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견

Assistance dog
자동문을 열기 위해 버튼을 누르는 보조견
머리를 쓰다듬고 있는 보청기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서비스 도그라고 알려진 보조견은 장애를 가진 사람을 돕거나 돕도록 훈련 받은 개이다.대부분의 훈련은 보조견 조직이나 전문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아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용어.

'어시스턴스 도그'는 장애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개를 가리키는 국제적으로 확립된 용어로, 핸들러의 장애를 완화하기 위해 직무 훈련을 받는다.전 세계 원조견 공급자들의 국제 네트워크인 Assistance Dogs International은 특히 미국 내에서 주마다 용어의 다양성이 있다고 지적한다.그들은 일관된 글로벌 용어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보조견'[1]은 보조견을 훈련시키고 제공하는 조직과 보조견과 협력하는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용어라는 점에 주목한다.

독특한 기능

보조견으로 간주되려면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1. 개의 파트너는 장애인이어야 하며 특정 국가 또는 지역의 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를 충족해야 합니다.
  2. 개는 문을 열고, 고혈당이나 알레르겐감지하고, 이를 통지하고, 울리는 전화기에 경고하고, 시각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인도하는 등, 파트너의 장애를 완화시키기 위해 특별히 훈련되어야 한다.
  3. 개는 공공장소에서 골칫거리가 되지 않도록 고도의 훈련을 받아야 하며, 공공장소에서 안전하고 품행이 바르고, 건강하며 위생에 위협을 주지 않아야 한다.
  4. 일부 보조견은 굵은 글씨로 표시된 마구를 착용하지만 법으로 의무화되지는 않는다.
  5. 미국의 보조견은 ADA법에 의해 신분증을 소지하거나 등록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개별 국가 및 지역에는 특정 법률 및 규정이 있으며, 이러한 국제 기준은 [2][3]전 세계적으로 널리 인식된다.

트레이닝 프로세스

조끼를 입고 훈련 중인 보조견

보조견은 전통적으로 자선단체와 다른 단체들에 의해 훈련되어 왔고, 개가 대략 2살 때 훈련 프로그램을 마치면 훈련받은 개와 함께 장애인을 짝짓는다.점점 더 많은 장애인들이 그들 자신의 보조견을 [4]스스로 훈련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장애인들이 그들 자신의 개를 선택하고 그 개는 그들의 궁극적인 조련사가 되는 장애인에 의해 훈련된다.미래의 보조견이 받는 훈련의 길이와 유형에는 큰 차이가 있지만, 모든 보조견 후보자는 특정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선택.

보조견 후보자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건강, 기질 및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The Guide Dogs for the Blind와 같은 대형 기성 단체들은 바람직한 [5]특성을 가진 건강한 새끼를 보장하기 위해 자체 사육 가축을 선택하고 유지합니다.어떤 사람은 평판이 좋은 사육업자들 중에서 장래의 강아지를 신중하게 고를 수도 있고, 이미 가족의 일원이었던 개와 함께 훈련을 시작할 수도 있다.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인 Rescue Dog to Super Dog는 보호소에서 구조견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보조견으로 [6]훈련시키는 과정을 특징으로 했습니다.

사회화

강아지 잠재 고객의 생애 첫 번째 시기는 보통 공식적인 훈련보다는 사회화를 위해 보내진다.대형 공식 조직에서는 첫해 동안 종종 강아지 위탁 부모를 이용하며, 강아지는 나중에 그들이 일하게 될 환경의 광경, 소리, 냄새에 둘러싸인 정상적인 가족 환경에서 자라며, 깨끗하고 화장실 훈련, 자신감 있고 [7][8]행복한 것을 배운다.오너 트레이너는 스스로 새끼를 기르기 때문에, 개는 나중에 그들의 조련사가 될 사람과 함께 살지만, 강아지에게 자신감, 놀이 경험, 그리고 나중에 그들이 일하게 될 환경에서 사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태스크 트레이닝

강아지가 충분히 나이가 들면 업무 및/또는 업무에 대한 훈련을 포함한 전문 교육을 시작합니다.이러한 업무는 그들을 구별되고 전문화된 보조견으로 만들 것입니다.미국에서는 보조견 조련사에게 장애가 있는지, 그리고 개가 실제로 [9]보조견임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두 가지 법적 질문으로서 그 장애를 완화하기 위해 어떤 작업을 하는지 질문할 수 있다.보조견 잠재 고객이 학습할 작업은 현재 또는 미래의 처리자가 가지고 있는 장애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개가 훈련할 수 있는 작업 유형에는 거의 제한이 없습니다.이것들은 떨어진 물건을 주워 세탁기에서 빨래를 꺼내는 것에서부터 자해 행동을 방해하는 것에서부터 자폐증 [10]환자에게 깊은 압박 치료를 제공하는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복종과 공공의 접근

볼튼 수도원 '도그 환영' 표지판

도우미견 후보자는 조련사를 지원하기 위한 독특한 업무를 배우는 것과 동시에 예의 바르고 공공장소에서 용인할 수 있는 표현을 하는 방법도 배운다.보조견을 훈련시키는 큰 조직들은 그들 자신의 가정 훈련 과정을 사용할 것이다.오너 트레이너도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많은 주인 훈련자 지원 단체들은 개복종 훈련 프로그램인 개복종 제도를 따라 공공 접근 테스트에 이어 높은 신뢰성이 있는 복종과 행동 기준을 얻을 것을 권고한다.Public Access 테스트는 개가 공공장소에서 적절하게 행동하는 능력을 평가하며, 슈퍼마켓이나 [11]식당과 같이 보조견과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장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에게 우호적이지 않다고 간주됩니다.

분류

미국에서 보조견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보조견과 시설견.[12]보조견은 미국 장애인법에 의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일하거나 임무를 수행하도록 개별적으로 훈련받은 개로 정의된다.일반적으로 공공을 위해 봉사하는 주정부, 지방정부, 기업 및 비영리단체는 공공이 [13]일반적으로 갈 수 있는 시설의 모든 영역에서 서비스 동물이 장애인과 동행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시설견은 여러 사람을 [14]돕기 위해 일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사용된다.

핸들러가 일어서도록 도와주는 이동 보조견

보조견의 일반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설견의 일반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14]

  • 법원 시설 개는 일반적으로 법률 시스템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관리된다.범죄 수사 및 기소 및 기타 법적 절차에서 범죄 피해자, 목격자 및 기타 사람을 돕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 교육 환경에 있는 시설견들은 보통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수 교육 선생님들에 의해 다루어진다.
  • 의료 환경에서 시설 개는 일반적으로 물리 치료사, 심리학자 및 기타 의료 전문가가 담당하여 환자의 회복과 증상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시설견과 치료견의 유사점 및 차이점

두 마리 모두 의료 환경과 같은 비슷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시설견은 종종 치료견으로 잘못 불리고 있다. 하지만, 그들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시설견은 공인 보조견 단체에 의해 훈련되고 치료견은 주인에 의해 훈련된다.시설견은 다양한 전문직 종사자들이 다룰 수 있는 반면 치료견은 주인이 다루어야 한다.

시설견은 18개월에서 24개월의 기간 동안 개 전문가나 주인에 의해 훈련되며, 보조견 [15]단체를 졸업하기 전에 매우 엄격한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치료견 단체에 의한 치료견 등록은 순종 수업이나 치료견 수업에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데, 이것은 치료견이 종종 훨씬 덜 엄격한 훈련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한다.게다가 치료견이 통과해야 하는 테스트는 시설견에 [16]비해 덜 복잡하고 어렵다.

[치료 개나 시설 개랑 같이 사람에게 그들은 동물과 함께 들어갈 수 있어 그들이 방문하는 시설의 허락이 있어야 한다.그들은 권리 자신들의 애완 동물과 관련된 포기했다 하기 애완 동물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곳에 대한 접근을 요구할 필요가 없다.[17]

「 」를 참조해 주세요.

참조

  1. ^ Assistance Dogs International. "A Guide to Assistance Dog Law" (PDF). Assistance Dogs International. Assistance Dogs Intern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ugust 11, 2013. Retrieved 25 August 2018.
  2. ^ The Equality and Human Rights Commission. "Assistance Dogs. A Guide For All Businesses" (PDF). Retrieved 25 August 2018.
  3. ^ "Standards". Assistance Dogs Europe. Retrieved 25 August 2018.
  4. ^ Yamamoto, Mariko; Hart, Lynette A. (2019-06-11). "Professionally- and Self-Trained Service Dogs: Benefits and Challenges for Partners With Disabilities".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 6: 179. doi:10.3389/fvets.2019.00179. ISSN 2297-1769. PMC 6579932. PMID 31245394.
  5. ^ Guide Dogs. "Selection and monitoring of breeding stock". Guide Dogs. Retrieved 25 August 2018.
  6. ^ "Rescue Dog to Super Dog". All 4. Retrieved 25 August 2018.
  7. ^ "Become a Puppy Parent". Canine Partners. Retrieved 25 August 2018.
  8. ^ "Can you help us Train a Puppy". Hearing Dogs for the Deaf.
  9. ^ US Department of Justice.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Service Animals and the ADA". Retrieved 25 August 2018.
  10. ^ Froling, Joan. "Assistance Dog Tasks". IAADP. Retrieved 25 August 2018.
  11. ^ "Public Access Test". IAADP. Retrieved 25 August 2018.
  12. ^ "Canine Companions for Independence".
  13. ^ "ADA 2010 Revised Requirements: Service Animals". www.ada.gov.
  14. ^ a b "Facility Dogs - CC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5. Retrieved 2015-07-24.
  15. ^ "Training Standards - Assistance Dogs Intern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4. Retrieved 2015-07-24.
  16. ^ "Therapy Dogs International". www.tdi-dog.org.
  17. ^ "Rights - Service Dog Central".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