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발바르 조약
Svalbard Treaty베어섬을 포함한 스피츠베르겐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 Fatomé reconnaissant la souveraineté de la Norvége sur l'archipel du Spitsberg, y compris l'l'le auxurs. 우리의 것을 재구성한다. | |
---|---|
서명된 | 1920년 2월 9일 |
위치 | 프랑스 파리 |
효과적 | 1925년 8월 14일 |
조건 | 모든 서명국들의 비준 |
파티들 | 46[1] - 목록 참조 |
예금자 | 프랑스 공화국 정부 |
언어들 | 프랑스어와 영어 |
전체 텍스트 | |
위키소스의 스피츠베르겐 조약 |
스발바르 조약(원래 스핏스베르겐 조약)은 당시 스발바르(Svalbard)의 북극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고 있다.그러나 주권의 행사는 일정한 규정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모든 노르웨이 법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그 조약은 군도의 비무장화를 규제한다.서명국들에게는 그 섬에서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동등한 권리가 주어졌다.2012년[update] 현재 노르웨이와 러시아는 이 권리를 사용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이 군도는 스발바르 조약의 조건에 따라 완전히 무비자 지역이다.[2]
이 조약은 1920년 2월 9일에 체결되어 1920년 10월 21일 국제연맹 조약 시리즈에 등록하기 위해 제출되었다.[3]원래 고위 계약 당사자는 14명이었다.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4]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인도 포함),[5] 미국.원래 서명국 중 일본은 1925년 4월 2일에 마지막으로 이 조약을 비준했고, 이 조약이 1925년 8월 14일에 발효되었다.[6]
많은 추가 국가들은 조약의 발효 전에 몇몇 조약들을 포함하여 조약 원안 서명국들에 의해 비준된 후 조약에 가입했다.2018년[update] 현재 이 조약의 당사자는 46명이다.[1]
조약명
원래의 조약은 Spitsbergen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이라는 제목이다.1596년(스펠링이 약간 변형된) 이후 통용되는 유일한 이름이었던 스피스베르겐(Spitsbergen)을 군도 전체를 가리킨다.조약 체결 5년 뒤인 1925년 노르웨이 당국은 공식적으로 섬 이름을 '스발바르(Svalbard)'로 변경했다.이 새로운 이름은 1194년경 노르웨이의 사가스에서 증명된 고대 토포니임 스발바르지(Svalbarbari)를 현대적으로 개작한 것이다.이 익명의 Spitsbergen은 이후 군도의 본섬에 적용되기 시작했다.[7][8]이에 따라 현대사학에서 스피츠베르겐 조약은 흔히 이름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으로 스발바르 조약이라고 일컬어진다.[citation needed]
역사
이 군도는 1596년 네덜란드의 탐험가 윌렘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다.[9]그것은 '샤프 피크가 있는 산'이라는 뜻의 Spitsberge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었다.[10]이 섬들은 1920년대에 노르웨이에 의해 스발바르로 이름이 바뀌었다.[11]
스피츠베르겐/스발바드는 어업, 포경, 채굴, 연구, 이후 관광 등 여러 나라의 사람들이 참여해 국가가 없는 영토로 시작했다.스발바르에는 17세기 전반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노르웨이 사이에 포경 권리와 주권 분쟁으로 인해 이 지역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지만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은 채 대부분 규제나 법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12]20세기까지 광물 퇴적물이 본섬에서 발견되었고 광부와 소유주들 사이의 계속되는 갈등은 정부의 필요성을 만들었다.[13]
내용물
스피츠베르겐 조약은 제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 협상 기간인 1920년 2월 9일 파리에서 체결되었다.이 조약에서 국제 외교는 노르웨이의 주권(노르웨이 행정부는 1925년까지 발효됨)과 스발바르와 관련된 다른 원칙을 인정하였다.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5]
- 스발바르(Svalbard)는 노르웨이의 일부분이다: 스발바르(Svalbard)는 노르웨이 왕국에 의해 완전히 통제되고 노르웨이 왕국의 일부를 형성한다.그러나 스발바르에 대한 노르웨이의 권력은 다음과 같은 제한에 의해 제한된다.
- 과세:이것은 세금을 징수할 수 있게 하지만 스발바르와 스발바르 정부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이는 노르웨이 본토보다 낮은 세금과 노르웨이를 직접 지원하는 스발바르에 대한 세금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는다.또한 스발바드의 수입과 비용은 노르웨이 본토와 별도로 책정되어 있다.
- 환경 보존:노르웨이는 스발바르 환경을 존중하고 보존해야 한다.
- 비차별:조약에 따라 모든 시민과 모든 국가의 모든 기업은 주민이 될 수 있고, 어떤 종류의 해양, 산업, 광업 또는 무역 활동도 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스발바르에 접근할 수 있다.스발바르 주민들은 노르웨이의 법을 따라야 하지만 노르웨이의 당국은 어떤 특정한 국적의 주민을 차별하거나 우대할 수는 없다.
- 군사적 제한:제9조는 해군기지 및 요새를 금지하고 있으며, 전쟁과 같은 목적으로 스발바르를 사용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다.그러나 완전히 비무장화된 것은 아니다.[citation needed]
천연자원에 관한 분쟁
스발바르 주변 200해리 구역
주로 노르웨이와 러시아(그 이전에 소련) 사이에 이 지역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 왔다.[14][15]1977년 노르웨이는 스발바르 주변 200해리(370km)[14]에 규제 어장을 설치했다(외국인 출입을 차단하지는 않았지만).노르웨이는 이 조약의 동등한 경제 접근 조항이 섬과 그 영해(당시 4해리)에만 적용되지만 더 넓은 배타적 경제수역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또, 대륙붕은 노르웨이 본토 대륙붕의 일부로서 1958년 대륙붕 협약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5]소련/러시아는 이 입장을 논쟁하고 계속 이의를 제기하며 스피츠베르겐 조약을 전체 구역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1978년 모스크바에서 회담이 열렸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14]핀란드와 캐나다는 노르웨이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는 반면 다른 조약국들 대부분은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14]조약의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모든 상위계약 당사자의 선박 및 국적자는 제1조에서 정한 영해와 그 영해에서 어업 및 수렵의 권리를 균등하게 누린다(2조부터)
영해와 육지에 있는 모든 해양·산업·광업·상업기업의 행사와 실천에 평등한 조건으로 인정하며, 어떠한 회계나 어떠한 기업도 독점하여서는 아니 된다.(제3조)
200해리 밖 천연자원
노르웨이 최대 신문인 아프텐포스텐에 따르면 "주로 이 분쟁은 스발바르 조약 또한 12해리 영해 밖에서 발효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한다.2011년 아프텐포스텐은 이 조약이 이 지역 밖에서 발효되면 노르웨이는 석유와 가스 수확의 78%의 이익 전부를 주장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16]
파티들
아래에는 당사자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있다. 아래 날짜는 한 국가가 비준서 또는 가입서류를 입금한 때를 반영한다.[1][17]일부 당사국은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의 후계국이다.
나라 | 비준일자 | 메모들 |
---|---|---|
아프가니스탄 | 1929년 11월 23일 | |
알바니아 | 1930년 4월 29일 | |
아르헨티나 | 1927년 5월 6일 | |
호주. | 1923년 12월 29일 | 영국연장. |
오스트리아 | 1930년 3월 12일 | |
벨기에 | 1925년 5월 27일 | |
불가리아 | 1925년 10월 20일 | |
캐나다 | 1923년 12월 29일 | 영국연장. |
칠리 | 1928년 12월 17일 | |
중국 | 1925년 7월 1일 | 중화민국으로 인정받았다.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후계자 또는 계속국가를 자처하고 있지만 2018년 현재 이 조약의 다른 모든 당사국들은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인정하고 있다. |
체코 | 2006년 6월 21일 | 체코슬로바키아는 1930년 7월 9일 조약에 가입했다.2006년 6월 21일 체코 공화국은 1993년 1월 1일 독립한 이후 조약에 얽매인 것을 후계 국가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
덴마크 | 1924년 1월 24일 | 덴마크 왕국 전체로 확장. |
도미니카 공화국 | 1927년 2월 3일 | |
이집트 | 1925년 9월 13일 | |
에스토니아 | 1930년 4월 7일 | |
핀란드 | 1925년 8월 12일 | |
프랑스. | 1924년 9월 6일 | |
독일. | 1925년 11월 16일 |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인정받았다.1974년 10월 21일, 동독도 1974년 8월 7일 이후 이 조약을 다시 적용했다고 진술했다.동독은 1990년 서독과 재회했다. |
그리스 | 1925년 10월 21일 | |
헝가리 | 1927년 10월 29일 | |
아이슬란드 | 1994년 5월 31일 | |
인도 | 1923년 12월 29일 | 영국연장. |
아일랜드 | 1923년 12월 29일 | 후자가 조약에 서명할 때 아일랜드는 영국의 일부였지만, 대부분의 아일랜드는 조약이 비준되기 전에 영국을 떠나 아일랜드 자유국을 구성했다.1976년 4월 15일, 아일랜드도 영국의 비준 이후 이 조약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
이탈리아 | 1924년 8월 6일 | |
일본. | 1925년 4월 2일 | |
라트비아 | 2016년 6월 13일 | |
리투아니아 | 2013년 1월 22일 | |
모나코 | 1925년 6월 22일 | |
네덜란드 | 1920년 9월 3일 | 네덜란드 왕국 전체로 확장. |
뉴질랜드 | 1923년 12월 29일 | 영국연장. |
북한 | 2016년 3월 16일 | |
노르웨이 | 1924년 10월 8일 | |
폴란드 | 1931년 9월 2일 | |
포르투갈 | 1927년 10월 24일 | |
루마니아 | 1925년 7월 10일 | |
러시아 | 1935년 5월 7일 | 소비에트 연방으로 인정받았다.1992년 1월 27일 러시아는 소련이 체결한 조약을 계속 적용한다고 선언했다. |
사우디아라비아 | 1925년 9월 2일 | 헤자즈 왕국으로 추대되었다. |
슬로바키아 | 2017년 2월 21일 | 체코슬로바키아는 1930년 7월 9일 조약에 가입했다.2017년 2월 21일 슬로바키아는 1993년 1월 1일 독립한 이후 이 조약에 종속된 국가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23년 12월 29일 | 영국연장. |
대한민국. | 2012년 9월 11일 | |
스페인 | 1925년 11월 12일 | |
스웨덴 | 1924년 9월 15일 | |
스위스 | 1925년 6월 30일 | |
영국 | 1923년 12월 29일 | 호주, 캐나다, 인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로 확장.아일랜드도 영국의 비준 이후 이 조약을 적용했다. |
미국 | 1924년 4월 2일 | |
베네수엘라 | 1928년 2월 8일 |
유고슬라비아도 1925년 7월 6일 조약에 가입했지만, 2018년 현재, 그 후임 국가들 중 누구도 조약의 적용을 계속하겠다고 선언하지 않았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Treaties and agreements of France" (in Fren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France (depositary country). Retrieved 19 February 2019.
- ^ 2006년 7월 4일, 이민자들은 따뜻하게 환영했다.
- ^ 국제연맹 조약 시리즈, 제2권 8-19호
- ^ 네덜란드의 관심과 역사적 주장에 대해서는 뮬러, 헨드릭, '네덜랜드의 역사학 리히텐 op Spitsbergen', 티즈쉬히프트 판 헤트 코닌클리히크 네델란드흐 네델란드흐 네드리히크 네드리히크 네드리히크 게노츠샤프 2세리에, 34호(1919) 1호, 94–104를 참조한다.
- ^ a b "Original Spitsbergen Trea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7. Retrieved 8 August 2021.
- ^ Spitsbergen 조약 및 비준(노르웨이어)
- ^ "Norwegian place names in polar regions". Norwegian Polar Institute.
- ^ "History – Spitsbergen – Svalbard". spitsbergen-svalbard.com.
- ^ Grydehøj, Adam (2020), "Svalbard: International Relations in an Exceptionally International Territory", The Palgrave Handbook of Arctic Policy and Poli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267–282, doi:10.1007/978-3-030-20557-7_17, ISBN 978-3-030-20556-0, S2CID 211340284 Alt URL
- ^ Torkildsen, Torbjørn; et al. (1984). Svalbard: vårt nordligste Norge (in Norwegian). Oslo: Forlaget Det Beste. p. 30. ISBN 82-7010-167-2.
- ^ Umbreit, Andreas (2005). Guide to Spitsbergen. Bucks: Bradt. pp. XI–XII. ISBN 1-84162-092-0.
- ^ 토르킬센(1984), 페이지 34-36
- ^ Arlov, Thor B. (1996). Svalbards historie (in Norwegian). Oslo: Aschehoug. pp. 249, 261, 273. ISBN 82-03-22171-8.
- ^ a b c d Alex G. Oude Elferink (1994). The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 Case Study of the Russian Federation. Martinus Nijhoff. pp. 230–231.
- ^ a b Willy Østreng (1986). "Norway in Northern Waters". In Clive Archer & David Scrivener (ed.). Northern Waters: Security and Resource Issues. Routledge. pp. 165–167.
- ^ 아프텐포스텐, "USA snuser på Svalbard-olje".토르비외른 페데르센, 페이지 14
- ^ "Treaty concerning the Archipelago of Spitsbergen, including Bear Island".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Retrieved 19 February 2019.
추가 읽기
- Moe, Arild; Schei, Peter Johan (18 November 2005). "The High North – Challenges and Potentials" (PDF). Prepared for French-Norwegian Seminar at IFRI, Paris, 24 November 2005. Fridtjof Nansen Institute (www.fni.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December 2008. Retrieved 11 August 2008.
{{cite journal}}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외부 링크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 노르웨이, 미국,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영국 및 아일랜드와 영국 해외 도미니언스와 스웨덴 간의 조약 1920년 2월 9일 파리에서 체결된 스피츠베르겐에 관한 조약.
- 스피츠베르겐 군도에 관한 조약
- 스발바르 조약 및 비준 (노르웨이어)
- 스발바르 – 중요한 무대 – 노르웨이 외무부 장관의 연설, 2006년 4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