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의 앤셀름

Anselm of Lucca
세인트

루카의 앤셀름
Sant' Anselmo.jpg
참회자 주교
태어난1036
밀라노
죽은(1086-03-18) 1086년 3월 18일
존경의 대상가톨릭 교회
캐논화된1087년 빅토르 3세
잔치3월 18일
후원.만토바

루카의 앤셀름(라틴어:안셀무스(이탈리아어:안셀모(Anselmo da Baggio, 1036년 ~ 1086년 3월 18일)는 중세 이탈리아 루카의 주교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백작부인 마틸다와 황제 헨리 4세 사이의 싸움에서 중요한 인물이다.그의 삼촌 안셀름은 교황 알렉산데르 2세로 선출되기 전에 루카의 주교로서 그의 뒤를 이었다. 그래서 그는 때때로 어린 안셀름 또는 안셀름 2세로 구별된다.

인생

만토바에서 [1]태어나 그곳에서 문법과 변증법 교육을 받았습니다.앙셀름은 1061년 교황 알렉산더 2세가 된 루카의 안셀름의 조카로, 앙셀름을 루카 주교로 임명하여 앙셀름에게 황제 헨리 4세로부터 상속을 받으라고 조언하였다.알렉산더 2세는 그를 추기경으로 격상시켰을지도 모른다.[2]

안셀름은 독일로 갔지만, 시간적 지배자로부터 영적 힘의 기장을 받기를 싫어했고, 헌금 없이 돌아왔다.107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다시 안셀름을 루카의 주교로 임명했지만, 헨리 4세로부터 임명받지 말라고 충고했다.어떤 이유에서인지, 안셀름은 이번에는 그렇게 했지만, 곧 죄책감을 느껴 주교직을 사임하고 만토바 [1]근처의 클뤼니악 수도원인 파딜리론에서 베네딕토회에 입회했다.

그레고리오 7세는 그에게 루카로 돌아가라고 명령했고, 그는 마지못해 복종했지만, 수도승의 삶을 계속 살았다.1077-79년, 그는 1081-84년에 행해진 헨리의 예상된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마틸다 백작 부인으로부터 몇 개의 성을 양도받는 것을 받아들였다.한편, 그는 의 성당의 교단에 더 엄격한 수도원 규율을 적용하려고 시도했다.대부분의 규범들은 새로운 규정에 따르기를 거부했다.앙셀름은 1080년 10월 볼타 만토바나 전투 (1080년 10월)에서 교황 옹호자인 토스카나 백작 부인 마틸다가 패배한 후 헨리 황제와 대립 교황 클레멘스 3세의 도움으로 루카에서 추방되었다.안셀름은 먼저 루카에서 아르노 강 상류 몇 마일 밖에 안 되는 주교 거점인 모리아나의 피난처로 도망쳤고, 나중에 그의 비타를 쓴 신부 바르도와 함께 카노사로 물러났다.앙리 4세의 열렬한 당파 지지자인 알바의 벤조 주교는 어떻게 마틸다와 안셀름이 로마의 그레고리오에게 금과 은을 보내기 위해 수도원들을 벗겼는지를 이야기한다.그의 기도로 그레고리오 7세의 적들을 물리쳤기 때문에, 그는 혼란에 빠진 군대 앞에 나타난다.< >

얼마 후, 교황 빅토르 3세는 교황과 황제 사이의 갈등으로 주교 없이 남겨진 모든 교구를 통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롬바르디아교황 특사로 임명했다.

안셀름은 성경에 정통했고 교황 클레멘스 3세와 황제 헨리 4세로부터 교황 그레고리를 옹호하고 평신도 신부를 공격하는 중요한 작품들을 썼다.는 말년을 13권의 책으로 된 교회법 규약 모음집(콜렉티오 캐논)을 모으는데 보냈는데, 이것은 후에 법학자 그라티안의 잘 알려진 데크레툼에 통합된 그레고리오 개혁을 지지하는 가장 초기의 규약 모음집(콜렉티오 캐논)을 형성했습니다.콜렉시오 캐논룸은 중세 로마법의 기초를 세운 유스티니아누스노벨라를 가장 두드러지게 부활시켰다.

안셀름은 1086년 3월 18일 만토바에서 사망했으며, 만토바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그의 죽음 직후에 주교 성인에 대한 두 개의 전기가 쓰여졌다: Pseudo-Bardone의 Vita Anselmi Essoci Lucensis와 Lucca의 Bishop Rangerius, S의 Vita metrica. 안셀미 루센시스 에피스코피안셀름은 1087년 [3]교황 빅토르 3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레퍼런스

  1. ^ a b 오트, 마이클루카의 성 안셀름입니다카톨릭 백과사전.제1권.뉴욕: Robert Appleton Company, 1907년 2015년 3월 10일
  2. ^ 살바도르 미란다에 따르면신성 로마 교회의 추기경들 다른 소식통들은 가 추기경으로 승진한 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그는 그 시기 추기경들의 현대판 인쇄물 프로포그래피(R. Hüls, Kardinéle, Klerus und Kirchen Roms: 1049–1130, Tübingen 1977, H.W. Klewitz, Reformapstum und Kardinolkstadt; 1957년 Darmstadtadt)에 11세기 추기경 명단에 없다.1963)
  3. ^ "Ansèlmo di Lucca, santo nell'Enciclopedia Treccani". www.treccani.it (in Italian). Retrieved 2019-07-11.

외부 링크

추가 정보

  • 내쉬, 페넬로피(2021년).토스카나 백작부인 마틸다의 영성.마틸디카 1세Patron Bologna. (ISBN 978-8-855-53529-8) https://www.patroneditore.com/volumi/9788855535298/the-spirituality-of-countess-matilda-of-tuscany
  • Mitrofanov, Andrey (2015). L'ecclésiologie d'Anselme de Lucques (1036–1086) au service de Grégoire VII: Genèse, contenu et impact de sa "Collection canonique". Instrumenta Patristica et Mediaevalia 69. Turnhout: Brepols Publishers. (ISBN 978-2-503-55489-1)
  • Cushing, Kathleen (1998). Papacy and Law in the Gregorian Revolution: The Canonistic Work of Anselm of Lucca. Oxford Historical Monograph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