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링턴 스타디움

Arlington Stadium
알링턴 스타디움
Arlington Stadium 1988.jpg
이전 이름턴파이크 스타디움 (1965–1971)
위치1500년 남부 코프랜드 Rd.
알링턴, 텍사스 76011
좌표32°45′23″n 97°5′5″W/32.75639°N 97.08472°W/ 32.75639; -97.08472좌표: 32°45′23″N 97°5′5″W / 32.75639°N 97.08472°W / 32.75639; -97.08472
주인님.알링턴의 도시
연산자알링턴의 도시
역량10,600 (1965–1969)
20,500 (1970–1971)
35,185 (1972)
35,698 (1973–1977)
41,097 (1978–1980)
41,284 (1981–1984)
43,508 (1985–1990)
43,521 (1991–1993)
필드 크기좌측 필드 – 330ft
왼쪽-중앙 – 380ft
중심 필드 – 400ft
우측 센터 – 380ft
우측 필드 – 330ft
백스톱 – 60피트
표면잔디
건설
부서진 땅1964년 4월 15일
열린1965년 4월 23일
닫힌1993년 10월 3일
철거됨1994
공사비190만 달러
건축가프레스턴 M.게렌 건축가 & 엔지니어[1]
일반 도급업자워커건설[2]
세입자
댈러스-포트 워스 스퍼스 (TL) (1965–1971)
UT-알링턴 매버릭스 (NCAA) (1970–1976)
텍사스 레인저스 (MLB) (1972–1993)

알링턴 스타디움(Allington Stadium)은 미국 텍사스 알링턴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텍사스 댈러스포트워스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1972년부터 1993년까지 텍사스 레인저스(MLB)의 홈구장 역할을 하였으며, 그 후 알링턴의 더볼파크(현 콕토 스타디움)로 이적하였다.

역사

마이너리그 경기장으로서 초창기

이 경기장은 1965년 인근 댈러스-포트 워스 턴파이크(현재 30번 주간고속도로의 일부로서 톰 랜드리 하이웨이로 알려져 있는)의 이름으로 1만 명이 모인 마이너리그 야구장인 턴파이크 스타디움으로 지어졌다.텍사스 리그포트 워스 캣츠가 댈러스-포트 워스 스퍼스로 이적하여 이후 7년간 그 곳에서 뛰면서, 특히 1970년에 2만 500석으로 확대된 이후, 스타디움에서 재임하는 동안 많은 텍사스 리그 관중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이 구장의 진짜 목적은 메이저리그 팀을 메트로플렉스에 유치하는 것이었다.[3]그 시대의 메이저리그 표준으로 업그레이드되도록 지어졌고, 최대 5만 석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최종 실력은 그보다 7,000석 낮았지만).자연적인 그릇에 위치하기 때문에, 빅 리그 팀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발굴만이 필요할 것이다.주로 야구를 위해 지어졌지만, 1960년대 중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메이저리그 다목적 구장과 일반적인 형태가 매우 흡사했다.사실, 그 경기장은 축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댈러스 카우보이들은 경기장에서 경기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메트로플렉스는 1950년대부터 확장 가능한 장소로 언급되어 왔으며, 알링턴 시장 톰 밴더그리프는 알링턴이 두 도시의 중간 지점에 있는 것이 메이저리그 유망주 팀에게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1970년대-70년대

1971년 고전하던 워싱턴 상원의원의 제2의 화신이 텍사스 레인저스의 기치 아래 메트로플렉스로 이적할 뜻을 밝혔다.이 경기장은 35,700명이 앉을 수 있도록 확장되었고, 알링턴 경기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볼티모어 메모리얼 스타디움, 캔자스시티 시립 스타디움, 미네소타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시애틀의 병든 스타디움 다음으로 메이저 리그 팀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조된 다섯 번째 마이너 리그 파크였다.

이 경기장은 1972년 4월 21일 레인저스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를 7-6으로 꺾고 경기장을 출범시켰을 때 첫 번째 메이저 리그 경기를 주최했다. MLB의 사상 첫 파업은 1972년 시즌의 시작에 지장을 주었기 때문에 예상보다 늦게 시작되었다.[4]

그 공원은 골격적이고 제리같이 생긴 느낌이 들어 한때 마이너리그였던 것이 분명했다.1978년 상갑판이 추가되기 전 팬들은 경기장 맨 꼭대기에 입장해 그들의 자리로 걸어갔다.그것은 야구에서 가장 큰 블리커 구간을 가지고 있었고, 양쪽 파울 폴로부터 뻗어 있었다.이 시기에 건설된 대부분의 경기장과 달리, 자연적인 볼 위치, 그리고 경기장이 거리 높이에서 40피트(12m) 아래이기 때문에 나쁜 좌석이 거의 없었다.경기장의 존재 초기에는 3루 관중석을 외야로 돌려서 축구로 전환할 수 있었다.이 과정에서 좌익수 표백기에 앉은 사람들의 시야가 차단됐다.경기장에서 축구 경기가 열릴 때, 1루 쪽 근처에 위치한 보조 프레스 박스가 사용되었다.[5]그러나 1978년 개축으로 인해 축구 프레스 박스는 경기장의 폐쇄까지 남아 있었지만, 경기장은 남은 기간 동안 야구 구성에 갇혀 있었다.

놀런 라이언은 1992년 알링턴 스타디움에서 투구했다.

야구를 위해 지어졌지만 알링턴 스타디움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위쪽 갑판이 추가된 뒤에도 지붕이 없어 사실상 숨막히는 텍사스 더위로부터 보호가 되지 않았다.거의 모든 존재에서, 그것은 메이저에서 가장 뜨거운 경기장이었다.경기 시간 온도가 100°F(38°C)를 훨씬 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레인저스의 평범한 경기력과 결합하여, 이것은 1970년대 동안 상당한 관중 감소를 초래했다.일부 더위 탓인지, 레인저스는 5월부터 9월까지 거의 모든 경기를 밤에 치르기 위해 계획했다.텍사스 상공에 있는 놀이공원 식스 플래그 외에 공원 주변에는 동네가 없었다.커트 스미스는 그의 저서 Storied Stadium에서 "작지만 친밀하지는 않다"고 묘사했다.

레인저스의 초기 스코어보드는 텍사스 주처럼 생긴 패널이 달린 길고 가로로 된 직사각형이었다.1984년 시즌 이후 새로운 스코어보드와 두 파울 폴에서 모두 달려온 빌보드 시리즈로 교체됐다.[6]'코튼-아이디 '는 '타케 미 아웃 투 더 볼게임' 대신 팬들이 춤을 출 수 있도록 7회째 이어지는 연장전에서 펼쳐졌다.알링턴 스타디움은 나초스(1974년)를 판매한 첫 메이저리그 야구장이기도 하다.[7]

그 경기장은 두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우선, 랩 어라운드 스코어보드와 광고판을 설치하기 전에, 남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돌풍은 홈런이 아니었으면 할 많은 플라이 볼을 쓰러뜨렸다.둘째, 13세 이하의 어린이들이 표백기에 부딪힐 수 있는 실제 크기의 박쥐를 받은 대부분의 해의 판촉 게임인 배트 나이트에서 많은 수의 금속 표백기 좌석이 유용하게 쓰였다.어떤 시즌 동안, 그것은 당시 보통 가난한 레인저스 선수단의 유일한 매진이었고, 1만에서 1만 5천 명의 아이들이 일제히 방망이를 찧는 광경은 귀청이 터질 듯한 소리를 만들어냈다.

1990년대

경기장 부지의 상당 부분은 현재 2012년에 찍힌 빈 들판이 차지하고 있다.알링턴의 글로브 라이프파크와 AT&T 스타디움이 배경으로 보인다.

경기장은 결국 나이와 부족함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알링턴 시는 레인저스를 위한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승인했다.1993년 10월 3일 알링턴 스타디움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는 4만1039명의 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캔자스 시티 로얄스가 4-1로 승리했다(Hall-of-Famer George Brettt의 생애 마지막 경기이기도 했다).1993년 시즌에 이어 레인저스가 인근에 지어진 알링턴의 더볼파크(The Ballacy)로 이전했고, 1994년 알링턴 스타디움이 철거됐다.알링턴 스타디움에서 올라온 파울 폴과 홈 플레이트는 일부 표백기와 함께 새 야구장으로 옮겨졌다.표백기는 녹색으로 칠해졌지만, 원래 파란색은 녹색 페인트가 벗겨진 군데군데 가끔 보인다.홈 플레이트는 알링턴의 볼파크에 톰 쉬퍼(텍사스 레인저스 톰 사장), 리처드 그린(당시 알링턴 시장), 톰 밴더그리프(당시 팀을 알링턴에 데려온 책임을 맡고 있던 전 시장), 조지 W 부시(당시 팀 파트 오너, 후기 텍사스 주지사, 미국 대통령)가 삽입했다.

구 경기장의 부지는 알링턴 컨벤션 센터 바로 서쪽, 청소년 야구장 북쪽에 있다.2001년 컨벤션 센터에 주차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포장되었고, 2007년 부지 중심을 통해 레전드 웨이가 신축 카우보이 스타디움의 진입로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이 도로는 2013년 카우보이 스타디움 법인명칭 변경과 함께 AT&T 웨이(AT&T Way)로 이름이 바뀌었다.이전 경기장 부지의 약 4분의 1이 2019년 현재 비포장,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다.

2016시즌을 앞두고 알링턴의 당시 글로브라이프파크에서 알링턴 스타디움의 원래 파울폴이 교체됐다.

주목할 만한 순간들

알링턴 스타디움은 플레이오프 경기나 올스타전을 본 적이 없지만 놀런 라이언의 5000번째 삼진아웃과[8] 7번째(그리고 마지막) 노히트 노히트 등 최고의 순간들을 여러 차례 소화했다.[9]볼티모어 오리올스 유격수 칼 립켄 주니어와 레인저스 외야수 오디베 맥도웰은 알링턴 스타디움에서 유일하게 사이클링 타구를 쳤다.1984년 9월 30일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마이크 위트레인저스를 1-0으로 꺾은 메이저리그 역사상 11번째 퍼펙트 게임의 현장이기도 했다.[10]

기억에 남는 싸움은 1993년 8월 4일 레인저스가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개최했을 때 일어났다.그 경기의 선발 투수 라이언은 투구로 로빈 벤투라를 때렸다.벤투라는 두 벤치를 모두 비운 마운드를 충전하기로 했다.벤투라가 마운드에 오르자 라이언은 곧바로 머리 자물쇠에 끼인 그를 붙잡아 머리 꼭대기에 6차례 주먹질을 했다.[11]

참조

  1. ^ "Plans OK'd for Stadium at Arlington" (Archive). The Dallas Morning News. September 4, 1964. p. 18.
  2. ^ "Firm Awarded Pact on Stadium at Arlington". The Dallas Morning News. September 24, 1964.
  3. ^ "Hunts Buys Interest in Dallas, Fort Worth Clubs". The Nevada Daily Mail. Associated Press. January 28, 1964. p. 4. Retrieved October 15, 2012. One of the first efforts of the new owners probably will be to undertake the construction of some sort of stadium midway between Dallas and Fort Worth, the Dallas News said.
  4. ^ "April 21, 1972: Rangers fans celebrate arrival of major-league baseball in North Texas –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5. ^ "Arlington Stadium". ImageSha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Photo) on July 25, 2011. Retrieved October 12, 2020.
  6. ^ "Arlington Stadium". Clem's Baseball.
  7. ^ "Arlington Stadium". Ballparks.com. Munsey & Suppes.
  8. ^ "Box Score of Game played on Tuesday, August 22, 1989 at Arlington Stadium". Baseball Almanac. Retrieved March 25, 2009.
  9. ^ "Nolan Ryan No-Hitter #7". Baseball Almanac. May 1, 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 2009. Retrieved March 25, 2009.
  10. ^ "Box Score of Game played on Saturday, September 30, 1984 at Arlington Stadium". Baseball Almana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3, 2009. Retrieved March 25, 2009.
  11. ^ Neumann, Thomas (August 4, 2015). "Happy anniversary: Nolan Ryan, Robin Ventura". ESPN. Retrieved October 12, 2020.

외부 링크


선행자 본고장
텍사스 레인저스

1972–1993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