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핸콕 전투

Battle of Hancock
핸콕 전투
남북전쟁의 일부
Hancock Battlefield Maryland.jpg
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에서 제작한 전장 지도
날짜1862년 1월 5일 (1862-01-05)–1862년 1월 6일 (1862-01-06)
위치
결과결론에 도달하지 못함
호전성
United States 미국(유니온)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CSA(충돌)
지휘관과 지도자
프레더릭 W. 랜더 토머스 J. 잭슨
사상자 및 손실
25

핸콕 전투는 1862년 1월 5일과 6일 메릴랜드 주 핸콕 부근에서 미국 남북전쟁남부 롬니 원정대 때 벌어졌다.서북부의 연합군으로 알려진 윌리엄 로링 준장과 자신의 밸리 구를 지휘하는 남부 연합군의 스톤월 잭슨 소장이 1일 셰난도 계곡에서 연합군에 대항하여 움직이기 시작했다.버지니아주 배스 근처에서 가벼운 싸움을 한 후, 잭슨의 부하들은 1월 4일 늦게 핸콕 부근에 도착하여 잠시 마을에 포격을 가했다.프레데릭 W. 랜더 연합 준장은 1월 5일 항복하라는 남부 연합의 요청을 거절했고, 그날과 다음 날 양쪽에서 포격 교류가 있었다.남군은 지난 1월 5일 볼티모어와 오하이오 철도에 다리를 불태웠으나 7일 철수했다.잭슨은 이후 버지니아주 롬니를 상대로 이동했으며 유니온 병사들이 이를 포기하자 1월 15일 이 도시를 점령했다.롬니는 1월 30일 로링이 잭슨의 명령에 대해 불평한 후 연방정부 장관으로부터 버림받은 명령을 받았다.

배경

1861년 12월 말, 남북전쟁 중, 남부 연합군스톤월 잭슨 소장버지니아 주의 셰난도아 계곡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잭슨은 자신의 밸리 구윌리엄 로링 준장북서부 연합군 사이에 약 7,500명의 의용병과 약 2,200명의 민병대, 약 660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이 병력은 연합군에 대항해 계곡을 지탱하기에 부족하다고 여겼다.잭슨은 조셉 E. 존스턴 장군에게 편지를 보낸 후, 연합군이 추가 증원군을 받기에 버지니아주 롬니에서 연합군의 위치를 공격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잭슨은 또한 존스턴이 계획의 그 부분을 몰랐을 수도 있지만 버지니아주 배스메릴랜드주 핸콕의 마을들을 사로잡을 생각이었다.[1]

이 캠페인을 위한 운동은 1862년 1월 1일 06:00에 시작되었으며, 스톤월 여단이 로링의 부하들을 이끌고 그 뒤를 따랐다.민병대와 록브리지 포병대를 포함한 다른 부대들은 예정보다 늦었다; 잭슨의 기차는 16시가 되어서야 움직였다.행진하는 동안 날씨는 추웠고 로링은 잭슨의 캠페인 처리에 강하게 반대했다.[2]남군은 1월 3일 배스에 도착하여 도시 외곽의 연합군과 교전을 벌였지만, 그것을 잡을 수 없었다.[3]다음날 유니온 부대는 배스를 버리고 잠깐의 싸움 끝에 후퇴하여 존스을 건너 핸콕으로 도망쳤다.잭슨은 1861년 버지니아주 셰퍼드스타운에 유니온 폭격을 가한 데 대한 보복으로 핸콕 근처에 도착한 뒤 민간인들로 가득 찬 마을에 로크브리지 포병에게 발포 명령을 내렸다.18시께부터 포화가 시작돼 23시께까지 계속돼 일부 건물은 파손됐지만 인명피해는 없었다.그날 밤, 프레데릭 W. 랜더 연합 준장은 지휘를 받기 위해 핸콕에 도착했다. 그는 다음날 남군에 대한 공격적인 행동을 계획했다.[4]

전투

1월 5일 아침까지는 기온이 0°F(-18°C)까지 떨어져 앞으로 3일간 보합세를 유지하게 되었다.[5]스톤월 여단은 그날 아침 인양되었고 잭슨은 핸콕에서 온 홍수와 얼음으로 뒤덮인 포토맥 강을 가로질러 오릭 언덕에 부하들을 배치했다.[5][6]09:30에 터너 애쉬비 대령은 랜더에게 항복하라는 요청과 함께 강을 건너 보내졌다; 잭슨은 랜더가 거절하면 포탄을 쏜 다음 마을을 점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랜더를 만나자마자 애쉬비는 잭슨에게 "망신하고 저주받을 것"이라고 말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그 제안에 대한 서면 거절을 받았다.애쉬비가 남부 연합군으로 돌아오는 동안 랜더는 민간인들에게 마을을 떠나라고 명령했고 다가오는 폭격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84 펜실베이니아 보병 연대에 소방대 역할을 맡겼다.110 펜실베이니아 보병 연대는 창고를 방어했고, 두 개의 포탄이 마을 뒤편 언덕에 배치되어 있었다.남부군의 대포는 14시경에 발사되었고, 사상자는 없는 산발적인 포격전이 해질녘까지 계속되었다.[7]앨버트 러스트 대령 휘하의 남부연합 분대가 볼티모어와 오하이오 철도에 속하는 빅카폰의 다리를 파괴했고,[6][8] 또 다른 분대는 핸콕 강 상류 댐을 파괴하려는 시도로 실패했다.[7]

잭슨이 1월 6일 록브리지 포병대의 핸콕 폭격으로 문을 연 동안 랜더는 여전히 잭슨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기를 원했다.그는 나다니엘 P. 뱅크스 소령에게 잭슨의 후방에 있는 포토맥 강을 건너거나 그에게 증원군을 보내달라고 부탁했고, 랜더는 이 남군을 직접 공격할 것이다.은행들은 1월 5일 알프허스 윌리엄스 준장의 여단에 핸콕을 향해 진격할 것을 지시했으나 조지 B 소장을 통해 공격행동 요청을 보냈다. 너무 위험하다고 보고 거부했던 맥클렐런.그날 늦게 잭슨은 존스 런 경의 포토맥 횡단 시도를 했으나 거절당했다.그 지역의 전신선을 파손한 잭슨은 1월 7일 핸콕을 빼앗으려던 시도를 포기하고 철수했다.[9]포격의 교환은 거의 피해를 주지 않았다.[10]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번 교전 과정에서 양측을 합치면 약 2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1]

여파 및 보존

남부 연합군의 후퇴는 낮은 바람의 오싹함과 캠페인 전에 지휘부의 말을 제대로 굽히지 못해 어렵게 되었다.1월 7일/8일 밤 버지니아주 웅거 상점에 들른 후, 잭슨은 벤자민 F 준장으로부터 유니온 부대를 알게 되었다. 켈리의 지휘부는 랜더를 지지하기 위한 전환책으로 블루스 갭의 남부 연합 전초기지를 격파했다.[12]잭슨은 싸움 후 블루스 갭에서 유니온 철수를 통보받았지만, 롬니의 유니온 세력이 버지니아주 윈체스터에 위협을 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롬니에 맞서기로 결정했다.[13]악천후로 인해 1월 13일까지 잭슨의 병력이 웅거 상점에 계속 남아 있었으나, 남부 연합군은 1월 15일 연합군에 의해 대피한 롬니로 진격했다.잭슨은 롬니를 붙잡기 위해 로링을 떠나 스톤월 여단과 함께 윈체스터로 이동했다.로링은 잭슨이 윈체스터에 있는 동안 그의 군대와 함께 고립된 지역에 남겨져 있는 것에 대해 남부 연합 정부에 불만을 토로했다. 벤자민은 1월 30일 롬니에게 대피령을 내렸다.잭슨은 이 사건으로 사임했지만 존 레처 버지니아 주지사에 의해 사임의 구속을 철회하도록 설득되었다.로링은 승진을 받아 그 지역에서 전출되었다.[6]

체서피크와 오하이오 운하 국립역사공원의 한 부대가 핸콕 근처의 포토맥(Potomac)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전투를 기념하는 여러 표지판이 있다.핸콕 시와 남부군 포병 진지도 현장에서 볼 수 있다.[14]핸콕은 2012년 1월 5일부터 7일까지 전투 기념행사를 열었다.[15]전쟁터는 미군 522번 국도로 나뉘는데, 전투 중 피해를 입은 교회 2곳을 포함해 많은 전장 특색이 그대로 남아 있다.[16]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의 2010년 연구에 따르면 415.16 에이커(168.01 ha)가 등재될 수 있다고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쟁터 중 어떤 것도 국가 사적지 등록부에 등재되지 않았다.[17]국립공원관리공단메릴랜드 천연자원부가 보유한 사업을 포함해 보호책임제를 통해 약 50에이커(20ha)의 전장을 소유하고 있다.[18]

참조

  1. ^ Cozens 2008, 페이지 66–67.
  2. ^ Cozens 2008, 페이지 67–70.
  3. ^ Cozens 2008, 페이지 70–74.
  4. ^ Cozens 2008, 페이지 74–79.
  5. ^ a b Cozens 2008, 페이지 80.
  6. ^ a b c 케네디 1998, 페이지 74. (
  7. ^ a b Cozens 2008, 페이지 80–81.
  8. ^ 코젠스 2008, 페이지 81.
  9. ^ Cozens 2008, 페이지 82–83.
  10. ^ 2009년 주, 페이지 367.
  11. ^ "Hancock". National Park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5, 2011.
  12. ^ 코젠스 2008, 페이지 83-85.
  13. ^ Cozens 2008, 페이지 87–88.
  14. ^ 2009년 주, 페이지 368.
  15. ^ "Hancock, Md., Marks Civil War Anniversary". CBS Baltimore. Associated Press. January 5, 2012.
  16. ^ 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 2010, 페이지 12.
  17. ^ 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 2010, 페이지 14.
  18. ^ 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 2010 페이지 15-16.

원천

좌표:39°41′45″N 78°10′37″w/39.6957°N 78.1770°W/ 39.6957; -78.1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