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미 전투
Battle of Valmy발미 전투 | |||||||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일부 | |||||||
![]() 1826년 호레이스 베르네의 발미 전투 그림.오른쪽의 흰 제복을 입은 보병들은 일반 보병들이고, 왼쪽의 푸른 옷을 입은 계급들은 1791년의 시민 지원병들을 나타냅니다.물랭 드 발미는 전투 당일 켈러만의 명령으로 불에 탔습니다. | |||||||
| |||||||
호전적인 사람들 | |||||||
![]() | ![]() ![]() ![]() | ||||||
지휘관과 지도자 | |||||||
![]() ![]() | ![]() ![]() ![]() | ||||||
힘 | |||||||
36,000 | 34,000 | ||||||
사상자 및 손실자 | |||||||
~300 | ~200 | ||||||
유럽내 위치 |
발미 전투는 또한 발미의 대포로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 전쟁 동안 프랑스 군대에 의한 첫 번째 주요한 승리였습니다.이 전투는 1792년 9월 20일 브런즈윅 공작이 지휘하는 프로이센군이 파리로 진군을 시도하면서 일어났습니다.프랑수아 켈러만 장군과 샤를 뒤무리에즈 장군은 샹파뉴의 발미 북부 마을 근처에서 진격을 멈추었습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으로 알려진 혁명 전쟁의 초기 단계에서, 프랑스의 새 정부는 거의 모든 면에서 입증되지 않았고, 따라서 발미에서의 작고 국지적인 승리는 혁명 전반에 있어서 큰 심리적 승리가 되었습니다.그 결과는 프랑스 혁명가들에 대한 정당성과 자랑스러운 프로이센 군대에 대한 놀라운 패배로 동시대의 관측통들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이 승리는 프랑스에서 공식적으로 군주제의 종식을 선언하고 프랑스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해 새로 소집된 국민회의를 대담하게 만들었습니다.발미는 혁명의 발전과 그로 인한 모든 파급효과를 허락했고, 역사가들은 혁명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여겼습니다.
배경
프랑스 혁명이 계속되면서, 유럽의 군주들은 혁명열풍이 그들의 나라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게 되었습니다.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혁명을 멈추거나 최소한 프랑스에 대한 진압을 위한 노력이었습니다.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대규모 군대와 함께 브런즈윅 공작을 파리로 보내기 위해 영국과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원을 받았습니다.[1]1792년 중반, 전쟁의 초기 조우에서, 프랑스 군대는 그들 자신을 구별하지 못했고,[2] 적군은 그 나라를 평화롭게 하고, 전통적인 군주제를 회복하고, 혁명을 끝내려는 의도로 위험하게 프랑스 깊숙이 진격했습니다.한편, 프랑스 사령관 샤를 뒤무리즈는 오스트리아 네덜란드를 공격하기 위해 그의 군대를 북동쪽으로 진군하고 있었지만, 파리에 대한 더 즉각적인 위협 때문에 이 계획은 포기되었습니다.[3]프랑수아 켈러만(François Kellermann) 장군 휘하의 제2군은 상호방위를 위해 그와 연계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4]
프랑스 보병의 절반 이상이 구 왕립군의 정규군이었고, 거의 모든 기병대와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여겨졌던 [3][5]포병대였습니다.[6][7]이 참전용사들은 열성적인 자원봉사대대를 안정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핵심을 제공했습니다.[8]뒤무리에즈의 북군과 켈러만의 중앙군을 합쳐 약 54,000명의 병력이 있었습니다.[9]브런즈윅의 연합군은 약 84,000명으로 헤센군과 프랑스 왕당파 콩데군의 이민자들로 보강된 프로이센군과 오스트리아군을 훈련시켰습니다.[9]
전투
침공군은 8월 23일 롱위와 9월 2일 베르됭을 손쉽게 점령한 후 아르곤 숲의 잔해를 통해 파리로 진격했습니다.[6]이에 뒤무리에즈는 네덜란드로의 진격을 멈추고 방향을 바꾸어 후방에서 적군에게 접근했습니다.[3]메츠에서 켈러만은 9월 19일 생트메누드 마을로 이동하여 그와 합류했습니다.[6]프랑스군은 이제 프로이센의 동쪽, 그들의 전선 뒤에 있었습니다.이론적으로 프로이센은 반대 없이 파리를 향해 곧장 진군할 수 있었지만, 이 경로는 결코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보급과 통신선에 대한 위협은 무시하기에는 너무 컸기 때문입니다.좋지 않은 상황은 악천후와 부대원들 사이에 질병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습니다.다른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자 브런즈윅은 뒤로 물러나 전투를 준비했습니다.[3]
토마스 칼라일(Thomas Carlyle)의 말에 따르면, 군대는 "노아 시절과 같은 비"라는 폭우를 힘겹게 헤쳐 나갔습니다.[10]브런즈윅은 두무리에즈를 잘라낼 수 있다고 믿으며 북쪽 숲을 통과했습니다.프로이센인 œ프레가 거의 완성될 무렵 켈러만은 왼쪽 날개를 전진시켜 생트메뉴와 발미 사이의 경사면에서 진지를 잡았습니다.그는 오래된 풍차를 중심으로 지휘를 집중시켰는데, 이 풍차는 적의 포병 정찰병들이 그것을 목격하는 장소로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빠르게 파괴했습니다.[11]그의 베테랑 기병들은 소위 "발미의 대포"를 시작하기 위해 그 산등성이에 잘 배치되어 있었습니다.[12]브런즈윅은 34,000명의 병력과 함께 그들을 향해 이동했습니다.[9]그들이 숲에서 나오자 장거리 포병 결투가 이어졌고 프랑스 포대는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프로이센 보병대는 공터를 가로질러 공격을 받으며 진격하기 위해 신중하고 성과 없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3]

프로이센이 흔들리자 켈러만이 모자를 들고 "비블라 네이션"이라는 유명한 외침을 하는 중추적인 순간에 이르렀습니다.그 외침은 모든 프랑스 군대에 의해 계속 반복되었고, 프로이센군의 사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프랑스군은 "라 마르세예즈"와 "차 아이라"를 불렀고, 프랑스 대열에서는 환호성이 터져 나왔습니다.[13]거의 모든 사람들이 놀랍게도 브런즈윅은 그 행동을 중단하고 필드에서 은퇴했습니다.프로이센군은 프랑스군의 진지를 먼 거리에서 포위하고 동쪽으로 빠르게 후퇴하기 시작했습니다.켈러만은 약 36,000명의 병력과 40대의 대포를 보유하고 있었고, 브런즈윅은 34,000대와 54대의 대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그러나 브런즈윅이 후퇴할 때까지 사상자는 300명의 프랑스인과 200명의 프로이센인 이상 발생하지 않았습니다.[14]
프로이센의 퇴각
그 행동의 급격한 종료는 프랑스인들 사이에서 기쁨을 자아냈습니다.[3]프로이센인들이 왜 철수했는지에 대한 질문은 아직 확실히 대답되지 않았습니다.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이 퇴각을 다음과 같은 요소들의 조합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17] 빠르게 증가하는 증원군과 시민 자원자들의[15] 수와 함께 매우 방어가 가능한 프랑스의[3] 위치, 그리고 조심스러운 브런즈윅이 위험한 인력 손실을 면하도록 설득한 완전히 예기치 못한 엘란[16],특히 러시아의 폴란드 침공으로 동부의 프로이센 방어에 대한 우려가 이미 제기되었을 때.[15]다른 이들은 루이 16세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행동을 피하라는 비밀스러운 간청과 심지어 부르봉 왕가의 보석으로 대가를 치렀다고 알려진 프로이센인들에 대한 뇌물을 포함하여, 이 결정에 대해 더 많은 그늘진 동기를 제시했습니다.[18]
브래드포드 대학의 역사학 독자이자 이 시기의 현대 전문가인 먼로 프라이스 박사의 분석에 따르면, 뇌물 수수가 프로이센인들을 되돌렸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19]브런즈윅은 당초 공격적인 전략을 채택했지만 예상치 못한 단호하고 규율있는 반대에 직면했을 때 이를 관철시킬 의지가 부족했다는 설명이 더 유력하게 남아있습니다.[20]브런즈윅은 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실제로 프랑스군의 지휘권을 제안받았으며, 이후 에미그레 파벌들은 이것을 그의 배신을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했습니다.어쨌든, 전투는 결정적으로 끝났고, 프랑스군의 추격은 심각하게 압박받지 않았고,[21] 브런즈윅의 군대는 안전하게 동쪽으로 후퇴했습니다.[22]
잔상
이 교전은 프로이센군의 작전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식량 부족과 이질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후퇴는 라인 강을 훨씬 지나서 계속되었습니다.[22]프랑스군은 곧 독일로 진격하여 10월에 마인츠를 점령했습니다.뒤무리에즈는 다시 한번 오스트리아의 네덜란드를 상대로 움직였고 켈러는 메츠의 전선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22]
1792년 11월 제마페스에서 또 한번의 영향력 있는 성공을 거둔 뒤, 그는 다음 해에 파산한 사람이 되었습니다.그의 군대는 그의 여생을 왕당파 쪽으로 망명할 정도로 참혹한 손실을 입었습니다.[23]하지만 켈러만은 오랫동안 유명한 군인의 경력을 이어갔습니다.1808년 그는 나폴레옹에 의해 귀족이 되었고 발미 공작이 되었습니다.[24]
유산

군사사적인 측면에서, 그 전투는 현대전을 재구성하는 특징들을 도입했습니다.정치적 선전, 심리전, 다수의 정치화된 시민들의 열렬한 참여라는 측면에서 '전면전'의 주요 요소를 잘 보여주었습니다.[25]
얼마 후 이 전투는 프랑스 대혁명 군대의 첫 번째 위대한 승리로 축하받게 되었습니다.[26]프랑스 혁명의 다양한 역사에서, 그것은 일반적으로 자유와 민족주의에 영감을 받은 시민군의 첫 번째 승리로 묘사됩니다.수천 명의 지원병들이 정말로 그 수를 늘렸지만, 프랑스군의 적어도 절반은 전문 군인들이었고, 특히 켈러만의 중요한 포병 부대들 중에 더 많았습니다.[3]프랑스 포병대는 현대적인 그리보발 포 체계에서도 전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며, 이는 전장에서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7]그러나 대중적인 개념으로 볼 때, 발미는 시민 군인들의 승리였습니다: 이 전투는 켈러만의 외침으로 상징되었고, 공격을 받는 동안 "라 마르세예즈"와 "차 아이라"라는 부대의 노래로 증강되었습니다.[22]
전투가 있던 날, 입법회는 정당하게 국민회의에 권한을 이양했습니다.[21]발미의 소식이 전해진 이후 이틀 동안, 새 협약 대표들은 군주제를 폐지하고 프랑스 공화국을 선포했습니다.[27]이 승리는 혁명을 일으킨 프랑스 국가에게 매우 필요한 자부심의 원천이었고, 이후 수년간 지속적인 영감을 제공했습니다.[16]이것은 많은 현대인들에게 프랑스에게는 기적적인 사건이었고, 유럽에서 가장 효과적인 군대 중 하나에게는 "결정적인 패배"라고 여겨졌습니다.[28]학자들은 계속해서 이를 군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충돌로 보고 있습니다.[14][29]
프로이센인들 스스로도 이 전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단순히 전쟁의 후퇴가 아니라 혁명 전체의 중대한 진전이었습니다.[30]프로이센 군대와의 전투에 참석했던 독일의 작가이자 시인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나중에 그의 동료들이 낙담한 상태에서 접근했다고 썼습니다.그는 이전에 기억에 남고 영리한 인용구들로 그들을 격려했지만, 이번에 그의 유일한 위로는 "여기와 오늘, 세계 역사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 탄생에 참석했다고 자랑할 수 있습니다"였습니다.[27]
참고문헌
- ^ 크리시, 페이지 334.
- ^ 크리시, 330쪽.
- ^ a b c d e f g h 샤마, 640쪽.
- ^ 풀러, 352쪽.
- ^ 가격, 311쪽.
- ^ a b c d 브리태니커 1910, 171쪽.
- ^ a b 풀러, 350쪽.
- ^ 크라우디, 8, 24쪽.
- ^ a b c 터커, 260쪽.
- ^ 칼라일, 39쪽.
- ^ 아제맵 84-85
- ^ E. H. 웨인라이트, "발미의 대포"클레오 5.2 (1973): 62–76.
- ^ 소보울, 589쪽.
- ^ a b 래닝, 145쪽.
- ^ a b 도일, 198쪽.
- ^ a b 소보울, 269쪽.
- ^ 에스다일, 161쪽.
- ^ 웹스터, 348-52쪽.
- ^ 가격, 312쪽.
- ^ 가격, 311-12쪽.
- ^ a b 소보울, 270쪽.
- ^ a b c d 샤마, 641쪽.
- ^ 티어스, 페이지 298ff.
- ^ 던 패틴슨, 321쪽.
- ^ E. H. 웨인라이트, "발미의 대포"클레오 5.2 (1973): 62–76.
- ^ 엘리스 마이어, "발미: 승리와 명성"아날레스 역사학 드 라 레볼루션 프랑세즈.4번. 2020년.
- ^ a b 도일, 193쪽.
- ^ 혼, 197쪽.
- ^ 크리시, 페이지 328ff.
- ^ 블랜닝, 78-79쪽.
원천
- Atkinson, Charles Francis; Hannay, David McDowall (1910). . In Chisholm, Hugh (ed.).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1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71–205, see page 171.
Valmy
- Azema, Jean-Pierre Henri (1995). Les Moulins de France (in French). Rennes: Fédération Française des Amis des Moulins. ISBN 2-7373-1673-1.
- Blanning, T. C. W. (1996).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1787–1802. London: Arnold. ISBN 0-340-64533-4.
- Carlyle, Thomas (1800s) [1837]. The French Revolution: A History. Vol. 3. London: George Routledge and Sons, Ltd. OCLC 461166553.
- Creasy, Edward Shepherd (1851). The Fifteen Decisive Battles of the World, from Marathon to Waterloo. New York: Harper & Brothers. p. 328. OCLC 5026550. Retrieved 29 January 2013.
fifteen decisive battles.
- Crowdy, Terry (15 January 2003). French Revolutionary Infantryman, 1791–1802. Warrior series. Vol. 63. Oxford: Osprey. pp. 8, 24. ISBN 1-84176-552-X.
- Doyle, William (2002).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5298-5.
- Dunn-Pattinson, Richard P. (2010) [1909]. Napoleon's Marshals. Bremen, Germany: Europaeischer Hochschulverlag GmbH & Co. ISBN 978-3-86741-429-6. Retrieved 29 January 2013.
- Esdaile, Charles (2009). Napoleon's Wars: An International History, 1803–1815. New York: Penguin. p. 161. ISBN 978-0-14-311628-8.
- Fuller, J. F. C. (1987) [1954]. A Military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Vol. II. New York: Da Capo Press. ISBN 0-306-80305-4.
- Horne, Alistair (2004). La Belle France. New York: Vintage. ISBN 978-1-4000-3487-1.
- Lanning, Michael Lee (2005). The Battle 100: The Stories Behind History's Most Influential Battles. Chicago: Sourcebooks, Inc. ISBN 1-4022-0263-6.
- 마이어, 엘리스"발미: 승리와 명성"아날레스 역사학 드 라 레볼루션 프랑세즈.No. 4 2020. 초록
- Price, Munro (2002). The Fall of the French Monarchy. London: Pan Macmillan Ltd. ISBN 0-330-48827-9.
- Schama, Simon (1989). 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New York: Vintage Books. ISBN 0-679-72610-1.
- Soboul, Albert (1975). The French Revolution 1787–1799. New York: Vintage. ISBN 0-394-71220-X.
- Thiers, Adolphe (1838).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Vol. II. London: Richard Bentley. OCLC 2949605.
- Tucker, Spencer Tucker (2010).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Oxford: ABC-CLIO. ISBN 978-1-59884-429-0.
- 웨인라이트, E.H. "발미의 대포"클레오 5.2 (1973): 62–76.
- Webster, Nesta Helen (1919). The French Revolution: A Study in Democracy. New York: E.P. Dutton & Co. ISBN 0-7661-7996-6.
추가열람
- 포레스트, 앨런.프랑스 혁명 전쟁의 유산: 프랑스 공화주의적 기억 속의 네이션 인 암스(Nation-in-Arms in French Republican Memory)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9)
- Lynn, John A. "Valmy" MHQ: Quarterly Journal of Military History (1992년 가을), 5#1 pp 88–97
- 스콧, 새뮤얼 F.Yorktown에서 Valmy로: 혁명시대 프랑스군의 변천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1998)
- 토랄, 마리-세실.발미에서 워털루까지: 프랑스 at War, 1792–1815 (Palgrave Macmillan UK, 2011)
외부 링크
- 발미의 대포 천둥, 데이비드 A.노리스, 전쟁사 네트워크, 2019년 3월 21일
- Edward Shepherd Creasy의 "세계의 15가지 결정적인 전투"에 나오는 발미 전투 HTML 버전
위키미디어 커먼즈 발미 전투 관련 매체
앞에 티온빌 공성전 (1792) | 프랑스 혁명:혁명운동 발미 전투 | 승계인 여신의 기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