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투 바탄
Back to Bataan백 투 바탄 | |
---|---|
![]() | |
연출자 | 에드워드 드미트릭 |
각본: | 벤 바스만 리처드 H. 란다우 |
스토리 작성자 | 아이네스 맥켄지 윌리엄 고든 |
제작자 | Robert Fellows (이그제큐티브) |
주연 | 존 웨인 앤서니 퀸 |
시네마토그래피 | 니콜라스 무수라카 |
편집자 | 마스턴 페이 |
음악: | 로이 웹 |
생산. 회사 | |
배포자 | RKO 라디오 픽처스 (미국) |
발매일 |
|
실행 시간 | 95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매표 | 2,490,000달러[2] |
'백 투 바탄'은 1945년 RKO 라디오 픽처스에서 제작된 미국의 흑백 전쟁 드라마로, 에드워드 드미트릭이 감독하고 존 웨인과 앤서니 [3]퀸이 출연한다.이 영화는 필리핀 루손 섬에서 일어난 바탄 전투(1941-42) 이후 일어난 사건들을 묘사한다.그 영화의 작업 제목은 투명군이었다.[4]
줄거리.
1945년 미군 경비대는 카바나투안 포로수용소를 급습해 포로들을 구출했다.영화는 1942년 3월 필리핀의 바탄 반도를 떠올린다.
맥아더 장군이 이끄는 미군 병력이 바탄에서 일본군에 맞서 버티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을 때, 조지프 매든 대령(존 웨인)은 그의 장교 중 한 명인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대위(앤서니 퀸)에게 준비를 하라고 명령한다.보니파시오는 애인 달리세이 델가도(펠리 프랑켈리)가 라디오로 선전방송을 하는 등 일본과 협력하고 있어 긴장감이 감돌았다.
나중에, 매든은 일본 점령에 대항하는 게릴라로서 싸우기 위해 필리핀 사람들을 조직하기 위해 전선을 빠져나가게 된다. 일본 점령그의 지휘관은 델가도가 실제로 선전 방송을 통해 귀중한 정보를 비밀리에 전송하고 있다는 것을 그에게 알려주지만, 그는 그 사실을 보니파시오조차도 누구에게도 밝히지 말라는 명령을 받는다.
매든은 필리핀 레지스탕스 전사 한 명과 접촉하지만 첫 임무를 수행하던 중 중년의 미국인 학교 교사 베르타 반스(Bertha Barnes, Beulah Bondi)를 만난다.그녀와 그녀의 학생들은 일본인이 성조기 철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학교의 교장이자 친한 친구인 부에나벤투라 벨로(블라디미르 소콜로프)를 교수형에 처하자 게릴라군에 합류한다.
일본의 휘발유 처리장을 파괴하는 첫 번째 임무를 수행하던 매든과 그의 부하들은 우연히 바탄의 죽음의 행진을 발견하고 바탄이 함락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많은 필리핀 사람들이 낙담하고, 그래서 그들의 투쟁 의지를 북돋우기 위해 매든은 죽음의 행진에서 보니파시오 대위를 구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보니파시오는 국가적 영웅인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손자이다.그건 효과가 있다.첫 번째 임무로 게릴라들은 필리핀 마을에 가서 벨로 살해를 명령한 일본 장교를 교수형에 처한다.다음 해 동안 매든과 그의 게릴라들은 일본의 전초기지, 보급 창고, 군 비행장, 그리고 다른 시설들을 공격한다.
일본 사령관 중 한 명인 하스코 소령(리처드 루)은 필리핀 저항세력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줄이기 위해 반독립 기념식을 거행함으로써 현지 주민들을 달래려 한다.매든, 보니파시오, 그리고 게릴라들이 의식을 공격하고, 달리세이는 라디오 방송에서 마침내 진정한 동맹 관계를 드러냅니다.그녀는 국민에게 항일 봉기를 종용한다.대부분의 일본군은 공습으로 죽지만 막시모 쿠엔카라는 이름의 필리핀 소년이 붙잡혀 있다.매를 맞은 후, 그는 일본인들을 매든의 은신처로 인도하는 것에 동의한다.그러나, 그 근처를 지나자, 일본 수송 트럭의 앞좌석에 앉아 있던 막시모가 갑자기 핸들을 잡고, 산비탈로 내던진다.그는 후에 미스 반스의 품에서 죽는다.
매든 대령은 보니파시오 대위가 필리핀 저항군의 지휘를 맡기고 전장에서 나가라는 명령을 받았다.몇 달 후인 1944년 10월 보니파시오와 그의 일행은 필리핀 해방을 위한 미국의 침공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레이테로 여행을 떠난다.레이테 해변에 도착한 보니파시오는 중위와 함께 잠수함을 타고 도착한 매든과 재회한다.미 해군 장교인 커맨더 웨이트(로렌스 티어니).웨이테는 보니파시오와 매든에게 24시간 내에 예정된 미군의 상륙을 일본군이 저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작은 마을을 점령하고 유지하는 임무를 부여했다.
매든, 보니파시오, 그리고 그들의 부하들은 치열한 싸움에서 일본 수비대와 교전하여 격퇴한다.그러나 두 명의 적군은 오토바이를 타고 달아나 경보를 발령한다.일본 탱크와 병사들이 공격합니다.방어군은 대부분의 탱크를 격파하는데 성공했지만, 후퇴할 위기에 처했다.모든 것을 잃은 것처럼 보일 때, 미군의 증원군과 탱크가 도착하여 전세를 역전시킨다.
이 영화는 또 다른 짧은 몽타주로 끝나는데, 이번에는 카바나투안 수용소에서 실제로 석방된 미국인 몇 명을 보여준다.
출연자들
- 대령으로서의 존 웨인.조지프 매든
- 앤서니 퀸이 캡틴이야안드레스 보니파시오
- 베르타 반즈 역의 벌라 본디
- 달리세이 델가도 역의 펠리 프랑켈리
- 리처드 루는 소령이다.하스코
- 필립 안 대령.코로키(일본어: 軍-- r r r, r r r kor kor)))
- 병장 알렉스 하비어.베르네사
- 막시모 쿠엥카 역의 '덕키' 루이
- 로렌스 티어니가 중위로 나온다.닥터 웨이트
- 혼마 마사하루 장군 역의 레오나드 스트롱(일본어: 혼마 마사하루)
- 폴 픽스(바인들 잭슨 역)
- 애브너 비버만, 학교 일본인 주장으로
- 블라디미르 소콜로프 역 - 세뇨르 부에나벤투라 J. 벨로
영화가 개봉하면서, 1945년 1월 30일 일본 포로 [1]수용소인 카바나투안으로부터 석방된 전쟁 포로들의 실제 동영상에 대한 크레딧이 굴러간다.
생산.
John Wayne Robert Fellows의 제작자이자 미래의 제작 파트너는 태평양 전쟁에서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가상의 인물들이 나오는 두 개의 전쟁 영화, 즉 둘리틀 레이드를 바탕으로 한 봄바디어와 마린 레이더스를 제작했다.그는 또한 RKO를 위해 안장 안의 John Wayne Western Tall을 제작했다.펠로우들은 맥아더의 귀환뿐만 아니라 미군과 필리핀군의 초기 패배와 게릴라 저항에 대한 설명이 훌륭한 찬사와 유익한 영화가 될 것이라고 강하게 믿었다.펠로우들은 전쟁 정보국에 연락했고, 미군도 이에 동의하고 그들의 [5]지원을 제공했다.
이 영화는 당시 급변하는 태평양 전쟁 소식 때문에 촬영하는 데 130일이 걸렸다.영화 촬영 도중 3분의 2의 필리핀 침공이 일어나면서 시사에 [6]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몇 번의 대본 변경과 개정이 불가피해졌다.카바나투안에서의 습격과 미국인 포로 석방도 시나리오에 빠르게 반영되어 제6 레인저 대대가 일본 수용소를 공격하는 장면이 재현되었다.이 액션 시퀀스는 영화의 첫머리에 배치되며, 마지막에는 극적인 효과를 위해 실제로 최근에 개봉된 미국인 포로들이 삽입된 장면들이 있다.
벤 바즈만의 각본은 미국의 애국심만큼이나 필리핀의 민족주의를 강조했다.필리핀 학생에게 필리핀 민족주의를 상기시키는 한 필리핀 학교 교장은 나중에 일본 정복자들로부터 학교 운동장에 있는 성조기를 내려놓으라는 명령을 받는다.그가 그것을 거부하면, 일본인들은 그를 같은 깃대에 매달고, 그의 몸은 별과 줄무늬로 장식한다.
액션 시퀀스 동안 사운드 트랙은 RKO의 킹콩(1933)을 위해 맥스 스타이너의 고전 영화 악보의 많은 부분을 재사용한다.악보의 또 다른 작은 부분에서는 영국 국가도 사용된다.
Back to Bataan은 영화 촬영 중 공산주의자들의 공감을 얻고 믿음을 가진 미국인들과 처음 마주친 장면이었다.Barzman과 Edward Dmyrtyk 감독은 그들의 공산주의 [7]관점에 대해 거침없이 말했다.웨인이 바즈만과 드미트릭이 영화 기술 고문인 조지 S. 클라크 대령(바탄 전투 당시 필리핀 스카우트 57연대를 지휘했고 대략 웨인의 실제 상대였다)의 종교를 공개적으로 경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웨인은 그를 국제무대를 연출하며 조롱했다.에드 드미트릭이 공산주의자냐고 묻더군요드미트릭은 자신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지만, "미국의 대중이 공산주의를 원한다면,[8] 그것은 우리나라에 좋을 것이다."드미르티크는 자신이 공산주의자라는 것을 부인했지만, 웨인은 그가 "mases"[9]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이 공산주의자라고 느꼈다.반면 바즈만의 아내 노마는 웨인이 남편을 껴안고 "신에게 맹세한 공산주의자"라고 부르는 등 남편과 다정하게 지냈던 것을 떠올렸고, 바즈만은 웨인을 "파시스트"[10]라고 농담처럼 대답했다.웨인은 또한 감독으로서의 그의 재능을 존중하며 드미트릭과 우호적인 관계를 발전시켰다.돈 많고 미국 민주주의의 과실을 누리는 드미트릭이 왜 공산주의에 동정심을 갖느냐며 "제즈 에디, 미국에 무슨 불만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촬영 중에 드미트릭과 바즈만은 웨인이 스턴트 더블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래서 그들은 웨인이 스턴트 더블을 쓰도록 강요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장면들을 공동으로 썼다.한 장면에서 웨인은 가죽 하네스로 공중으로 들어올려져야 했고, 폭발로 인해 폭파되는 시뮬레이션을 해야 했다.또 다른 예로, 웨인과 퀸은 얼음 연못에 들어가 갈대를 통해 숨을 쉬며 오랜 시간 동안 물 속에 있어야 했다.웨인은 묘기를 부렸지만, 그가 미리 경쾌한 위스키를 마시면서 바스만에게 말했다. "이것이 당신이 이별 선물로 꿈꿨던 것이라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8]
작가 샤론 델멘도는 그녀의 책 "The Star-Engled Banner"에서 Back to Bataan을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대역을 맡은 웨인으로 보고 있습니다.그는 "미군은 어디에 있는가?"라고 묻는 필리핀 장교들의 분노에 직면해야 한다.그는 나중에 필리핀을 떠나 맥아더처럼 마침내 침략이 [11]일어났을 때 돌아오라는 명령을 받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바탄은 1943년 로버트 테일러와 로이드 놀란이 주연한 작은 후위대가 일본군에 맞서 다리를 방어하는 내용을 다룬 영화이다.
추가 정보
- Fojas, Camilla (2014). Islands of Empire : Pop Culture and U.S. Power.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9780292756304.(특히 페이지 44-54).
- Hawley, Charles V. (2002). "You're a Better Filipino Than I Am, John Wayne: World War II, Hollywood, and U.S.-Philippines Relations". Pacific Historical Review. 71 (3): 389–414. doi:10.1525/phr.2002.71.3.389. JSTOR 10.1525/phr.2002.71.3.389.
레퍼런스
- ^ a b "Back to Bataan: Detail View". American Film Institute. Retrieved April 28, 2014.
- ^ 리처드 주얼과 버논 하얼빈, RKO 스토리.New Rochelle, New York: 알링턴 하우스, 1982. 페이지 204
- ^ Crowther, Bosley (2007). "Back to Bataan". Movies & TV Dept. The New York Times. Baseline & All Movie Gui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8, 2007. Retrieved May 5, 2011.
- ^ "Back to Bataan (1945): Notes". Turner Classic Movies.
- ^ 페이지 258 Roberts, Randy and Olson, James Stuart John Wayne: American 1997 University of Nebaska Press
- ^ 페이지 115 데이비스, 로널드 L.듀크: 존 웨인 2001년 오클라호마 대학 출판부의 삶과 이미지
- ^ 페이지 98 먼, 마이클 존 웨인: 2004년 Robson Books 신화의 배후에 있는 남자
- ^ a b 페이지 260: Roberts, Randy & Olson, James Stuart John Wayne: American 1997 University of Nebaska Press
- ^ "John Wayne as the Last Hero". Time. August 8, 1969.
- ^ "Hollywood: the red and the blacklist". Socialistworker.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 2008.
- ^ 페이지 83 델멘도, 샤론 다시 한번 바탄으로 돌아가는 팍스 아메리카나와 태평양 극장 2004 Rutgers 대학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