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렌츠부르크
Barentsburg바렌츠부르크 | |
---|---|
러시아의 석탄 채굴 정착지 | |
![]() 위에서부터 마을 | |
좌표: 78°04′0″n 14°13′0″E / 78.06667°N 14.21667°E | |
소버린 주 | ![]() |
시셀 | 스발바르 |
섬 | 스피츠베르겐 |
인구 (2020) | |
• 합계 | 455[1][note 1] |
시간대 | UTC+1(CET) |
• 여름(DST) | UTC+2(CEST) |
바렌츠부르크(러시아어: баенуурр)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에 거주하는 주민 약 455명(2020명)으로 두 번째로 큰 정착지다.[note 1] 정착지는 거의 전적으로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들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립스부르크는 현재 이스피오르드의 노르드프요르덴 북쪽에 있는 곶 보헤만(보헤만플라이아)의 스피츠베르겐에 버려진 네덜란드인 정착촌으로, 롱이어비엔과 대각선으로 대각선으로 서 있었다. 로테르담에 본사를 둔 반데르 에브와 드레스셀후이스 sche바르트마츠카피즈(선박 건조 회사)는 1920년 석탄 채굴을 위해 조립식 오두막을 이용해 건설했다. 그 해 12명의 네덜란드 직원과 52명의 독일 광부들이 이곳에서 석탄을 채굴하기 시작했다.
1920년에 설립된 네덜란드 스피츠베르겐 회사(NESPICO)는 러시아인으로부터 그린하버 피오르드에 있는 광산을 사들여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석탄을 채굴했다. 이 회사는 네덜란드의 탐험가 윌렘 바렌츠즈의 이름을 따서 정착지 바렌츠버그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2년 이 회사는 바렌츠부르크의 정착지를 포함한 광산을 러시아 신탁 아르크티쿠골(Alktikugol, 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에 매각하였다. 인구는 수십 년 동안 감소해 왔다. 전성기에 1,000명 이상의 소련 시민들이 바렌츠부르크에 거주했다.[when?]
2006년 화재
2006년 10월 17일 노르웨이 사찰단이 바렌츠부르크에서 발생한 지하화재를 감지하여 공개화재가 발생하여 [2]바렌츠부르크를 무기한 대피시킬 수 있었고, 또한 군도 전체에 알려지지 않은 규모의 환경문제를 야기했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화재는 나중에 진압되었다.[3] 석탄 채굴은 2010년 말에 재개되었다.[4]
상태
1920년의 독특한 스발바르 조약의 조건에 따라 서명국의 시민들은 천연자원을 이용할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러시아는 노르웨이와 함께 (스베그루바 광산 및 광산 7을 통해) 스발바르에 대한 채굴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스발바르 전 총리가 노르웨이의 통치하에 있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는 영사관에 의해 바렌츠부르크에 대표된다.[5]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외교 사절단이다. 결과적으로, 그 마을에는 9178이라는 노르웨이의 우편번호가 있다.[6] 마찬가지로 노르웨이 전화번호도 사용한다.[5]
이코노미
바렌츠부르크는 1920년대에 네덜란드의 광산 도시로 시작했다.[7] 1932년 네덜란드인은 소련에 양보를 팔았다.[8] 1932년부터 러시아 국영 아르크티쿠골 트러스트(러시아어 '북극 석탄')가 스발바르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바렌츠부르크의 주요 경제활동은 아르크티쿠골의 석탄 채굴이다. 이 석탄은 보통 북유럽 바이어들에게 수출된다. 그 도시는 식량과 화폐화를 전적으로 러시아 본토에 의존하고 있다. 충분한 식량을 보내지 못한 사례도 있었고, 롱이어비엔에서 구호물품이 발송된 사례도 있었다. 관광은 현재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그 도시를 되살릴 충분한 수입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는 바렌츠부르크에 어류를 수출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9]
교통
롱헤이바이엔에서 바렌츠부르크까지의 거리는 약 55km이지만 두 정착촌을 연결하는 도로는 없다. 두 사람의 접촉은 대부분 보트, 스노우모빌, 또는 헬리콥터로 이루어진다. Heerodden(78°06′03″N 14°11′46″E / 78.100809)에 도로 연결부가 있는 헬리포트(ICAO 코드 ENBA)가 있다.°N 14.196224°E/ ), 바렌츠부르크 북쪽 4km. 이 항구는 바렌츠부르크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관광객들은 보통 롱이어비엔에서 2시간에서 3시간의 보트 여행을 통해 도착한다. 그 석탄은 배로 운송된다.
기후
바렌츠부르크는 툰드라 기후 분류에 따른 툰드라 기후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짧고 쌀쌀한 "섬머"와 길고 매우 추운 겨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곳의 겨울은 툰드라 기후가 있는 많은 지역에서 겨울보다 눈에 띄게 따뜻하다. 마을이 80도에 육박하는 위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1년 중 4개월만 평균 기온이 영하를 넘고, 단 한 달도 월평균 기온이 10℃(50°F)를 넘지 않아 나무선 이북이라는 뜻이다. 겨울철 평균 저온도는 일상적으로 -15°C(5°F) 이하로 떨어진다. 바렌츠버그는 평균 약 550밀리미터(22인치)의 강수량을 기록했으며, 그 중 상당수는 눈으로 내린다. 사실, 그 마을은 전형적으로 1년 중 매달 눈이 온다.
바렌츠부르크 기후 데이터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높은 °C(°F) 기록 | 6.8 (44.2) | 5.6 (42.1) | 4.1 (39.4) | 5.3 (41.5) | 9.9 (49.8) | 14.6 (58.3) | 20.3 (68.5) | 17.5 (63.5) | 12.1 (53.8) | 8.5 (47.3) | 6.8 (44.2) | 5.9 (42.6) | 20.3 (68.5) |
평균 높은 °C(°F) | −9.1 (15.6) | −9.4 (15.1) | −9.4 (15.1) | −6.4 (20.5) | −1.1 (30.0) | 4.0 (39.2) | 8.4 (47.1) | 7.2 (45.0) | 2.9 (37.2) | −2.6 (27.3) | −5.1 (22.8) | −7.4 (18.7) | −2.3 (27.9) |
일평균 °C(°F) | −12.1 (10.2) | −12.7 (9.1) | −12.4 (9.7) | −9.7 (14.5) | −3.3 (26.1) | 2.2 (36.0) | 6.0 (42.8) | 5.1 (41.2) | 1.0 (33.8) | −4.7 (23.5) | −7.6 (18.3) | −10.5 (13.1) | −4.9 (23.2) |
평균 낮은 °C(°F) | −15.2 (4.6) | −15.7 (3.7) | −15.5 (4.1) | −12.1 (10.2) | −5.1 (22.8) | 0.8 (33.4) | 4.4 (39.9) | 3.6 (38.5) | −0.4 (31.3) | −6.6 (20.1) | −10.1 (13.8) | −12.9 (8.8) | −7.1 (19.2) |
낮은 °C(°F) 기록 | −37.1 (−34.8) | −39.3 (−38.7) | −39.8 (−39.6) | −31.3 (−24.3) | −22.5 (−8.5) | −9.2 (15.4) | −0.7 (30.7) | −3.5 (25.7) | −12 (10) | −27.1 (−16.8) | −29.3 (−20.7) | −37.3 (−35.1) | −39.8 (−39.6) |
평균 강수량 mm(인치) | 61 (2.4) | 50 (2.0) | 56 (2.2) | 44 (1.7) | 28 (1.1) | 21 (0.8) | 25 (1.0) | 35 (1.4) | 54 (2.1) | 56 (2.2) | 59 (2.3) | 63 (2.5) | 552 (21.7) |
평균 비 오는 날 | 2 | 1 | 2 | 1 | 3 | 10 | 17 | 16 | 12 | 4 | 3 | 2 | 73 |
평균 눈 오는 날 | 24 | 20 | 22 | 20 | 20 | 10 | 1 | 3 | 14 | 22 | 23 | 24 | 203 |
평균 상대습도(%) | 77 | 77 | 77 | 77 | 79 | 81 | 81 | 82 | 81 | 77 | 77 | 77 | 79 |
출처: Pogoda.ru.net[10] |
과학과 문화
바렌츠부르크 포모르 박물관은 포모르 문화, 북극의 동식물, 그리고 영구 동토층에 보존된 고고학적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롱헤이바이엔에서 매일 여름 전용 보트가 도착하면, 그리고 특별한 준비를 통해 문을 연다. 바닷물이 데워진 수영장을 비롯해 운동장이 있다.
매년 여름이면 러시아 등지에서 온 수십 명의 지구물리학자, 지질학자, 고고학자, 생물학자, 빙하학자, 지질학자 등이 과학연구센터에서 일하고 있다. 연중 기상 관측소와 최북단 우주선 관측소도 있다.
교육
바렌츠부르크는 러시아 사회에 봉사하는 학교를 가지고 있다; 2014년에 그것은 대부분의 과목에 1명, 음악, 그리고 영어를 위한 1명의 교사를 세 명 두었다. 2014년까지 복지 기금은 감소하였다.[11]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Population of Svalbard, 1st half-year 2020". ssb.no. Retrieved 12 January 2021.
- ^ 노르웨이 스발바르 석탄 화재.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2006년 11월 1일.
- ^ Barentsburg: Kullbrann kan före는 2011년 6월 29일 웨이백 머신 아프텐포스텐(Wayback Machine Aftenposten) 2006년 11월 1일(노르웨이어)에 보관될 때까지
- ^ Staalesen, Atle (2010-11-08). "Russians restarted coal mining at Svalbard". Barents Observer. Retrieved 2010-01-26.
- ^ a b 바렌츠부르크 총영사관(스피스베르겐)
- ^ 9178 바렌츠부르크 스발바르, 포스텐 노지
- ^ Umbreit, Andreas (2009). Spitsbergen (4 ed.). Bradt Travel Guide. p. 35. ISBN 978-1-84162-240-8.
- ^ Barr, Susan (2003). Norway, a consistent polar nation?: analysis of an image seen through the history of the Norwegian Polar Institute. Kolofon. p. 174. ISBN 978-82-300-0026-7.
- ^ Dickie, Gloria (1 June 2021). "The World's Northernmost Town Is Changing Dramatically". Scientific American. 324 (6): 44–53. doi:10.1038/scientificamerican0621-44 (inactive 31 Octo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riginal title: "The Polar Crucible") on 18 May 2021. Retrieved 20 May 2021.CS1 maint: 2021년 10월 현재 DOI 비활성화(링크)
- ^ "Weather and Climate- The Climate of Barentsburg" (in Russian).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Retrieved 14 May 2015.
- ^ Skinner, Toby (May 2014). "The Russians on Svalbard". Norwegian Air Shuttle (infligh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