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리아학
AssyriologyAssyriology (from Greek Ἀσσυρίᾱ, Assyriā; and -λογία, -logia) is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linguistic study of Assyria and the rest of ancient Mesopotamia (a region that encompassed what is now modern Iraq, northeastern Syria, southeastern Turkey, and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Iran) and of the related cultures that used cuneiform writing. 이 분야는 수메르, 초기 수메로-아카디안 도시국가, 아카드 제국, 에블라, 아카드 및 제국 아람어를 사용하는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실랜드 왕조, 구티안, 아람어, 아람어를 포함한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이주민 왕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메로-아카디아 문화와 아시로-바빌로니아 문화에 의해 보존된 많은 쐐기 모양의 점토판은 그 시대의 연구에 매우 큰 자원을 제공한다.우르와 같은 이 지역 최초의 도시와 도시국가들은 고고학적으로 도시화의 성장을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곳이다.
아시리아 학자는 메소포타미아의 두 가지 주요 언어에 능통하다.아카디아어(주요 방언 포함)와 수메르어.또한, 성경 히브리어, 히타이트어, 엘람어, 후리아어, 인도-아나톨리아어(인도-히타이트어라고도 함), 제국 아람어, 동부 아람어 방언, 고대 페르시아어, 가나안어 등과 같은 이웃 언어들에 대한 친숙함은 비교 목적에 유용하며, 수백 개의 핵심 사인을 사용하는 문자 체계에 대한 지식도 유용합니다.현재 많은 중요한 문법 연구와 어휘 보조 자료가 존재한다.비록 학자들이 많은 문학 말뭉치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지만, 몇몇 명판은 깨지거나, 많은 사본이 있을 수 있는 문학 원문의 경우, 언어와 문법은 종종 난해하다.게다가, 현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는 중요한 참고 문헌, 사전, 저널이 출판되기 때문에, 학자들은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역사
고대에서 근대 발굴에 이르기까지
수 세기 동안,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유럽의 지식은 성경뿐만 아니라 종종 의심스러운 고전적인 자료들에 국한되었다.중세 이후 고대 메소포타미아 유적에 대한 보고가 산재해 있었다.12세기 초에,[1] 나바라 출신의 랍비인 투델라의 벤자민 (벤자민 손 오브 요나라고도 알려진)이 중동 지역을 여행하는 동안 모술의 유대인들과 아시리아의 유적을 방문함으로써 니네베의 유적이 정확히 확인되었다.바빌론 도시의 신원은 피에트로 델라 발레에 의해 1616년에 만들어졌다.피에트로는 그 장소에 대한 "놀라운 묘사"를 했을 뿐만 아니라, 니네베와 [2]우르에서 발견한 새겨진 벽돌을 유럽으로 가져왔다.
18세기와 출생
1761년에서 1767년 사이에 덴마크 수학자 카스텐 니부르는 페르시아 페르세폴리스에 있는 설형문, 니네베의 스케치 및 그림 등을 복사했고,[3] 곧이어 프랑스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안드레 미쇼가 바그다드 근처에서 발견된 프랑스 비블리오테크 국립미술관을 팔았다.메소포타미아에서 최초로 알려진 고고학적 발굴은 바그다드의 교황 대리인인 아베 보샹이 이끌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4]"바빌론의 사자"로 알려진 조각상을 발굴했다.1790년에 출판된 아베 보샹의 여행 회고록은 학계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고고학적, 학술적 중동 탐험을 일으켰다.1811년, 영국인이자 바그다드에 있는 동인도 회사의 거주자인 클라우디우스 제임스 리치는 바빌론과 니네베의 유적을 조사하고 지도를 그리기 시작했고, 핵을 형성한 유명한 네부카드네자 원통, 세나체리브 원통을 포함한 많은 새겨진 벽돌, 판, 경계석, 실린더를 수집하기 시작했다.대영박물관의 [5]메소포타미아 유물 소장품인 우리.34세의 나이로 요절하기 전에, 그는 바빌론의 폐허와 그곳에서 발견된 비문에 대한 두 개의 회고록을 썼고, 두 개의 작품은 "아시리아학과 이와 관련된 설형학 [6]연구"의 탄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쐐기형의 해독
아시리학의 초기 학자들이 극복해야 했던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과 유적의 신기한 삼각형 표시를 해독하는 것이었다.1700년 토마스 하이드에 의해 "구형"이라고 불렸던 이 표시들은 오랫동안 단순한 장식과 장식물로 여겨졌습니다.18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그것들은 일종의 글로 여겨지게 되었다.
1778년 덴마크 수학자 카스텐 니에부르는 [7]페르세폴리스의 폐허에서 나온 3개 국어 비문의 정확한 사본을 발표했다.니에부르는 그 비문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졌고, 세 개의 비문 각각에 그가 클래스 I, 클래스 II, 클래스 III라고 이름 붙인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설형문자가 들어있음을 보여주었다.
Class I은 알파벳으로 결정되었고 44자로 구성되었으며 고대 페르시아어로 작성되었습니다.이것은 1802년과 [8]1848년 사이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드와 헨리 크레스비케 롤린슨에 의해 해독되었다.
두 번째 비문인 Class II는 번역하기가 더 어려웠다.1850년, 에드워드 힌크스는 클래스 II가 알파벳 순서는 아니지만, 사실 음절 문자이자 표의 문자라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것은 1850년과 1859년 사이에 그것의 번역으로 이어졌다.이 언어는 처음에는 바빌로니아어 또는 아시리아어로 불렸지만 지금은 아카디아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1850년부터, 바빌론과 아시리아의 세미파 거주민들은 쐐기형 문자 체계를 발명하지 않았고, 대신 다른 언어와 문화로부터 그것을 차용했다는 의혹이 커졌다.1850년 에드워드 힌크스는 쐐기형상이 바빌론의 셈족보다 앞선 비유대인들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1853년, Rawlinson은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고 Class III 비문은 당시에는 "아카디아어" 또는 "스키티아어"로 불렸지만 지금은 수메르어로 알려진 언어인 이 보다 더 고대 언어로 쓰여진 것으로 인식되었다.이것은 이 오래된 문화와 사람들, 수메르인들이 존재했다는 것을 현대 학계에 보여주는 첫 번째 지표였다.
체계적인 발굴
메소포타미아 유물의 체계적인 발굴은 1842년 모술의 프랑스 영사 폴 에밀 보타와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체육관 발굴 말이야 코르사바드의 보타와 님루드와 니네베의 오스틴 H. 레이어드(1845년부터)와 쐐기형 문자 해독의 성공이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라야드의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의 발견은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고대 생활과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자료들을 학자들의 손에 맡겼다.그는 또한 C.J. 리치가 이미 유용한 지형 작업을 한 바빌로니아에서 최초로 발굴을 한 사람이기도 했다.레이어드의 후자국에서의 발굴은 W.K.에 의해 계속되었다. 프랑스 정부를 대표하여 줄리어스 오퍼트와 함께 수산에도 참호를 열었다.그러나 체계적 탐험과 같은 것이 시도된 것은 19세기 마지막 4분의 1에 불과했다.
1876년 알레포에서 조지 스미스가 사망한 후, 호르무즈드 라삼의 지휘 아래 대영박물관(1877–1879)에 의해 니네베와 인근 지역에서 그의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탐험대가 파견되었다.모술에서 동쪽으로 15마일 떨어진 아시리아인들에 의해 임구르 벨이라고 불리는 발라우~트 언덕에서 발굴된 결과, 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 883)가 꿈의 신에게 바치는 작은 신전이 발견되었는데, 이 신전 안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알라보스터 두 개의 탁자가 새겨져 있었고, 궁전이 파괴되었다.바빌로니아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샬만에세르 3세(기원전 858년)에 의해 복원되었다.후자에서 망치로 두른 부조가 있는 청동문이 나왔는데, 이것은 현재 대영박물관에 있다.
님루드(칼라)의 아슈르바니팔 궁전 유적도 발굴돼 에나멜을 입힌 타일 수백 장이 발굴됐다.2년 후(1880–1881) 라삼은 바빌로니아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아부하바에서 시파라의 태양신전이 있던 곳을 발견하여 두 시파라스 또는 세파바임의 위치를 고정시켰다.아부하바는 바그다드 남서쪽,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중간, 한때 유프라테스강의 주류를 상징했던 운하의 남쪽, 현재는 디르 여신인 아누트의 시파라 강 건너편에 있다.
한편, (1877–1881) 프랑스 영사는 고대 기르수 텔로에서 발굴하여 유대 이전 시대의 빛 기념물들을 가져왔다; 이것들은 (그들의 비문에 따르면) 시나이 반도의 마간에서 가져온 돌인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구데아 디오라이트 조각상들을 포함했다.텔로와 그 부근의 드 사르제크 발굴은 그 도시의 역사와 수집품을 적어도 기원전 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했다.구데아 c.시대(기원전 2100년)에 진열된 30,000개 이상의 태블릿이 발견되었다.
1886-1887년, 로버트 콜드웨이 박사가 이끄는 독일 탐험대는 엘 히바 묘지(텔로 남쪽)를 탐험했고, 우리에게 고대 바빌로니아의 매장 풍습을 처음으로 알게 했다.또 다른 대규모 독일 탐험대는 1899년 바빌론의 유적을 탐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오리엔트겔샤프트에 의해 파견되었고, 느부카드레자르의 궁전과 거대한 행렬로가 헐벗겨졌고, 이후 W.안드래 박사는 앗수르의 유적지인 칼라트 셰르카트에서 발굴을 수행하였다.
터키 정부조차 탐사 작업에 거리낌이 없어 이스탄불 박물관은 V가 발견한 명판으로 가득하다. 1897년 쉬파라가 있던 곳에서 셰일.자크 드 모건의 수산에서의 매우 중요한 작업은 바빌로니아의 경계 밖에 있다.하지만 그렇지 않다.그러나 비스마야의 EJ 뱅크스(1903~1904)와 1889~1900년 사이에 니푸르에 있는 펜실베니아 대학의 발굴은 JH 헤인즈 씨가 끈기 있게 시스템을 밝혀냈다.El-lil의 emple, 파편 층을 하나씩 제거하고 폐허의 단면을 원시 토양까지 잘라냅니다.산 중턱에는 아카드의 사르곤과 그의 아들 나람신(기원전 2300년)의 이름이 새겨진 큰 벽돌의 단이 있는데, 그 위에 있는 잔해가 34피트 두께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지층은 파르티아 시대(HV 힐프레치트, 바빌로니아 탐험대 페이지 23)보다 늦지 않은 것으로 포장 아래에 계산된다.약 3000년의 기간을 나타내야 하며, 특히 포장 부설 전에 오래된 건축물이 수평을 이루어야 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그러나 발굴의 가장 깊은 부분에서는 쐐기 모양의 글자가 매우 고풍스럽고 때로는 원시적인 그림 형태를 유지하지만, 여전히 점토판이나 돌병 조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어셈블리
디지털 인문학의 발전과 과목의 디지털화에 수반하는 것과 유사하게, 컴퓨터 기반 방법은 컴퓨터 과학과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그 뿌리는 1960년대 후반 게르하르트 스펠의 [9]작품에서 찾을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수메르인:The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by Samule Noah Kramer, 시카고 대학 출판사, 1963, 페이지 7
- ^ 수메르인:그들의 역사, 문화, 성격,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 시카고 대학 출판사, 1963년 7페이지
- ^ 수메르인:The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by Samuel Noah Kramer, 1963, 7페이지
- ^ 수메르인:The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by Samuel Noah Kramer, 1963년 시카고 대학 출판사, 페이지 8
- ^ 수메르인:그들의 역사, 문화, 성격,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 시카고 대학 출판사, 1963 페이지 8
- ^ 수메르인:The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by Samuel Noah Kramer, 1963, 페이지 8
- ^ 수메르인:그들의 역사, 문화, 성격,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 시카고 대학 출판사, 1963, 페이지 11
- ^ 수메르인:The History, Culture and Chicago Press, 1963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 13-15페이지
- ^ Bogacz, Bartosz; Mara, Hubert (2022), "Digital Assyriology — Advances in Visual Cuneiform Analysis", Journal on Computing and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vol. 15, no. 2, pp. 1–22, doi:10.1145/3491239, S2CID 24884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