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안느
Marianne마리안느([maʁjan])는 자유, 평등, 우애, 이성의 의인화로서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공화국의 국가적인 의인화였으며 자유의 여신상을 묘사하였다.
마리안느는 프랑스의 많은 곳에 전시되어 있고 마을 회관과 법정의 영예의 장소를 가지고 있다.그녀는 파리의 플라스 드 라 네이션이 내려다보이는 청동 조각품인 공화국의 승리(Treat of Republic)에 묘사되어 있으며, 플라스 드 라 레푸블리크에 있는 또 다른 파리 조각상으로 표현되어 있다.그녀의 프로필은 그 나라의 공식 정부 로고에 눈에 띄며, 프랑스 유로 동전이나 프랑스 우표에도 나타난다.[1]그것은 또한 이전의 프랑 통화에도 실렸다.프랑스 공화국의 대표적인 상징 중 하나인 마리안느는 대부분의 정부 문서에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마리안느는 중요한 공화당의 상징이다. 그녀의 프랑스 군주론자는 종종 잔다르크에 해당한다.국가 아이콘으로서 마리안느는 군주제에 대한 반대와 모든 형태의 억압에 대한 자유와 민주주의의 챔피언쉽을 상징한다.공화주의 프랑스의 다른 국가 상징으로는 삼색기, 국가 모토인 리베레, 에갈리테, 브라유니테,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 무장을 하고, 프랑스의 공식 대국인이 있다.마리안느는 또한 자유를 상징하는 코케이드와 빨간 모자를 쓰고 있었다.
역사
프랑스 센타임 20번지, 마리안느와 옵버스. | |
---|---|
Obverss: 마리안느는 자유의 프리지아 모자를 쓰고 있다. | 반전:액면가 및 프랑스어 표어: "자유, 에갈리테, 이란" |
이 동전은 1962년부터 2001년까지 주조되었다. |
고전시대 이래 신, 여신, 우화적 인격화에 의해 사상과 추상적 실체를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789년 프랑스 혁명 동안 '자유'와 '이성'의 많은 우화적 인물화가 나타났다.이 두 인물은 마침내 하나로 합쳐졌다: 앉거나 서 있거나 그리고 프랑스의 코케이드와 프리지아 모자를 포함한 다양한 속성이 수반되는 여성상이었다.이 여성은 전형적으로 자유, 이성, 국가, 국토, 그리고 공화국의 시민적 덕목을 상징했다.[2]1792년 9월, 국민 총회는 법령에 의해 국가의 새 국새가 창 위에 프리지아 모자를 얹은 채 창을 들고 서 있는 여성을 대표한다고 결정했다.
마리안느의 기원을 발견하기 위해 세밀한 조사에 착수했던 역사학자 모리스 아굴혼은 공화국을 대표하기 위해 여성을 이용하게 된 것은 프랑스인들의 전통과 정신력이라고 제안한다.[3]여성적인 우화는 또한 왕들이 이끄는 낡은 군주제와의 결별을 상징하고 현대 공화주의 이념을 고취하는 태도였다.프랑스 혁명 이전에도 프랑스 왕국은 베르사유 궁전의 특정 천장에서 묘사된 것처럼 남성적인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다.나아가 프랑스어에서는 프랑스와 공화국 자체가 여성명사(la france, la république)[4]로서 자유(Liberte)와 이성(Raison)을 위한 프랑스 명사(La France, la République)가 있다.
이 엠블럼의 사용은 처음에는 비공식적이고 매우 다양했다.자유와 공화국에 대한 여성 우화가 외젠 들라크루아스의 그림 "자유로운 사람들을 이끄는 자유"에 등장하는데, 이 그림은 3대 영광의 날 (또는 1830년 7월 혁명)을 기념하여 1830년 7월에 그려졌다.
제1공화국
비록 마리안느의 이미지가 1792년까지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지만, 이 "자유의 여신"의 기원은 1775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장-미셸 모레우가 그녀를 한 손에[5] 들고 있는 파이크 위에 프리지안 모자를 쓰고 로마 스타일의 옷을 입은 젊은 여성으로 그렸으며, 그 후 몇 년이 지나면 프랑스 전역의 국가 상징이 될 것이다.마리안느는 1789년 7월 바스티유와 다른 초기 혁명을 기념하며 프랑스의 스포트라이트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이때부터 1792년 9월까지 마리안느의 이미지는 수성과 미네르바 같은 다른 인물들에 의해 가려졌다.[5]그녀의 인기는 1792년 9월에야 새로운 공화국이 국가를 대표할 새로운 이미지를 추구하기 시작했다.자유의 여성 우화인 마리안느는 프랑스 공화국의 새 정권을 대표하기 위해 선택되었고 동시에 자유를 상징하기 위해 남아 있었다.[6]
프랑스 제1공화국의 도장으로 뽑힌 마리안의 모습은 그녀의 서 있고, 젊고, 결단력 있는 모습을 묘사했다.[7]증명해야 할 것이 많은 새로 만들어진 국가인 제1공화국 자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마리안느는 고전적인 가운을 입고 있다.[6]오른손에는 프리지아 모자를 씌운 채 혁명의 파이크를 휘두르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해방을 상징한다.[7]마리안느는 권위의 상징인 파시스에 기대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비록 그녀가 서서 파이크를 들고 있지만, 마리안느를 이렇게 묘사하는 것은 '정확히 공격적인 것은 아니다'[7]로, 그들이 '혁명 시대의 광적인 폭력'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면서 전당대회에서 온건 자유주의 지론딘의 이념을 대변하고 있다.[5]
1792년의 마리안느의 초기 모습은 비교적 보수적인 자세로 서 있었지만, 혁명가들은 더 이상 그들에게 맞지 않을 때 그 모습을 재빨리 버리게 되었다.1793년까지 마리안느의 보수적인 모습은 더 폭력적인 이미지로 대체되었다; 여자의 그것, 맨가슴에 보기 흉한 모습, 종종 남자들을 싸움터로 이끌었다.[7]이러한 변화의 배경은 공화국의 우선순위 변화에서 비롯된다.마리안느의 상징은 처음에는 어조가 중립이었지만, 급진적 행동으로의 전환은 외국인과 반혁명자들에 대한 전투적 혁명적 행동을 요구하는 테러의 시작에 대한 대응이었다.행정부에서 채택한 전술의 일환으로, 마리안느는 급진적일수록 프랑스 국민들을 자극하여 행동을 취하게 하려는 의도였다.[6]그러나 이러한 변화조차도 공화당에 의해 불충분하게 급진적인 것으로 보였다.1793년 10월 지롱딘 대신들이 체포된 후, 협약은 "공화국을 보다 급진적인 틀에서 되살리려 한다"[8]고 추구했고, 결국 헤라클레스의 상징을 공화국을 대표하기 위해 사용했다.공화국을 상징하기 위해 점점 급진적인 이미지를 사용한 것은 테러의 통치라고 알려진 폭력의 시작과 직접적으로 병행되었다.
공포 통치 이후, 디렉토리의 보다 시민적이고 비폭력적인 성격을 보여주기 위해 이미지에 또 다른 변화가 필요했다.1798년 행정명부의 공식 비그넷에서 마리안느는 돌아왔고, 여전히 프리지아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지만, 지금은 다른 상징들에 둘러싸여 있다.1792년의 마리안느와는 대조적으로, 이 마리안느는 "파이크나 랜스를 잡지 않고" 3년 헌법의 판에 "언어적으로" 기울어진다.[9]그녀는 관찰자를 똑바로 쳐다보지 않고 옆을 향해 시선을 던지므로 대립이 덜한 것처럼 보인다.[9]공화국의 새 달력 포스터에도 비슷한 이미지가 사용됐다.
마리안느의 상징은 1799년 에마뉘엘-조셉 시예스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주도한 쿠데타 이후 디렉토리가 해체된 지 오래도록 국가의 요구에 대응하여 계속 진화하였다.머큐리와 미네르바 등 상징적인 인물들이 프랑스 역사의 흐름에 따라 두각을 나타낸 반면 마리안느는 추상성과 비인격성 때문에 버텼다.[7]그녀가 상징했던[5] "유혹성"은 프랑스 정치인들이 언제든지 특정한 목적을 위해 그녀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
제2공화국
1848년 3월 17일, 새로 창설된 제2공화국 내무부는 공화국을 그림, 조각, 메달, 금품, 도장 등에 대한 공식적인 표현이 존재하지 않아 공화국을 상징하기 위한 공모전을 시작했다.군주제가 무너진 후 임시정부는 "자유라는 이미지는 관대한 프랑스 국민들에 의해 사흘 만에 깨진 부패와 수치심의 이미지를 도처에서 대체해야 한다"고 선언했었다.처음으로 마리안느의 우화는 그 자체로 자유, 공화국, 혁명으로 압축되었다.
두 개의 "마리안"이 허가되었다.하나는 그리스의 여신 아테나를 떠올리며 싸우고 승리하는 것이다: 그녀는 맨가슴과 프리지아 모자와 붉은 코르사주를 가지고 있고, 반항하는 몸짓으로 팔을 들어올렸다.다른 하나는 좀더 보수적이다: 그녀는 다소 조용하고, 머리에 태양 광선을 두르고, 공화국으로의 왕실의 상징을 옮긴 옷을 입고 있으며, 많은 상징(밀, 쟁기, 로마 리커스의 근간)을 수반한다.경쟁자인 이 두 마리안느는 공화국의 두 가지 사상을 대변하는데, 부르주아적 대표성과 민주적, 사회적 대표성이라는 두 가지 사상을 대표한다. - 6월 항쟁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마을 회관들은 자발적으로 마리안느의 대표직을 선택했고, 종종 그녀를 교회로 돌려보냈다.마리안느는 1849년에 프랑스 우표에 처음으로 등장했다.[4]
제2제국
제2제국(1852년–1870년) 동안 이러한 묘사는 비밀이 되어 정권에 대한 항의의 상징이 되었다."자유"를 묘사하기 위해 "마리안"이라는 이름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848년/1851년경에 시작되었고, 1875년경에 프랑스 전역에서 일반화되었다.
제3공화국
제3공화국(1870–1940) 동안 사용법이 더욱 공식화되기 시작했다.마리안느의 인기는 상당 부분 프랑스 공화주의를 상징하면서도 동시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상징으로 만들 만큼 중립적이기 때문이다.[10]프랑스 혁명의 유산은 프랑스 내 각기 다른 민족이 다른 혁명 영웅과 악당을 가지고 있어 프랑스 내 사람들을 분열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미국과 달리 프랑스인들은 모두에게 기억력을 존중하는 '건국의 아버지들'을 숭배하지 않았다.[10]이 때문에 프랑스 국가는 19세기 미국이 조지 워싱턴을, 베네수엘라는 시몬 볼리바르를 국가 상징으로 삼았던 방식에서 역사의 개성을 국가 상징으로 사용하는 대신 마리안느와 같은 추상적인 상징을 통일된 국가 상징으로 선전하는 경향이 있었다.[10]혁명과 공화국의 상징으로서 마리안느는 아무런 논란을 일으키지 않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호소할 만큼 충분히 비협조적이었다.[10]마리안느의 여성스러움은 그녀가 남성인형보다 공화국의 상징으로 덜 위협적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1870년대 파란만장한 첫 10년 후 1880년대까지 이 공화국은 프랑스의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이와 같이 프랑스 국가는 마리안느를 공화국의 통일의 상징으로 삼아 스스로를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가 필요하지 않았다.[11]1789년 바스티유의 폭풍이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에게 어필한 혁명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유일하게 정기적으로 기념된 역사적 사건이 바스티유의 날이었다. 그리고 혁명의 나머지 사건들은 혁명의 기억을 최대한 조화롭게 유지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기념되지 않았다.[11]공화국에 유리하게 가능한 한 폭넓은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상징과 역사의 기억을 그런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공화정 지도자들의 전략이었고, 그래서 마리안느는 공화정의 저명한 상징이 되었다.[11]이와는 대조적으로, 새로 통일된 독일 제국은 많은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어서, 독일 여러 나라의 역사를 반영하여, 그 어느 것도 모든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없었고,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이 주목한 상황으로 이어졌다: "또 다른 많은 해방된 '사람들'처럼, '독일'은 그것이 무엇이었는가에 의해 더 쉽게 정의되었다.다른 어떤 방법으로도 대항하지 않고."[11]홉스밤은 이러한 이유로 공화국과 자유 전반의 상징이었던 마리안느와는 달리 그녀의 독일 상대인 데우츠허 미셸은 "...근본적으로 반외국의 이미지"라고 주장했다.[12]
1880년 파리(시청)의 호텔 드 빌(Hgiantel de Ville)에는 프리지아 모자를 쓴 마리안(Marianne)의 동상이 전시되었고, 다른 프랑스 도시들도 빠르게 뒤따랐다.급진파의 입지가 강했던 파리에서는 장소 드 라 레푸블리크 동상 공모전이 시작됐다.1879년 모리스 형제(레오폴드 모리스가 조각품을 제작하고 건축가 프랑수아 샤를 모리스가 대좌를 설계하는 등)가 우승한 것으로, 학구적인 마리안느가 하늘을 향해 팔을 들어올리고 프리지아 모자를 썼지만 젖가슴을 가린 채 우승했다.아이메-쥘 달로우는 모리스 형제와의 경쟁에서 졌지만, 파리 시는 1889년 프랑스 혁명 100주년을 맞아 취임한 장소 드 라 네이션에 석고판을 청동으로 덮은 채 그의 기념비를 세우기로 결정했다.달루의 마리안느는 릭터의 파스, 프리지아 모자, 맨가슴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Work)을 대표하는 대장장이와 자유, 정의, 교육, 평화에 대한 우화, 공화국이 시민들에게 가져다주어야 할 모든 것을 가지고 있었다.최종 청동비는 1899년 드레이푸스 사건의 혼란 속에서 급진파인 월데크루소(Waldeck-Rousseau)가 집권하면서 출범했다.기념식에서는 붉은 깃발을 든 거대한 노동자들의 시위가 이어졌다.정부 관리들은 검정색 붉은 색 옷을 입고 기념식을 그만두었다.마리안느는 노동자들에게 재수용당했지만, 사회민주공화국의 대표(la République démocratique et sociale, 또는 단순히 La Sociale)로서 수용되었다.
1904년 4월 프랑스와 영국의 엔텐테 코르디알레 조약 체결 이후 마리안느와 존불은 다수의 그림과 만화에서 그 협정을 개인화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존 버나드 파트리지의 펀치 만화였다.20세기 전환기를 전후한 이념 정당들 간의 투쟁에서 마리안느는 종종 우익 언론으로부터 매춘부라는 폄훼를 받았다.[13]제황제 독일에서 마리안느는 대개 매우 천박한 방식으로 그려졌는데, 대개는 매춘부 또는 어떤 식으로든 널리 문란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동시에 히스테리적으로 질투심이 많고 정신나간 여자로서 항상 독일 군인을 보면 겁에 질려 있었다.[14]제국주의 시대의 독일 국가는 외국인을 매우 혐오하는 군국주의를 조장했는데, 이것은 제국을 외국인들로부터 영원히 위험에 처하고 권위주의 정부가 필요하다고 묘사했다.프러시아-독일 군국주의의 핵심은 군국주의와 남성성을 동일시하는 마치모 숭배였으며, 마리안느는 독일에서 프랑스를 '강한' 독일과 '매스쿨린' 독일과 대조적으로 '약하고' '페미니네' 국가로서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4]독일 선전에서의 마리안느의 목적은 항상 프랑스에 대한 경멸을 조장하는 것이었고 그것과 함께 독일인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경고였다.[14]
미국의 역사학자 마이클 놀런은 군국주의와 남성적인 힘을 과시하며 '빌헬마인 독일의 하이퍼 마스쿨린 세계'에서 마리안느가 공화국의 상징이라는 바로 그 사실이 프랑스 남성들이 나약하고 나약하다고 주장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4]그런 점에서 독일 만화와 포스터에서는 의미심장하다, 마리안느는 보통 독일을 대표하는 남성 인물과 맞섰는데, 그는 전형적인 독일 군인이나 카이저 빌헬름 2세 자신이며 마리안느는 게르마니아를 거의 상대하지 않았다.[14]프랑스 만화나 포스터에서 빌헬름 2세를 연기한 사람은 마리안인데, 빌헬름 2세는 폭탄 같은 거만한 거만함이 조소를 위해 자신을 잘 빌려주었고, 그녀는 거의 데우츠허 미셸을 연기한 적이 없어 놀란은 독일 자체에서도 프랑스 만화가들이 풍자의 큰 기회를 놓쳤다는 평했다.[14]때때로 마리안느는 독일에서는 1914년 5월부터 잡지 《클라다츠치》에서와 같이 약간 더 호의적으로 묘사되었는데, 이 잡지 《클라다츠치》에서 데우츠허 미켈은 한쪽은 유혹적이고 관능적인 마리안느, 다른 한쪽은 야비한 머지크(러시아의 농민)를 데리고 정원에서 일하고 있었다; 만화의 메시지는 프랑스가 동맹을 맺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러시아에, 그리고 독일과 동맹을 맺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Deutscher Michel이 그의 잘 가꾸어진 정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정원이 무질서한 재앙인 보드카를 마시는 것보다 확실히 더 나은 잠재적 남편이기 때문이다.[15]
마리안느는 단순히 프랑스의 상징이 아니라 공화국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마리안느는 샘 삼촌, 존 불, 더우츠허 미셸과 달랐다.[12]행동 프랑세즈처럼 여전히 부르봉의원을 위해 애쓰고 있는 프랑스 우파들에게 마리안느는 항상 그녀의 공화당 협회에서 거부당했고, 프랑스가 선호하는 상징은 잔 다르크였다.[16]잔 다르크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찰스 7세를 섬기는 데 전념했으며, 영국을 상대로 프랑스를 위해 싸웠기 때문에, 그녀는 프랑스 군주론자들에게 너무나 소중한 가톨릭, 왕립주의, 군국주의, 민족주의의 가치를 완벽하게 상징했다.[17]조안은 분명히 무성애자였고, 그녀의 정숙하고 처녀적인 이미지는 액션 프랑세즈가 창녀로 묘사하거나 공화국의 '낙태'를 상징하는 '슬루트'로 묘사했던 마리안느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17]흔히 맨가슴으로 묘사되던 무성애자 조안과 무표정하게 성적인 마리안느의 대조는 이보다 더 클 수 없었을 것이다.[18]마지막으로, 프랑스가 가장 사랑한 영웅 중 한 명이라는 조안의 지위 때문에, 공화당이 애국심이 없어 보이지 않고 조안을 공격하는 것은 어려웠다.[19]그러나 잔 다르크가 프랑스의 상징으로 마리안느를 대신하게 하려는 왕립주의자들의 시도는 대부분 프랑스 국민 대부분이 공화정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실패했고, 잔과는 달리 마리안느는 공화국의 상징이었다.[20]19세기 중반에는 보통 프랑스에서는 마리안느가 젊은 여성으로 그려졌으나 19세기 후반에는 공화국이 호전적인 젊은 여성 r의 이미지를 싫어하는 나이든 남성 정치인들의 중도우파 연합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마리안느는 중년, 외가여성으로 더 흔히 제시되었다.진화적[21]영국과 독일 신문들이 중년의 마리안느를 프랑스 쇠퇴의 상징으로 조롱하기 시작한 후 1900년경 젊은 마리안느는 공화국이 쇠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 다시 유행하게 되었다.[21]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선전에서는 항상 마리안느가 러시아를 지배하는 것으로 묘사되었고, 곰으로, 깡패처럼 보이는 코삭이나 황제 니콜라스 2세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되었고, 마리안느는 화가 나고 발광하는 아내로 그려졌다.[22]이와는 대조적으로, 존 불은 항상 독일 만화에 마리안느와 러시아를 지배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영국이 제국의 모든 적들 중 가장 위험하다는 독일인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23]독일 만화에 마리안느와 함께 있는 존 불(John Bull)이 그려질 때, 그녀는 언제나 순종적인 사람이었다.[23]
제1차 세계대전 기념비에는 마리안느가 거의 등장하지 않았지만, 제2공화국 시절처럼 민중전선(당시 우익 언론으로부터 '무모한 매춘부'라는 오명을 받은) 시절인 1936년 마리안느의 살아있는 모델들이 등장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마리안느는 나치 침략자들에 맞서 자유를, 공화국은 비치 정권에 대항하여 대표하였다(폴 콜린의 대표자 참조).비치(Vichy) 기간 동안 마리안네(Marianne)의 427개 기념물 중 120개가 녹았고, 밀리스는 1943년 마을 회관에 있는 동상을 꺼냈다.[4]비치 휘하에서 마리안느는 금지되었고 잔 다르크는 프랑스의 공식 상징이 되었다.[24]프랑스 학교와 관공서에서는 마리안느의 흉상이 마샬 페탱의 흉상으로 대체되었다.[25]마리안느는 공화국의 상징이자 그것이 상징하는 모든 것이었기 때문에, 비치 마리안느 밑에서 공화국의 가장 '악의적인' 상징으로 악마화되었다.[26]비치가 비치의 이념에 따라 마리안느를 공격한 데에는 두 종류의 여성이 있었는데, 조안이 전자로, 마리안느가 후자로 캐스팅된 "버진과 창녀"가 있었다.[27]
제5공화국
샤를 드골 장군은 특히 우표나 국민투표에 많이 활용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마리안의 존재는 덜 중요해졌다.가장 최근에 나타난 마리안느의 전복적이고 혁명적인 모습은 68년 5월이었다.진보적이고 보수적인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타잉 대통령은 우표에서 마리안느를 라포스트로 교체하고 마르세예스의 리듬을 바꾸고 1945년 5월 8일의 기념일을 억압했다.
1989년 혁명 2주년 동안 마리안느는 거의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프랑수아 미테랑 사회당 대통령은 혁명보다 공화국을 더 떠올리며 모든 시민을 모아 기념행사를 합의된 행사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미국의 오페라 가수 제시 노먼은 전위적인 디자이너 장 폴 고드가 조직한 정교한 대회의 일부로 라 마르세예즈를 노래하며 마리안느의 자리를 대신했다.공화국은 19세기 내내 가혹한 내부 싸움과 심지어 20세기(1934년 2월 6일 위기, 비치 등)까지 겪은 후, 합의된 상태가 되었다; 프랑스 시민 대다수는 이제 공화당이 되어 마리안느 숭배자의 중요성을 덜 느끼게 되었다.[4]
이름의 유래
프랑스 혁명 당시, 가장 흔한 사람들이 그들의 권리를 위해 싸우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은 가장 흔한 프랑스 여성 이름을 따서 공화국을 명명하는 것이 적합해 보였다.마리(마리)와 앤.혁명가들에 의한 그들의 공적에 대한 설명에는 종종 어떤 마리안느(또는 마리안느)가 프리지아 모자를 쓰고 있다는 언급이 들어 있었다.전설의 이 예쁜 소녀는 혁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전국의 많은 전투에서 부상당한 사람들을 돌보았다.
공화국을 지정할 마리안느의 이름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 1792년 10월 툴루즈 인근 타른 데파르테파티스트 푸일라오렌스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이 최근의 발견은 공화국을 지정하기 위한 마리안느의 이름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 1792년 10월에 나타났다는 것을 입증한다.그 당시 사람들은 시인 기욤 라바브르의 프로벤사찰 방언인 "라가리수 드 마리안노"(프랑스어: "라기슨 드 마리안느"; "(병에서) 회복")의 노래를 부르곤 했다.당시 마리안느는 매우 인기 있는 이름이었다. 아굴혼에 따르면, 그것은 "자신을 인기 있는 것으로 보는 레게임을 지정하는 것"으로 선택되었다.[29]
일부는 그 이름이 폭압의 이론가인 16세기 모나크모노마흐의 스페인 예수회 후안 드 마리아나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믿는다.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정치인 장 르우벨의 아내의 이미지였다고 생각한다: 1797년 한 오래된 이야기에 따르면, 다이렉트루이어의 멤버 중 한 명인 바라스가 루벨의 집에서 저녁 시간을 보내는 동안 그의 여주인에게 그녀의 이름을 물었다. "마리안느"라고 그녀가 대답했다."완벽해," 라고 바라스는 소리쳤다. "그것은 짧고 단순한 이름인데, 그것은 여러분 자신만큼이나 공화국에 잘 어울린다, 마담."[citation needed]
1848년 예술가 호놀레 다우니에가, 7월 군주제 기간 동안 두 아이를 간호하는 어머니 로물루스와 레무스, 또는 조각가 프랑수아 루데스가, 개선문 위에서 마르세야스를 목소리를 내는 전사로서 묘사는 불확실하다.
마리안느의 이름도 여러 공화당 비밀 사회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제2제국 시절, 왕정 타도를 맹세했던 멤버 중 한 명이 그녀의 이름을 따왔다.
어쨌든, 그녀는 프랑스에서 상징이 되었다: 공화국의 의인화로서, 그녀는 종종 공화국의 우상화에 사용되었고, 때로는 공화국에 반대하는 사람들, 특히 왕실주의자들과 군주론자들로부터 캐리커처되고 욕을 먹었다.
모델
마리안느의 공식적인 흉상들은 처음에는 사람들의 여성으로 나타나는 익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나 1969년부터는 여배우 브리지트 바르도트를 시작으로 유명 여성의 특징을 띠기 시작했다.[4]이어 미릴 마티외(1978년), 캐서린 드뇌브(1985년), 이네스 드 라 프레산지(1989년), 레티티아 카스타(2000년), 에벨린 토마스(2003년) 등이 뒤를 이었다.
레이티야 카스타는 1999년 10월 3만6천명이 넘는 시장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된 투표에서 프랑스 공화국의 상징적인 대표자로 선정되었다.그녀는 투표한 15,000명의 후보 중 36%의 점수를 얻어 5명의 후보자들의 최종 후보 목록에서 승리했다.다른 후보로는 에스텔 할리데이, 패트리샤 카스, 다니엘라 룸브로소, 로티티아 밀로트, 나탈리 시몬 등이 있다.[30]
2013년 7월, 올리비에 치파, 데이비드 카웨나 팀이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진, 마리안느가 그려진 새 우표가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에 의해 데뷔했다.ciapa는 최근 프랑스에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은 우크라이나 시위단체 FEMEN의 고위 인사인 Inna Shevchenko가 새로운 마리안느에게 주된 영감이었다고 주장했다.[31]그러나, 카웨나와 그의 변호사는 나중에, Ciapa가 그 예술작품에 대해 어떤 수준의 창조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을 거짓으로 대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카웨나는 더 나아가 셰브첸코, 즉 씨아파가 영감이라고 주장한 그 밖의 인물은 작품의 모델이 아니라고 진술했으며, 시아파를 마리안 미술품에 대한 저작권을 침해한 혐의로 고소했다.[32][33]Ciappa 후에, 또한 보복 보도 자료에서 그의 법적 이름("데이비드 Kawena"는 필명 에어 매트는 및에서;스티치 영화)을 드러냈다;사비에르 Héraud, Yagg(프랑스 성 소수자의 뉴스 사이트)에 대한 저자 Ciappa[34]에 의한 2013년 허핑턴 포스트에 그는 Kawena을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결코 적어 둔 주장이 Kawena 무시했다 반박했다. 작가들그 기둥 안에 있는 사진들의 엉덩이 [35]부분Yagg는 나중에 Ciapa로부터의 그들의 게시물에 대한 응답에 대해 보고했다. 그는 그가 허핑턴 포스트의 편집 통제 하에 있지 않으며, 그의 소송에서 카웨나가 고발한 "나의 마리안느"라는 표현은 의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Yagg는 후에 허핑턴 포스트에게 연락했고, 그들은 Ciapa가 먼저 볼 수 있도록 초안을 보냈다고 알렸다.그 기사의 현재 버전인 [36]힌지
정부 로고
청백의 빨강, 마리안느, 리베르테-égalité-Fraternité, 공화국: 이 국가 상징들은 국가로서, 그리고 그 가치로서 프랑스를 상징한다.이들은 1999년 9월부터 프랑스 정부정보원(SIG)과 주요 부처 홍보 담당자들의 이지스 아래 리오넬 조스팽의 다원좌파 정부가 만든 새로운 '식별자'로 결합됐다.정부부처의 연방 식별자로서, 그것은 브로커, 내외간 출판물, 홍보 캠페인, 편지 머리말, 명함 등 광범위한 자료에 나타난다.—여러 부처(이것과 결합하여 자신의 로고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와 프리펙터와 디파트먼트부터 정부로부터 독립.[37]
이슬람 복장에 대한 논쟁
마리안느는 프랑스 이슬람 목도리 논쟁에서 광란과 여성성에 대한 어떤 사상의 상징으로 두드러지게 등장해왔다.미국 역사학자 조안 왈라크 스콧은 2016년 마리안느가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하든 상관없이 맨가슴으로 묘사되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썼는데, 이는 여성을 위한 이슬람 복장이 왜 프랑스인이 아닌지를 두고 논쟁으로 사용돼 온 프랑스적 이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38]스콧 박사는 토플리스 마리안이 "이슬람에 종속된 것으로 알려진 베일에 싸인 여성과 대조적으로 해방된 프랑스 여성의 구현"이 되었다고 썼다.[38]
이후 2016년 마누엘 발스 프랑스 총리는 한 연설에서 부르키니 수영복은 여성의 '포용'이며 마리안느는 대개 토플리스라고 밝혔는데 이코노미스트는 "부르키니 차림의 여성은 프랑스인이 아닌 반면 진정한 프랑스 여성은 토플리스로 가는 것 같다"[39]고 지적했다.2016년 8월 29일 한 연설에서 발스는 "마리안은 사람들에게 먹이를 주고 있기 때문에 벌거벗은 가슴을 가지고 있다!그녀는 베일에 싸여 있지 않다, 왜냐하면 그녀는 자유롭기 때문이다!그것이 공화국이다!"[40]가디언지의 안젤리크 치사피스는 "무슬림 두건이 문제가 되는 동안 맨가슴이 프랑스의 상징이었다는 추론은 정치인들로부터 경멸과 역사학자, 페미니스트들로부터 조롱을 불러일으켰다"고 보도했다.[40]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내일의 베일에 싸인 여성이 내일의 마리안느가 될 것"[41]이라는 발언으로 프랑스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파리 2024 올림픽 및 패럴림픽 로고
마리안느는 2024년 하계올림픽과 2024년 파리 하계패럴림픽 공식 엠블럼의 요소 중 하나로 금메달과 올림픽·패럴림픽 불꽃이 결합돼 역사상 처음으로 같은 엠블럼을 가진 대회다.
갤러리
마리안느는 헬멧을 쓴 버전 (Louis-Oscar Roty)이다.랜달스 로스트 NYC 컬렉션.
프랑스 국왕의 우체국에 있는 마리안느의 동상.
자크 프랑스(1879년)의 마소닉 마리안느.
5 마리안의 초상화가 비스듬히 그려져 있는 말라가시 프랑 동전.
참고 항목
- 컬럼비아는 미국의 동등한 상징이다.
- 프랑스의 정부
- 국가 의인화(國人化)는 다양한 국가와 영토에 대한 의인화(義人化)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 미국 독립선언을 기념하기 위해 프랑스 국민이 미국 국민에게 준 선물인 자유의 여신상(Liberty Diameting the World)이다.
메모들
- ^ 프랑스 우표에 나오는 마리안느
- ^ 프랑스 화가 프레데릭 오귀스트 바르톨디가 '세상을 깨우치는 자유'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을 파리와 생테티엔 양쪽에 있는 카피와 비교해 보라.
- ^ Agulhon, Maurice (1981). Marianne into Battle: Republican Imagery and Symbolism in France, 1789–1880.
- ^ a b c d e 안네마리 손.Marianne ou l'histoire de l'idée républicaine aux XIXè et XXè siles ar la lumiére de ses représentations(프랑스어)
- ^ a b c d 헌트 1984, 페이지 62.
- ^ a b c 아굴론 1981, 페이지 18.
- ^ a b c d e 헌트 1984 페이지 93.
- ^ 헌트 1984 페이지 94.
- ^ a b 헌트 1984, 페이지 118.
- ^ a b c d Hobsbawm 1983, 페이지 272.
- ^ a b c d Hobsbawm 1983, 페이지 278.
- ^ a b Hobsbawm 1983, 페이지 276.
- ^ 앨리슨 M.무어(edd), 프랑스 역사 속의 섹스 정치 문화.암허스트: 캄브리아, 2012년.ISBN 978-1-60497-822-3
- ^ a b c d e f 놀런 2005, 페이지 58.
- ^ 클라르 2011, 544–45페이지.
- ^ Hanna 1985, 페이지 215–16.
- ^ a b 한나 1985, 페이지 216.
- ^ 제닝스 1994, 페이지 713.
- ^ Hanna 1985, 페이지 218–19.
- ^ 한나 1985, 페이지 217.
- ^ a b 클라르 2011, 546페이지.
- ^ 클라르 2011, 543-45페이지.
- ^ a b 클라르 2011, 543페이지.
- ^ 제닝스 1994, 페이지 712–13.
- ^ 제닝스 1994, 페이지 714.
- ^ 제닝스 1994, 페이지 715.
- ^ 제닝스 1994, 페이지 720.
- ^ Poitou-Charentes Region. "Monument commémoratif du Centenaire de la Révolution".
La statue, réalisée par le sculpteur Gustave Michel, a été fondue par Louis Gasné. Elle représente une Liberté coiffée d'un bonnet phrygien ceint d'une couronne végétale. Elle porte un glaive suspendu à un baudrier, brandit de la main gauche le flambeau de la Liberté et maintient au sol de la main droite les Tables de la Loi, soit une position inverse de la statue de la Liberté de Bartholdi.
- ^ 아굴혼 1981, 페이지 10.
- ^ Laetitia Casta as Marianne 2003년 8월 1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FEMEN's Inna Shevchenko inspired France's Marianne stamp". BBC. 15 July 2013.
The artist who designed the new Marianne image for French stamps has revealed that he was inspired by topless activist Inna Shevchenko.[...] The Ukrainian, who belongs to the protest group FEMEN, was recently granted political asylum in France.
- ^ "Timbre Marianne: David Kawena affirme être le seul auteur et porte plainte contre Olivier Ciappa". Yagg. 25 February 2014. Retrieved 16 May 2014.
- ^ "Timbre Femen : vers un procès en France". Lefigaro.fr. 6 March 2014. Retrieved 16 May 2014.
- ^ "Olivier Ciappa: Pourquoi j'ai choisi une Femen pour Marianne". Huffingtonpost.fr. 15 Jul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4. Retrieved 16 May 2014.
- ^ "Timbre Marianne: Olivier Ciappa se justifie, David Kawena sort de son silence". Yagg. 3 March 2014. Retrieved 16 May 2014.
- ^ "Droit de réponse d'Olivier Ciappa". Yagg. 21 March 2014. Retrieved 16 May 2014.
- ^ Service d'Information du Gouvernement (24 September 1999). "Charte Graphique de la Communication Gouvernementale"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January 2012. Retrieved 23 October 2011.
- ^ a b Scott Wallach, Joan (7 April 2016). "The Veil and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French Republicanism". Orient XXI. Retrieved 29 November 2015.
- ^ "Ill-Suited France's Identity Politics". The Economist. 3 September 2016. Retrieved 4 November 2016.
- ^ a b Chrisafis, Angelique (30 August 2016). "French PM suggests naked breasts represent France better than a headscarf". The Guardian. Retrieved 29 November 2015.
- ^ "A president shouldn't say that ... but Hollande did anyway". Middle East Eye. 12 October 2016. Retrieved 4 November 2016.
참조
- Agulhon, Maurice (1981). Marianne into Battle: Republican Imagery and Symbolism in France, 1789–1880. Translated by Janet Lloy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8224-1. OCLC 461753884.
- Hanna, Martha (1985). "Iconology and Ideology: Images of Joan of Arc in the Idiom of the Action Française, 1908–1931". French Historical Studies. 14 (2): 215–239. doi:10.2307/286583. JSTOR 286583.
- Hobsbawm, Eric; Ranger, Terence (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3773-3.
- Hunt, Lynn (1984). Politics, Culture, and Class in the French Revolution.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5204-8.
- Jennings, Eric (1994). "'Reinventing Jeanne': The Iconology of Joan of Arc in Vichy Schoolbooks, 1940–44".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29 (4): 711–734. doi:10.1177/002200949402900406. S2CID 159656095.
- Klahr, Douglas (2011). "Symbiosis between Caricature and Caption at the Outbreak of War: Representations of the Allegorical Figure Marianne in "Kladderadatsch"". Zeitschrift für Kunstgeschichte. 74 (1): 437–558.
- Sohn, Anne-Marie (1998). "Marianne ou l'histoire de l'idée républicaine aux XIXè et XXè siècles à la lumière de ses représentations" [Marianne or the History of the Republican Ideal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in the Light of its Representations]. In Agulhon, Maurice; Charle, Christophe; Laloutte, Jacqueline; Sohn, Anne-Marie; Pigenet, Michel (eds.). La France démocratique : (combats, mentalités, symboles) : mélanges offerts à Maurice Agulhon [Democratic France : (battles mentalities, symbols) : mélanges offered by Mauritius Agulhon]. Histoire de la France aux XIXè et XXè siécles (in French). Vol. 45. Paris: Publications de la Sorbonne. ISBN 978-2-85944-332-0. OCLC 61083007.
- Nolan, Michael (2005). The Inverted Mirror: Mythologizing the Enemy in France and Germany, 1898–1914. Oxford: Berghahn Books. ISBN 1-57181-669-0.
추가 읽기
- Censer, Jack R.; Hunt, Lynn (2001).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Exploring the French Revolution.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271-02088-1.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마리안느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Marianne - 프랑스어 공식 웹사이트(영어)
- 마리안느(미국 프랑스 대사관)
- 마리안느 (프랑스 총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