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발바르 조약

Svalbard Treaty
스발바르 조약
베어섬을 포함한 스피츠베르겐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
Fatomé reconnaissant la souveraineté de la Norvége sur l'archipel du Spitsberg, y compris l'l'le auxurs. 우리의 것을 재구성한다.
Svalbard signatories.svg
조약의 비준
서명된1920년 2월 9일
위치프랑스 파리
효과적1925년 8월 14일
조건모든 서명국들의 비준
파티들46[1] - 목록 참조
예금자프랑스 공화국 정부
언어들프랑스어와 영어
전체 텍스트
위키소스스피츠베르겐 조약

스발바르 조약(원래 스핏스베르겐 조약)은 당시 스발바르(Svalbard)의 북극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고 있다.그러나 주권의 행사는 일정한 규정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모든 노르웨이 법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그 조약은 군도의 비무장화를 규제한다.서명국들에게는 그 섬에서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동등한 권리가 주어졌다.2012년 현재 노르웨이와 러시아는 이 권리를 사용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이 군도는 스발바르 조약의 조건에 따라 완전히 무비자 지역이다.[2]

이 조약은 1920년 2월 9일에 체결되어 1920년 10월 21일 국제연맹 조약 시리즈에 등록하기 위해 제출되었다.[3]원래 고위 계약 당사자는 14명이었다.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4]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인도 포함),[5] 미국.원래 서명국 중 일본은 1925년 4월 2일에 마지막으로 이 조약을 비준했고, 이 조약이 1925년 8월 14일에 발효되었다.[6]

많은 추가 국가들은 조약의 발효 전에 몇몇 조약들을 포함하여 조약 원안 서명국들에 의해 비준된 후 조약에 가입했다.2018년 현재 이 조약의 당사자는 46명이다.[1]

조약명

원래의 조약은 Spitsbergen 군도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이라는 제목이다.1596년(스펠링이 약간 변형된) 이후 통용되는 유일한 이름이었던 스피스베르겐(Spitsbergen)을 군도 전체를 가리킨다.조약 체결 5년 뒤인 1925년 노르웨이 당국은 공식적으로 섬 이름을 '스발바르(Svalbard)'로 변경했다.이 새로운 이름은 1194년경 노르웨이의 사가스에서 증명된 고대 토포니임 스발바르지(Svalbarbari)를 현대적으로 개작한 것이다.익명Spitsbergen은 이후 군도의 본섬에 적용되기 시작했다.[7][8]이에 따라 현대사학에서 스피츠베르겐 조약흔히 이름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시대착오적으로 스발바르 조약이라고 일컬어진다.[citation needed]

역사

이 군도는 1596년 네덜란드의 탐험가 윌렘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다.[9]그것은 '샤프 피크가 있는 산'이라는 뜻의 Spitsberge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었다.[10]이 섬들은 1920년대에 노르웨이에 의해 스발바르로 이름이 바뀌었다.[11]

스피츠베르겐/스발바드는 어업, 포경, 채굴, 연구, 이후 관광 등 여러 나라의 사람들이 참여해 국가가 없는 영토로 시작했다.스발바르에는 17세기 전반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노르웨이 사이에 포경 권리와 주권 분쟁으로 인해 이 지역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지만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은 채 대부분 규제나 법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12]20세기까지 광물 퇴적물이 본섬에서 발견되었고 광부와 소유주들 사이의 계속되는 갈등은 정부의 필요성을 만들었다.[13]

내용물

스피츠베르겐 조약은 제1차 세계대전베르사유 협상 기간인 1920년 2월 9일 파리에서 체결되었다.이 조약에서 국제 외교는 노르웨이의 주권(노르웨이 행정부는 1925년까지 발효됨)과 스발바르와 관련된 다른 원칙을 인정하였다.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5]

  • 스발바르(Svalbard) 노르웨이의 일부분이다: 스발바르(Svalbard)는 노르웨이 왕국에 의해 완전히 통제되고 노르웨이 왕국의 일부를 형성한다.그러나 스발바르에 대한 노르웨이의 권력은 다음과 같은 제한에 의해 제한된다.
  • 과세:이것은 세금을 징수할 수 있게 하지만 스발바르와 스발바르 정부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이는 노르웨이 본토보다 낮은 세금과 노르웨이를 직접 지원하는 스발바르에 대한 세금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는다.또한 스발바드의 수입과 비용은 노르웨이 본토와 별도로 책정되어 있다.
  • 환경 보존:노르웨이는 스발바르 환경을 존중하고 보존해야 한다.
  • 비차별:조약에 따라 모든 시민과 모든 국가의 모든 기업은 주민이 될 수 있고, 어떤 종류의 해양, 산업, 광업 또는 무역 활동도 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스발바르에 접근할 수 있다.스발바르 주민들은 노르웨이의 법을 따라야 하지만 노르웨이의 당국은 어떤 특정한 국적의 주민을 차별하거나 우대할 수는 없다.
  • 군사적 제한:제9조는 해군기지 및 요새를 금지하고 있으며, 전쟁과 같은 목적으로 스발바르를 사용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다.그러나 완전히 비무장화된 은 아니다.[citation needed]

천연자원에 관한 분쟁

스발바르 주변 200해리 구역

주로 노르웨이와 러시아(그 이전에 소련) 사이에 이 지역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 왔다.[14][15]1977년 노르웨이는 스발바르 주변 200해리(370km)[14]에 규제 어장을 설치했다(외국인 출입을 차단하지는 않았지만).노르웨이는 이 조약의 동등한 경제 접근 조항이 섬과 그 영해(당시 4해리)에만 적용되지만 더 넓은 배타적 경제수역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또, 대륙붕은 노르웨이 본토 대륙붕의 일부로서 1958년 대륙붕 협약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5]소련/러시아는 이 입장을 논쟁하고 계속 이의를 제기하며 스피츠베르겐 조약을 전체 구역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1978년 모스크바에서 회담이 열렸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14]핀란드와 캐나다는 노르웨이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는 반면 다른 조약국들 대부분은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14]조약의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모든 상위계약 당사자의 선박 및 국적자는 제1조에서 정한 영해와 그 영해에서 어업 및 수렵의 권리를 균등하게 누린다(2조부터)

영해와 육지에 있는 모든 해양·산업·광업·상업기업의 행사와 실천에 평등한 조건으로 인정하며, 어떠한 회계나 어떠한 기업도 독점하여서는 아니 된다.(제3조)

200해리 밖 천연자원

노르웨이 최대 신문인 아프텐포스텐에 따르면 "주로 이 분쟁은 스발바르 조약 또한 12해리 영해 밖에서 발효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한다.2011년 아프텐포스텐은 이 조약이 이 지역 밖에서 발효되면 노르웨이는 석유와 가스 수확의 78%의 이익 전부를 주장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16]

파티들

아래에는 당사자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있다. 아래 날짜는 한 국가가 비준서 또는 가입서류를 입금한 때를 반영한다.[1][17]일부 당사국은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의 후계국이다.

나라 비준일자 메모들
아프가니스탄 1929년 11월 23일
알바니아 1930년 4월 29일
아르헨티나 1927년 5월 6일
호주. 1923년 12월 29일 영국연장.
오스트리아 1930년 3월 12일
벨기에 1925년 5월 27일
불가리아 1925년 10월 20일
캐나다 1923년 12월 29일 영국연장.
칠리 1928년 12월 17일
중국 1925년 7월 1일 중화민국으로 인정받았다.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모두 후계자 또는 계속국가를 자처하고 있지만 2018년 현재 이 조약의 다른 모든 당사국들은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인정하고 있다.
체코 2006년 6월 21일 체코슬로바키아1930년 7월 9일 조약에 가입했다.2006년 6월 21일 체코 공화국은 1993년 1월 1일 독립한 이후 조약에 얽매인 것을 후계 국가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덴마크 1924년 1월 24일 덴마크 왕국 전체로 확장.
도미니카 공화국 1927년 2월 3일
이집트 1925년 9월 13일
에스토니아 1930년 4월 7일
핀란드 1925년 8월 12일
프랑스. 1924년 9월 6일
독일. 1925년 11월 16일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인정받았다.1974년 10월 21일, 동독1974년 8월 7일 이후 이 조약을 다시 적용했다고 진술했다.동독은 1990년 서독과 재회했다.
그리스 1925년 10월 21일
헝가리 1927년 10월 29일
아이슬란드 1994년 5월 31일
인도 1923년 12월 29일 영국연장.
아일랜드 1923년 12월 29일 후자가 조약에 서명할 때 아일랜드는 영국의 일부였지만, 대부분의 아일랜드는 조약이 비준되기 전에 영국을 떠나 아일랜드 자유국을 구성했다.1976년 4월 15일, 아일랜드도 영국의 비준 이후 이 조약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1924년 8월 6일
일본. 1925년 4월 2일
라트비아 2016년 6월 13일
리투아니아 2013년 1월 22일
모나코 1925년 6월 22일
네덜란드 1920년 9월 3일 네덜란드 왕국 전체로 확장.
뉴질랜드 1923년 12월 29일 영국연장.
북한 2016년 3월 16일
노르웨이 1924년 10월 8일
폴란드 1931년 9월 2일
포르투갈 1927년 10월 24일
루마니아 1925년 7월 10일
러시아 1935년 5월 7일 소비에트 연방으로 인정받았다.1992년 1월 27일 러시아는 소련이 체결한 조약을 계속 적용한다고 선언했다.
사우디아라비아 1925년 9월 2일 헤자즈 왕국으로 추대되었다.
슬로바키아 2017년 2월 21일 체코슬로바키아1930년 7월 9일 조약에 가입했다.2017년 2월 21일 슬로바키아는 1993년 1월 1일 독립한 이후 이 조약에 종속된 국가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1923년 12월 29일 영국연장.
대한민국. 2012년 9월 11일
스페인 1925년 11월 12일
스웨덴 1924년 9월 15일
스위스 1925년 6월 30일
영국 1923년 12월 29일 호주, 캐나다, 인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로 확장.아일랜드도 영국의 비준 이후 이 조약을 적용했다.
미국 1924년 4월 2일
베네수엘라 1928년 2월 8일

유고슬라비아1925년 7월 6일 조약에 가입했지만, 2018년 현재, 그 후임 국가들 중 누구도 조약의 적용을 계속하겠다고 선언하지 않았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Treaties and agreements of France" (in Fren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France (depositary country). Retrieved 19 February 2019.
  2. ^ 2006년 7월 4일, 이민자들따뜻하게 환영했다.
  3. ^ 국제연맹 조약 시리즈, 제2권 8-19호
  4. ^ 네덜란드의 관심과 역사적 주장에 대해서는 뮬러, 헨드릭, '네덜랜드의 역사학 리히텐 op Spitsbergen', 티즈쉬히프트 헤트 코닌클리히크 네델란드흐 네델란드흐 네드리히크 네드리히크 네드리히크 게노츠샤프 2세리에, 34호(1919) 1호, 94–104를 참조한다.
  5. ^ a b "Original Spitsbergen Trea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7. Retrieved 8 August 2021.
  6. ^ Spitsbergen 조약비준(노르웨이어)
  7. ^ "Norwegian place names in polar regions". Norwegian Polar Institute.
  8. ^ "History – Spitsbergen – Svalbard". spitsbergen-svalbard.com.
  9. ^ Grydehøj, Adam (2020), "Svalbard: International Relations in an Exceptionally International Territory", The Palgrave Handbook of Arctic Policy and Poli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267–282, doi:10.1007/978-3-030-20557-7_17, ISBN 978-3-030-20556-0, S2CID 211340284 Alt URL
  10. ^ Torkildsen, Torbjørn; et al. (1984). Svalbard: vårt nordligste Norge (in Norwegian). Oslo: Forlaget Det Beste. p. 30. ISBN 82-7010-167-2.
  11. ^ Umbreit, Andreas (2005). Guide to Spitsbergen. Bucks: Bradt. pp. XI–XII. ISBN 1-84162-092-0.
  12. ^ 토르킬센(1984), 페이지 34-36
  13. ^ Arlov, Thor B. (1996). Svalbards historie (in Norwegian). Oslo: Aschehoug. pp. 249, 261, 273. ISBN 82-03-22171-8.
  14. ^ a b c d Alex G. Oude Elferink (1994). The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 Case Study of the Russian Federation. Martinus Nijhoff. pp. 230–231.
  15. ^ a b Willy Østreng (1986). "Norway in Northern Waters". In Clive Archer & David Scrivener (ed.). Northern Waters: Security and Resource Issues. Routledge. pp. 165–167.
  16. ^ 아프텐포스텐, "USA snuser på Svalbard-olje".토르비외른 페데르센, 페이지 14
  17. ^ "Treaty concerning the Archipelago of Spitsbergen, including Bear Island".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Retrieved 19 February 2019.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