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캐시 전투
Battle of Monocacy모노캐시 전투 | |||||||
---|---|---|---|---|---|---|---|
남북전쟁의 일부 | |||||||
![]() 메릴랜드 프레데릭 근처 모노캐이시 강 위에 있는 R.R. 다리 파괴. 알프레드 R. 아티스트 Waud | |||||||
| |||||||
교전국 | |||||||
![]() | ![]() | ||||||
지휘관 및 리더 | |||||||
루 월러스 | 주발 에이빠른 | ||||||
힘 | |||||||
5,800[1] | 14,000[2] | ||||||
사상자 및 손실 | |||||||
1,294[1] | 700–900[1] |
모노캐시 전투(Monocacy Junction이라고도 함)는 1864년 남북전쟁 중 1864년 밸리 캠페인의 일환으로 메릴랜드주 프레드릭에서 약 6마일(9.7km) 떨어진 곳에서 1864년 7월 9일 벌어졌다.주발 A 중장이 이끄는 남부군 루 월러스 소장이 이끄는 북군을 조기에 격파했다.이 전투는 북군을 장군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얼리가 셰난도 계곡을 지나 메릴랜드로 급습한 시도의 일부였다.로버트 E. 리의 군대는 [1]버지니아주 피터스버그에서 포위당했다.
그 전투는 남군의 전쟁 최북단 승리였다.북군이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로 후퇴하는 동안, 남부군은 워싱턴 D.C.를 향해 계속 나아갔다. 모노캐시에서의 전투가 얼리의 행진을 하루 지연시켰기 때문에, 북군의 증원군은 남부군보다 먼저 북군의 수도에 도착할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얼리는 7월 12일 포트 스티븐스 전투에서 워싱턴을 공격했지만, 남군은 실패했고 버지니아로 후퇴했다.
배경
1864년 밸리 캠페인의 일환으로 5월과 6월에 연합군 총사령관이 되었다.율리시스 S. 그랜트는 버지니아에서 남부 연합군에 대항하는 군대의 조직적인 이동을 계획했다.6월 17일과 18일 버지니아 린치버그 외곽에서 데이비드 헌터 소장의 부하들과 교전을 벌인 후, 주발 얼리 남군이 북군을 물리치고 워싱턴 D.C.[3][4]로 가는 길을 연 것은 이 작전 기간 중이었고, 이른 아침 버지니아주 서부까지 병력을 16,000명 가까이 늘렸다.수적으로 열세인 북군은 그 도시를 철수했다.6월 19일, 웨스트버지니아 하퍼스 페리의 소규모 연합군이 포토맥 [5]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불태웠다.
그랜트는 마르틴스버그와 하퍼스 페리에서의 얼리의 습격에 대응하여 브릭스 제6군단 3사단 소속 약 5,000명의 2개 여단을 파견했다. 제임스 B 장군 1864년 [5][6]7월 5일 버지니아 시티 포인트에서 하퍼스 페리로 가는 리케츠.북군이 워싱턴을 방어하기 위해 도착할 때까지 얼리와 북군 수도 사이의 유일한 연방군은 루 월러스 소장이 지휘하는 2,300명의 병력[3](대부분의 백일병)이었다.당시 벤허의 작가로 더 잘 알려진 월리스는 [6]볼티모어에 본부를 둔 유니온 중앙부와 제8군단을 지휘하고 있었다.월리스의 부하들 중 전투 [7]경험이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월리스는 북군 최연소 소장으로 진급할 당시 전장 경험이 있었지만 샤일로 [8]전투 첫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비난을 받고 군 생활이 흔들렸다.
한편 메릴랜드주 컴벌랜드에 있는 볼티모어&오하이오 철도와 하퍼스 페리 소속 요원들은 6월 29일 얼리의 진격 징후를 보고했다.철도공사 사장이자 유니온의 후원자인 존 W. 개럿이 이 정보를 전달했고, 이후 보고는 7월 [3][9]3일 월리스에 도착했다.개럿은 모노캐시 강을 건넌 메릴랜드주 모노캐시 정션의 철도 다리를 보호하는 것에 대해 걱정했다.이 다리는 하퍼스 페리의 철도 연결에 중요했고 더 서쪽을 가리키고 있었기 때문에 월러스는 [10]이를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모노커시에 파견하기로 동의했습니다.
전투 준비
7월 3일, 월리스는 상관의 명령이나 자신의 의도를 알리지 않고 스스로 행동하며 준장을 파견했다.에라스투스 B 장군 타일러와 제1메릴랜드 보병대와 제3메릴랜드 보병대의 포토맥 홈 여단 소속 병사들은 방어 진지를 구축하기 위해 모노캐시 분기점에 도착했다.개럿의 요원들이 남부 연합군의 하퍼스 페리 공격을 보고한 후 월리스는 장군에게 정보를 전달했다.헨리 할렉은 볼티모어에 있는 그의 여단에게 이동할 준비를 하라고 명령했다.월리스는 [8][10]7월 4일 방어력을 평가하기 위해 모노캐시 정션으로 출발했다.
볼티모어가 남군의 목표인지 워싱턴이 목표인지 확실하지 않은 월리스는 지원군이 어느 한 도시에 [9]도착할 때까지 그들의 접근을 늦춰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월리스는 프레드릭에서 남동쪽으로 3마일(4.8km) 떨어진 모노캐시 정션(Monocacy Junction)을 볼티모어와 워싱턴을 방어하기 위한 가장 논리적인 지점이라고 보았다.모노캐시 분기점의 강에서 6마일(9.7km) 떨어진 카톡틴 산맥까지 펼쳐진 평야.모노캐시 분기점에서 B&O 철도의 다리는 절벽 아래 강을 건넜다.조지타운 파이크가 강 하류에서 조금 떨어진 모노캐시 강을 건너 워싱턴으로 갈 수 있게 해 준 반면, 돌다리는 볼티모어 파이크를 2마일(3.2km) 상류에 있는 모노캐시 강을 건너게 했다.교차로 근처와 철교 위 절벽에 있는 두 개의 블록하우스는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했다.벼랑 위의 그 [11]블록하우스에 24파운드 포탄이 설치되었다.월러스가 개울의 6마일(9.7km)에 걸쳐서 턴파이크 다리, 철교, 그리고 여러 개의 강둑을 보호할 수 있다면, 그는 얼리에게 남부군의 힘과 목표를 공개하도록 강요하고 가능한 [12][13]한 오래 그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 모노캐시 정션의 강을 따라 있는 월러스 부대는 타일러 여단과 중령이 지휘하는 8 일리노이 기병 연대 소속 230명의 기병대로 구성되었다.데이비드 R. 클렌데닌.[8]월리스는 그들을 돕기 위해 11 메릴랜드 야전포 부대, 그리고 아나폴리스와 [11]볼티모어에서 오하이오 부대를 포함한 추가 병력을 이동시켰다.월리스의 부하들은 7월 7일 프레데릭 서쪽의 얼리의 기병대와 교전을 벌였지만,[3][14] 나중에 포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모노캐시 분기점으로 후퇴했다.7월 7일과 8일의 교전 이후, 남부 연합 기병대가 프레드릭으로부터 북군을 몰아냈을 때, 얼리는 도시를 [15]파괴로부터 구하기 위해 20만 달러의 몸값을 요구하고 받았다.
월리스의 전망은 리케츠가 지휘하는 6군단의 첫 번째 부대가 [3]볼티모어에 도착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개선되었다.원래 그들은 하퍼스 페리까지 기차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리케츠와 그의 부하 3,300여 명은 7월 8일 저녁 월리스가 그들을 멈추게 한 모노캐시 교차로에 도착했다.Ricketts는 [16][17]월레스를 돕기 위해 모노캐시에 남기로 동의했다.월리스가 할렉에게 남부군이 워싱턴으로 가는 길을 위협하고 있다고 알렸을 때 할렉은 그랜트에게 지원군을 수도로 보내라고 전보를 쳤다.모노캐시 정션에 있는 북군은 [18]워싱턴에서 이틀간 행군하던 얼리 부대를 지연시켜야 할 것이다.
7월 9일 토요일, 약 6,800명의 월리스와 리케츠의 연합군이 강의 다리와 호숫가에 배치되었다.타일러의 여단이 다리 근처에 파놓은 두 개의 블록하우스와 참호를 점령하는 동안, 강의 동쪽 둑의 높은 고도는 일부 병사들에게 자연스러운 흉곽을 형성했다.리케트의 사단은 울타리를 가슴 [19]세공으로 사용하여 유니언 좌파의 토마스와 워싱턴 농장을 점령했다.연합군의 추정치는 1만4천명에서 2만8천명으로 북군의 [20]거의 두 배에 달한다.
반대 세력
유니언
남부 연합
전투
월러스의 전투 목표는 간단했다. 워싱턴으로 가는 길을 가능한 한 오래 안전하게 유지하고 그의 부하들을 위해 후퇴선을 유지하는 것이었다.7월 9일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에 남부연합 스티븐 도슨 램서 소장의 사단은 조지타운 파이크가 강을 건넌 다리를 내려다보는 절벽을 따라 약 3,500명의 리켓 소장과 마주쳤다. 로데스의 사단은 강을 가로지르는 볼티모어 파이크와 돌다리를 지키고 있던 타일러 여단과 충돌했다.클렌데닌의 북군 기병대가 강을 [21]바라보며 하류에 있었다.이 단계에서 잡혀간 포로들은 6군단 전체가 남군에 있었다고 말했고, 이는 남군의 경계심을 높인 것으로 보이며, 처음에는 수적으로 우위를 [22]점하지 않았다.
모노캐시를 가로지르는 정면 공격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생각한 얼리는 브릭을 보냈다.존 맥코슬랜드 장군이 이끄는 1,100명의 기병대가 북키스타운 로드를 따라 포드를 찾아 북군 방어선을 공격했다.맥코슬랜드는 조지타운 파이크 다리에서 약 1마일 하류 맥키니-워싱턴 포드 아래의 모노캐시 강을 건너 월리스의 왼쪽 측면을 [17]공격했다.구불구불한 지형 때문에 맥코슬랜드의 병사들은 리케트의 베테랑 부대 4개 연대가 워싱턴과 토마스 농장을 가르는 울타리를 따라 진지를 구축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그 결과, 북군의 전선은 맥코슬랜드의 전선을 파괴하고 남은 [23][24]남군을 패닉에 빠뜨리는 발리 한 발을 발사할 수 있었다.맥코슬랜드는 여단을 규합하여 다시 공격을 개시하였으나, 북군의 방어선을 뚫지 못하고 [25][26]후퇴하였다.
기병대가 단독으로 북군의 측면을 돌파하지 못하자 얼리는 존 B 소장을 보냈다. 포드를 가로지르는 고든의 보병 사단이 공격을 돕고 있다.고든은 리케트의 중앙과 양쪽 [27]측면을 향해 3개 여단과 함께 3개 여단으로 이루어진 공격을 개시했다.리케트의 오른쪽 측면은 뒤로 밀렸고, 남군은 북군의 전선을 포위할 수 있었다.람쇠르의 유니온 센터 공격과 강 건너에서 남군의 포격으로 월러스는 리케트의 병력을 보강하지 못했다.북군의 방어선을 유지할 수 없었던 월리스는 타일러의 여단이 적은 병력으로 돌다리를 지키게 하고 볼티모어 쪽으로 후퇴할 것을 명령했다.클렌데닌의 기병대는 조지타운 파이크 남쪽 8.0km 지점에 후방 [28][29]수비대로 남아 있었다.로데스의 남부군은 오후 6시경에 돌다리를 점령하기 위해 마지막 공격을 감행했지만, 대부분의 북부군은 이미 [28]볼티모어로 향하고 있었다.결국 수적으로 열세인 북군은 5번의 공격을 견디고 [3]퇴각했다.
여파

7월 9일 오후 늦게, 이 전쟁의 최북단 승리에 뒤이어, 연방군은 1,294명 이상의 사망, 부상 또는 [1][30]생포된 채 볼티모어 쪽으로 후퇴하고 있었다.얼리의 군대는 모노캐시의 전장에서 승리했지만, 700명에서 1,000명 가량의 사람들이 죽거나[1][28][31] 다치고 하루의 행군을 잃었습니다.
월리스는 할렉에게 오후 5시까지 그의 군대가 싸웠다고 전보를 쳤지만 그가 추산한 2만 명의 남부군은 그들을 압도하고 후퇴를 강요했다.한 가지 중요한 목표가 달성되었다: 모노캐시 분기점의 북군은 워싱턴에서의 얼리의 진격을 하루나 [3]지연시켰다.
퇴각 소식을 접한 후, 8군단의 책임자 그랜트는 월러스 부대의 지휘관 E. O. Ord 소장을 임명했다. (월리스는 그의 군대가 볼티모어에 도착한 7월 11일까지 그가 교체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했지만, 그는 여전히 중앙부의 행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었다.)정부 관리들이 월리스와 그의 부하들이 워싱턴을 구하기 위해 노력한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상황은 바뀌었다.월리스는 7월 [32][33][34]28일 8군단과 중앙부의 완전한 지휘권을 되찾았다.
월러스가 볼티모어로 후퇴하면서 길은 워싱턴으로 통하게 되었다.7월 10일 남부군은 연방 수도를 향해 행진을 시작했다.7월 11일 월요일 정오, 얼리는 그의 안경을 통해 미국 국회의사당의 돔을 볼 수 있는 포트 스티븐스에 도착했다.더위와 긴 행군으로 지친 그의 군대가 그의 뒤를 따라 헤매고 있는 가운데, 얼리는 요새에 대한 공격을 7월 12일까지 연기하기로 결정했다.비록 7월 11일 포격과 교전이 있었지만, 본격적인 공격 이전에 얼리는 너무 늦었다.그랜트가 워싱턴에 파견한 북군 6군단은 이미 도착해 도시를 방어할 준비를 마쳤다.8,000명으로 줄어든 남부 연합군 보병은 계속할 수 없었다.7월 14일까지 얼리는 화이트스 페리의 포토맥 강을 건너 [33][35][36]버지니아로 갔다.
우리는 전열을 지어 스티븐스 요새 앞에 있는 복숭아 과수원으로 행진했고, 여기서 싸움이 시작되었다.잠시나마 따뜻한 일이었지만 대통령과 많은 여성들이 우리를 바라보면서 모든 남자들이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했다.우리의 도움이 없었다면 요새의 작은 병력은 제압당했을 거예요.주발 얼리(Jubal Early)는 아침 일찍 공격했어야 했지만, 얼리(Early)는 늦었다.--[37]1864년 7월 12일, 제1로드아일랜드 자원봉사자 엘리샤 헌트 로즈(Elisha Hunt Rodes)
모노캐시에서의 전투로 워싱턴을 점령할 수 있는 기회와 하루의 행진이 희생되었다.북군의 수도를 점령하려는 시도가 좌절되자, 남부군은 [38]북부로 전쟁을 진행하기 위한 마지막 작전을 끝내고 버지니아로 후퇴했다.그 지역의 연합군은 얼리(Early)를 추격했지만, 분열된 군사 지휘로 인해 그를 물리칠 수 없었다.이에 대해 그랜트는 메릴랜드, 웨스트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 콜롬비아 특별구, 셰난도아 계곡을 아우르는 중부 군사 사단을 결성하여 [39]계곡에 있는 남부 연합군에 대한 공격을 조정하였다.
얼리 장군은 1864년 작전의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몇몇 북부 신문들은 토요일과 월요일 사이에 나는 도시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토요일에는 워싱턴에서 35마일 떨어진 모노케이시에서 싸우고 있었다.그리고 그 병력을 배치하고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인 후, 나는 포 앞에 도착하지 않았다.월요일 정오까지 교신했고 내 병력은 [40]지쳤다...
그랜트는 회고록에서 월리스의 모노캐시에서의 지연 전술에 대해 평가했다.
얼리만 하루만 더 빨랐더라면 내가 보낸 지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수도로 들어왔을 텐데….월러스 장군은 이번 기회에 그의 휘하에 있는 군대의 패배에 기여했는데,[41][42] 이것은 종종 승리를 통해 동등한 힘을 가진 지휘관의 운명에 넘어가는 것보다 더 큰 이익이다.
7월 말, 월리스는 전사자들의 시신을 수거하여 [28]전장에 묻으라는 명령을 내렸다.그는 또한 "이 사람들은 국가 수도를 구하기 위해 죽었고, 그들은 그것을 구했다"라는 글귀와 함께 그 자리에 세워질 기념비를 제안했다. (월러스가 제안한 기념비는 결코 세워지지 않았지만, 다른 다섯 개는 전투에서 죽은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43][44]
전장 보존
그 전장은 1970년대 후반에 모노캐시 국가 전장을 만들기 위해 그것의 일부를 획득하기 전까지 100년 이상 개인 소유로 남아있었다.그 공원은 1991년 7월에 완공되었다.뉴저지, 버몬트, 펜실베니아에서 온 연합군과 전투에서 [44][45]싸운 남부군에 대한 조공을 포함해 5개의 기념비가 그 자리에 세워졌다.남북전쟁신탁(American Battlefield Trust의 한 부서)과 그 파트너들은 모노캐시 전쟁터의 [46]445에이커를 획득하고 보존했다.
대중문화에서
미국 독립영화 '운명으로부터의 후퇴는 없다' '워싱턴을 구출한 전투'는 2006년 모노캐시 [47]전투를 다룬 문서 드라마다.
이 전투는 랄프 [48]피터스의 소설 그림자의 계곡 (2015)에 등장한다.
메모들
- ^ a b c d e f 케네디, 페이지 308
- ^ 아이허, 페이지 717
- ^ a b c d e f g 붐하우어, 12페이지
- ^ 스티븐스, 페이지 181
- ^ a b 스티븐스, 페이지 182-84.
- ^ a b 붐하우어, 페이지 4
- ^ Leepson, 2007년 8월, 페이지 24
- ^ a b c Leepson, 2007, 페이지 79
- ^ a b 냉각(1996), 페이지 20 및 42.
- ^ a b 스티븐스, 페이지 184-86.
- ^ a b 스티븐스, 186페이지
- ^ 냉각 (1989), 페이지 56–57.
- ^ 스티븐스, 188페이지
- ^ 스티븐스, 페이지 188-89.
- ^ 냉각(1989), 페이지 51.
- ^ 냉각(1989), 페이지 55, 62.
- ^ a b 스티븐스, 192페이지
- ^ 스티븐스, 189페이지
- ^ 냉각(1996), 페이지 108-9.
- ^ 붐하우어, 페이지 4, 12
- ^ 스티븐스, 페이지 191~92.
- ^ 냉각 (1989), 페이지 62–63.
- ^ 냉각(1996), 페이지 118-19.
- ^ 스티븐스, 194페이지
- ^ Leepson, 2007, 페이지 106-7.
- ^ 스티븐스, 196페이지
- ^ 스티븐스, 198페이지
- ^ a b c d 스티븐스, 200페이지
- ^ 냉각(1996), 페이지 151-59.
- ^ 붐하우어(12)는 북군의 사상자가 98명이 사망하고 594명이 부상했으며 1,188명이 실종됐다고 밝혔습니다.
- ^ 붐하우어, 페이지 12는 그의 사상자를 600명에서 700명으로 보고했습니다.
- ^ Stephens, 페이지 201, 203 및 205.
- ^ a b 붐하우어, 13페이지
- ^ 냉각(1996), 페이지 179; 냉각(1989), 페이지 208).
- ^ Leepson, 2007년 8월, 페이지 24-25.
- ^ 스티븐스, 페이지 204
- ^ "Washington Defended July 12, 1864 Slide Monocvc_120115_488". Monocacy National Battlefie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20 September 2015.
- ^ Leepson, 2007년 8월, 29페이지
- ^ 냉각(1989), 페이지 225.
- ^ 냉각(1989), 페이지 227.
- ^ 냉각(1989), 페이지 235.
- ^ Ulysses S. Grant (1886). Personal Memoirs of U.S. Grant. Vol. II. New York: Charles L. Webster and Co. p. 306.
- ^ 냉각(1996), 페이지 210.
- ^ a b "Monocacy National Battlefield: Battlefield Monuments". U.S. Park Service,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2014-09-19.
- ^ 냉각(1996), 페이지 236–38 및 241.
- ^ [1] 미국 전장 트러스트 "Saved Land" 웹 페이지.2018년 5월 22일에 액세스.
- ^ "No Retreat From Destiny: The Battle that Rescued Washington". Internet Movie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10. Retrieved August 31, 2010.
- ^ Ralph Peters (2015), Valley of the Shadow, New York: Forge, ISBN 978-0765374066.
레퍼런스
- "American Battlefield Protection Program: CWSAC Battle Summaries". National Park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9-04. Retrieved 2014-09-19.
- Boomhower, Ray (Winter 1993). "Major General Lew Wallace: Savior of Washington, D.C.". Traces of Indiana and Midwestern History.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Society. 5 (1): 4–13.
- 쿨링, 벤자민 F.주발 얼리의 1864년 워싱턴 공습볼티모어, MD: The Nearitary & Aviation Publishing Company of America, 1989.ISBN 0-933852-86-X.
- 쿨링, 벤자민 F.단일화: 워싱턴을 구한 전투.Shippensburg, PA: White Mane, 1997.ISBN 1-57249-032-2.
- 아이허, 데이비드 J.가장 긴 밤: 남북전쟁의 군사사.뉴욕: Simon & Schuster, 2001.ISBN 0-684-84944-5.
- 케네디, 프랜시스 H. 에드남북전쟁 전장[permanent dead link] 안내서 2판보스턴:호튼 미플린, 1998년ISBN 0-395-74012-6.
- 리프슨, 마크"The Great Rebel Raid" Civil War Times, 2007년 8월 (Volume XLVI, No.6) (Leepson, 2007년 8월)
- 리프슨, 마크절박한 대처: 잘 알려지지 않은 남북전쟁이 워싱턴 D.C.를 어떻게 구하고 미국 역사를 변화시켰는지.뉴욕:토마스 던 북스 / 세인트루이스마틴스 프레스, 2007년.ISBN 978-0-312-33664-2. (Leepson, 2007)
- "Monocacy National Battlefield: Battlefield Monuments". National Park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2014-09-19.
- Stephens, Gail (2010). The Shadow of Shiloh: Major General Lew Wallace in the Civil War.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Society Press. ISBN 978-0-87195-287-5.
추가 정보
- 퀸트, 라이언 T맞서 싸울 각오: 1864년 7월 9일 단일화 전투새롭게 부상하는 남북전쟁 시리즈.El Dorado Hills, CA: Savas Beatie, 2016.ISBN 978-1-61121-346-1.
- 스폴딩, 브렛 W. 승리를 위한 마지막 기회: 주발 얼리의 1864년 메릴랜드 침공.게티즈버그, 펜실베이니아: 토마스 출판사, 2010.ISBN 978-1-57747-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