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폴리트 콥스 카야
Anna Politkovskaya안나 폴리트 콥스 카야 | |
---|---|
![]() 폴리트 콥스 카야 독일 라이프치히에 2005년 3월 인터뷰하는 동안. | |
태어난 | 안나 Stepanovna 마제파 (1958-08-30)30 8월 1958년 뉴욕, 미국 |
죽은 | 710월 2006(2006-10-07)(48세). 모스크바, 러시아 |
휴게소 | Troyekurovskoye 묘지, 모스크바 |
직업 | 저널리스트, 작가 |
국적 | Russian[1] |
훌륭한 시민 | 러시아, 미국 States[2] |
모교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
기간 | 1982–2006 |
제목 | 정치, 언론, 인권, 사회 문제의 자유. |
주목할 만한 작품 | 푸틴의 러시아:한 Failing 민주주의, 소규모 코너 지옥의:체첸에서 보내 온 특전들에서의 삶은. |
주목할 만한 상 | 국제 사면 위원회 글로벌 상 인권 언론. 2001 |
배우자 | 알렉산더 Politkovsky |
아이들. |
|
안나 Stepanovna 폴리트 콥스 카야(러시아:Анна Степановна Политковская, IPA:[ˈanːə sʲtʲɪˈpanəvnə pəlʲɪtˈkofskəjə];. :Ганна Степанівна Політковська, IPA:[ˈɦɑnːɐ steˈpɑn⁽ʲ⁾iu̯nɐ pol⁽ʲ⁾itˈkɔu̯sʲkɐ];née 마제파, Мазепа, IPA:[mɐˈzɛpɐ];30분 8월 1958년 – 72006년 10월의 Russian[1]언론인, 작가, 러시아에서 특히 정치적 사건들은 제2차 체첸 전쟁(1999–2005)에 대해 보도했다 인권 운동가 우크라이나.[3]
체첸에서 그것은 그녀의 보고는 폴리트 콥스 카야의 국내외 유명했다.[4] 7년간, 그녀는 협박, 폭력의 수많은 행위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대한 보고 포기하지 않았다. 폴리트 콥스 카야 체첸에서 러시아 군사력에 의해 모의 처형을 당하는 일이 체포되었다. 반면 모스크바에서 로스토프나도누를 통해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기를 그녀는, 돌아가기, 모스크바에서 면밀한 의학적 치료를 그녀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독됐다.
체첸에서 조건에 대한 그녀의post-1999 기사 책에 여러번. 그녀의 조사와 출판물에[5]러시아 독자들의 주 액세스 노바야 가제타, 러시아 신문 러시아 정치, 사회적 문제의often-critical 수사 보도로 잘 알려 져 있는 것이 아닌가 놓았다. 2000년부터 그 이후, 그녀는 자기 일에 많은 국제 상을 받았다. 2004년에 그녀는 러시아의 개인 계정인 푸틴의 러시아를 서양 독자층을 위한 출판했다.[6]
2006년 10월 7일, 그녀는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던 암살 사건인 그녀의 아파트 단지 엘리베이터에서 살해되었다.[7][8][9] 2014년 6월 이 살인사건으로 남성 5명이 실형을 선고받았지만 계약살인을 지시하거나 대가를 지불한 사람이 누구인지 여전히 불분명하다.[10]
조기생활과 교육
폴리트코프스카야는 1958년 뉴욕시에서 안나 마제파(Anna Mazepa)로 우크라이나 코스토브리 출신의 스테판 페도로비치 마제파(1927–2006)와 케르치 출신의 라이사 알렉산드로브나 마제파(1929–2021)의 딸이다. 일부 소식통들은 그녀의 출생 이름이 실제로 한나 메이즈파였다고 말한다.[11] 다른 소식통들은 그녀가 우크라이나의 체르니히브 지역에서 태어났다고 말한다.[12] 그녀의 부모님인 유엔의 소련 외교관들은 우크라이나인이었다.[13] Politkovskaya는 그녀의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모스크바에서 보냈다; 그녀는 1980년에 모스크바 주립대학의 저널리즘 학교를 졸업했다.[14] 그곳에서 그녀는 마리나 츠베태바의[15] 시에 관한 논문을 옹호했고 동료 학생인 알렉산더 폴리티코프스키와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베라와 일리야라는 두 아이가 있었다. 처음에 알렉산더는 더 잘 알려져 있었고, 심야 TV 프로그램인 Vzglyad의 진행자 중 한 명으로 TV 저널리스트인 Bladislav Listyev에 합류했다. 어린 시절과는 별개로 폴리트코프스카야는 목숨이 위협받을 때도 어느 때라도 러시아 밖에서 몇 주밖에 보내지 않았다. 그녀는 러시아 시민권을 포기하지 않았지만 미국 시민권자였고 미국 여권을 가지고 있었다.[2]
저널리즘 작품
폴리트코프스카야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이즈베스티아에서 비상사태 및 사고 분야의 기자 및 편집자로 일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그녀는 예고르 야코블레프가 이끄는 오브차야 가제타의 부편집장으로 일하면서 사회문제, 특히 난민들의 곤경에 대해 자주 글을 썼다. 1999년 6월부터 2006년까지, 그녀는 처음부터 새로운 소비에트 정권에 비판적인 강력한 조사 보도의 신문인 격주 노바야 가제타의 칼럼을 썼다. 그녀는 푸틴의 러시아를 포함하여 블라디미르 푸틴의 통치하에 있는 체첸, 러시아에서의 생활, 그리고 러시아에 관한 여러 권의 수상작들을 출판했다.[16][17]
체첸으로부터의 보고
Politkovskaya는 그녀의 업적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17][18] 그녀는 9월 11일 미국에 대한 공격 이후, "테러와의 전쟁"에 푸틴이 기여한 것을 환영한 서방 정부들의 더 큰 우려와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 이 각각의 기회를 이용했다. 그녀는 당국자, 군, 경찰과 대화를 나누었으며 체첸과 이웃 잉구셰티아에 있는 병원과 난민 수용소를 자주 방문하여 부상자와 피랍된 사람들을 인터뷰했다.[citation needed]
폴리트코프스카야는 체첸 전쟁과 그곳의 친러 정권에 비판적인 수많은 기사에서 러시아 군대와 체첸 반군, 그리고 아흐마드 카디로프와 그의 아들 람잔 카디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지원 정부에 의해 저질러진 학대에 대해 묘사했다.[citation needed] 그녀는 또한 북 코카서스의 다른 곳에서의 인권 유린과 정책 실패를 만성화했다. 1999년 한 특징적인 예로, 그녀는 그로즈니에 폭격을 당한 인종적으로 혼합된 노인들의 집에 대한 곤경에 대해 썼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신문과 대중의 지지를 얻어 노인들의 안전한 대피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더러운 전쟁'(2001)과 '지옥의 작은 구석'(2003)의 근간을 이루는 그녀의 글은 연방군에서 체첸 전투기와 징집병들을 잔인하게 학살하고 그들 사이에 붙잡힌 민간인들을 지옥으로 만든 갈등을 묘사하고 있다.
폴리트코프스카야의 보고대로, 카디로프 족 밑에서 회복된 것으로 추정되는 명령은 체첸의 새로운 당국이나 체첸에 근거지를 둔 여러 연방군에 의해 고질적인 고문, 납치, 살인의 정권이 되었다.[16] 그녀의 마지막 조사 중 하나는 체첸 학생들이 강하고 알려지지 않은 화학 물질에 의해 대량 중독되어 수개월 동안 무력화되었다는 의혹에 관한 것이었다.[19]
블라디미르 푸틴과 FSB 비판
폴리트코프스카야가 서양에 널리 알려진 후, 그녀는 푸틴의 러시아(실패한 민주주의에서의 삶이라는 부제를 달고, 블라디미르 푸틴 전 KGB 중령이 보리스 옐친의 총리가 된 후 그녀의 견해와 경험에 대한 더 넓은 설명을 쓴 후, 그의 뒤를 이어 러시아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여기에는 푸틴의 제2차 체첸전쟁 추진이 포함됐다. 그녀는 이 책에서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이 소련식 독재정권을 확립하기 위해 모든 시민적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고 비난했지만 다음과 같이 인정했다.
푸틴의 정책에 책임이 있는 것은 바로 우리다. [s]정확한 무관심을 보였다... [a]체크주의자들은 권력에 고착되어 있고, 우리는 그들에게 우리의 두려움을 보게 했고, 따라서 우리를 소처럼 대하고 싶은 충동을 증폭시켰을 뿐이다. KGB는 강자만을 존중한다. 약한 자들이 먹어치운다. 우리는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알아야 한다.
그녀는 또한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다시 소련의 심연 속으로, 우리의 무지에서 죽음을 부르는 정보공백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우리에게 남은 것은 정보가 여전히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인터넷뿐이다. 나머지는 기자 생활을 계속하려면 푸틴에게 완전히 비굴한 짓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특수 서비스인 푸틴의 경호견들이 적합하다고 보는 것이 죽음, 총알, 독 또는 재판일 수 있다.[20]
"사람들은 내가 비관주의자라고, 러시아 국민의 힘을 믿지 않는다고, 푸틴에 대한 반대에도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고, 그 이상은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고 종종 말한다." 그녀는 "나는 두렵지?"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펴서, "만약 그들이 '최적주의' 예측에서 위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들은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둬라"라는 말을 끝맺는다.o. 확실히 더 쉬운 방법이지만, 그것은 우리 손주들에게 사형선고다."[21][22][23][24][25][26]
러시아 일기
2007년 5월 랜덤하우스는 자신의 수첩과 다른 글에서 발췌한 내용이 담긴 폴리티코프스카야의 <러시아 일기>를 사후에 출간했다. A기자의 파이널 계정 생명, 부패, 그리고 죽음의 푸틴의 러시아의 Subtitled, 그 책은 2003년 12월 8월부터 2005년까지, 그녀는"러시아 의회 민주주의의 죽음", 베슬란 학교 인질 사건과 1월 8월부터 2005년까지"겨울과 불만의 여름"이라고 표현한 것 포함한 당시 그녀의 설명을 하고 있다.[27] 번역가 아치 테이트는 "번역이 완료되는 동안 최종 편집은 그녀의 도움 없이 진행되어야 했다"고 책에 적었다.[28]
영국 채널 4의 메인 뉴스 앵커인 존 스노우는 이 책의 영국판 서문에서 "누가 안나를 죽였는지, 살인범 너머에 누운 사람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고 썼다. 그는 "그녀의 살인으로 인해 우리 중 너무 많은 이들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정보와 접촉의 원천을 빼앗았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그것은 적어도 러시아의 현재 중심부에 있는 암흑세력의 마스킹 해제를 위한 방도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여질지도 모른다. 나는 그녀의 모든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대러시아의 길과 폭에 걸쳐 방대한 양으로 공중에서 떠내려와야 한다는 느낌으로 <러시아 일기>를 다 읽었다는 것을 고백해야겠다."[29]
인질 협상 시도
폴리트코프스카야는 2002년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에서 인질 석방을 위한 협상 시도에 밀접하게 관여했다. 2004년 9월 초 북 코카서스에서 베슬란 학교 인질극이 벌어졌을 때 폴리트코프스카야는 중재자 역할을 하기 위해 그곳으로 날아가려 했으나 로스토프온돈에서 독살 미수(독살 참조)로 인해 급성병인 비행기에서 내렸다.[30][31]
러시아 당국으로의 접근
모스크바에서, 폴리티코프스카야는 주최자들이 그녀에 대한 동정심을 품고 있다는 의심을 받을 경우에 대비해, 크렘린 관리들이 참석할 수 있는 기자회견이나 모임에 초대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위 관리들은 그녀가 기사를 쓰거나 조사를 할 때 그녀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의 기사에 따르면, 그들은 그녀에게 "하지만 그들이 관찰될 것 같지 않을 때만: 군중 속에서 또는 스파이와 같은 다른 경로로 접근한 집 안에서"라고 말했다.[16] 그녀는 또한 크렘린궁이 그녀의 정보에 대한 접근을 막고 그녀의 신용을 떨어뜨리려 했다고 주장했다.
내가 선택한 다른 길의 즐거움, 독살, 체포, 편지 속의 협박, 인터넷을 통해 전화에 의한 살해 협박, 매주 검찰 총영사실에 소환하여 내가 쓰는 모든 기사에 대한 진술서에 서명(첫 번째 질문은 "어떻게 어디서 이 정보를 입수했는가이다.n?) 물론 나를 모스크바의 미친 여자로 내세우며 다른 신문이나 인터넷 사이트에 나오는 나에 대한 끊임없는 조롱 섞인 기사들은 좋아하지 않는다. 나는 이런 식으로 사는 것이 역겹다고 생각한다. 나는 조금 더 이해를 하고 싶다.[16]
죽음의 위협
노바야 가제타의 동료인 비야체슬라프 이즈마일로프는 1999년 이전 체첸에서 수십명의 인질 석방을 협상했던 군인이며 "전선의 군인들은 전투에 자주 참가하지 않고 생존한다"고 말했다.e".[32]
폴리트코프스카야 자신은 두려워하는 것을 부인하지 않았지만, 그녀의 정보원들에 대해 책임감과 걱정을 느꼈다. 그는 2005년 12월 비엔나에서 열린 국경 없는 기자단 주최로 열린 언론 자유에 관한 회의에 참석해 "사람들은 때때로 자신의 생각을 큰 소리로 말한 것에 대해 목숨을 바친다"고 말했다. 사실, 정보를 줘서 죽을 수도 있어. 나만이 위험에 처한 것은 아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예들이 있다고 말했다.[33] 그녀는 종종 그녀의 일로 인해 살해 위협을 받았고, 체첸에서 군에게 체포된 후 강간 위협을 받고 모의 사형을 경험하는 등 살해 위협을 받았다.[34][35]
체첸의 구금
2001년 초, 폴리트코프스카야는 남부 산촌 마을 카투니에 군 간부들에 의해 억류되었다.[36] 그녀는 90명의 체첸 가족들로부터 연방군의 "징벌적 습격"에 대한 불만을 조사하고 있었다. 그녀는 로지타 토브제니 마을에서 온 체첸 할머니를 인터뷰했는데, 그는 12일 동안 구타와 전기 충격, 구덩이 감금 등을 견뎌냈다. 로지타를 체포한 남자들은 자신을 FSB 직원으로 내세웠다. 고문관들은 로지타의 친척들에게 몸값을 요구했고, 로지타는 그들이 지불할 수 있는 적은 액수를 협상했다. 또 다른 인터뷰 대상자는 카투니 마을 인근 '상업적 행태가 있는 강제수용소'에서 체첸 남성들에 대한 살해와 강간 사건을 묘사했다.[37][38][39]
수용소를 떠나자마자 폴리트코프스카야는 러시아군에게 억류, 취조, 구타, 굴욕을 당했다. "젊은 장교들은 능숙하게 나의 아픈 곳을 때리면서 나를 고문했다. 그들은 내 아이들의 사진을 훑어보면서 아이들에게 무엇을 하고 싶은지 말했어. 이 일은 약 3시간 동안 계속되었소."[40] 그녀는 BM-21 Grad 다연발 로켓 시스템을 이용한 모의 사형을 당했고, 그 후 차 한 잔에 중독되어 토했다. 그녀의 테이프 레코드는 압수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모의 처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수척한 얼굴에 둔탁한 검푸른 불룩한 눈을 가진 중령이 사무적인 어조로 말했다. 쏴버릴 거야." 그는 나를 천막 밖으로 완전히 어둠 속으로 인도했다. 이곳의 밤은 통행할 수 없다. 우리가 잠시 걷고 나서 그는 "준비 됐든 안 됐든 내가 간다"고 말했다. 뭔가가 내 주위에서 진동하는 불길과 함께 터지고, 꽥꽥거리고, 포효하고, 으르렁거렸다. 내가 겁에 질려 웅크렸을 때 중령은 매우 기뻐했다. 알고 보니 발사되는 순간 '그라드' 로켓 발사기 바로 밑에 나를 이끌었던 것이다.[40]
모의 처형 후 러시아 중령은 그녀에게 이렇게 말했다. "여기 반야가 있다. 옷을 벗어." 그는 자신의 말이 아무런 효과도 없는 것을 보고 "진짜 중령이 구애를 하고 있는데 너는 싫다고 한다, 이 호전적인 년아."[40]라고 몹시 화를 냈다.
2006년 유럽인권재판소는 잉구시 무장단체로 의심되는 카지-무라트 얀디예프의 강제 실종에 대한 책임을 러시아 연방에 인정했다. 폴리트코프스카야의 캠프 가이드인 폴리트코프스카야가 포로로 잡힌 무장단체를 구덩이에 가둬두라고 지시한 인물로 거론한 러시아 코카서스 배치 사령관 알렉산더 바라노프 대령이 얀디예프에게 처형 명령을 내리는 장면이 촬영됐다.[41]
중독
폴리트코프스카야는 2004년 9월 베슬란(북오세티아)의 한 학교에서 1000명의 인질을 넘겨받은 사람들과 협상을 돕기 위해 남쪽으로 비행하던 중 아에로플로트 승무원이 준 차를 마신 뒤 심하게 쓰러져 의식을 잃었다. 보도에 따르면 그녀는 독살됐으며 일부는 구소련 비밀경찰 독살 시설을 고발했다.[42][43]
OMON 담당자의 위협
2001년 체첸에서 민간인들에 대한 잔학행위로 고발한 경찰관이 복수를 노리고 있다는 이메일 협박에 따라 폴리티코프스카야는 비엔나로 도주했다. 세르게이 라핀 상병은 2002년에 체포되어 기소되었으나, 그에 대한 소송은 이듬해 종결되었다. 2005년 라핀은 체첸 민간인 억류자의 고문과 그에 따른 실종으로 유죄판결을 받고 수감되었는데, 이 사건은 폴리트코프스카야가 그녀의 기사 "Disclosing People"[44][45]에서 폭로한 사건이다. 라핀의 전 동료 장교는 폴리트코프스카야 살해 용의자들 중 한 명이었는데, 그 동기는 라핀의 유죄 판결에서 그녀 쪽에 대한 복수였을지도 모른다는 이론에 관한 것이었다.[45]
람잔 카디로프와의 갈등
2004년 폴리트코프스카야는 당시 체첸 총리였던 람잔 카디로프와 대화를 나눴다. 그의 조수 중 한 명이 그녀에게 말했다. "누군가가 모스크바에서처럼 거리에서 당신을 다시 쐈어야 했다." 람잔은 그의 뒤를 따라 "너는 원수야. 노바야 가제타의 수석 편집자인 드미트리 무라토프 폴리트코프스카야는 살해 당일에 카디로비테스로 알려진 체첸 보안 분리대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문 관행에 대해 장문의 기사를 제출할 계획이었다고 말했다.[46] 마지막 인터뷰에서 그녀는 현재 체첸의 대통령인 카디로프를 "우리 시대의 체첸 스탈린"[47]이라고 묘사했다.
살인, 수사, 재판


Politkovskaya는 2006년 10월 7일 모스크바 중심부에 있는 그녀의 아파트 단지에서 리프트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다.[49] 그녀는 가슴에 두 번, 어깨에 한 번, 머리에 한 번 총상을 입은 적이 있었다.[50][51][52][53] 그 암살에 대한 국제적인 반응이 널리 퍼졌다.
장례식은 2006년 10월 10일 모스크바 외곽의 트로이쿠로브스코예 묘지에서 거행되었다. 폴리트코프스카야가 묻히기 전, 1천 명 이상의 조문객들이 그녀의 관을 지나 마지막 경의를 표하기 위해 몰려들었다. 수십 명의 폴리티코프스카야의 동료, 공인, 그녀의 작품을 숭배하는 사람들이 묘지에 모였다. 기념식장에는 러시아 고위관료들이 보이지 않았다.[54] 폴리트코프스카야는 그녀 직전에 죽은 그녀의 아버지 근처에 묻혔다.
2007년 5월, 노바야 가제타(Novaya Gazeta)가 안나(Anna)의 기사에 대해 '좋은 이유와 함께'라는 제목의 대규모 사후에 출판되어 모스크바의 고르바초프 재단에서 출범하였다.[55] 이 행사는 안나의 이름을 딴 손자가 태어난 직후에 이루어졌다: 베라의 딸은 그녀의 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안나라고 이름 붙여졌다. 몇 달 후, 10명의 남자가 폴리트코프스카야의 살해에 여러 가지 수준의 연루 혐의로 구금되었다.[56] 이 중 4명은 2008년 10월 모스크바 지방군사법원에 인도됐다.
1심, 2008-2009
용의자 중 두 명의 동생으로 알려진 폴리트코프스카야의 살인범을 직접 도운 혐의로 세 명의 남자가 기소되었다. FSB 대령인 네 번째 남자가 FSB 조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심을 받았지만 살인 혐의를 적용하기에는 증거가 불충분했다. 그는 또 다른 범죄로 동시에 재판을 받았다. 이 사건은 배심원(러시아에서는 보기 드문 사건)[57]에 앞서 열렸고, 배심원들이 주장한 후 언론과 대중에게 공개되었다.[58][59][60]
2008년 11월 25일, 폴리티코프스카야의 살인은 러시아 내부의 정치인에 의해 지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되었다. 재판을 받고 있는 남성들의 변호사인 무라드 무사예프는 기자들에게 이번 사건 노트는 범죄의 해석 중 하나로서 러시아에 기반을 둔 정치인이 그녀의 사망 배후에 있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61][62]
2008년 12월 5일, 노바야 가제타의 선임 편집자인 세르게이 소콜로프는 법정에서 피고인 다하브레일 막후무도프가 FSB의 대리인이라는 정보를 (이름을 밝히지 않을 소식통으로부터) 입수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사업가 살해 미수 혐의로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던 막무도프의 삼촌 롬알리 가이투카예프도 FSB에서 일했다고 말했다.[63][64]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는 이 남자는 벨기에 경찰의 도움을 받아 체첸 공화국에 구금되어 조사를 받기 위해 모스크바로 이송된 후 체포되었다.[citation needed]
무죄 판결에 이어
2009년 2월 폴리트코프스카야 살인사건으로 세 남자 모두 무죄 판결을 받은 뒤 자녀인 베라와 일리아, 변호사 카리나 모스칼렌코와 안나 스타비츠카야, 노바야 가제타 선임 편집장 세르게이 소콜로프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재판에 대한 반응을 보였다.[65] 앤드류 매킨토시 유럽 언론자유위원회(Council of Media and Ra Reporteur) 위원장은 재판 종료에 대한 논평에서 살인사건에 대한 조사의 진전이 없거나 러시아 당국이 살인범을 찾을 수 없는 것에 대해 좌절감을 표시했다.
2년 전 결의안 1535호(2007)에서 의회는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살인사건과 관련한 범죄 수사 진행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고 수사나 기소 실패에 대해 당국에 책임을 물을 것을 러시아 의회에 요구했다. 어제 재판의 폐막은 노골적인 실패로밖에 볼 수 없다. 러시아 당국과 의회가 제대로 된 수사를 재개해 러시아 내 표현의 자유는 물론 법치주의에 입각한 민주적 토대를 훼손하는 이 살인사건을 조명해 줄 것을 촉구한다. 2000년 우크라이나의 게오르기 공가제 살인사건, 2004년 모스크바의 폴 클레브니코프 살인사건 등 정부 내 부패와 범죄에 맞서 글을 쓴 정치 비판적 언론인 살해사건에 대해 이처럼 흠잡을 데 없는 수사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66]
재판이 끝나기 전, 폴리티코프스카야가 기록한 많은 학대를 조사했던 스타니슬라프 마르켈로프 변호사는 2009년 1월 19일 모스크바에서 암살당했다.[67] 당시 마르켈로프와 함께 있던 아나스타샤 바부로바 기자는 이후 개입을 시도하다 부상을 당해 사망했다.[67]
언론인으로서 폴리트코프스카야의 업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2009년 7월 15일 나탈리아 에스테미로바 살해 사건이었다. 에스테미로바 체첸에서 메모리얼 인권 사회의 이사회와 폴리트코프스카야의 핵심 정보원, 가이드, 동료 중 한 명이 그로즈니에서 납치되어 몇 시간 후, 이웃인 잉구셰티아 공화국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68]
2012년 및 2014년 재심
2009년 8월 5일, 폴리티코프스카야 재판의 무죄 판결에 대한 검찰의 이의제기가 대법원에서 확정되어, 새로운 재판이 명령되었다.[69]
2011년 8월 러시아 검찰은 자신들이 주요 조직자라고 주장하는 전직 경찰관 드미트리 파블리우첸코프를 억류한 뒤 살인 사건 해결에 근접했다고 주장했다.[70] 다음 달 코메르산트데일리는 파블리우첸코프에 따르면 롬알리 게투카예프가 살인을 지시한 당사자와 협상을 벌인 인물로, 파블리우첸코프는 이름을 알지 못했지만 도망한 사업가이자 푸틴의 비평가 보리스 베레조프스키일 수 있다고 의심했다고 보도했다.[citation needed]
2012년 12월 드미트리 파블리우첸코프는 유죄 판결을 받고 11년형을 선고받았다.[71]
2014년 5월, 이전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피고인 3명을 포함해 5명이 폴리티코프스카야를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피고는 체첸 형제 3명으로 이 중 1명은 자신의 모스크바 아파트 로비에서 폴리티코프스카야를 쏜 혐의를 받고 있다.[citation needed] 2014년 6월 이 남성들에게 실형이 선고되었는데, 이 중 롬알리 게투카예프와 조카 루스탐 막후무도프 등 2명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계약 살해를 누가 지시하거나 대가를 지불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10]
살인 미해결, 2016년
블라디미르 마킨 조사위원회 공식 대변인은 2016년 9월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살해 사건을 21세기 러시아[72] 최고극적범죄 중 하나로 포함시키며 해결됐다고 주장했다. 노바야 가제타의 동료들은 범행 주범이나 후원자가 밝혀질 때까지 이 사건을 체포해 기소하지 않았다고 항변했다.
노바야 가제타는 2016년 10월 7일 편집자와 특파원, 사진작가, 기술·행정직원이 문자판을 들고 사건 내용을 상세히 전하고 "안나의 살해 후원자는 발견되지 않았다"[73]고 반복적으로 진술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같은 날 세르게이 소콜로프 부편집장은 공식 조사의 잘못된 방향과 단점을 설명하면서 공식 조사의 맹목적 요약을 발표했고, 이제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강조했다.[74] 소콜로프는 2014년 하드지쿠르바노프, 롬알리 게투카예프 등 막무도프 3형제가 유죄판결을 받은 뒤 한때 규모가 컸던 수사팀이 1명으로 축소돼 1년 만에 하급 수사관으로 교체됐다고 썼다. 또 다른 노바야 가제타 저널리스트인 이고르 돔니코프(2000년 살해)는 가해자가 밝혀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다(2008년 유죄판결)[75][76]
인터셉트는 에드워드 스노든이 인텔리피디아 스크린샷과 함께 공개한 최고 기밀 문서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TS//SI/REL TO USA, AUS, CAN, GBR, NZL) 러시아 연방정보국(Federal Intelligence Services, FSB)은 살해된 러시아 언론인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의 웹메일 계정을 표적으로 삼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12월 5일, RFIS는 안나폴리토프스카야@ 계정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공용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없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배포하여 US Provider1. 이번 공격이 기자의 사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
다큐멘터리
- 2008년, 마샤 노비코바 안나의 다큐멘터리, 7년간의 전선; 78분, 네덜란드.
- 2008년 스위스 감독 에릭 버그크라우트는 폴리티코프스카야의 생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안나에게 보내는 편지'를 제작했다. Letter to Anna)를 만들었다. 아들 일리아, 딸 베라, 전 남편 알렉산더 폴리티코프스키 등 사업가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영화 제작자 안드레이 네크라소프 등과의 인터뷰도 포함돼 있다.[79][80][81]
- 2011년 마리나 골도브스카야 감독은 스웨덴계 미국인이 공동 제작한 다큐멘터리 '자유의 쓴맛'을 만들었다. 제목은 같은 감독 A Taste of freedom(1991년)의 초기 다큐멘터리 영화를 가리키는데, 이 영화는 새로운 소비에트 이후의 현실 속에서 러시아인의 삶을 다루고 있으며 폴리티코프스키 가족이 등장한다.
제27회 바르샤바 국제영화제에서 '자유의 쓴맛'이 상영되어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이 축제의 프로그램에서:[82]
그녀는 용감했고, 대담했으며, 아름다웠다. 러시아 국가의 잘못을 밝혀내려는 두려움 없는 탐구에서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경외심을, 다른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공포를 불러일으켰다. 모스크바의 진보적인 노바야 가제타의 조사 기자였던 그녀는 푸틴 정부의 희생자들을 대변하는 유일한 대변인이었다. 그녀의 목소리는 쓸쓸했지만 온 나라가 들을 수 있을 만큼 컸다. 너무 시끄러웠다. 48세의 나이에 그녀는 단순히 그녀의 일을 했다는 이유로 암살당했다. 인간 정신의 용맹함에 대한 다큐멘터리. 감독의 말처럼 "세상이 냉소주의와 부패로 가득 찬 지금, 안나의 용기와 성실함과 헌신으로 더 많은 사람이 절실히 필요한 때"가 특히 중요하다.
수상 및 수상
- 2001: 러시아 기자[83] 연합의 "골든펜상"
- 2001: 국제 인권 저널리즘 앰네스티상[citation needed]
- 2002: 노르웨이 작가 연합 표현의 자유상("Ytringsfrihtsprisen")
- 2002: "자유 표현의 수호"[84]에 대한 검열상 지수.
- 2002: PEN American Center Freedom to Write Award[citation needed]
- 2002년 국제여성미디어재단 언론인용기상[85]
- 2003: 레트레 율리시스 레티지[86] 예술상
- 2003년 헤르만 케스텐 메달[87]
- 2004: 올로프 팔메상 (류드밀라 알렉세예바, 세르게이 코발레프와 함께)[88]
- 2004: 바스케스 몬탈반 국제 저널리즘상[citation needed]
- 2005: 시민용기상 (민코나잉, 무니르 사이드 탈리브와 함께)[89]
- 2005: 언론의[90] 자유와 미래를 위한 상
- 2006년: 티지아노 테르자니의[citation needed] 이름을 딴 국제 저널리즘상
- 2006년: 국제언론연구소의[91] 세계언론자유영웅
- 2007년: 유네스코/길레르모 카노 세계언론자유상(사후 처음으로 추서)[92]
- 2007: 내셔널 프레스 클럽(미국)/존 오부촌 언론자유상(후기)[93]
- 2007: 게슈위스터-숄-프레리스(후유성)[94]
- 2007년: 민주주의 상 전국 민주주의 기금이 언론의 자유를 조명한다.[95]
2007~2008년 유럽대학의 학년은 그녀의 명예로 명명되었다.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상
전쟁과 분쟁 지역에서 일하는 여성 인권 옹호자들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국제 인권 기구 RAW in WAR(Reach All Women in War)는 2006년 폴리트코프스카야 명예에 매년 수여하는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안나와 마찬가지로 이 분쟁의 희생자들을 옹호하고, 종종 큰 개인적 위험을 안고 있는 세계 분쟁 지역 출신의 여성 인권 옹호자"를 인정한다.[96] Politkovskaya의 절친한 친구이자 인권 동료인 마리아나 카타로바는 I 사면 러시아 연구원으로 10년을 포함해 보스니아, 코소보, 북 코카서스의 전쟁 지역에서 언론인과 인권 옹호자로 일한 후 2006년 런던에서 RAW in WAR(Recach All Women in WAR)와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 상을 창설했다.대안의
이 상은 2007년 10월 7일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가 살해된 지 1년이 되는 해에 처음으로 2009년 체첸에서 납치 살해당한 동료 체첸 활동가 나탈리아 에스테미로바에게 수여됐다.[97][68]
저널리즘상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자"(이탈리아 페라라)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잡지 L'인터내셔널e와 페라라의 코무네에서 매년 수여하는 '저널리즘상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자('il premio giornistico Anna Politkovskaja')도 있다.[98]
- 저널리즘상 수상자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자"
참고 문헌 목록
- Politkovskaia, Anna(2000) Boyage enfer: Journal de Tchettchenie, Robert Laffont: 파리.
- Politkovskaya, Anna (2001) 더러운 전쟁:[ISBN missing] 하빌 주 체첸의 러시아 기자: 런던
- пот,,, ,аааа, ааааа (2002) чтоочччччч ( ( ( ( ( ( ( ((제2차 체첸 전쟁), Zakharov: Moscow.
- Politkovskaya, Anna(2003) A Small Corner of Hell: 체첸시아에서 보낸 디스패치, 브토라야 체첸스카야 번역, 시카고 대학 출판부 2015-02-28에 접속.
- 폴리코프스카, 안나 "드루하 체첸스카." 트란스. 나. 안드루시아크. 키이브: 디오코르, 2004. (우크라이나어)
- 폴리트코프스카야, 안나(2004) 푸틴의 러시아, 하빌:런던.[ISBN missing]
- Politkovskaya,[ISBN missing] Anna (2007) 러시아 일기: 푸틴의 러시아에서 마지막 삶과 부패, 죽음에 대한 기자의 이야기 하빌 세커: 런던
- потоо, ,,ааа, ааааа(2007) (With Good Ratiation), 노바야 가제타: 모스크바 노바야 가제타 989쪽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의 완결 및 미완성 기사를 모두 포함한다. 이 러시아어 제목은 1930년대 후반 소련에서 일어난 대테러 희생자들의 빈번한 불신임 질문을[101] 암울하게 한다: "하지만 무엇 때문에?!" ( (ааааооо??!)»)
- Politkovskaya, Anna(2010) 진실만: Selected Dispatch, Harvill Secker: London. 2007년 책 《Exbas》에서 480쪽 분량의 선정(With Good Ratious)이다.
- Politkovskaya, Anna(2011) 저널리즘은 죽을 가치가 있는가?: 마지막 디스패치, 멜빌 하우스 출판사: 뉴욕 브루클린.[ISBN missing]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안나 폴리트 콥스 카야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 Jump up to: a b "'Independent journalism has been killed in Russia' Becky Smith". The Guardian. London. 11 October 2006. Retrieved 8 August 2009.
- ^ 세계정치평론, 2006년 10월 31일 "정치코프스카야의 죽음, 다른 살인, 러시아 민주주의에 대한 의문 제기
- ^ Hearst, David (9 October 2006). "Obituary: Anna Politkovskaya".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30 June 2019.
- ^ 이것들은 대부분 러시아 밖에서 출판되었다. 문학을 보라.
- ^ "АННА СТЕПАНОВНА ПОЛИТКОВСКАЯ" [Anna Stepanovna Politkovskaya]. politkovskaya.novayagazeta.ru (in Russian). Retrieved 30 June 2019.
- ^ Gilman, Martin (16 June 2009). "Russia Leads Europe In Reporter Killings". The Moscow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09. Retrieved 8 August 2009.
- ^ 세계인권국(인터넷 아카이브), 국제앰네스티 2009, 2008년 1월~12월 보고서, 페이지 272: "2008년 6월, 검찰총장실은 2006년 10월 모스크바에서 총살된 인권기자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고 발표했다. 그녀의 살인에 연루된 혐의로 기소된 세 명의 남자는 11월에 재판을 받았다. 모두 혐의를 부인했다. 당초 살인사건과 관련해 구금됐던 연방보안국(FSA) 출신 네 번째 구속자가 또 다른 범죄혐의로 구치소에 남아 있었다.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 총격을 가한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은 연말까지 구금되지 않고 해외에 은신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Anna Politkovskaya: Putin's Russia". BBC News. 9 Octo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06. Retrieved 9 October 2006.
- ^ Jump up to: a b Roth, Andrew (9 June 2014). "Moscow Court Sentences 5 to Prison for Contract Killing of Journalis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9 June 2014.
- ^ 할리나 마제파: 내가 가장 좋아하는 우크라이나의 기억은 카테리노슬라브에 관한 것이다. day.kyiv.ua
- ^ 2015년 4월 5일 웨이백 머신(annapolitkovskayafund.com)에 보관된 전기
- ^ Anna Politicalkovskaya, notablebiographies.com
- ^ Politkovskaya, Anna Stephanovna Wayback Machine, russiaprofile.org
- ^ 그녀의 학교 친구들은 Politkovskaya에 대한 유일한 그리고 주요한 구체적인 것은 그녀가 자신의 시에 지옥에 관한 특정한 장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 뿐이며, 이것은 아마도 Politkovskaya 책 제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 Politkovskaya: 마지막 인터뷰 온 YouTube, Simon Karniskh, Marina Tsvetaeva: The Woman, Her World and Her 시, CUP Archive, 1985년
- ^ Jump up to: a b c d "Her Own Death, Foretold". Politkovskaya, Anna. 15 October 2006. Retrieved 15 October 2006.
- ^ Jump up to: a b "Anna Politkovskaya". Lettre Ulysses Aw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September 2006. Retrieved 9 October 2006.
- ^ 유럽의회 발표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기자회견장(인터넷 아카이브)의 명명식.
- ^ Anna Politicalkovskaya의 The Guardian, 공중 독
- ^ 2004년 9월 9일, 가디언 "푸틴이 독살했다"
- ^ "Short biography from the 2003 Lettre Ulysses Award". Lettre-ulysses-award.org. Retrieved 8 August 2009.
- ^ Politkovskaya, Anna (2005). Putin's Russia: Life in a Failing Democracy. Metropolitan Books. ISBN 978-0-8050-7930-2.
- ^ 부고: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더 타임스, 2006년 10월 9일
- ^ '러시아의 비밀 영웅들' '지옥의 작은 구석: 체첸에서 보낸 디스패치'에서 발췌한 것이다.
- ^ "Disquiet On The Chechen Front"(인터넷 아카이브), TIMEurope Heroes 2003
- ^ 비디오 – 러시아 언론인 PBS의 시한부 민주주의로 체첸 전쟁 문서화
- ^ pp 187–98, A Russian Diary, 2007.
- ^ p xi, A Russian Diary, 2007.
- ^ p x, A Russian Diary, 2007.
- ^ Anna Politicalkovskaya, I try and failed, The Guardian, 2002년 10월 30일 ~ 2002년 10월 30일)
- ^ Osborn, Andrew; Moreton, Cole (8 October 2006). "Murder in Moscow: The shooting of Anna Politkovskaya". The Independen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y 2007. Retrieved 19 May 2007.
- ^ 2006년 10월 노바야 가제타
- ^ "Trois journalistes tués le jour de l'inauguration à Bayeux du Mémorial des reporters" (in French). Reporters Without Borders. 7 Octo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06. Retrieved 9 October 2006.
- ^ Meek, James (15 October 2004). "Dispatches from a savage war". The Guardian.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06. Retrieved 9 October 2006.
- ^ 2006년 10월 15일 "그녀의 죽음, 포어톨드"
- ^ 2001년 2월 27일, "러시아의 영웅들이 어떻게 체첸의 고통자로 변모했는가"
- ^ (러시아어로) 상업적 편견이 있는 포로수용소: 노바야 가제타 14호 2001년 2월 6일 웨이백머신, Anna Politkovskaya에 보관된 2011년 5월 13일 구역 출장 보고서. 기계 번역.
- ^ (러시아어로) 악의 제한 없음: 지금은 덜 쏘지만, 희망은 2011년 5월 13일 웨이백 머신,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2001년 3월 1일, 노바야 가제타, 15번에서 사라지고 있다. 기계 번역.
- ^ (러시아어) 노바야 가제타 2001년 3월 5일 웨이백머신,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노바야 가제타, 16번, 2011년 5월 13일에 보관된 무명의 군인 이야기. 기계 번역.
- ^ Jump up to: a b c 폴리트코프스카야, 안나(2003) 작은 지옥 구석: 체첸에서 온 디스패치, 알렉산더 버리와 타티아나 툴친스키가 번역한, 2003년 시카고 대학 출판부, ISBN 0-226-67432-0(2015-02-28 접속)
- ^ "바조키나 vs. 2006년 7월 27일, 유럽인권재판소의 판결.
- ^ "Russian journalist reportedly poisoned en route to hostage negotiations". IFEX. 3 September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anuary 2007. Retrieved 11 October 2006.
- ^ Sixsmith, Martin (8 April 2007). "The Laboratory 12 poison plot". The Sunday Times. London. Retrieved 20 May 2007.
- ^ "Russians remember killed reporter". BBC. 8 Octo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pril 2008. Retrieved 9 October 2006.
- ^ Jump up to: a b "시베리아 경찰은 '폴리트코프스카야 살인사건 수사 방해'," 2006년 11월 6일.
- ^ «Тебя надо было расстрелять еще в Москве, на улице, как там у вас в Москве расстреливают... Тебя надо было расстрелять...». Рамзан вторит: «Ты — враг... Расстрелять... ты — враг... » "람잔 카디로프와의 인터뷰" tr. "모스크바에서, 거리에서, 마치 그들이 당신을 쏘는 것처럼 총에 맞았어야 했는데... 총을 맞았어야 했는데..." 람잔의 메아리는 "너는 적이다... 슛... 당신은 적이다...", 2004년 6월 21일, 노바야 가제타, 2004년 6월 21일, 노바야 가제타
- ^ "Politkovskaya Gunned Down Near Home". TempletonThorp. Templeton Thorp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07. Retrieved 2 September 2007. (Citing The Moscow Times, 09.x.06)
- ^ "A Saudi Disappearance With Russian Echoes". Bloomberg. 12 October 2018.
- ^ Rykovtseva, Yelena (7 October 2011). "Политковская и Путин. День смерти и день рождения. Все, что Анна Политковская писала о Владимире Путине в "Новой газете"" [Politkovskaya and Putin. Day of death and birthday. Everything that Anna Politkovskaya wrote about Vladimir Putin in Novaya Gazeta].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 ^ "Journalist Gives Her Life for Her Profession". Kommersant.com. 9 October 2006. Retrieved 1 August 2011.
- ^ "The only good journalist ..." The Guardian. 10 October 2006. Retrieved 19 October 2015.
- ^ 유리 펠쉬킨스키와 블라디미르 프릴로프스키, 더 코퍼레이션. 러시아 및 푸틴 대통령 시대의 KGB, ISBN 1-59403-246-7, 조우책, 2009년 2월 25일 설명, 웨이백머신에 2012년 2월 25일 기록, 페이지 479–452.[page needed][clarification needed]
- ^ 보리스 볼로다르스키, "KGB의 독약 공장", 프론트 북스, 2009년, 251페이지.
- ^ "Thousands mourn Russian journalist". Reuters. 10 October 2006.
- ^ 폴리코프스카야, 안나. 2010년, 진실만.
- ^ "첫 번째 체포는 2007년 8월 30일, 노바야 가제타 보관소 2009년 11월 25일 러시아 웨이백 기계에 보관되었다."
- ^ 「50부터 20까지」(폴리트코프스카야 재판 배심원 선정), 2008년 11월 18일, 노바야 가제타; 2015-02-28에 접속. 2015년 2월 2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2008년 11월 24일, 노바야 가제타 리포트 재판 첫 주 (인터넷 아카이브)
- ^ "Rehearsal for murder". Novaya Gazeta. 1 Dec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1. Retrieved 1 August 2011.
- ^ 2008년 12월 4일 노바야 가제타(인터넷 아카이브) 재판 둘째 주 보도.
- ^ (러시아어)Убийство Политковской заказал некий политик в России, и об этом упоминается в деле, заявил адвокат обвиняемых, Newsru.com tr. 폴리티코프스카야 살인사건은 러시아에서 특정 정치인이 지시한 것으로, 이번 사건에서 이런 내용이 언급된다고 피고측 변호사가 밝혔다. 2008년 11월 25일 NEWSru
- ^ "Russia murder trial judge queried". BBC News. 25 Nov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08. Retrieved 10 December 2008.
- ^ "Politkovskaya suspect accused of working for government". BBC. Yahoo! News. Associated Press. 5 December 2008. Retrieved 10 December 2008.[데드링크]
- ^ "Editor links FSB to Politkovskaya death". The Moscow Times. 8 Dec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09. Retrieved 10 December 2008.
- ^ "전체 시스템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2009년 2월 20일, 노바야 가제타, 2009년 9월 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영문 기록. 평결에 이은 기자회견 녹취록.
- ^ "PACE Rapporteur on media freedom expresses his deep frustration at the lack of progress in investigating the murder of Anna Politkovskaya in Russia". Assembly.coe.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y 2009. Retrieved 8 August 2009.
- ^ Jump up to: a b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의 변호사 스타니슬라프 마르켈로프가 모스크바에서 총살했다. 더 타임스
- ^ Jump up to: a b 데일리 텔레그래프, 2009년 7월 15일 "러시아 활동가 나탈랴 에스테미로바가 죽은 채 발견되었다"
- ^ "Second time around". Novaya gazeta. 7 August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1. Retrieved 1 August 2011.
- ^ Charles Clover (24 August 2011). "Russia 'close to solving journalist's murder'". The Financial Times. Retrieved 24 August 2011.
- ^ "Russia: Assassin sentenced for journalist murder". www.amnesty.org. Retrieved 30 June 2019.
- ^ Vladimir Markin, Samye gromkie prestuppleniya 21 v Rossi, 2016.
- ^ "Не смейте говорить, что убийство раскрыто. Видеообращение редакции" ["Don't you dare say that the murder has been solved. Video message from the editor."]. Новая газета – Novayagazeta.ru (in Russian). 6 October 2016. Retrieved 30 June 2019.
- ^ "Sergei Sokolov: "Do not dare say the murder of Anna Politkovskaya is Solved" [Novaya gazeta] – Rights in Russia". www.rightsinrussia.info. Retrieved 30 June 2019.
- ^ "Media Conflicts in Russia, 2004–2014, The death of Igor Domnikov, 16 May 2000 (in Russ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October 2016. Retrieved 29 October 2016.
- ^ "Media Conflicts in Russia, 2004-2014, The contract-killing of Igor Domnikov (in Russ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October 2016. Retrieved 29 October 2016.
- ^ Sam Biddle (29 December 2016). "Top-Secret Snowden Document Reveals What the NSA Knew About Previous Russian Hacking". The Intercept.
- ^ 인텔리피디아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기사
- ^ 기자의 죽음. 새로운 다큐멘터리 "안나에게 보내는 편지"는 저널리스트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의 생사를 도표로 보여준다. 러시아에서 출시될 것 같지 않다. 롤랜드 엘리엇 브라운, 모스크바 타임즈 2008년 5월 16일 (2015년 2월 28일 접속)
- ^ Derek Elley (6 March 2008). "Letter to Anna: The Story of Journalist Politkovskaya's Death". Variety. Retrieved 8 August 2009.
- ^ Bartyzel, Monika (25 April 2008). "Hot Docs Review: Letter to Anna — The Story of Journalist Politkovskaya's Death". Cinematic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rch 2009. Retrieved 8 August 2009.
- ^ "WARSZAWSKI FESTIWAL FILMOWY". WFF. Retrieved 22 November 2019.
- ^ "Russian Union of Journalists". Ruj.ru. 30 June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ly 2011. Retrieved 1 August 2011.
- ^ "Index: The Voice of free expression". 5 May 2015.
- ^ "Anna Politkovskaya; 2002 Courage in Journalism Award". IWM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September 2016. Retrieved 13 January 2021.
- ^ "Award photograph". Retrieved 8 August 2009.
- ^ "Award winners of the Hermann Kesten-Award". pen-deutschland.de. Retrieved 7 October 2019.
- ^ "2004 – Ljudmila Aleksejeva, Sergej Kovaljov, Anna Politkovskaja". palmefonden.se. Retrieved 7 October 2019.
- ^ "Civil Courage Prize". civilcourageprize.org.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11. Retrieved 11 May 2011.
- ^ "Anna Politkowskaja - Media Foundation of Sparkasse Leipzig". leipziger-medienstiftung.de. Retrieved 7 October 2019.
- ^ "Anna Politkovskaya, Russia: World Press Freedom Hero". International Press Institut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3. Retrieved 26 January 2012.
- ^ "World Press Freedom Prize 2007". Portal.unesco.org. Retrieved 8 August 2009.
- ^ Oswald, Rachel (11 June 2014). "National Press Club to Russian Authorities: Find Those Who Ordered Journalist's Murder". press.org. Retrieved 7 October 2019.
- ^ "Anna Politkovskaja / Geschwister-Scholl-Preis". geschwister-scholl-preis.de (in German). Retrieved 7 October 2019.
- ^ Shannon Maguire (15 July 2008). "International Media Assistance is an Underappreciated Key to Democratic Development". Nation Endowment for Democra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08. Retrieved 31 August 2008.
- ^ "The winner of the 2011 Anna Politkovskaya Award is RAZAN ZAITOUNEH from SYRIA". Reach All Women in W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anuary 2009. Retrieved 30 January 2012.
- ^ "Obituary: Natalia Estemirova". BBC News. 15 November 2009. Retrieved 30 January 2012.
- ^ "Premio Festival Ferrara". Internazionale (in Italian). Retrieved 30 June 2019.
- ^ "Asif Mohiuddin wins Anna Politkovskaya Award". Dhaka Tribune. 13 August 2015. Retrieved 9 May 2018.
- ^ "Asif Mohiuddin receives Anna Politkovskaya Award". Dhaka Tribune. 2 October 2015. Retrieved 9 May 2018.
- ^ 시메온 빌렌스키(ed)에서 조야 마르첸코 "The Way Was"를 만나 보십시오. 1999년 런던 페이지 201.[ISBN missing]
외부 링크
![]() | 위키코테는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와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Wikinews는 다음과 관련된 뉴스를 가지고 있다. |
- ""The Chronicles of Hell" Exhibition dedicated to the memory of Anna Politkovskay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27 October 2013.CS1 maint: bot: IPVnews에 의한 원래 URL 상태 알 수 없음(링크)
-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상' RAW가 전쟁과 분쟁으로부터 여성 인권옹호자들에게 매년 수여하는 상이다. 2007년 제1회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상 수상자는 나탈리아 에스테미로바였다.
- 2004-05년 에든버러 국제 도서 페스티벌의 오디오 녹음 및 녹취록(영문으로 번역, 오디오 스트리밍)에서 북 페스티벌 낭독,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 안나 폴리티코프스카야 탄생 50주년 기념 2008년 8월 모스크바 집회 사진 보도(러시아어)
- 작가의 양심: Anna Politicalkovskaya & 러시아의 잊혀진 전쟁, 2006년 12월 6일 뉴욕시 CUNY 대학원 - 오디오
- 전쟁 중인 모든 여성에 도달(RAW in WAR)
- 디오코르 출판사의 우크라이나 판에 그녀의 우크라이나 혈통에 대해 쓴 폴리트코프스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