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데베즈 전투
Battle of Valdevez발데베즈 전투 | |||||||
---|---|---|---|---|---|---|---|
![]() 포르토 상벤투 철도역 발데베즈 전투를 묘사한 아줄레조 판넬 | |||||||
| |||||||
호전성 | |||||||
![]() | ![]() | ||||||
지휘관과 지도자 | |||||||
아폰소 1세 | 알폰소 7세 |
발데베즈 전투(포르투갈어: 1140년 또는 1141년 여름 레온 왕국과 포르투갈 왕국 사이의 베즈 강둑 아르코스 데 발데베즈에서 토르네오 데 아르코스 데 발데베즈)가 일어났다.[1] 레온의 알폰소 7세가 싸운 것으로 알려진 단 두 번의 투구 중 하나이며, 둘 중 유일하게 포위와 일치하지 않는 전투다. 발데베즈에서의 상대는 포르투갈의 사촌 아폰소 1세였다. 전투 후 체결된 정전협정은 결국 자모라 조약(1143년)이 되었고, 포르투갈의 첫 독립전쟁을 종식시켰다. 전투 지역은 베이가(Veiga) 또는 캄포 다 마탄사(Campo da Matansa)로 알려지게 되었다.
갈등의 과정
알폰소 7세 집권 초기 포르투갈의 아폰소는 그의 후계자 추정이었다. 이후 알폰소 7세, 미래의 왕 산초 3세와 페르디난드 2세, 그리고 아폰소의 포르투갈 권력 기지와 왕실 사이의 지리적 거리까지 두 아들을 낳은 것은 아마도 아폰소를 설득하여 투이 조약(1137년)을 위반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갈리시아를 침공하게 했을 것이다.[2][3] 그는 민호를 건너 발데베즈("베즈의 발레리") 지역으로 들어갔다. 이 말을 들은 알폰소 7세는 레온에서 군대를 급히 출동시켜 갈리시아로 쳐들어가면서 아폰소가 사용할 수 있는 요새를 파괴하고, 베즈가 지류인 리마 강 북쪽의 세라 도 소아조에서 캠핑을 했다.[4]
발데베즈에서는 양쪽의 주요 전투원이 기마 기사였다. 전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므를레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각 군주가 개별적인 요우스트링 시합에 기사들을 선발하여 전투가 성큼성큼 진행되었다고 여겨진다. 알모라비드 남부의 침략에 대처해야 할 필요성은 포르투갈의 아폰소에게 토너먼트를 수락하도록 강요했을지도 모른다. 발데베즈는 기사들 사이의 중세 전투가 "대단한 투르니, 반 진지, 반 경박"으로 내려가는 경향을 필립 폴렌이 예로 들었다.[5] 아르코스 데 발데베즈에서는 많은 죄수들이 끌려갔지만 인명피해는 거의 없었다. 현대 크로니카 아데폰시 임페라토리스에서 이름으로 언급된 발데베즈에서 납치된 유일한 귀족 라미로 프롤라즈 외에 포르투갈인들은 폰세 지랄도 데 카브레라와 트라바 형제 페르난도 페레스와 베르무도 페레즈를 사로잡았을지도 모른다.[4] 포르투갈인은 당대의 기사도의 법칙에 의해 우위를 점하는 데 성공했고, 레오나르도의 기사들을 격파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화는 체결되고 죄수들은 교환되었다. 결국 자모라 조약이 된 전투 후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일차 출처
크로니카 아데폰시 임페라토리스는 §82-3의 발데베즈 에피소드와 관련된다.
.. 황제 [알폰소 7세]는 가르시아 왕[나바레 왕 가르시아 라미레스]에 대한 일일 공격에 대비하도록 카스틸레로부터 카운츠를 명령했다. 이 귀족들은 로드리고 고메스, 로페스, 구티에 페르난데스 등이었다. 알폰소 7세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포르투갈로 출발했다. 그는 그 땅을 파괴하고 약탈하면서 그곳에서 몇 개의 강력한 성을 함락시켰다. 포르투갈 왕도 마찬가지로 군대를 동원하여 황제의 주력 부대와 어리석게도 갈라진 몇 안 되는 사람들과 싸우기 위해 진군했다. 포르투갈인은 그들의 땅을 정복하려는 라미로 백작[라미로 프롤라즈]과 대치했다. 그들은 전투에 참가했고, 라미로는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황제는 그의 진을 성 쪽을 향해 포텔라 데 베스에 위치한 펜하 다 레냐에 배치했다. 포르투갈 왕은 두 사람 사이에 골짜기가 놓여 있는 더 높고 험한 지형에 황제 진영을 향해 텐트를 쳤다. 양군의 많은 귀족들이 내려와 개인전을 벌였다. 황제의 기사들은 그의 동의 없이 그렇게 했다. 양쪽의 많은 사람들이 말에서 떨어져서 붙잡혔다.나이든 포르투갈 귀족들은 이를 목격하고 왕에게 "스님, 황제와 전쟁을 치르는 것은 우리에게 유리하지 않습니다만. 우리는 우리의 힘과 수에서 우리보다 더 큰 그의 힘에 항상 저항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황은 정말로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 우리 사이에 평화가 있었다면 우리 형제들은 레이리아에 있는 무어족의 손에 죽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알모라비데스와 다른 무어들이 다시 돌아와 두에로 강을 가로지르는 우리의 도시와 성을 공격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이전보다 더 큰 파괴가 있을 것이다. 우리 중 몇 명을 황제께 보내 평화 조약을 요청하십시오.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그의 성을 모두 돌려주고, 그의 기사가 우리 나라에서 포획한 성을 그에게 돌려주도록 하자. 전쟁보다는 평화롭게 사는 게 훨씬 낫다고 말했다.
포르투갈의 소식통인 익명의 크로니콘 루시타넘은 1140년 당시의 전투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 레이몬드 백작의 아들 돈 알폰소 황제와 돈 알폰소 황제의 딸 도냐 우라카 왕비는 카스티야와 갈리시아의 전군을 집결시켜 포르투갈 왕국에 입국을 희망하고 발데베즈라는 곳에 도착했다. 그러나 포르투갈의 왕 아폰소는 그의 군대와 합류하여 그가 원하는 대로 와서, 그의 장막과 몇몇은 그 곳에 있는 것과 다른 다른 곳에 있는 것들이다. 어떤 사람들은 황제의 게임 [ex parte 임페라토리스 ad ludendum]을 위해 왔다. 그것은 흔히 "부푸르디오"라고 불리는데, 즉시 포르투갈 왕의 남자들이 내려와 그들과 싸웠다. They took many captives, including Fernando Pérez Furtado, the Emperor's brother, the consul Ponce de Cabrera, Vermudo Pérez, and Varella, son of Fernando Yáñez, brother of Pelayo Curvo, and Rodrigo Fernández, father of Fernando Rodríguez, and Martín Cabra, cousin of the consul Don Ponce, and many others who had come with them.[6]
메모리얼스
상벤투 철도역에는 전투 기념 아줄레조 벽화가 있다.[7] 아르코스 데 발데베즈에는 호세 로드리게스 조각이 만든 기념비가 있다. 아르코스 데 발데베즈 미술관에는 이른바 토르네오 데 카발리로스 미술품이 영구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메모들
- ^ 이전 날짜는 1178년 스페인 시대에 있는 크로니콘 루시타넘에서 왔다.
- ^ 레일리(1998년), 70년.
- ^ 페레이라 펠릭스(2009년), 14세.
- ^ a b 레이리(1998년), 71세.
- ^ 중세 전쟁 (Wiley-Blackwell, 1986), 291년 바톤에서 인용, 182년.
- ^ 중세 라틴어:
일당 온도계 임페레이터 D. 알폰수스 필리우스 콤미티스 레이먼디, & 레지나에 돈내 오라카에 필리아 임페라토리스 마그니 D. 알폰시, 코아두나토 옴니페스티투 데 카스텔라, & de 갈레시아, 볼루티슈는 레그넘 포르투갈리아에, 그리고 usque ad locument ad locument dictur Valdeves; sed de Portholia D. Alfonsus occurrit ei 겸 exercitu suo,&obsedit iter, 저질렀던 범인 ille 배심원 후보자 명단. volebat,fixitque tentoria sua, isti에 의한 hac parte,&illi 인도 altera parte,cumque veniret aliquis 주제 Imperatoris 광고 ludendum,quod BCdicunt Bufurdium,statim egrediebantur 임원회 주제 레지스 Portugallis occurrentes eis,&ludentes 겸 eis, exerc에 나타나기.itu comprehenderunt Fernandum Furtado fratrem Imperatoris, & Consulem Pontium de Cabreira, Veremundum Petri, & Varella filium de Fernando Joannis germanum de Pelagio Curvo, & Rodericum Fernandi patrem de Fernando Roderici, & Martinum Kabra consobrinum Consulis D. 폰티, & 아리오스 멀티, 조용하고 정직한 아이즈 베너.
- ^ 포르투, 아줄레요스 데 라 가레 상 벤투, 바스라 바타유 다르코스 데 발데베즈
원천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발데베즈 전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Barton, Simon (1997), The Aristocracy in Twelfth-Century León and Castil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ipskey, Glenn Edward, ed. (1972), The Chronicle of Alfonso the Emperor: A Translation of the "Chronica Adefonsi imperatoris", with Study and Notes, Chicago, Illinois: Northwestern University
- Pereira, Felix John (2009), Abridgement of the History of Portugal, Charleston, South Carolina: BiblioLife LLC, ISBN 978-1-110-33521-3
- Reilly, Bernard F. (1998), The Kingdom of León-Castilla under King Alfonso VII, 1126–1157,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978-0-8122-34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