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틴나이트

Austinite
오스틴나이트
Austinite-177832.jpg
멕시코 오주엘라 광산에서 온 오스틴나이트
일반
카테고리비소산 광물
공식
(기존 단위)
카즈나소4(OH)
IMA 기호아우스[1]
스트룬츠 분류8.BH.35
다나구분41.5.1.3
크리스털 시스템정형외과
크리스털 클래스분산형(222)
H-M 기호: (2 2 2)
스페이스 그룹P212121[2]
단위세포a = 7.43, b = 9.00
c[3] = 5.90 [å], Z = 4
식별
공식 질량261.38 g/190
무색, 백색에서 연한 황색-백색 또는 밝은 녹색, 전송된 빛에[4] 무색
수정습관잘 개발된 블러드 또는 고환 습관의 정형외과적 결정체는 c축에 평행하게 길쭉하게 되며, 때로는 sceptre와 같은 종단, 또한 방사상 섬유질 지각과 결절을 가지고 있다.일반적인 형태는 {110}, {111}, {1–11}, {010} 및 {011}[2]이다.
트윈닝{010}과(와) {001}이(가) 일치하는 {100}에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 개인이 가입했다.[5]
클라바주프리즘 면 {110}[2]에 평행한 두 방향으로 양호함
고집브리틀
모스 눈금 경도4 대 4.5
루스터섬유 골재에 있는 수바다만틴에서 실크까지
스트릭흰색
발데인성투명에서 투명까지 반투명
비중4.12
광학 특성이축(+)
굴절률nα = 1.759, nβ = 1.763, nγ = 1.783, n = 1.783,
바이레프링스0.024[2]
2V 각도47°[2]
분산r > v 약함
용해성차가운 묽은 HCl에[2] 쉽게 용해 가능
기타 특성비방사능.SWUV에서는 어떤 확실한 형광색소가 초록색이다.
참조[4][6]

오스틴티나이트는 아델라이트-데스클라우자이트 그룹, 아델라이트 서브그룹의 멤버로, 코니칼카이트있는 구리-Zn 시리즈의 아연(Zn) 엔드 멤버다.그것은 코발타뉴나이트와 니켈라뉴나이트의 아연 아날로그다.[4]한때는 '브릭라이커라이트'가 다른 종으로 생각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엄연한 종과 동일하다고 여겨지고 있다.[7]오스틴나이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출신의 미국 광물학자 오스틴 플린트 로저스(1877–1957)의 영예로 명명됐다.

구조

왼손잡이용약정
오른손 엄니나이트

이 구조는 엣지 공유 폴리헤드라 ZnO의6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왜곡된 Ca(O,8OH) 폴리헤드라가 AsO를4 통해 3차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8]

대칭 요소 중 하나로 거울 평면을 갖는 모든 결정체는 거울의 이미지(거울 평면처럼 어떤 평면이든)가 항상 번역이나 회전 또는 둘 다에 의해 원래의 결정 위에 중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칭 요소로서 거울 평면이 없다면, 결정의 거울 이미지는 회전이나 번역을 통해 원래의 결정과 함께 중첩될 수 없다.이것은 반동형이며, 거울 이미지는 서로 반동형이라고 한다.반동형 결정의 가능성은 결정 대칭, 즉 결정 종의 점 그룹에 의해 결정된다.32개의 가능한 점군이 있으며, 이 중 22개는 에반토모르프를 형성할 수 있다.[9]에반토모르프는 편광의 평면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지 왼쪽으로 회전시키는지에 따라 오른손 또는 왼손에 지정된다.때로는 수정의 외형에서 우든 좌든 명확하고, 때로는 이것을 결정하기 위한 광학적 방법이 필요하다.

가장 흔한 반동형 광물은 점군 32를 가진 석영이다. 모든 석영 결정체는 오른손 또는 왼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중요한 결정면이 존재하지 않는 한 외부 형태와 이것을 구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오스틴나이트는 거울 평면이 없는 점군 222를 가지고 있어, 오스틴나이트 역시 에노모픽 광물로 오른손 결정과 왼손 결정 둘 다로 발생하며 오른손 결정체가 더 흔하다.[2]

발생

오스틴나이트는 비소 베어링 베이스 금속 퇴적물의 산화 구역에서 희귀한 광물로, 리모나이트나 라이닝 작은 구멍의 콜로폼(콜로이드 강수에 의해 형성된 광물의 둥근 입상 질감에 맞춰) 표면에서 개발된다.그것은 아다마이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후기 광물로 보인다.[2]오스틴나이트는 아다미트, 석영, 탈메사이트, 리모나이트와 관련이 있다.지역 유형으로는 미국 유타주 투엘 카운티 골드힐 광산(서부 유타 광산), 골드힐 지구(클리프턴 지구), 딥크릭 맷츠(미국 유타주 투엘리 카운티)가 있다.[4]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a b c d e f g h L. W. Staples (1935). "Austinite, a new arsenate mineral, from Gold Hill, Utah" (PDF). American Mineralogist. 20: 112–119.
  3. ^ Wallace E. Richmond (1940). "Crystal chemistry of the phosphates, arsenates and vanadates of the type A2XO4(Z)" (PDF). American Mineralogist. 25: 441.
  4. ^ a b c d 오스틴티: 확실한 광물 정보데이터.Mindat.org.2011-10-09년에 검색됨.
  5. ^ Sidney A. Williams and Julie de Azevedo (1967). "Austinite from Gold Hill, Utah" (PDF). American Mineralogist. 52: 1224–1226.
  6. ^ 오스틴나이트 광물 데이터.Webmineral.com.2011-10-09년에 검색됨.
  7. ^ Wolfgang Brendler (1938). "On the identity of austinite and brickerite" (PDF). American Mineralogist. 23: 347.
  8. ^ 게인스 외 연구진(1997) 다나의 신광물학 제8판, 와일리
  9. ^ Walter Borchardt-Ott (28 August 2011). Crystallography: An Introduction. Springer. pp. 154–. ISBN 978-3-642-16451-4. Retrieved 9 October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