입니다.책의 첫 세 판에서 허치슨은 "어떤 행동의 도덕성을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수학 알고리즘을 포함했습니다.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벤담의 헤도닉 미적분학을 미리 구상했습니다.
존 게이
존 게이가 공리주의적 윤리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이론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14]덕목이나 도덕의 기본 원칙(1731)과 관련하여 게이는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15]
행복, 사적인 행복은 우리의 모든 행동의 적절하거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각각의 특정한 행동은 적절하고 특이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그러나)…그것들은 여전히 더 먼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거나 경향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사람은 그들 중 하나가 추구되는 이유를 묻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제 어떤 행동이나 추구의 이유를 묻는 것은 단지 그것의 끝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유를 기대하는 것, 즉..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할당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입니다.내가 왜 행복을 추구하는지 묻는 것은 용어에 대한 설명 외에 다른 대답이 없다는 것을 인정할 것입니다.
이러한 행복의 추구는 신학적인 근거가 주어집니다.[16]
이제 그것은 신의 본질로부터 명백합니다, viz.그는 영원토록 자기 안에서 무한히 행복하고, 또 자기의 선함으로 말미암아 사람을 창조함에 있어서 그들의 행복 외에는 다른 설계가 없음을 그의 작품에 드러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그들의 행복을 의지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나의 행동이 인류의 행복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는 한,그럴 수 밖에...그러므로 하나님의 뜻은 곧 덕의 기준이 되고, 인류의 행복은 하나님의 뜻의 기준이 됩니다. 그러므로 인류의 행복은 덕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지만, 일단 제거되면….저는 인류의 행복을 위해 제 힘에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입니다.
흄
데이비드 흄은 도덕의 원칙에 관한 탐구(1751)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17]
도덕성에 대한 모든 결정에서 공공의 효용에 대한 이러한 상황은 원칙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철학이나 일반적인 삶에서, 의무의 한계와 관련하여 논쟁이 발생하는 모든 곳에서, 문제는 인류의 진정한 이익을 확인하는 것보다 더 확실하게 결정될 수 없습니다.만약 겉모습에서 받아들여진 잘못된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더 많은 경험과 더 확실한 추론이 인간 문제에 대한 정의로운 개념을 우리에게 주는 순간, 우리는 첫 감정을 버리고 도덕적 선과 악의 경계를 새롭게 조정합니다.
페일리
게이의 신학적 공리주의는 윌리엄 팰리에 의해 발전되고 대중화되었습니다.Paley는 매우 독창적인 사상가가 아니었으며 윤리에 관한 그의 논문에서 철학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개발된 아이디어의 집합체이며 동료들에 의해 토론되기 보다는 학생들에 의해 학습되도록 제시된다"[18]고 주장되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책 The Principles of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1785)는 캠브리지에서[18] 필수 교재였고 스미스 (1954)는 Paley의 글들이 "한 때 초등학교에서 William McGuffy와 Noah Webster의 독자와 철자법만큼 미국 대학에서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19]라고 말합니다.슈니윈드(1977)는 "실용주의는 윌리엄 팰리(William Paley)의 작품을 통해 영국에서 처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쓰고 있습니다.[20]
이제 잊혀진 페일리의 중요성은 토마스 로슨 버크의 1874년 작품 현대 공리주의 또는 페일리, 벤담, 밀의 체계가 검토되고 비교되었다는 제목에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목적으로서의 행복은 신의 본성에 근거한다는 것을 다시 말하는 것 외에도, 팔레이는 규칙의 위치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21]
[A]액션은 그들의 성향에 따라 추정됩니다.편법이 무엇이든 다 맞습니다.그것은 도덕적 규칙의 의무를 구성하는 어떤 도덕적 규칙만의 유용성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에는 분명한 반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행동이 유용하기 때문이고, 그의 감각으로는 어떤 사람도 옳은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때때로 암살자의 손이 아주 유용할 때가 있습니다.진정한 답은 이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행동들은 유용하지 않고, 그 이유만으로 옳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 점을 완벽하게 보기 위해서는 행동의 나쁜 결과가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이중적이라는 것을 관찰해야 합니다.어떤 행동의 특히 나쁜 결과는 그 한 가지 행동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장난입니다.일반적으로 나쁜 결과는 필요하거나 유용한 일반 규칙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한 가지 행동을 허용하고 다른 행동을 금지할 수는 없습니다.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행위는 일반적으로 허용되거나 일반적으로 금지되어야 합니다.그러므로, 그들의 일반적인 허가가 위험한 경우, 일반적으로 그들을 금지하는 규칙을 세우고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고전 공리주의
제레미 벤담
벤담의 책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소개는 1780년에 인쇄되었지만 1789년까지 출판되지 않았습니다.벤담은 팰리의 도덕철학과 정치철학의 성공을 보고 출판에 박차를 가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2]비록 벤담의 책이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진 못했지만,[23] 피에르 에티엔 루이 뒤몽이 벤담의 원고들 중 편집된 일부를 프랑스어로 번역하면서 그의 생각은 더욱 확산되었습니다.트라예 드 레기슬레이션 civil et penale는 1802년에 출판되었고 나중에 Hildreth에 의해 The The Theory of Legislation으로 영어로 다시 번역되었지만, 이때까지 뒤몽의 작품의 상당한 부분이 이미 재번역되었고 Bentham의 작품들에 대한 John Bowring 경의 판에 통합되었습니다.그것은 1838년에서 1843년 사이에 부분적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아마도 프랜시스 허치슨이 최대 행복을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이 "쓸데없고, 일부 독자들에게는 불쾌해 보이기 때문에" 결국 제거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는 듯,[24] 벤담은 그의 방법에 대해 참신하거나 부당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것에 있어서 인류의 관행은 어디에 있든지, 오직 인류의 관행만이 있기 때문입니다.그들 자신의 이익에 대한 명확한 견해, 완벽하게 부합합니다."
Rosen(2003)은 공리주의에 대한 설명이 "벤담이나 J. S. 밀과 같은 공리주의자들과 역사적으로 거의 유사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하며, "20세기에 공격받고 거부당할 밀짚신으로 생각된 행위 공리주의의 조잡한 버전"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25]벤담이 규칙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수입니다.그의 중요한 업적은 입법의 원리에 관한 것으로 "그때의 기쁨과 고통의 회피는 입법자가 보는 목적이다"라는 말과 함께 쾌락적 미적분학이 소개됩니다.제7장에서 벤담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정부의 일은 처벌하고 보상함으로써 사회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입니다.행위가 그에 비례하여 행복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비례하여 그 행위의 경향은 그 행위가 처벌을 요구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효용원칙
벤담의 작품은 효용의 원리에 대한 진술로 시작됩니다.[26]
자연은 인류를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주권적 주인의 통치하에 두었습니다.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지적하는 것은 그들 혼자만의 일입니다.효용의 원칙은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의 행복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경향에 따라 모든 행동을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원칙을 의미합니다. 즉, 그 행복을 증진하거나 반대하기 위해 같은 것은 무엇입니까?저는 모든 행동에 대해 말하고, 따라서 개인의 모든 행동뿐만 아니라 정부의 모든 조치에 대해서도 말합니다.
헤도닉 미적분학
제Ⅳ장에서 벤담은 쾌락과 고통의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이것은 쾌락적 미적분학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벤담은 기쁨이나 고통의 가치는 그 자체로 간주되며, 그 강도, 지속기간, 확실성/불확실성, 근접성/원격성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또한 "그것이 생성되는 모든 행위의 경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그 행위의 다산성, 또는 동종의 감각과 순수성, 또는 동종의 감각이 뒤따르지 않을 가능성, 또는 동종의 감각이 뒤따르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마지막으로, 그 행동의 영향을 받는 범위, 혹은 사람들의 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1차와 2차의 폐해
그렇다면 언제 법을 어기는 것이 합법적일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이것은 벤담이 1차와 2차의 폐해를 구분하는 입법론에서 고려됩니다.첫 번째 순서의 결과는 더 즉각적인 결과이고, 두 번째 순서의 결과는 결과가 공동체를 통해 확산되어 "경종"과 "위험"을 초래할 때입니다.
우리가 첫 번째 순서의 효과에 국한한다면, 선이 악에 대해 논쟁의 여지가 없는 우세함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이러한 관점에서만 위법 행위를 고려한다면, 법의 엄격함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당한 이유를 부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모든 것은 두 번째 질서의 악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한 행위에 범죄의 성격을 부여하고 처벌을 필요로 하는 것은 이것입니다.예를 들어, 배고픔을 채워주고자 하는 육체적 욕망을 예로 들어봅시다.굶주림에 짓눌린 거지가 부자의 집에서 빵 한 덩어리를 훔쳐서 굶주림을 면하게 한다면 도둑이 스스로 얻는 선과 부자가 겪는 악을 비교할 수 있을까요?이러한 행위를 범죄로 만드는 것은 첫 번째 질서의 악 때문이 아니라 두 번째 질서의 악 때문입니다.[27]
존 스튜어트 밀
밀은 공리주의의 대의를 이어가겠다는 명백한 의도를 가지고 벤담 사람으로 자랐습니다.[28]밀의 책 공리주의는 1861년 프레이저 매거진에 발표된 세 편의 기사 시리즈로 처음 등장했고, 1863년 한 권의 책으로 다시 인쇄되었습니다.[29][30]
더 높은 즐거움과 더 낮은 즐거움
Mill은 순수하게 정량적인 효용 측정을 거부하고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31]
어떤 종류의 즐거움이 다른 것보다 더 바람직하고 더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효용의 원리와 상당히 양립할 수 있습니다.다른 모든 것들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양뿐만 아니라 질도 고려되지만, 즐거움의 평가는 양에만 의존해야 한다는 것은 불합리할 것입니다.
효용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인 안녕 또는 행복을 의미하며, 효용은 좋은 행동의 결과라는 것이 밀의 견해입니다.공리주의의 맥락 안에서 효용은 사람들이 사회적 효용을 위해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사회적 효용이 있는 그는 많은 사람들의 안녕을 의미합니다.그의 작품인 공리주의에서 효용의 개념을 설명한 밀의 설명은 사람들은 정말로 행복을 바라고, 각 개인은 자신의 행복을 원하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모두의 행복을 원하기 때문에 더 큰 사회적 효용에 기여한다는 것입니다.따라서 사회의 효용에 가장 큰 기쁨을 주는 행동이 최선의 행동이거나, 초기 공리주의의 창시자인 제레미 벤담의 표현대로 가장 큰 수의 행복이 가장 큰 것입니다.
Mill은 행동을 효용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보았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간 행위의 지시적인 규칙으로 보았습니다.우리는 사회에 즐거움을 주는 행동만 해야 한다는 규칙.쾌락은 삶에서 가장 높은 선이라는 생각을 추구했기 때문에 쾌락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쾌락주의적이었습니다.이 개념은 벤담이 채택한 것으로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습니다.밀에 의하면, 좋은 행동은 즐거움으로 귀결되며, 즐거움보다 더 높은 목적은 없다고 합니다.Mill은 좋은 행동은 즐거움으로 이어지고 좋은 성품을 정의한다고 말합니다.더 나은 표현으로, 인격의 정당성, 그리고 행동이 좋든 좋지 않든 간에, 그 사람이 사회적 효용의 개념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장기적으로 좋은 품성의 가장 좋은 증거는 좋은 행동입니다. 그리고 어떤 정신적인 성향도 좋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단호히 거부합니다. 그 중에서 주된 경향은 나쁜 행동을 낳는 것입니다.공리주의의 마지막 장에서, 밀은 정의가 우리의 행동의 분류 요소로서(정의롭거나 부당한) 특정한 도덕적 요구 사항 중 하나라고 결론짓고, 그 요구 사항이 모두 집단적으로 간주될 때, 그것들은 밀의 표현대로 이 규모의 "사회적 효용"에 따라 더 큰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는 또한 비평가들이 말하는 것과는 달리, "지적인 것의 즐거움에 부여하지 않는, 알려진 에피쿠로스적인 삶의 이론은 없다… 단순한 감각의 것들보다 훨씬 더 높은 가치가 있다"고 지적합니다.하지만, 그는 이것이 지적인 즐거움이 대개 상황적인 이점, 즉 "더 큰 영속성, 안전성, 비비용성, 그리고 &c"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라고 받아들입니다. 대신에, Mill은 어떤 즐거움들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보다 더 낫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쾌락주의가 "돼지에게만 가치 있는 교리"라는 비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니코마코스 윤리학(제1권 제5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선을 쾌락과 동일시하는 것은 짐승에게 적합한 삶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신학적 공리주의자들은 신의 뜻에 따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선택권을 가졌고, 쾌락주의 공리주의자들은 다른 방어책을 필요로 했습니다.밀의 접근법은 지성의 쾌락이 본질적으로 육체적 쾌락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짐승의 쾌락을 최대한 허용한다는 약속을 위해 하등 동물로 바꾸는 것에 동의하는 인간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어떤 똑똑한 인간도 바보가 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고, 어떤 지시된 사람도 무식한 사람이 되지 않을 것이며, 어떤 느낌과 양심을 가진 사람도 이기적이고 기본적이지 않을 것입니다.바보, 던스, 악당은 자기들보다 자기 운명에 더 만족합니다...더 높은 능력을 가진 존재는 그를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 더 많은 것을 필요로 하고, 아마도 더 극심한 고통을 받을 수 있고, 열등한 존재보다 더 많은 지점에서 그것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책임감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코 자신이 느끼고 있는 낮은 수준의 존재로 가라앉고 싶어할 수 없습니다. ...돼지가 만족하는 것보다 불만족하는 인간이 되는 것이 낫고, 바보가 만족하는 것보다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낫습니다.그리고 바보나 돼지가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면, 그건 그들이 자기들만의 문제를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32]
밀은 만약 두 가지 즐거움에 대해 "유능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한 즐거움이 더 많은 불만을 동반하더라도 한 즐거움에 대해 단호한 선호를 보이고 "다른 즐거움을 얼마든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면, 그 즐거움을 품질 면에서 우월하다고 간주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주장합니다.Mill은 이러한 "유능한 판사"들이 항상 동의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하고, 동의하지 않는 경우 다수의 판단은 최종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합니다.밀은 또한 "때때로 유혹의 영향을 받아 더 높은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은 그들을 더 낮은 곳으로 미룬다"는 것을 인정합니다.그러나 이것은 더 높은 것의 본질적인 우월성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꽤 양립할 수 있습니다."라고 Mill은 말합니다. "두 번의 고통 중 가장 극심한, 또는 두 번의 고통 중 가장 극심한" 것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에, 관련된 즐거움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이러한 매력은 즐거움의 양을 평가할 때 발생해야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합니다.즐거운 감각." "즐거움의 능력이 낮은 존재가 그것들을 완전히 만족시킬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높은 사랑을 받는 존재는 항상 세계가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그가 찾을 수 있는 어떤 행복도 불완전하다고 느낄 것입니다."[33]
밀은 또한 "지적인 추구는 그들이 만들어내는 만족감이나 즐거움(정신 상태)의 양에 비례하지 않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34]밀은 또한 사람들이 사소한 즐거움으로부터 만족감을 갖기로 선택한다면, "어떤 불쾌감은 결국 슬그머니 들어올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원대한 이상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우리는 지루해지고 우울해질 것입니다."[35] 밀은 사소한 즐거움에서 오는 만족감이 단기적인 행복만 주고, 그 행복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행복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을 악화시킨다고 주장합니다.반면에, 지적인 추구는 개인이 지식을 축적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음으로써 그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행복을 줍니다.Mill은 지적인 추구를 "삶에서 '더 훌륭한 것들'을 통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소한 추구는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합니다.[36]Mill은 지적 추구가 개인에게 끊임없는 우울의 주기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준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추구는 그들의 이상을 성취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사소한 즐거움은 이것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비록 Mill의 만족에 대한 관점의 본질에 대해 논쟁이 지속되고 있지만, 이것은 그의 입장에서 분기를 시사합니다.
효용의 원리를 '증명'하는 것
Mill은 공리주의 제4장에서 효용의 원리에 대해 어떤 증명을 할 수 있는지를 고려합니다.[37]
물체가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증거는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본다는 것입니다.소리가 들린다는 유일한 증거는 사람들이 듣는다는 것입니다.마찬가지로, 저는 어떤 것이든 바람직하다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유일한 증거는 사람들이 정말로 그것을 원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일반적인 행복이 바람직한 이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다만 각자가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 자신의 행복을 바라는 것 외에는… 우리는 행복이 좋은 것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모든 증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각자의 행복이 그 사람에게 좋은 것이라는 것과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의 총합에 유익한 진정한 행복.
일반적으로 Mill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말합니다.[38]
- 자연주의적 오류: Mill은 사람들이 그들이 실제로 하는 것으로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추론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어정쩡한 오류: 밀은 (1) 어떤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 즉 소망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2) 그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 즉 소망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동합니다.
- 구성의 오류: 사람들이 자신의 행복을 원한다는 사실이 모든 사람들의 총합이 일반적인 행복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한 주장은 공리주의 출판 직후인 밀의 생전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최근 논의에서 흐름이 바뀌고 있지만 한 세기가 훨씬 넘도록 지속되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가지 혐의에 대한 밀의 변호는 각각의 장을 할애하여 Necip Fikri Alican의 Mill's Principle of Utility: A Defense of John Stuart Mill's Norotic Proof (1994)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이것은 그 주제에 대한 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책 길이의 처리입니다[when?].그러나 증명의 오류로 주장되는 주장은 저널 기사와 책의 장에서 학계의 관심을 계속 끌고 있습니다.
홀(1949)과 팝킨(1950)은 밀이 제4장을 시작하면서 "최종 목적의 질문은 용어의 일반적인 수용에서 증명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이것이 "모든 첫 번째 원칙에 공통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지적하며 이 비난에 대해 변호합니다.[39][38]따라서 홀 앤 팝킨에 따르면 밀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원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일 뿐입니다.[38]밀이 제공하는 "증명" 유형은 "솔직하고 합리적인 사람이 공리주의를 받아들이도록 유도할 수 있는 몇 가지 고려 사항으로만 구성됩니다."[38]
사람들이 사실 행복을 추구한다고 주장했던 밀은 이제 그것이 그들이 원하는 유일한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Mill은 사람들이 덕과 같은 다른 것들을 원한다는 반대를 예상합니다.그는 사람들이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 미덕을 바라기 시작할 수도 있지만, 결국 그것은 누군가의 행복의 일부가 되고 그 자체로 목적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효용의 원리는 예를 들어 음악과 같은 주어진 즐거움 또는 예를 들어 건강과 같은 고통에 대한 어떤 주어진 면제가 행복이라고 불리는 집단적인 무엇인가에 대한 수단으로 간주되고 그러한 이유로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그들은 그들 자신과 그들 자신을 위해 원하고 바람직합니다; 비열한 것 외에도, 그들은 끝의 한 부분입니다.공리주의적 교리에 따르면, 미덕은 본래 목적의 일부가 아니라, 그렇게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무관심하게 사랑하는 사람들에게서 그것은 그렇게 되었고,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행복의 일부로서 소망되고 소중히 여겨집니다.[40]
우리는 이 원치 않는 것에 대해 우리가 원하는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가장 많은 사람들 중 일부에게, 그리고 인류가 할 수 있는 가장 평가하기 어려운 감정들 중 일부에게 무분별하게 주어지는 이름인 자부심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자유와 개인적인 독립에 대한 사랑, 스토아 학파와 함께 했던 호소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그것을 주입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 힘에 대한 사랑, 또는 흥분에 대한 사랑, 둘 다 실제로 그것에 들어가고 기여하는: 그러나 그것의 가장 적절한 칭호는 모든 인간들이 한 가지 형태나 다른 형태로, 그리고 어떤 것에서는, 그들의 더 높은 능력에 결코 정확하게 비례하지 않는, 존엄성의 감각입니다.그는 그것이 강한 사람들의 행복에서 너무나 본질적인 부분이므로, 그것과 충돌하는 어떤 것도 순간적인 것 외에는 그들에게 욕망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41]
헨리 시지윅
Sidgwick의 저서 The Methods of Ethics는 고전적 공리주의의 정점 혹은 정점으로 언급되어 왔습니다.[42][43][44]이 책에서 그의 주된 목표는 상식적인 도덕의 원칙에 공리주의를 기초시키고, 그로 인해 이 둘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는 전임자들의 의구심을 없애는 것입니다.[43]Sidgwick에게 윤리는 어떤 행동이 객관적으로 옳은지에 대한 것입니다.[42]옳고 그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상식적인 도덕성에서 비롯되는데, 그 핵심에는 일관성 있는 원칙이 결여되어 있습니다.[45]철학 일반과 특히 윤리의 과제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을 체계화하는 것입니다.[46]Sidgwick은 윤리의 방법을 공식화함으로써 이를 달성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는 이것을 "특정한 경우에 올바른 행동을 결정하기 위한" 합리적인 절차라고 정의합니다.[43]그는 해야 할 일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하고 독립적으로 유효한 도덕적 원리를 포함하는 직관주의와, 옳은 것이 오직 행동으로부터 오는 즐거움과 고통에 의존하는 두 가지 형태의 쾌락주의를 세 가지 방법으로 파악합니다.쾌락주의는 행위자 자신의 안녕만을 고려하는 이기적 쾌락주의와 모든 사람의 안녕을 고려하는 보편적 쾌락주의 또는 공리주의로 세분됩니다.[46][43]
직관주의는 우리가 직관적인, 즉 추론적이지 않은 도덕적 원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아는 사람에게 자명하다고 주장합니다.[46]이러한 유형의 지식에 대한 기준은 명확한 용어로 표현되고, 서로 다른 원칙이 상호 일치하며, 이에 대한 전문가의 합의가 있다는 것을 포함합니다.Sidgwick에 따르면, 상식적인 도덕 원칙은 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나에게 맞는 것은 정확히 비슷한 상황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옳은 것이어야 한다" 또는 "한 사람은 한 사람의 삶의 모든 시간적인 부분에 동등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그것을 통과하는 더 추상적인 원칙들이 있습니다.[43][46]이렇게 도달된 가장 일반적인 원리들은 모두 공리주의와 양립할 수 있으며, 이것이 Sidgwick이 직관주의와 공리주의의 조화를 보는 이유입니다.[44]약속을 지키거나 정의를 지켜야 할 의무와 같은 일반적인 직관적인 원칙도 덜 있지만, 이 원칙들은 보편적이지 않고 서로 다른 의무가 충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Sidgwick은 우리가 그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서로 상반된 행동의 결과를 고려함으로써 실용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것을 제안합니다.[43][47]
직관주의와 공리주의의 조화는 시지윅의 전체 프로젝트에서 부분적인 성공이지만, 그는 똑같이 이성적이라고 생각하는 이기주의는 종교적 가정이 도입되지 않으면 공리주의와 조화될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성공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43]예를 들어 사후세계에서 행위자를 보상하고 처벌하는 개인적 신의 존재와 같은 가정은 이기주의와 공리주의를 조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46]그러나 그들이 없다면 우리는 우리의 도덕의식에 '근본적 모순'을 구성하는 '실천이성의 이중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42]
20세기의 발전상
이상적 공리주의
이상적 공리주의에 대한 설명은 Hastings Rashdall에 의해 The The Theory of Good and Evil (1907)에서 처음 사용되었지만, 그것은 종종 G. E. Moore와 연관되어 있습니다.윤리학(Ethics, 1912)에서 무어는 순수하게 쾌락주의적 공리주의를 거부하고 극대화될 수 있는 가치의 범위가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무어의 전략은 쾌락이 좋은 것의 유일한 척도라는 것이 직관적으로 믿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그는 그러한 가정을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48]
예를 들어, 즐거움 외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 지식도, 사랑도, 아름다움의 즐거움도, 도덕적 자질도, 그러나 창조할 가치가 있는 세상이라면, 그것은 본질적으로 더 나은 것이어야 한다는 우리의 말과 관련이 있습니다.이 모든 것들이 존재하고 즐거움이 있었던 것 보다.그것은 비록 각각의 기쁨의 총량이 정확히 동일하더라도, 한 쪽에 있는 모든 존재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실, 그리고 그들의 세계에서 아름답거나 사랑 받을 만한 모든 것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함께, 다른 쪽에 있는 어떤 존재들도 이러한 것들 중 어떤 것도 소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포함합니다.s, 후자보다 전자를 선호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무어는 어느 쪽이든 그 사건을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정하지만, 그는 기쁨의 양이 아름다움과 사랑과 같은 것들을 담고 있는 세상에 그대로 머물러도 더 나은 세상이 될 것이라는 것이 직관적으로 명백하다고 믿었습니다.그는 만약 어떤 사람이 반대의 견해를 취한다면, "그가 틀렸다는 것은 자명하다고 생각합니다"[48]라고 덧붙였습니다.
법과 규칙 공리주의
20세기 중반, 많은 철학자들이 공리주의 사상에서 규칙의 위치에 주목했습니다.[49]매번 결과를 계산하는 문제는 최선의 행동 방침이 아닌 것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올바른 행동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규칙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받아들여졌습니다.Paley는 규칙의 사용을 정당화했고 Mill은 이렇게 말합니다.[50]
만일 인류가 효용성을 도덕성의 시험대로 간주하는데 동의한다면, 그들은 무엇이 유용한지에 대한 어떠한 합의도 하지 않고 남아있을 것이고, 그 주제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 젊은이들에게 가르쳐지고 법과 의견에 의해 시행되도록 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참으로 기발한 가정입니다.도덕 규칙을 개선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과; 중간 일반화를 완전히 넘겨주고 각각의 개별 행동을 첫 번째 원칙에 의해 직접 시험하려고 노력하는 것과..행복이 도덕의 목적이자 목적이라는 명제가, 그 목적에 어떤 길이 깔려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항해술이 천문학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선원들이 항해 연감을 계산하기 위해 기다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이성적인 피조물이 되어 그들은 계산된 대로 바다로 나아가고, 모든 이성적인 피조물은 옳고 그름의 공통된 질문에 마음을 먹고 삶의 바다로 나갑니다.
그러나, 규칙 공리주의는 더 파괴적인 비판, 특히 정의와 약속 지키기와 관련된 문제들로부터 이론을 구출할 것으로 생각되었던 규칙에 더 중심적인 역할을 제안합니다.Smart(1956)와 McCloskey(1957)는 처음에는 극단적이고 제한적인 공리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결국 접두사인 행위와 규칙으로 정착했습니다.[51][52]마찬가지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새로운 형태의 공리주의에 대한 찬반양론이 발표되었고, 이러한 논쟁을 통해 우리가 지금 규칙 공리주의라고 부르는 이론이 만들어졌습니다.편집자는 이 기사들의 선집에 대한 소개에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었습니다: "이 이론의 발전은 공식화, 비판, 답신 그리고 개혁의 변증법적인 과정이었습니다; 이 과정의 기록은 철학 이론의 협력적인 발전을 잘 보여줍니다.[49]: 1
본질적인 차이는 어떤 행동이 옳은 행동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행위 공리주의는 어떤 행위가 효용을 극대화하면 옳다고 주장하고, 규칙 공리주의는 어떤 행위가 효용을 극대화하는 규칙에 부합하면 옳다고 주장합니다.
1956년, Urmson(1953)은 Mill이 공리주의 원칙에 대한 규칙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하는 영향력 있는 기사를 발표했습니다.[53]그때부터 기사들은 밀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대해 논쟁을 벌였습니다.아마도, 밀이 특별히 만들려고 했던 것은 구별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의 글에 있는 증거들은 필연적으로 섞일 수밖에 없습니다.1977년에 출판된 Mill의 글 모음집에는 Mill이 행동 실용주의자로 가장 잘 분류된다는 개념에 찬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편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편지에서 밀은 이렇게 말합니다.[54]
행동을 결과에 따라 테스트하는 올바른 방법은 특정 행동의 자연스러운 결과에 따라 테스트하는 것이지, 모든 사람이 동일한 행동을 할 경우 뒤따르는 결과에 따라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동의합니다.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모든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고려는 우리가 특정한 경우에 그 행동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입니다.
일부 학교급 교과서와 적어도 하나의 영국 시험 위원회는 강건한 규칙 공리주의와 약건한 규칙 공리주의를 더욱 구별합니다.[55]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학술 문헌에서 이루어진 것은 분명하지 않습니다.규칙 공리주의는 행위 공리주의로 붕괴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어떤 주어진 규칙에 대해서도 규칙을 어기면 더 많은 효용이 발생하는 경우 예외와 같은 경우를 처리하는 하위 규칙을 추가함으로써 규칙을 다듬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56]이 프로세스는 모든 예외의 경우에 적용되며, 따라서 "규칙"은 예외의 경우 만큼이나 많은 "하위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결국 에이전트로 하여금 어떤 결과가 최대의 효용을 만들어 내는지를 찾게 만듭니다.[57]
이원적 공리주의
R. M. Hare는 Principles(1973)에서 규칙 공리주의가 행위 공리주의로 붕괴되는 것을 받아들이지만, 이것은 규칙이 "우리가 원하는 만큼 구체적이고 비일반적"일 수 있도록 허용한 결과라고 주장합니다.[58]그는 규칙 공리주의를 도입한 주요 이유 중 하나가 도덕교육과 인성함양을 위해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규칙에 정의를 행하기 위함이었다고 주장하며, "규칙의 특수성을 제한함으로써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차이를 도입할 수 있다, 즉,그들의 일반성을 높임으로써."[58]: 14 이러한 '특정한 규칙 공리주의'(행위 공리주의로 붕괴됨)와 '일반적 규칙 공리주의'의 구분은 헤어의 2단계 공리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 또는 이상적 관찰자"를 연기할 때, 우리는 특정한 형태를 사용하고, 어떤 일반적인 원리를 가르치고 따를지 결정할 때 이것을 해야 할 것입니다.우리가 "배움"을 받고 있거나 인간 본성의 편견이 계산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보다 일반적인 규칙 공리주의를 사용해야 합니다.
Hare씨는 실제로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일반 원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합니다.[58]: 17
사람은 일반적인 훈계가 가장 좋은 것인 일반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피해는 매우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실제 도덕적 상황에서 이러한 규칙을 고수하는 것보다 질문하는 것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정교한 경건적 계산의 결과는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무지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있는 그대로의 존재가 되어 가장 큰 효용으로 이어집니다.
Hare는 Moral Thinking (1981)에서 두 극단을 묘사했습니다.'대천사'는 상황을 완벽하게 파악하고 개인적인 편견이나 약점이 없으며 항상 비판적인 도덕적 사고를 통해 옳은 일을 결정하는 가상의 인물입니다.이와 달리 '프롤'은 비판적 사고를 전혀 할 수 없고 직관적인 도덕적 사고만을 사용하며, 필연적으로 모방을 통해 배우거나 배운 일반적인 도덕적 규칙을 따라야 하는 가상적인 사람입니다.[59]어떤 사람들이 대천사와 다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는 제한되고 다양한 정도와 다른 시기의 특성을 공유한다"[59]는 것입니다.
Hare는 우리가 언제 더 "대천사"와 더 "프롤"과 같은 생각을 해야 하는지를 명시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어떤 경우에도 사람마다 다를 것이기 때문입니다.그러나 비판적 도덕적 사고는 보다 직관적인 도덕적 사고를 뒷받침하고 알려줍니다.그것은 일반적인 도덕 규칙을 제정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제정할 책임이 있습니다.우리는 또한 특이한 상황에 대처하려고 할 때나 직관적인 도덕 규칙이 상충하는 조언을 하는 경우에 비판적 사고로 전환합니다.
선호 공리주의
선호 공리주의는 관련된 존재들의 선호를 충족시키는 행동을 촉진하는 것을 수반합니다.[60]선호 공리주의의 개념은 1977년 도덕과 이성적 행동 이론에서 존 하스하니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지만,[61][62] 이 개념은 R. M. 헤어,[59] 피터 싱어,[63] 리처드 브랜트와 더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64]
하르샤니는 자신의 이론이 다음과 같은 덕을 입었다고 주장합니다.[62]: 42
- 도덕적 관점과 공평하지만 동정심이 있는 관찰자의 도덕적 관점을 동일시한 아담 스미스.
- 호혜성의 기준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 보편성의 기준을 주장한 임마누엘 칸트;
-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도덕의 기본 기준으로 삼았던 고전적 공리주의자들; 그리고
- "위험과 불확실성 하에서 합리적인 행동에 대한 현대 이론, 보통 베이지안 결정 이론으로 묘사됩니다.
Harsanyi는 쾌락주의적 공리주의가 구식의 심리학에 의존하는 것으로 거부합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이 쾌락을 최대화하고 고통을 최소화하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부여된다는 것은 전혀 명백하지 않다고 말입니다.그는 또한 "사람들의 삶의 유일한 목적이 '본질적 가치가 있는 정신 상태'를 갖는 것이라는 것은 경험적 관찰로서 확실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이상적 공리주의를 거부합니다.[62]: 54
하르샤니는 "선호 공리주의는 선호 자치의 중요한 철학적 원리에 부합하는 유일한 형태의 공리주의이다.이것은 주어진 개인에게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쁜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궁극적인 기준은 오직 그 자신이 원하는 것과 그 자신의 선호일 수 있다는 원칙을 의미합니다."[62]: 55
하르샤니는 두 가지 주의 사항을 추가합니다.첫째, 사람들은 가끔 비이성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Harsanyi는 "가장" 선호와 "진정한" 선호를 구분합니다.전자는 "잘못된 사실 믿음에 근거한 선호, 부주의한 논리 분석, 또는 [clarification needed]현재 합리적 선택을 크게 방해하는 강한 감정을 포함한 그의 관찰된 행동에 의해 나타나는 것"인 반면, 후자는 "만약 그가 모든 관련 사실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항상 그럴 것입니다."가능한 한 최대의 주의를 기울였고, 합리적인 선택에 가장 도움이 되는 마음의 상태에 있었습니다."[62]: 55 선호 공리주의가 충족하려고 하는 것은 후자입니다.
두 번째 주의할 점은 사디즘, 시기심, 원한과 같은 반사회적 선호를 배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Harsanyi는 이러한 선호가 도덕적 공동체에서 그러한 사람들을 부분적으로 배제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이를 달성합니다.
공리주의적 윤리는 우리 모두를 같은 도덕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만듭니다.다른 사람들에게 나쁜 의지를 보이는 사람은 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남아 있지만, 그의 인격 전체로는 그렇지 않습니다.이러한 적대적인 반사회적 감정을 품고 있는 그의 성격의 부분은 회원 자격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우리의 사회적 효용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는 청문회에 대한 주장이 없습니다.[62]: 56
부정적 공리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The Open Society and the Engons, 1945)에서 칼 포퍼(Karl Popper)는 "쾌락의 극대화"라는 원칙을 "고통의 최소화"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그는 "그런 시도는 전체주의로 이어져야 하기 때문에 국민의 즐거움이나 행복을 극대화하려는 시도는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65]그는 이렇게 주장합니다.[66]
[T]윤리적인 관점에서 보면 고통과 행복, 고통과 쾌락 사이에 대칭이 없습니다...내 생각에 인간의 고통은 직접적인 도덕적 호소, 즉 도움을 호소하는 반면, 어쨌든 잘 하고 있는 사람의 행복을 증가시키는 비슷한 요청은 없습니다.Utilitarian formula "Maximize pleasure"에 대한 추가적인 비판은 고통의 정도를 부정적인 정도의 쾌락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속적인 쾌락-고통 척도를 가정한다는 것입니다.그러나 도덕적인 관점에서 보면, 고통은 쾌락에 의해 상쇄될 수 없으며, 특히 한 사람의 고통은 다른 사람의 쾌락에 의해 상쇄될 수 없습니다.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 대신에, 가장 겸손하게, 모든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피할 수 있는 고통을 요구해야 합니다.
실제 부정적 공리주의라는 용어 자체는 R. N. Smart가 1958년 포퍼에게 보낸 답신의 제목으로 소개한 것인데, 그는 그 원리가 인류 전체를 죽이는 가장 빠르고 가장 고통스럽지 않은 방법을 찾는 것을 수반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67]
스마트(Smart)의 주장에 대해 사이먼 너츠슨(2019)은 고전적 공리주의와 유사한 결과주의적 관점은 가능하면 현존하는 존재를 죽이고 더 행복한 존재로 대체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인류 전체를 죽이는 것을 수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그 결과, 너츠슨은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세계 파괴 주장은 이러한 다른 형태의 결과주의에 찬성하여 부정적 공리주의를 거부할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세계 파괴 주장이 부정적 공리주의에 반대하는 것만큼 설득력 있는 그러한 이론에 반대하는 유사한 주장들이 있기 때문입니다.[68]
게다가, 너츠슨은 고전적 공리주의와 같은 다른 형태의 결과주의가 어떤 경우에는 부정적 공리주의보다 덜 그럴듯한 영향을 준다고 주장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고전적 공리주의가 모든 사람을 죽이고 더 많은 고통을 만드는 방식으로 그들을 대체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암시하는 시나리오에서 말이죠.그러나 또한 고전적 실용적 미적분학에 대한 합이 순양의 값을 가지는 것과 같은 더 많은 웰빙.반대로 부정적인 공리주의는 그런 살육을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68]
부정적 공리주의의 일부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정적인 전체 공리주의: 같은 사람 안에서 보상받을 수 있는 고통을 용인합니다.[69][70]
- 부정적 선호 공리주의: 도덕적 살인의 문제는 그러한 살인이 침해할 수 있는 기존의 선호와 관련하여 회피하는 반면, 그것은 여전히 새로운 생명의 창조에 대한 정당성을 요구합니다.[71]가능한 이유는 평균적인 선호도-좌절 수준의 감소입니다.[72]
- 부정적 공리주의의 비관적인 대표들, 불교의 환경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73]
어떤 사람들은 부정적 공리주의를 행복의 증진보다 고통의 회피에 더 높은 비중을 두는 현대 쾌락주의적 공리주의의 한 갈래로 봅니다.[69]고통의 도덕적 비중은 "연민적" 공리주의적 측정법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으므로, 그 결과는 우선주의에서와 같습니다.[74]
동기 공리주의
동기 공리주의는 1976년 로버트 메리휴 애덤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75]행위 공리주의가 어떤 행위가 효용을 극대화할 것인가를 계산하여 우리의 행위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고, 규칙 공리주의가 전체적으로 효용을 극대화할 규칙을 실행할 것을 요구하는 반면에, "효용적분학은 그들의 일반적인 행복 효과에 따라 동기와 성향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그리고 그 동기와 성향은 우리의 행동 선택을 좌우합니다."[76]: 60
개인적 차원에서 어떤 형태의 동기 공리주의로 이동하자는 주장은 사회적 차원에서 어떤 형태의 규칙 공리주의로 이동하자는 주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76]: 17 Adams(1976)는 Sidgwick의 "행복(개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그것을 목표로 하는 범위를 신중하게 제한한다면 더 잘 성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77]: 467 [78]라는 관찰을 언급합니다.매번 사용률 계산을 적용하려고 하면 최적이 아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사회적 차원에서 신중하게 선택된 규칙을 적용하고 개인적 차원에서 적절한 동기를 장려하는 것은 행위 공리주의적 기준에 따라 평가할 때 일부 개별적인 경우에 잘못된 행동으로 이어지더라도 전체적으로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입니다.[77]: 471
아담스는 "행동주의적 기준에 의한 올바른 행동과 동기부여적 기준에 의한 올바른 동기부여는 어떤 경우에는 양립할 수 없다"고 결론짓습니다.[77]: 475 프레드 펠드먼은 "문제의 갈등은 공리주의적 교리의 부적절한 구성에서 비롯됩니다. 동기는 거기에 본질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라고 주장하며 이 결론의 필요성을 거부했습니다.[그리고 저것] ...[p]MU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고 AU가 자체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종류의 갈등이 발생합니다."[79]대신 펠드먼은 행위 공리주의와 동기 공리주의 사이에 충돌이 없는 결과를 초래하는 행위 공리주의의 변형을 제안합니다.
비판과 대응
공리주의는 하나의 이론이 아니라 200여 년 동안 발전해 온 관련 이론들의 집대성이기 때문에 다른 이유로 비판을 할 수도 있고 다른 목표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정량화유틸리티
공리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반대는 행복이나 행복을 수량화하거나 비교하거나 측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레이첼 브릭스(Rachael Briggs)는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80]
효용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대한 한 가지 반대는 합리성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단 하나의 재화(또는 실제로 어떤 재화)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그러나 우리가 "효용"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모든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목적(즐거움, 지식, 우정, 건강 등)을 포함할 수 있다면, 각 결과가 효용을 받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제품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고유한 올바른 방법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금욕적인 수도승의 삶이 행복한 자유인의 삶보다 더 나은 점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좋은 답은 없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옵션에 유틸리티를 할당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들을 비교하도록 강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용은 객관적인 측정이 없을 때 개인적인 선호입니다.
효용은 정의를 무시합니다.
Rosen(2003)이 지적한 바와 같이, 행동 공리주의자들이 규칙을 가지는 것에 관심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빨대꾼"을 세우는 것입니다.[22]마찬가지로 R.M. Hare는 "많은 철학자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유일한 버전인 행위 공리주의의 조잡한 희화화"를 언급합니다.[81] 벤담이 말하는 2차 악에 대한 언급을 고려하면,[82]그와 그와 유사한 행동 공리주의자들이 더 큰 이익을 위해 무고한 사람을 처벌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심각한 잘못된 표현일 것입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동의하든 하지 않든, 이것이 공리주의 비판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보안관 시나리오"
1957년 H. J. 매클로스키는 "셰리프 시나리오"에서 이 비평의 고전적인 버전을 제시했습니다.[52]
보안관이 흑인(일반적으로 흑인은 유죄라고 믿지만 보안관은 무죄라고 알고 있는)에 대한 적대감을 불러일으킨 강간에 대해 흑인을 모함하는 선택에 직면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따라서 목숨을 잃고 ea에 대한 증오가 증가하는 심각한 반(反)흑인 폭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백인들과 흑인들이 그들과 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 또는 유죄인 사람을 사냥하여 반(反)흑인 폭동이 일어나도록 허용하는 것.그런 경우라면 보안관이 극단적 공리주의자라면 흑인을 모함하는 데 전념하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극단적" 공리주의자에 의해 맥클로스키는 나중에 행동 공리주의라고 불리게 된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그는 어쩌면 보안관이 또 다른 규칙 때문에 무고한 흑인을 모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무고한 사람을 처벌하지 말라."또 다른 반응은 보안관이 피하려고 하는 폭동이 지역 사회 간의 긴장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인종과 자원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끌게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맥클로스키는 이후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83]
물론 공리주의자는 문제의 사실이 무엇이든 간에, '부당한' 형벌 체계, 예를 들어 집단 처벌, 소급법과 처벌 또는 부모와 가해자의 관계에 대한 처벌이 '부당한' 형벌 체계보다 더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카라마조프 형제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그의 책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에서 이 논쟁의 더 오래된 형태를 제시했는데, 이반은 그의 형 알료샤에게 그의 질문에 대답하라고 도전합니다.[84]
솔직히 말해봐요. 제가 당신을 부르겠습니다. 대답하세요: 피날레에서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고, 마침내 그들에게 평화와 휴식을 주는 것을 목표로 당신 자신이 인간의 운명의 건물을 짓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러나 그것을 위해서 당신은 어쩔 수 없이 작은 생명체 하나, [한 아이]를 고문하고, 그녀의 기초 위에 당신의 건물을 올려야 합니다.짝사랑하는 눈물—그런 조건으로 건축가가 되는 것에 동의하겠습니까?그리고 당신이 만들고 있는 사람들이 그들의 행복을 고문당한 아이의 정당하지 않은 피 위에서 받아들이고, 그것을 받아들인 사람들이 영원히 행복하게 지내기로 동의할 것이라는 생각을 인정할 수 있습니까?
결과 예측
결과는 본질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공리주의가 요구하는 계산을 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대니얼 데넷은 이것을 "쓰리 마일 아일랜드 효과"라고 설명합니다.[85]데넷은 이 사건에 정확한 효용 값을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발생한 거의 용해 상태가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 알 수도 없다고 지적합니다.그는 만약 공장 운영자들이 미래의 심각한 사고를 예방하는 교훈을 얻었다면 좋은 일이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Russell Hardin (1990)은 그러한 주장을 거부합니다.그는 공리주의의 도덕적 충동(즉, "권리를 좋은 결과로 정의하고 사람들이 이것들을 성취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합리적 원칙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사건의 인지된 사실과 특정 도덕적 행위자의 정신적 장비에 의존합니다."[86]후자가 제한적이고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전자가 거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만약 우리가 의도한 목적을 더 잘 만들어내는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인과관계를 결정하는 더 나은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우리는 윤리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 뒤따르지 않습니다.공리주의의 도덕적 충동은 일정하지만, 그 아래에서 우리의 결정은 우리의 지식과 과학적 이해에 달려 있습니다."[87]
처음부터 공리주의는 그러한 문제에서 확실성은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인식했고 벤담과 밀 모두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행동의 경향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1903년에 쓴 G. E. 무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88]
우리는 제한된 미래를 제외하고는 그들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를 바랄 수 없습니다. 윤리학에서 사용된 적이 있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행동하는 모든 주장은 한 과정이 다른 과정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신학적 교리와는 별개로) 그러한 가능성 있는 즉각적인 이점을 지적하는 데 그치고 있습니다...윤리적인 법은 과학적인 법이 아니라 과학적인 예측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후자는 그 가능성이 매우 클 수 있지만 항상 가능성이 있을 뿐입니다.
요구불복
행동 공리주의는 모든 사람이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어떤 편애도 없이 그렇게 해야 합니다.밀은 "자신의 행복과 다른 사람들의 행복 사이에서, 공리주의는 그가 무관심하고 자비로운 관중처럼 엄격하게 공정할 것을 요구합니다"[89]라고 말했습니다.이런 요구사항들의 조합이 공리주의로 하여금 무리한 요구를 하게 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낯선 사람들의 행복은 친구, 가족, 혹은 자신의 행복만큼 중요합니다."이 요구사항을 매우 까다롭게 만드는 것은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낯선 사람들의 엄청난 숫자와 그들을 돕기 위해 희생할 수 있는 무한히 많은 기회들 때문입니다."[90]셸리 케이건은 "실제 세계의 한계를 고려할 때, 선을 장려하는 것은 고난, 자기 부정, 그리고 긴축의 삶을 요구할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선을 장려하는 데 소비되는 삶은 정말 심각한 삶일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91]
Hooker(2002)는 이 문제에 대해 두 가지 측면을 설명합니다: 행위 공리주의는 상대적으로 더 부유한 사람들로부터 막대한 희생을 요구하며, 또한 총재가 약간 증가할 때에도 자신의 이익을 희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92]불만을 부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공리주의에서 "의무라는 부름을 넘어서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자기희생 같은 것은 없다"[92]는 것입니다.Mill은 이것에 대해 꽤 분명했습니다. "행복의 총합이 증가하지 않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희생은 낭비된 것으로 간주됩니다."[89]
그 문제에 대한 한 가지 반응은 그것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입니다.피터 싱어는 이렇게 말합니다.[93]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리와 가까운 사람들을 돕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 분명합니다.아이가 익사하는 것을 방관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프리카나 인도에서 아이들의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문제는 우리가 보통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느냐이며, 거리나 공동체 구성원 자격이 우리의 의무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관점에 대한 건전한 도덕적 정당성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깊이 간직하고 있는 도덕적 신념과 너무나 상반되는 도덕 이론은 거부되거나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94]지나치게 요구되는 요구사항에서 벗어나기 위해 공리주의를 수정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습니다.[95]한 가지 접근법은 효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요구를 포기하는 것입니다.만족스러운 결과주의에서 마이클 슬로테는 "어떤 행위가 더 나은 결과를 낳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좋은 결과를 가져 도덕적으로 옳은 자격을 가질 수 있다"는 공리주의의 한 형태를 주장합니다.[96]그러한 시스템의 한 가지 장점은 그것이 초권적 행위의 개념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amuel Scheffler는 다른 접근법을 취하여 모든 사람이 똑같이 대우받아야 한다는 요구를 수정합니다.[97]특히 Scheffler는 전체적인 효용이 계산될 때 다른 사람들의 이익보다 우리 자신의 이익을 더 무겁게 계산하는 것이 허용되는 "대리인 중심의 특권"이 있다고 제안합니다.케이건은 "선을 증진하기 위한 일반적인 요구사항은 진정한 도덕적 요구사항에 필요한 동기적 기반이 부족할 것이다"라는 이유로 그러한 절차가 정당화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둘째로, 약속의 존재와 긴밀한 개인적 관계를 위해 개인적 독립이 필요하고 "이러한 c의 가치"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합니다.약속은 도덕 이론 내에서 최소한 개인적 관점을 위한 도덕적 독립성을 유지하는 긍정적인 이유를 산출합니다."[98]
로버트 구딘(Robert Goodin)은 또 다른 접근법을 취하면서 공리주의를 개인의 도덕성의 하나가 아닌 공공정책의 지침으로 취급함으로써 요구불만을 "무뎌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그는 양심적인 공리주의자가 결국 다른 사람들의 실패를 보상하고 그들의 정당한 몫 이상을 기여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문제들이 전통적인 공식 하에서 발생한다고 제안합니다.[99]
Gandjour는 시장 상황을 구체적으로 고려하고 시장에서 행동하는 개인들이 실용적인 최적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합니다.그는 만족시켜야 할 몇 가지 까다로운 조건들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개인들은 도구적 합리성을 보여주어야 하고, 시장들은 완벽하게 경쟁해야 하며, 소득과 상품들은 재분배되어야 합니다.[100]
Harsanyi는 반대 의견이 "사람들은 과도하게 부담스러운 도덕적 의무로부터 자유에 상당한 효용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간과한다고 주장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 완화된 도덕률을 가진 사회를 선호할 것입니다.그리고 이러한 도덕률의 채택이 경제적, 문화적 성취에 어느 정도의 손실로 이어지더라도(이러한 손실이 참을 수 있는 한계 내에 있는 한) 그러한 사회가 더 높은 수준의 평균적인 효용을 달성할 것이라고 느끼게 될 것입니다.이것은 만일 공리주의가 올바르게 해석된다면, 허용되는 행동 기준이 도덕적으로 가장 완벽한 수준보다 매우 낮은 도덕률을 만들어 낼 것이고, 이 최소 기준을 초과하는 초권위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많은 범위를 남기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101]
집계유틸리티
1971년 존 롤스(John Rolls)의 정의론(A Theory of Justice)이 출판되면서 "실용주의는 사람과 사람의 구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반대론이 대두되었습니다.[102]이 개념은 동물권 옹호자 리처드 라이더의 공리주의 거부에서도 중요한데, 여기서 그는 고통도 쾌락도 통과할 수 없는 "개인의 경계"를 이야기합니다.[103]
그러나 1970년에 결과주의가 "특이한 사람들의 욕구, 필요, 만족, 불만족을 마치 일반인의 욕구 등인 것처럼 취급한다"[104]고 주장한 토마스 나겔에 의해 비슷한 반대가 언급되었고, 심지어 더 일찍 공리주의가 "인류는 초인류이며, 그들의 욕구 등입니다."라고 쓴 데이비드 고티어에 의해 언급되었습니다.가장 큰 만족은 도덕적 행동의 목표입니다.하지만 이건 말도 안돼요.인간이 아닌 개인이 원하는 것이고, 인간이 아닌 개인이 만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한 사람의 만족은 더 큰 만족감의 일부가 아닙니다."[105]따라서 고통과 행복은 모두 그것들이 느끼는 의식에 내재되어 있고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효용의 집합은 허무해지고, 여러 개인의 다양한 즐거움을 더해가는 작업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한 대응은 일부 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문제를 소개한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입니다.직관적으로, 사람들이 관련된 숫자를 고려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알라스테어 노크로스가 말한 바와 같이.[106]
[S]호머가 바니를 불타는 건물에서 구하든지 아니면 모에와 아푸를 건물에서 구하든지 하는 고통스러운 선택에 직면해 있다고 가정합니다.호머가 더 큰 숫자를 저장하는 것이 확실히 더 낫습니다. 정확하게는 더 큰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우주의 지각 있는 인구 전체가 심하게 훼손되는 것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더 나쁘다고 믿을 수 있습니까?분명히 아닙니다.
사람들이 공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면, 여전히 효용을 종합하면서 사람들 간의 차이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107]"우리는 한 번에 한 사람의 마음 속에만 우리 자신을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감의 진화적 기반을 인간이 다른 개인의 이익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제시한 [108]이안 킹이 이 입장을 지지합니다.[109]킹은 이 통찰력을 공리주의에 적응시키는 데 사용하며, 벤담의 철학과 의무론 및 덕윤리를 조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110][111][112]
철학자 존 타우렉은 또한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나 즐거움을 더한다는 생각은 꽤 이해할 수 없으며 어떤 상황에 관련된 사람들의 수는 도덕적으로 무관하다고 주장했습니다.[113]Taurek의 기본적인 관심사는 이것으로 귀결됩니다. 우리는 5명이 죽으면 한 사람이 죽는 것보다 5배나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할 수 없습니다.그는 "이런 종류의 판결의 의미를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다"고 썼다(304쪽).그는 각각의 사람은 오직 한 사람의 행복이나 즐거움을 잃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다섯 명이 죽으면 행복이나 즐거움의 손실은 다섯 배도 되지 않습니다. 누가 이런 행복이나 즐거움을 느끼겠습니까?"각자의 잠재적인 손실은 나에게는 그 사람만의 손실로서만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가설에 의하면, 나는 각 관계자들에 대해 동등한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는 그들에게 그의 상실을 면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주는 것에 감동했습니다."(p. 307).Derek Parfit(1978) 등은 Taurek의 대사를 비판한 바 있으며,[114][115][116] 이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117][118]
효용 계산은 자체적으로 실패하는 것입니다.
밀이 언급한 초기 비판은 최선의 행동 방침을 계산하기 위해 시간이 걸린다면 최선의 행동 방침을 취할 기회가 이미 지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Mill은 가능한 효과를 계산할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고 답했습니다.[89]
[N]인간 종의 지난 기간 동안의 행복한 시간.그 모든 시간 동안, 인류는 행동의 경향을 경험하면서 배워왔습니다; 어떤 신중함과 삶의 모든 도덕성이 의존하는 것을 경험합니다.제1원칙의 인정이 제2원칙의 인정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상한 생각입니다.여행자에게 그의 궁극적인 목적지를 알리는 것은 가는 길에 랜드마크와 방향표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아닙니다.행복이 도덕의 끝이자 목표라는 명제는 그 목표에 어떤 길이 깔려서는 안 된다거나, 거기로 가는 사람들에게 다른 방향이 아닌 한 방향으로 가라고 충고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남자들은 정말로 이 주제에 대해 말도 하지 않고, 현실적으로 관심 있는 다른 문제에 대해서도 듣지도 않는 일종의 헛소리를 하는 것을 그만두어야 합니다.
더 최근에는 하딘도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철학자들이 이 반대를 진지하게 받아들인 적이 있다는 것은 당황스러운 일입니다.다른 영역에서의 병행 고려는 대단히 좋은 의미로 기각됩니다.데블린 경은 '만일 합리적인 사람이 그가 건네받은 모든 형태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이 파고들어 통치하려고' 일했다면, 나라의 상업과 행정 생활은 서서히 정지될 것입니다.'라고 지적합니다.[87]
스마트(1973)가 그들을 부르는 것처럼 행동하는 공리주의자들조차 "경험의 법칙"에 의존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그러한 고려입니다.[119]
특수의무비판
공리주의에 대한 가장 오래된 비판 중 하나는 그것이 우리의 특별한 의무를 무시한다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만약 우리에게 무작위로 두 사람을 구할지 아니면 우리의 어머니를 구할지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대부분은 그들의 어머니를 구할지를 선택할 것입니다.공리주의에 따르면, 그러한 자연스러운 행동은 부도덕합니다.이것에 응답한 첫 번째 사람은 초기 공리주의자이자 윌리엄 고드윈이라는 제레미 벤담의 친구였는데, 그는 그의 작품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에서 그러한 개인적 필요는 가장 많은 사람들을 위한 가장 큰 이익을 위해 무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그는 "유명한 캠브레이 대주교"와 그의 하녀 중 한 명을 구하는 것에 "일반의 이익에 가장 도움이 되는 삶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공리주의 원칙을 적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120]
하녀가 제 아내나 어머니, 혹은 은인인 경우를 가정합니다.그것은 그 제안의 진실을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대주교]의 삶은 여전히 방녀의 삶보다 더 가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정의, 순수하고 변증되지 않은 정의는 여전히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선호했을 것입니다.
공리주의적 가치론에 대한 비판
웰빙만이 내재적 도덕적 가치를 지닌 유일한 것이라는 공리주의의 주장은 여러 비판자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토마스 칼라일은 "벤타미의 효용, 이익과 손실에 의한 미덕; 이 신의 세계를 죽은 짐승의 증기 기관으로, 무한한 천상의 인간 영혼을 건초와 엉겅퀴, 즐거움과 고통의 무게를 재는 일종의 건초 균형으로 감소시킨다"고 조롱했습니다.[121]카를 마르크스는 다스 카피탈에서 벤담의 공리주의를 비판하는데, 이는 사람들이 다른 사회경제적 맥락에서 다른 기쁨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이유에서입니다.[122]
그는 가장 순진한 성격으로 현대의 가게 주인, 특히 영국 가게 주인을 평범한 남자로 받아들입니다.이 이상한 평범한 남자와 그의 세계에 유용한 것은 무엇이든 절대적으로 유용합니다.그러면 이 야드 척도는 과거, 현재, 미래에 적용됩니다.예를 들어, 기독교는 "유용하다", "종교라는 이름으로 형법이 법의 이름으로 비난하는 것과 같은 잘못을 금지하기 때문이다."예술적 비판은 마틴 터퍼 등을 즐기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사람들을 방해하기 때문에 "해롭다"는 것입니다.그런 쓰레기들로 용감한 사람은 "nulla dies sine linea [no days no days without linea]"라는 모토와 함께 산더미 같은 책들을 쌓아 올렸습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개인주의 철학에 따라 공리주의의 위험은 사물과 마찬가지로 사람을 이용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는 "실용주의는 생산과 사용의 문명, 사람이 아닌 사물의 문명, 사물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람이 사용되는 문명"이라고 썼습니다.[123]
직무상의 비판
W. D. 로스는 자신의 의무론적 다원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공리주의가 요구하는 것처럼 총재의 최대를 증진시킬 의무가 있음을 인정합니다.그러나 로스는 이것은 약속을 지키거나 부당한 행위에 대한 보상을 해야 하는 의무와 같은 다양한 다른 의무들 외에 하나일 뿐이며, 이는 단순화되고 환원적인 공리주의적 관점에 의해 무시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124]: 19 [125]
Roger Scollon은 의무학자였고, 공리주의가 우리의 윤리적 판단 안에서 필요한 위치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그는 브론스키에 대한 사랑과 남편과 아들에 대한 의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안나 카레니나의 딜레마를 생각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스크러턴은 "안나가 한 노인을 만족시키고 두 노인을 좌절시키는 것보다 두 명의 건강한 젊은이를 만족시키고 한 명의 노인을 좌절시키는 것이 더 낫다고 추론한다면, 나는 떠날 것입니다.그렇다면 우리는 그녀의 도덕적 진지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126]
유아농법
공리주의 비평가인 재클린 라잉(Jacqueline Laing)은 순수성과 결과주의(1996)에서 공리주의는 포괄적인 윤리 이론의 중심인 순수성의 개념을 이해하기에 불충분한 개념적 장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127]특히 그녀의 견해에 따르면 피터 싱어는 베이비 파밍(장기 수확의 더 큰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뇌에 손상된 아이들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살아있는 출산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고 실험)을 거부하는 동시에 제니 티히먼이 그의 변동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인 "인격주의"를 고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g (그리고 Laing은 말한다, 비합리적이고 차별적인) 인간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이론.그의 설명은 아기 농사가 아주 어린 아이들에 대한 보살핌과 걱정의 태도를 약화시키고, 아기와 태아(둘 다 죽을 수도 있는 '비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고, 그의 일의 다른 곳에서 그가 채택하는 입장과 모순됩니다.
추가적인 고려사항
평균 대 총 행복
윤리학의 방법에서 헨리 시지윅은 "우리가 최대를 이루려고 하는 것은 전체 행복인가요, 아니면 평균 행복인가요?"라고 물었습니다.[128][129]페일리는 공동체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한 사람의 행복은 독신자의 행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복의 양은 인식자의 수나 인식의 즐거움을 증가시켜야만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노예로 붙잡힌 사람들과 같은 극단적인 경우에는,제외된 행복의 양은 보통 사람의 수에 비례합니다.결과적으로, "인구의 감소는 국가가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악이며, 모든 국가에서 다른 모든 정치적 목적보다 우선적으로 목표로 삼아야 할 목표입니다."[130]스마트는 비슷한 견해를 나타냈는데, 그는 다른 모든 것들이 동등하기 때문에 200만 명의 행복한 사람들이 있는 우주가 100만 명의 행복한 사람들이 있는 우주보다 더 낫다고 주장했습니다.[131]
Sidgwick이 이 문제를 제기한 이후로 그것은 자세히 연구되어 왔고 철학자들은 전체 또는 평균 행복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반대할 만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습니다.
데릭 파핏(Derek Parfit)에 따르면, 완전한 행복을 사용하는 것은 혐오스러운 결론에 희생되며, 이로 인해 매우 낮지만 부정적이지 않은 효용 값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사는 덜 극단적인 크기의 인구보다 더 나은 목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다시 말해서, 이론에 의하면, 완전한 행복이 증가하는 한 더 많은 사람들을 세상에 길러내는 것이 도덕적으로 좋은 일입니다.[132]
반면, 모집단의 평균 효용을 기준으로 모집단의 효용을 측정하는 것은 Parfit의 혐오스러운 결론을 피하지만 다른 문제를 야기합니다.예를 들어, 적당히 행복한 사람을 매우 행복한 세상으로 데려오는 것은 부도덕한 행동으로 보일 것입니다. 이것을 제외하고, 그 이론은 행복이 평균보다 낮은 사람들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좋은 일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것이 평균적인 행복을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입니다.[133]
윌리엄 쇼는 우리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잠재적인 사람들과 우리를 걱정해야 할 실제 미래의 사람들 사이에 구분이 이루어진다면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그는 "실용주의는 행복 단위의 생산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복을 중시합니다.따라서 아이를 가져야 할 적극적인 의무가 없습니다.하지만 아이를 갖기로 결정했다면, 당신은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행복한 아이를 낳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134]
동기, 의도 및 행동
공리주의는 일반적으로 행위의 결과만을 고려하여 행위의 옳고 그름을 평가합니다.벤담은 동기와 의도를 매우 조심스럽게 구분하고 동기는 그 자체로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 기쁨이나 고통을 주는 경향 때문에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그는 "모든 종류의 동기에서 좋은 행동, 나쁜 행동, 무관심한 행동을 할 수 있다"[135]고 덧붙였습니다.밀도 비슷한 지적을[136] 하며 "동기는 행위자의 가치와 많은 관련이 있지만 행동의 도덕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동료 피조물이 물에 빠진 것을 구하는 사람은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 합니다. 그의 동기가 의무이든, 그의 고난에 대한 대가를 받기를 바라는 것이든 말입니다."[137]
하지만 의도적으로 상황은 더 복잡합니다.실리주의 제2판에 인쇄된 각주에서 밀은 이렇게 말합니다."행동의 도덕성은 전적으로 의도, 즉 대리인이 무엇을 할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137]다른 곳에서, 그는 "의도와 동기는 매우 다른 두 가지입니다.그러나 그 행위의 도덕적 정당성이나 부당성을 구성하는 것은 의도, 즉 결과에 대한 선견지명입니다."[138]
Mill의 각주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해석의 어려움은 중요한 결과이기 때문에 의도가 행동의 도덕성을 평가하는 데 역할을 해야 하지만 동기가 역할을 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하려는 데 있습니다.한 가지 가능성은 "행위의 '도덕성'이 한 가지 일이며, 아마도 대리인의 칭찬 가능성 또는 비난 가능성과 그것의 옳고 그름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입니다."[139]Jonathan[139] Dancy는 Mill이 대리인에 대한 평가가 아닌 행위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는 이유로 이 해석을 거부합니다.
로저 크리스프가 제시한 해석은 Mill in A System of Logic에 의해 주어진 정의를 바탕으로 하는데, 여기서 그는 "효과를 발생시키려는 의도는 별개이고, 의도의 결과로 발생하는 효과는 별개이며, 둘이 함께 행동을 구성한다"고 말합니다.[140]따라서 두 행동이 겉으로는 동일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의도가 있다면 다른 행동이 될 것입니다.댄시는 이것이 의도는 중요하지만 동기는 중요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해 주지 않는다고 지적합니다.
세 번째 해석은 행위가 여러 단계로 구성된 복잡한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단계 중 어떤 단계가 행위의 일부로 간주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의도입니다.이것이 댄시가 선호하는 해석이긴 하지만, 그는 이것이 밀 자신의 견해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밀은 "p & q"가 복잡한 명제를 표현하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그는 그의 논리 체계 Ⅳ. 3에서 '카이사르는 죽고 브루투스는 살아있다'고 썼습니다. '이 두 명제가 복잡한 명제이기 때문에 우리는 거리를 복잡한 집이라고 부르는 편이 낫습니다.'[139]
마지막으로, 동기는 행동의 도덕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지만, 동기가 전체적인 행복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실용주의자들이 특정한 동기를 육성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습니다.
기타감각적인 존재
벤담은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소개에서 "질문은 아니다, 그들이 추론할 수 있습니까?그들은 말을 할 수도 없고, 그러나 그들이 고통을 받을 수도 있습니까?"[141]더 높은 즐거움과 더 낮은 즐거움의 구분은 그가 인간에게 더 많은 지위를 부여했음을 시사할지도 모릅니다.그러나, 밀은 그의 에세이 《도덕철학에 관한 휘웰》에서 벤담의 입장을 옹호하며, 그것을 '귀족한 기대'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어떤 실천도 인간에게 기쁨을 주는 것보다 동물에게 더 많은 고통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은 도덕적인가 아니면 비도덕적인가?그리고 인간이 이기심의 질박함에서 고개를 드는 것과 정확히 비례하여 '부도덕'이라는 한 목소리로 대답하지 않는다면, 효용성 원칙의 도덕성이 영원히 비난 받지 않도록 하라."[142]
Henry Sidgwick은 또한 인간이 아닌 동물들에게 공리주의의 의미를 고려합니다.그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는 '모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의 행복을 고려해야 합니다.우리는 우리의 행위에 영향을 받는 기쁨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모든 존재들에게 우리의 관심을 확대해야 합니까?아니면 우리의 견해를 인간의 행복에만 국한시킬 것인가요?전자의 견해는 벤담과 밀이 채택한 견해이고, (나는) 실용주의 학파가 일반적으로 채택한 견해입니다: 그리고 분명히 그들의 원칙의 특징인 보편성에 가장 부합합니다.모든 지각 있는 존재의 즐거움을 끝에서 배제하는 것은 자의적이고 비합리적인 것 같습니다."[143]
현대 공리주의 철학자들 사이에서, 피터 싱어는 특히 모든 지각 있는 존재들의 안녕이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가수는 생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생물의 자기 인식 수준에 따라 권리가 부여된다고 제안합니다.그는 인간은 윤리적인 문제에 있어서 종파주의적인 경향이 있다고 덧붙이며, 공리주의에서는 인간의 고통과 인간이 아닌 동물의 고통 사이에 합리적 구별이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종파주의는 정당화될 수 없으며, 모든 고통은 감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싱어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인종차별주의자는 자신의 인종 구성원들의 이익과 다른 인종의 이익 사이에 충돌이 있을 때 그들의 이익을 더 중시함으로써 평등의 원칙을 위반합니다.마찬가지로 종파주의자는 자신의 종의 이익이 다른 종의 구성원들의 더 큰 이익을 무시하도록 허용합니다.패턴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합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종파주의자입니다."[144]
피터 싱어는 1990년판 '동물 해방'에서 굴과 홍합을 더 이상 먹지 않는다고 말했는데, 이는 그 생물들이 고통받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럴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도 그것들을 먹는 것을 피하기 쉬웠기 때문이라고 합니다.[145]
이 견해는 여전히 깊은 생태학과 대조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지각적으로 가정되든 아니든 모든 형태의 생명과 자연에 내재적 가치가 붙어 있다고 주장합니다.공리주의에 의하면, 행복을 느끼지 못하거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의 행복을 증가시키거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기쁨과 불편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것을 경험할 수 없는 삶의 형태는 도덕적 지위를 부정합니다.가수가 쓰는 글을 씁니다.
고통을 받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은 관심을 갖기 위한 전제조건이며, 이는 우리가 관심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말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입니다.남학생에게 길을 걷어차이는 것이 돌멩이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일 것입니다.돌은 고통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없습니다.우리가 할 수 있는 어떤 것도 복지에 어떤 변화도 가져올 수 없습니다.반면에 쥐는 고통을 당하지 않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고통을 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만약 어떤 존재가 고통을 받는다면, 그 고통을 고려하기를 거부하는 도덕적인 정당성은 있을 수 없습니다.존재의 본질이 무엇이든 간에, 평등의 원칙은 그것의 고통을 다른 어떤 존재의 고통과 동일하게 계산할 것을 요구합니다.만약 어떤 존재가 고통을 받을 능력이 없다면, 혹은 즐거움이나 행복을 경험할 능력이 없다면, 고려될 것이 없습니다.
따라서, 일부 다세포 생물, 그리고 강과 같은 자연적 실체뿐만 아니라 단세포 생물의 도덕적 가치는 지각 있는 존재들에게 제공하는 이익에만 있습니다.마찬가지로, 공리주의는 생물 다양성에 직접적인 내재적 가치를 부여하지 않지만, 생물 다양성이 지각 있는 존재에게 가져다 주는 이익은 공리주의에서 생물 다양성이 일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에세이 "자연에 관하여"[146]에서 그는 공리주의적 판단을 내릴 때 야생동물의 복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타일러 코웬은, 만일 개별 동물들이 효용의 매개체라면, 우리는 그들의 희생자들과 관련된 육식 동물의 포식 활동을 제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최소한, 우리는 현재의 보조금을 자연의 육식 동물로 제한해야 합니다."[147]
디지털 마인드
Nick Bostrom과 Carl Shulman은 인공지능의 발전이 계속됨에 따라 아마도 더 적은 자원을 필요로 하고 인간보다 훨씬 높은 주관적 경험의 비율과 강도를 가진 디지털 마인드를 공학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이러한 "초수혜자"들은 쾌락적 적응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닉 보스트롬(Nick Bostrom)은 "디지털 마인드(Digital Mind)와 생물학적 마인드(Biological Mind)가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번성하고 번영할 수 있는 상호 이익이 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148]
특정 이슈에 적용
이 개념은 사회복지 경제학, 정의의 문제, 세계 빈곤의 위기, 식량을 위해 동물을 기르는 윤리, 인류에 대한 실존적 위험을 피하는 것의 중요성에 적용되어 왔습니다.[149]거짓말의 맥락에서 일부 공리주의자들은 선의의 거짓말을 지지합니다.[150]
세계 빈곤
American Economic Journal의 한 기사는 부의 재분배 안에서 공리주의적 윤리 문제를 다루었습니다.그 저널은 부유층에 대한 과세가 그들이 받는 가처분 소득을 활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언급했습니다.이것은 이 돈이 정부 서비스에 자금을 대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효용을 창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151]Peter Singer와 Toby Ord를 포함한 많은 공리주의 철학자들은 특히 선진국의 거주자들이 그들의 수입의 일부를 정기적으로 자선단체에 기부함으로써 전세계의 극심한 빈곤을 끝낼 수 있도록 도울 의무가 있다고 주장합니다.예를 들어, 피터 싱어는 수입의 일부를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것이 생명을 구하거나 빈곤과 관련된 질병으로부터 누군가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극도로 가난한 사람에게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살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행복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그 돈을 훨씬 더 잘 사용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싱어는 수입의 상당 부분을 자선 단체에 기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용주의적인 생각과 일치하는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 주기 위해, 이 돈은 가장 비용 효율적인 자선 단체에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152]가수의 아이디어는 현대의 효과적인 이타주의 운동의 기초를 형성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인용문
- ^ Duignan, Brian.[1999] 2000."실용주의" (개정).브리태니커 백과사전 æ.2020년 7월 5일 회수.
- ^ "Utilitarianism". Ethics Unwrapped. Austin, TX: McCombs School of Business. Retrieved 27 May 2020.
- ^ 화이트, 스튜어트.[2004] 2015."소셜 미니멈"E. N. 잘타가 편집한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스탠퍼드 대학.2020년 7월 5일 회수.
- ^ a b Habibi, Don (2001). "Mill's Moral Philosophy". John Stuart Mill and the Ethic of Human Growth.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pp. 89–90, 112. doi:10.1007/978-94-017-2010-6_3. ISBN 978-90-481-5668-9.
- ^ 밀, 존 스튜어트 1861년공리주의. n1.
- ^ "SUMMA THEOLOGICA: Man's last end (Prima Secundae Partis, Q. 1)". newadvent.org.
- ^ "SUMMA THEOLOGICA: Things in which man's happiness consists (Prima Secundae Partis, Q. 2)". newadvent.org.
- ^ "SUMMA THEOLOGICA: What is happiness (Prima Secundae Partis, Q. 3)". newadvent.org.
- ^ "SUMMA THEOLOGICA: Things that are required for happiness (Prima Secundae Partis, Q. 4)". newadvent.org.
- ^ "SUMMA THEOLOGICA: The attainment of happiness (Prima Secundae Partis, Q. 5)". newadvent.org.
- ^ 굿맨, 찰스 2016년에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ś안티데바.2020년 8월 31일 회수.
- ^ Fraser, Chris (2011).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p. 62. ISBN 978-0-19-532899-8.
- ^ Hutcheson, Francis (2002) [1725].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15. ISBN 978-0-521-00304-9.
- ^ Ashcraft, Richard (1991) John Locke: 비판적 평가 (선도 정치 철학자들의 비판적 평가), Routledge, p. 691
- ^ Gay, John (2002). "Concerning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Virtue or Morality".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08. ISBN 978-0-521-00304-9.
- ^ Gay, John (2002). "Concerning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Virtue or Morality".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04–05. ISBN 978-0-521-00304-9.
- ^ Hume, David (2002). "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52. ISBN 978-0-521-00304-9.
- ^ a b Schneewind, J. B. (2002).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46. ISBN 978-0-521-00304-9.
- ^ Smith, Wilson (July 1954). "William Paley's Theological Utilitarianism in America". William and Mary Quarterly. 3rd Series. 11 (3): 402–24. doi:10.2307/1943313. JSTOR 1943313.
- ^ Schneewind, J. B. (1977). Sidgwick's Ethics and Victorian Moral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p. 122. ISBN 978-0-19-824552-0.
- ^ Paley, William (2002). "The Principles of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55–56. ISBN 978-0-521-00304-9.
- ^ a b 로젠, 프레드릭.2003. 흄에서 밀로의 고전적 공리주의루틀리지 페이지 132.
- ^ 슈니윈드, J. B. 1977시지윅의 윤리학과 빅토리아 시대 도덕철학.옥스포드: Clarendon Press. 122쪽.
- ^ 허치슨, 프랜시스 1726년"소개."아름다움과 미덕에 대한 우리의 생각의 원형에 대한 탐구에서.
- ^ 로젠, 프레드릭.2003. 흄에서 밀로의 고전적 공리주의루틀리지 32쪽
- ^ 벤담, 제레미.1780. "효용의 원칙"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소개 1-6쪽.런던:T. Payne and Sons. (eText, Wikisoure로도 사용 가능).p. 1.
- ^ Bentham, Jeremy; Dumont, Etienne; Hildreth, R (November 2005). Theory of Legislation: Translated from the French of Etienne Dumont. Adamant Media Corporation. p. 58. ISBN 978-1-4021-7034-8.
- ^ Halevy, Elie (1966). The Growth of Philosophic Radicalism. Beacon Press. pp. 282–84. ISBN 978-0-19-101020-0.
- ^ Hinman, Lawrence (2012). Ethics: A Pluralistic Approach to Moral Theory. Wadsworth. ISBN 978-1-133-05001-8.
- ^ Mill, John Stuart (2010) [1863]. Utilitarianism - Ed. Heydt (Broadview Editions). Broadview Press. p. 33. ISBN 978-1-55111-501-6. Retrieved 28 July 2019.
-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 56. ISBN 978-0-19-875163-2.
-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p. 56–57. ISBN 978-0-19-875163-2.
- ^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 제2장
- ^ 브링크, 데이빗.[2007] 2018.밀의 도덕 정치 철학"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2020년 7월 5일 회수.
- ^ Hauskeller, Michael (2011). "No Philosophy for Swine: John Stuart Mill on the Quality of Pleasures". Utilitas. 23 (4): 428–446. doi:10.1017/S0953820811000264. hdl:10871/9381. S2CID 170099688.
- ^ 손더스, 벤 2010년"J.S.밀의 효용개념"Utilitas 22(1):52-69. Doi:10.1017/S0953820809990380프로퀘스트 200183451.
-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81. ISBN 978-0-19-875163-2.
- ^ a b c d Popkin, Richard H. (1950). "A Note on the 'Proof' of Utility in J. S. Mill". Ethics. 61: 66–68. doi:10.1086/290751. S2CID 170936711.
- ^ Hall, Everett W. (1949). "The 'Proof' of Utility in Bentham and Mill". Ethics. 60: 1–18. doi:10.1086/290691. S2CID 145767787.
-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82. ISBN 978-0-19-875163-2.
- ^ 밀, 공리주의, 2장.
- ^ a b c Schultz, Barton (2020). "Henry Sidgwick".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9 December 2020.
- ^ a b c d e f g Craig, Edward (1996). "Sidgwick, Henry".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 ^ a b Honderich, Ted (2005). "Sidgwick, Henry".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 ^ Duignan, Brian; West, Henry R. "Utilitarianism".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9 December 2020.
- ^ a b c d e Borchert, Donald M. (2006). "Sidgwick, Henry".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Macmillan.
- ^ Borchert, Donald M. (2006). "Sidgwick, Henry [Addendum]".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Macmillan.
- ^ a b 무어, G.E. (1912)윤리, 런던:윌리엄스 앤 노게이트, Ch. 7
- ^ a b 베일스, 의학박사, 1968년 편집현대 공리주의.더블데이:앵커 북스.
-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 70. ISBN 978-0-19-875163-2.
- ^ Smart, J. J. C. (1956). "Extreme and Restricted Utilitarianism". Philosophical Quarterly. 6 (25): 344–54. doi:10.2307/2216786. JSTOR 2216786. S2CID 147501349.
- ^ a b McCloskey, H. J. (October 1957). "An Examination of Restricted Utilitarianism". Philosophical Review. 66 (4): 466–85. doi:10.2307/2182745. JSTOR 2182745.
- ^ Urmson, J. O. (1953). "The Interpretation of the Moral Philosophy of J. S. Mill". Philosophical Quarterly. 3 (10): 33–39. doi:10.2307/2216697. JSTOR 2216697.
- ^ 밀, 존 스튜어트.J. M. 롭슨이 편집한 존 스튜어트 밀 17의 수집된 작품들.토론토:토론토 대학 출판부. 1963-91. p. 1881.
- ^ 올리펀트, 질.2007. AS 및 A2를 위한 OCR 종교윤리루틀리지.
- ^ 라이언스, 데이비드 1965년공리주의의 형식과 한계.
- ^ 하비브, 알렌.[2008] 2014.'약속'."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 ^ a b c Hare, R. M. (1972–1973). "The Presidential Address: Principles".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New Series. 73: 1–18. doi:10.1093/aristotelian/73.1.1. JSTOR 4544830.
- ^ a b c Hare, R.M. (1981). Moral thinking: its levels, method, and point. Oxford New York: Cl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4660-2.
- ^ 피터 싱어, 실천윤리학, 2011, p. 13
- ^ 하샤니, 존 C. 1977."도덕과 이성적 행동이론"사회 연구 44(4):623-56. JSTOR 40971169
- ^ a b c d e f Harsanyi, John C. [1977] 1982."도덕과 이성적 행위론" A 편집, 공리주의와 그 너머에서 39-62쪽 센과 비. 윌리암스.캠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11-61196-4.
- ^ Singer, Peter (1979). Practical ethics (1st ed.).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9720-2.:Singer, Peter (1993). Practical ethics (2nd ed.). Cambridge/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971-8.
- ^ Brandt, Richard B. (1979). A Theory of the Good and the Right. Oxford/New York: Clarendon Press. ISBN 978-0-19-824550-6.
- ^ Popper, Karl (2002).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2. Routledge. p. 339. ISBN 978-0-415-27842-3.
- ^ Popper, Karl (2002).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1: The Spell of Plato. Routledge. pp. 284–85. ISBN 978-0-415-23731-4.
- ^ Smart, R.N. (October 1958). "Negative Utilitarianism". Mind. 67 (268): 542–43. doi:10.1093/mind/lxvii.268.542. JSTOR 2251207.
- ^ a b Knutsson, Simon (29 August 2019). "The world destruction argument". Inquiry. 64 (10): 1004–1023. doi:10.1080/0020174X.2019.1658631. ISSN 0020-174X.
- ^ a b 파비안, 프리케.2002. "Verschieden Versen des negativeiven Utilitarismus" Kriterion 15(1): p. 14.
- ^ 구스타프, 아레니우스.2000. "미래세대, 도덕이론의 도전" (FD-Diss.)웁살라:웁살라 대학교, 철학과. p. 100.
- ^ Fricke Fabian (2002), Verschieden Versen des negativeiven Utilitarismus, Kriterion, vol.15, no.1, pp. 20–22
- ^ {차오, "부정적 평균 선호 공리주의", 생명철학저널, 2012; 2(1): 55–66
- ^ Bruno 경쟁 상대:부정적 공리주의와 불교적 직관.In: 현대불교 Vol.15, 2호, S. 298–311, 런던 2014
- ^ Broome John (1991), 계량 물품, 옥스포드: Basil Blackwell, p. 222
- ^ Robert Merrihew Adams, 동기 공리주의, 철학저널, Vol. 73, No. 14, 동기와 도덕에 관하여 (1976년 8월 12일), pp. 467-81
- ^ a b Goodin, Robert E. "공공철학으로서의 공리주의" 캠브리지 철학과 공공정책의 연구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 a b c 아담스, 로버트 메리휴 1976년"모티브 공리주의.The Journal of Philosophy 73(14).
- ^ "ME Book 3 Chapter 14 Section 5". www.laits.utexas.edu. Retrieved 13 May 2021.
- ^ Feldman, Fred (May 1993). "On the Consistency of Act- and Motive-Utilitarianism: A Reply to Robert Adams". Philosophical Studies. 70 (2): 211–12. doi:10.1007/BF00989590. S2CID 170691423.
- ^ Briggs, Rachael (2017), "Normative Theories of Rational Choice: Expected Utility", in Edward N. Zalta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7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15 November 2017
- ^ Hare, R.M. (1981) 도덕적 사고옥스퍼드 대학교누르기, 36페이지
- ^ Bentham, Jeremy (2009) 입법론General Books LLC, 페이지 58
- ^ McCloskey, H.J. (1963) 실용주의적 처벌에 관한 노트, 마음에, 72, 1963, p. 599
- ^ "The Dostoevsky Dilemma for Religious Ethics Center for Inquiry". 15 February 2011.
- ^ Dennett, Daniel (1995), Darwin's Dangerous Idea, Simon & Schuster, p. 498 ISBN 0-684-82471-X.
- ^ Hardin, Russell (May 1990). Morality within the Limits of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3. ISBN 978-0-226-31620-8.
- ^ a b Hardin, Russell (May 1990). Morality within the Limits of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4. ISBN 978-0-226-31620-8.
- ^ Moore, G. E. (1903). Principia Ethica. Prometheus Books UK. pp. 203–4. ISBN 978-0-87975-498-3.
- ^ a b c Mill, John Stuart. "Utilitarianism, Chapter 2". Retrieved 24 June 2012.
- ^ Hooker, Brad (2011). "Chapter 8: The Demandingness Objection". In Chappell, Timothy (ed.). The Problem of Moral Demandingness: new philosophical essays. Palgrave Macmillan. p. 151. ISBN 978-0-230-21940-3.
- ^ Kagan, Shelly (1991). The Limits of Morality. Oxford Ethics Series. Clarendon Press. p. 360. ISBN 978-0-19-823916-1.
- ^ a b Hooker, Brad (2002). Ideal Code, Real World: A Rule-Consequentialist Theory of Morality. Clarendon Press. p. 152. ISBN 978-0-19-925657-0.
- ^ Singer, Peter (2011). Practical Ethics (3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02–3. ISBN 978-0-521-70768-8.
- ^ Hooker, Brad (2011). "Chapter 8: The Demandingness Objection". In Chappell, Timothy (ed.). The problem of moral demandingness: new philosophical essays. Palgrave Macmillan. p. 148. ISBN 978-0-230-21940-3.
- ^ Kagan, Shelly (1984). "Does Consequentialism Demand too Much? Recent Work on the Limits of Obligation". Philosophy & Public Affairs. 13 (3): 239–54. JSTOR 2265413.
- ^ Slote, Michael (1984). "Satisficing Consequentialism".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Supplementary Volumes. 58: 139–176. doi:10.1093/aristoteliansupp/58.1.139. JSTOR 4106846.
- ^ Scheffler, Samuel (August 1994). The Rejection of Consequentialism: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the Considerations Underlying Rival Moral Conceptions (2nd ed.). Clarendon Press. ISBN 978-0-19-823511-8.
- ^ Kagan, Shelly (Summer 1984). "Does Consequentialism Demand too Much? Recent Work on the Limits of Obligation". Philosophy & Public Affairs. 13 (3): 239–254. JSTOR 2265413.
- ^ Goodin, Robert E. (1995). Utilitarianism as a Public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6. ISBN 978-0-521-46806-0.
- ^ GANDJOUR, Afschin (30 June 2007). "Is it Rational to Pursue Utilitarianism?". Ethical Perspectives. 14 (2): 139–158. doi:10.2143/EP.14.2.2023965.
- ^ Harsanyi, John C. (June 1975). "Can the Maximin Principle Serve as a Basis for Morality? A Critique of John Rawls's Theory A Theory of Justice by John Rawl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9 (2): 594–606. doi:10.2307/1959090. JSTOR 1959090. S2CID 118261543.
- ^ Rawls, John (2005).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p. 27. ISBN 978-0-674-01772-6.
- ^ 라이더, 리처드 D.진통제: 현대 도덕.센타우르 프레스, 2001. 27-29 페이지
- ^ Nagel, Thomas (2012). The Possibility of Altruism (New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34. ISBN 978-0-691-02002-0.
- ^ Gauthier, David (1963). Practical Reasoning: The Structure and Foundations of Prudential and Moral Arguments and Their Exemplification in Dis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p. 126. ISBN 978-0-19-824190-4.
- ^ Norcross, Alastair (2009). "Two Dogmas of Deontology: Aggregation, Rights and the Separateness of Persons" (PDF). Social Philosophy and Policy. 26: 81–82. doi:10.1017/S0265052509090049. S2CID 454545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November 2009. Retrieved 29 June 2012.
- ^ 정글의 도덕법칙(Philosophy Now 잡지 링크)에서 이안 킹은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제가 다른 사람들의 관심사와 저의 관심사를 조화시키는 방법은 우리 모두가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모든 것을 냄비에 붓고 나서 어떤 것이 만족스러운 욕구의 조합이 가장 많은 행복(혜택)을 만들어 낼지 보는 것이 아닙니다.우리가 그랬다면 난 완전히 수적 열세에 처할 수도...아니요, 우리가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방법은 공감을 통해서입니다.우리는 한 번에 한 명의 다른 사람의 마음 속에만 우리 자신을 상상하기 때문에, 공감은 일대일입니다.여기서 '국민'과 공감할 때도...나는 정말로 한 명의 여자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상상하고 있습니다.저는 제 자신이 한 사람 이상이 될 것이라고 상상할 수 없고, 당신도 그럴 수 없습니다."링크 액세스 2014-01-29.
- ^ King, Iain (2008). How to Make Good Decisions and Be Right All the Time. Continuum. p. 225. ISBN 978-1-84706-347-2.
- ^ 이 인용문은 Philosophy Now 잡지, Moral Laws of the Jungle(정글의 도덕적 법칙) 100호 2014년 1월 29일자에 실린 Iain King의 기사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 ^ Chandler Brett (16 July 2014). "24 and Philosophy". Blackwell. Retrieved 27 December 2019.
- ^ Frezzo, Eldo (25 October 2018). Medical Ethics: A Reference Guide. Routledge. p. 5. ISBN 978-1-138-58107-4.
- ^ Zuckerman, Phil (10 September 2019). What it Means to be Moral. Published by Counterpoint. p. 21. ISBN 978-1-64009-274-7.
- ^ John M. Taurek, "숫자가 계산되어야 하는가?", 철학과 공공문제, 6:4 (1977년 여름), pp. 293–316.
- ^ 파핏, 데릭 1978년에"윤리가 무한합니다."철학과 공보 7(4):285-301
- ^ 캄, 프란시스 미르나 1985년"동등대우와 기회균등"철학과 공보 14(2):177~94
- ^ 카브카, 그레고리 S. 1979."숫자는 헤아려야 한다", 철학 연구 36(3):285-94
- ^ 오츠카, 마이클2004년 '더 큰 수를 구하는 것에 대한 회의론'철학과 공보 32(4):413-26
- ^ 로러, 롭 2006년"타우렉, 숫자와 확률"윤리이론과 도덕적 실천 9(2):149-66
- ^ Smart, J. J. C.; Williams, Bernard (January 1973). Utilitarianism: For and Again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2. ISBN 978-0-521-09822-9.
- ^ "Godwin, "Political Justice," Book 2, Chap. 2".
- ^ Carlyle, Thomas (1841). "Lecture II. The Hero as Prophet. Mahomet: Islam.". On Heroes, Hero-Worship, & the Heroic in History.
- ^ 다스 자본 제1권 제24장 엔드노트 50
- ^ "Letter to Famil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11. Retrieved 1 April 2011.
- ^ Ross, W. D. (2002) [1930]. The Right and the Good. Clarendon Press.
- ^ Simpson, David L. "William David Ros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12 January 2021.
- ^ Scruton, Roger (2017). On Human Nature. Princeton. p. 96. ISBN 978-0-691-18303-9.
- ^ Laing, Jacqueline A. (1997), 인간의 삶에서 "순수함과 결과주의": 결과주의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 eds. J. A. Laing, D. S. Oderberg.런던, 맥밀런, 페이지 196-224
- ^ Sidgwick, Henry (1981). Methods of Ethics (7th ed.). Hackett Publishing Co. p. xxxvi. ISBN 978-0-915145-28-7.
- ^ Sidgwick, Henry (1981). Methods of Ethics (7th ed.). Hackett Publishing Co. p. 415. ISBN 978-0-915145-28-7.
- ^ Paley, William (1785). "The Principles of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Retrieved 1 July 2012.
- ^ Smart, J. J. C.; Williams, Bernard (January 1973). Utilitarianism: For and Again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7–28. ISBN 978-0-521-09822-9.
- ^ Parfit, Derek (January 1986). Reasons and Persons. Oxford Paperbacks. p. 388. ISBN 978-0-19-824908-5.
- ^ Shaw, William (November 1998). Contemporary Ethics: Taking Account of Utilitarianism. Wiley-Blackwell. pp. 31–35. ISBN 978-0-631-20294-3.
- ^ Shaw, William (November 1998). Contemporary Ethics: Taking Account of Utilitarianism. Wiley-Blackwell. p. 34. ISBN 978-0-631-20294-3.
- ^ Bentham, Jeremy (January 2009).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Dover Philosophical Classics. Dover Publications. p. 102. ISBN 978-0-486-45452-8.
- ^ Mill, John Stuart (1981). "Autobiography". In Robson, John (ed.). Collected Works, volume 3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51. ISBN 978-0-7100-0718-6.
- ^ a b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 65. ISBN 978-0-19-875163-2.
- ^ Mill, John Stuart (1981). "Comments upon James Mill's Analysis of the Phenomena of the Human Mind". In Robson, John (ed.). Collected Works, volume 3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252–53. ISBN 978-0-7100-0718-6. 가 인용한 바와 같이
- ^ a b Dancy, Jonathan (2000). "Mill's Puzzling Footnote". Utilitas. 12 (2): 219–22. doi:10.1017/S095382080000279X. S2CID 145777437.
- ^ Mill, John Stuart (February 2011). A System of Logic, Ratiocinative and Inductive. Classic Reprint. Forgotten Books. p. 51. ISBN 978-1-4400-9082-0.
- ^ 도덕과 입법의 교장에 대한 소개, Jeremy Bentham, 1789년 ("1780년 인쇄", 1789년 "최초 출판", 1823년 "저자에 의해 수정")효용의 원리의 제1장을 참조하십시오.동물에 관한 벤담에 관해서는, Ch. XVII 노트 122를 참조.
- ^ Mill, J. S. "Whewell on Moral Philosophy" (PDF). Collected Works. 10: 185–87.
- ^ Sidgwick, Henry (1981). Methods of Ethics (7th ed.). Hackett Publishing Co. p. 414. ISBN 978-0-915145-28-7.
- ^ 피터 싱어, 동물해방, 제1장, pp. 7-8, 2판, 1990.
- ^ 동물 해방, 2판 2010년 12월 5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싱어, 피터, 1975, 1990, 발췌, 171-74쪽, 굴, 홍합 등에 관한 주요 통로. 174쪽(이 발췌의 마지막 단락).그리고 실제 책의 각주에서 싱어는 " 연체동물에 대한 나의 마음의 변화는 R.I. 시코라와의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라고 쓰고 있습니다.
- ^ "Mill's "On Nature"". www.lancaster.ac.uk. 1904. Retrieved 9 August 2015.
- ^ Cowen, T. (2003). c. Hargrove, Eugene (ed.). "Policing Nature". Environmental Ethics. 25 (2): 169–182. doi:10.5840/enviroethics200325231.
- ^ Fisher, Richard. "The intelligent monster that you should let eat you". www.bbc.com. Retrieved 2 July 2023.
- ^ MacAskill, William; Meissner, Darius. "Acting on Utilitarianism". Introduction to Utilitarianism. Retrieved 11 February 2021.
- ^ "Ethics - Lying". BBC. 1 January 1970. Retrieved 30 June 2022.
- ^ N. Gregory Mankiw; Matthew Weinzierl (2010). "The Optimal Taxation of Height: A Case Study of Utilitarian Income Redistribution". American Economic Journal: Economic Policy. 2 (1): 155–176. CiteSeerX 10.1.1.208.8375. doi:10.1257/pol.2.1.155. JSTOR 25760055.
- ^ 피터 싱어: 이타심이 효과적인 이유와 방법 토크 영상 TED.com
서지학
- 아담스, 로버트 메리휴 1976년"모티브 공리주의"Journal of Philosophy 73(14):467-81. Doi:10.2307/2025783. JSTOR 2025783
- 알리칸, 네셉 피크리 1994년밀의 효용원리: 존 스튜어트 밀의 악명높은 증명에 대한 방어암스테르담:Rodopi B.V. 에디션ISBN 978-90-518-3748-3.
- 앤스컴, G.E.M. 1958."근대 도덕철학"철학 33(124):1-19. Doi:10.1017/s00318100037943. JSTOR 3749051.
- 애쉬크래프트, 리처드 1991년존 로크: 비판적 평가.루틀리지.
- 베일스, 1968년 의학박사현대 공리주의.더블데이:앵커 북스.
- 벤담, 제레미.[1789] 2009.도덕과 입법의 원리에 대한 소개(Dover Philosophical Classics)도버 출판사ISBN 978-0-486-45452-8.
- 벤담, 제레미, 그리고 에티엔 뒤몽.[1807] 2005.입법론: 에티엔 뒤몽 프랑스어 번역, R 옮김.힐드레스.Adamant Media Corporation입니다.ISBN 978-1-4021-7034-8.
- 보우링, 존.[1838–1843] 2001.제레미 벤담의 작품 1Adamant Media Corporation입니다.ISBN 978-1-4021-6393-7.
- 브랜트, 리차드 B. 1979.선과 선의 이론.클라렌던 프레스.ISBN 978-0-19-824550-6.
- 브레데슨, 딘 2011년"실용주의 vs.의리 윤리학."Applied Business Ethics에서: 스킬 기반 접근 방식.센게이지 학습.ISBN 978-0-538-45398-1.
- 브룸, 존 1991년에물품 무게 측정.옥스퍼드: 바질 블랙웰.
- 댄시, 조나단.2000년 "밀의 곤혹스런 각주"Utilitas 12(2):219. Doi:10.1017/S095382080000279X
- 데넷, 다니엘.1995. 다윈의 위험한 아이디어.사이먼 & 슈스터.ISBN 978-0-684-82471-0.인터넷 보관 ID: darwins dangerous0000den.
- 1993년 프레드 펠드먼"행위와 동기 공리주의의 일관성에 관하여:로버트 애덤스에게 보내는 답신."철학적 연구 70(2):201-12. Doi:10.1007/BF00989590.
- 고티에, 데이빗.1963. 실용적 추론: 푸르덴셜과 도덕적 논쟁의 구조와 기초와 담론에서의 예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824190-4.
- 게이, 존 2002년에"덕과 도덕의 근본원리에 관하여"J. B. 편집, 몽테뉴에서 칸트까지의 도덕철학에서.슈니윈드.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00304-9.
- 굿인, 로버트 E. 1995.공공철학으로서의 공리주의.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46806-0.
- 굿스타인, 이반 2011년"윤리학과 경제학"경제학과 환경학 2장.와일리.ISBN 978-0-470-56109-6.
- 하비브, 알렌.[2008] 2014.'약속'."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 헤일로비, 엘리 1966년철학적 급진주의의 성장.비콘 프레스.ISBN 978-0-19-101020-0.
- 홀, 에버렛 W. 1949."벤담과 방앗간의 효용성에 대한 '증명'."윤리60(1):1-18. 도이:10.1086/290691.JSTOR 2378436.
- 하딘, 러셀.1990.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도덕성시카고 대학 출판부.ISBN 978-0-226-31620-8.
- 헤어, R. M. 1972-1973. "대통령 연설: 원칙"아리스토텔레스 학회, 뉴 시리즈, 73:1-18. 도이:10.1093/아리스토텔리안/73.1.1. JSTOR 4544830
- —— 1981.도덕적 사고: 그것의 수준, 방법, 그리고 요점.옥스포드: 클라렌던 프레스.ISBN 978-0-19-824660-2.
- 하샤니, 존 C. 1977."도덕과 이성적 행동이론"사회 연구 44(4):623-56. JSTOR40971169
- —— 1975."맥시멈 원칙이 도덕성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요? 존 롤스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9(2):594-606. Doi:10.2307/1959090JSTOR 195909090S2CID 118261543.
- 후커, 브래드.2002. 이상적 코드, 현실세계: 규칙-결과주의 도덕론클라렌던 프레스.ISBN 978-0-19-925657-0.
- —— 2011."요구에 대한 반대"8장 도덕적 요구의 문제: 새로운 철학 에세이, T 편집채펠.팔그레이브 맥밀런.ISBN 978-0-230-21940-3.
- 흄, 데이비드.[1751] 2002."도덕의 원칙에 관한 문의"J. B. 편집, 몽테뉴에서 칸트까지의 도덕철학에서.슈니윈드.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00304-9.
- 허치슨, 프랜시스[1725] 2002."아름다움과 미덕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의 독창적인 것."J. B. 편집, 몽테뉴에서 칸트까지의 도덕철학에서.슈니윈드.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00304-9.
- 케이건, 셸리 1991년에도덕의 한계 (옥스퍼드 윤리 시리즈)클라렌던 프레스.ISBN 978-0-19-823916-1.
- —— 1984."결과주의는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합니까?의무의 한계에 관한 최근 연구."철학과 공보 13(3):239-54. JSTOR 2265413
- 라이언스, 데이비드 1965년공리주의의 형식과 한계.옥스포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824197-3.
- 맥클로스키, 1957년 H.J."제한적 공리주의에 대한 고찰"철학적 고찰 66(4):466-85. 도이:10.2307/2182745. JSTOR 2182745
- —— 1963."실용주의적 처벌에 관한 노트"Mind 72(288):599. Doi:10.1093/mind/LXXII.288.599. JSTOR 2251880.
- Mill, John Stuart (1998). Crisp, Roger (ed.). Uti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5163-2.
- —— (February 2011). A System of Logic, Ratiocinative and Inductive (Classic Reprint). Forgotten Books. ISBN 978-1-4400-9082-0.
- —— (1981). "Autobiography". In Robson, John (ed.). Collected Works, volume 3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SBN 978-0-7100-0718-6.
- Moore, G. E. (1903). Principia Ethica. Prometheus Books UK. ISBN 978-0-87975-498-3.
- Nagel, Thomas (2012). The Possibility of Altru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Ed edition. ISBN 978-0-691-02002-0.
- Norcross, Alastair (2009). "Two Dogmas of Deontology: Aggregation, Rights and the Separateness of Persons" (PDF). Social Philosophy and Policy. 26: 76. doi:10.1017/S0265052509090049. S2CID 454545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November 2009. Retrieved 29 June 2012.
- Oliphant, Jill (2007). OCR Religious Ethics for AS and A2. Routledge.
- Paley, William (2002). "The Principles of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In Schneewind, J. B. (ed.). Moral Philosophy from Montaigne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0304-9.
- Parfit, Derek (January 1986). Reasons and Persons. Oxford Paperbacks. ISBN 978-0-19-824908-5.
- Popkin, Richard H. (October 1950). "A Note on the 'Proof' of Utility in J. S. Mill". Ethics. 61 (1): 66–68. doi:10.1086/290751. JSTOR 2379052. S2CID 170936711.
- Popper, Karl (2002).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Routledge. ISBN 978-0-415-29063-0.
- Rawls, John (22 March 2005).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reissue edition. ISBN 978-0-674-01772-6.
- Rosen, Frederick (2003).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 Ryder, Richard D (2002). Painism: A Modern Morality. Centaur Press.
- Scheffler, Samuel (August 1994). The Rejection of Consequentialism: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the Considerations Underlying Rival Moral Conceptions, Second Edition. Clarendon Press. ISBN 978-0-19-823511-8.
- Schneewind, J. B. (1977). Sidgwick's Ethics and Victorian Moral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4552-0.
- Shaw, William (November 1998). Contemporary Ethics: Taking Account of Utilitarianism. Wiley-Blackwell. ISBN 978-0-631-20294-3.
- Sidgwick, Henry (January 1981). Methods of Ethics. Hackett Publishing Co, Inc; 7th Revised edition. ISBN 978-0-915145-28-7.
- Singer, Peter (2001). Animal Liberation. Ecco Press. ISBN 978-0-06-001157-4.
- —— (February 2011). Practical Ethics, Thi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0768-8.
- Slote, Michael (1995). "The Main Issue between Unitarianism and Virtue Ethics". From Morality to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9392-6.
- —— (1984). "Satisficing Consequentialism".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Supplementary Volumes. 58: 139–76. doi:10.1093/aristoteliansupp/58.1.139. JSTOR 4106846.
- Smart, J. J. C.; Williams, Bernard (January 1973). Utilitarianism: For and Again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9822-9.
- —— (1956). "Extreme and Restricted Utilitarianism". Philosophical Quarterly. 6 (25): 344–54. doi:10.2307/2216786. JSTOR 2216786. S2CID 147501349.
- Smart, R. N. (October 1958). "Negative Utilitarianism". Mind. 67 (268): 542–43. doi:10.1093/mind/LXVII.268.542. JSTOR 2251207.
- Smith, Wilson (July 1954). "William Paley's Theological Utilitarianism in America". William and Mary Quarterly. Third Series. 11 (3): 402–424. doi:10.2307/1943313. JSTOR 1943313.
- Soifer, Eldon (2009). Ethical Issues: Perspectives for Canadians. Broadview Press. ISBN 978-1-55111-874-1.
- Urmson, J. O. (1953). "The Interpretation of the Moral Philosophy of J. S. Mill". Philosophical Quarterly. 3 (10): 33–39. doi:10.2307/2216697. JSTOR 2216697.
추가열람
- 브룸, 존. 1998년."근대 공리주의".P에 의해 편집된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and the Law 2에서 페이지 651-56. 뉴먼.런던: 맥밀런.
- 콘맨, 제임스 등 1992.철학적 문제와 논쟁 – 서론 (4번째)인디애나폴리스, IN: 해켓 출판사
- 글로버, 조나단 1977년죽음을 초래하고 생명을 구합니다.펭귄 북스.ISBN 978-0-14-022003-2.OCLC 4468071
- 한사스, 존.2008. "실용주의" R 편집 자유지상주의 백과사전 518-19페이지 하모위.Thousand Oaks, CA: SAGE / 카토 인스티튜트.ISBN 978-1-4129-6580-4. Doi:10.4135/9781412965811.n317. LCCN 2008-9151.OCLC 750831024.
- 하우드, 스털링.2009. "열한 가지 공리주의 반대"11장 도덕철학: 한 독자 (4판), L. P. Pojman and P. 편집트램엘.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폴리스: 해켓.ISBN 978-0-87220-962-6.OCLC 488531841.
- 매키, J.L. 1991년"실용주의"윤리학 6장: 옳고 그름을 발명하는 것.펭귄 북스.ISBN 978-0-14-013558-9.
- 마틴, 마이클.1970년 "칸트 공리주의 원칙"철학 연구 21:90-91
- Rachels, James, Stuart Rachels. 2012."실용주의적 접근"과 "실용주의 논쟁"도덕철학의 요소 중 7장과 8장.맥그로힐 고등교육.ISBN 978-0-07-803824-2.
- Scheffler, Samuel (1988). Consequentialism and its Cr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5073-4.
- 실버스타인, 해리 S. 1972."콘만의 실용주의 칸트의 원칙에 대한 옹호"철학 연구 23:212–15
- Singer, Peter (1993). "esp. Chapter 19 & 20, Consequentialism & The Utility and the Good". A Companion to Ethics. Blackwell Companions to Philosophy. Wiley-Blackwell. ISBN 978-0-631-18785-1.
- 1981년 가수 피터확장 원: 윤리학과 사회생물학.뉴욕: Farrar, Straus & Giroux.ISBN 0-374-15112-1
- —— 1993."결과주의"와 "효용과 선". 윤리에 대한 동행 (블랙웰의 철학에 대한 동행) Ch. 19 & 20.와일리-블랙웰.ISBN 978-0-631-18785-1.
- 스톡스, 에릭 1959년영국의 실용주의자들과 인도.클라렌던 프레스.OCLC930495493
- 섬너, L. 웨인.낙태: 제3의 방법.프린스턴, 뉴저지: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 Vergara, Francisco (1998). "A Critique of Elie Halévy: refutation of an important distortion of British moral philosophy" (PDF). Philosophy. 73: 97–111. doi:10.1017/s0031819197000144. S2CID 170370954.
- —— (2011). "Bentham and Mill on the 'Quality' of Pleasures". Revue d'Études Benthamiennes (9). doi:10.4000/etudes-benthamiennes.422.
- Williams, Bernard (1993). "esp. Chapter 10, Utilitarianism". Morality: An Introduction to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5729-3.
- 윌리엄스, 버나드 1993년"실용주의"도덕 10장: 윤리학 개론.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45729-3.
외부 링크
- 실용주의 입문 윌리엄 맥 애스킬이 공동 집필한 실용주의 입문 온라인 교과서
- Nathanson, Stephen. "Act and Rule Utilitarian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 Sinnott-Armstrong, Walter. "Consequentialism".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Driver, Julia. "The History of Utilitarianism".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Utilitarian.org 자주 묻는 질문 데이비드 피어스(David Pearce)와 관련된 웹사이트의 공리주의에 대한 나이젤 필립스(Nigel Phillips)의 자주 묻는 질문.
- Ian Montgomerie의 실용주의 FAQ.
- 영국의 실용주의자들, 레슬리 스티븐 경의 제1권
- 영국의 실용주의자들, 레슬리 스티븐 경의 2권
- 실용주의 철학자들 고전적이고 현대적인 주요 실용주의 철학자들의 글 모음.
- 공리주의 윤리적 문제와 비판에 적용된 고전적 공리주의, 그리고 현대적 대안의 요약.
- 공리주의적 자원 정의, 기사 및 링크 모음.
- 공리주의의 요소와 형태에 대한 입문서 공리주의의 주요 요점을 편리하게 요약합니다.
- 2차 윤리로서의 공리주의 공리주의, 그 지지자와 비평가에 대한 간결한 검토.
- 공리주의에 대한 잘 알려지지 않은 반대의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