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상자 전투
Battle of the Admin Box행정상자 전투 | |||||||
---|---|---|---|---|---|---|---|
제2차 세계 대전 동남 아시아 극장에서의 버마 캠페인의 일부 | |||||||
![]() 인도 제7보병사단 시크군은 1944년 2월 버마 아라칸의 은케도크 고개 지역에 감시초소를 설치했다. | |||||||
| |||||||
호전성 | |||||||
지휘관과 지도자 | |||||||
![]() | ![]() | ||||||
힘 | |||||||
시작 시: 보병 2개 사단 1 기갑 연대 보강재: 보병 2개 사단 | 보병 1사단 | ||||||
사상자 및 손실 | |||||||
총[1] 3,506개 3[2] 전투기 | 3,470명 사망 부상자[3] 2,198명 전투기[2] 65대 | ||||||
행정상자 전투(ngagyedauk 전투 또는 신즈웨야 전투라고도 함)는 1944년 2월 5일부터 23일까지 버마 전역의 남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의 동남아 극장에서 벌어졌다.
일본군은 아삼 중앙전선에서 연합군 예비군을 끌어들이려는 목적으로 연합군 공격에 대한 국지적인 반격을 시도했는데, 아삼에서는 일본군이 자체적으로 주요 공세를 준비하고 있었다. 초기 후퇴 후 연합군은 일본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회복했고, 연합군이 다음 해에 더 많은 승리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을 개척했다.
이 전투는 지난 2월 7일 사단 사령부가 오버런된 후 프랭크 메서비 소장과 그의 참모들에게 임시로 직사각형의 방어 위치가 된 인도 육군 7사단의 '행정 구역'에서 유래한 것이다.[4]
1944년 초 상황
1941년과 1942년 초 일본군은 버마에서 연합군(영국, 인도, 중국)을 몰아냈다. 1943년 동안 연합군은 버마의 해안 지역인 아라칸에 제한적인 공격을 시도했었다. 그 목적은 마유 반도 끝에 있는 아키아브 섬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 섬은 일본 육군 공군이 캘커타와 다른 인도 도시에 대한 급습에 나섰고 연합군의 버마 탈환 계획에서도 두드러졌다.
이 공격은 참담하게 실패했었다. 대영 인도군이 대대적으로 확장되고 있었기 때문에 공격에 투입된 인도(및 영국) 부대 대부분은 훈련과 경험이 부족했다. 기진맥진한 부대가 최전방에 남아 사기가 떨어졌다. 연합군의 전술과 장비는 정글이 덮인 언덕에 어울리지 않았고, 일본 부대는 연합군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강과 언덕을 넘나들며 거듭 놀라움을 자아냈다. 마지막으로 연합군 지휘구조는 과로한 사단본부 한 곳이 다수의 서브유닛을 통제하려 하고 통신회선 지역도 넓어 비효율적이었다.
그 후 몇 달 동안 연합군은 재편성하여 광범위한 정글 훈련을 실시했고 1944년에 새로운 노력을 준비했다. 영국 14군단 산하에 필립 크리스티슨 중장이 지휘하는 인도 XV군단이 공습을 개시할 예정이었다.
제2차 연합군 공세
마유 반도는 여러 개의 꽹과리로 움푹 패인 해안 평야로 구성되었고, 정글이 덮인 마유 산맥에 의해 칼라판진 강의 비옥한 계곡에서 분리되었다. 이미 동아프리카와 서부 사막에서 격전을 경험하고 해롤드 라돈 브릭스 소장의 지휘를 받은 인도 5사단은 해안 평원을 공격했다. 프랭크 메서비 소장 휘하의 잘 훈련된 인도 제7보병사단이 칼라판진 계곡을 공격했다. 영국 81사단(서아프리카)은 칼라단 강 골짜기를 따라 동쪽으로 더 진격하고 있었지만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다른 2개 사단과 캘커타의 영국 36 보병사단, 치타공 26 인도 보병사단은 예비역이었다.
처음에는 조심스럽게 전진을 시작했지만 꾸준히 기세를 올렸다. 1944년 1월 9일, 5 인도 사단은 마웅다우의 작은 항구를 점령했다. 그들은 항구의 남쪽(라자빌 마을과 거북이라고 알려진 언덕)에 있는 일본인들의 위치를 축소하는 동안, 군단은 다음 주요 목표를 취할 준비를 했다. 이곳은 마웅다우를 잇는 언덕을 지나 칼라판진 계곡의 부티다웅과 레트웨데트를 잇는 통로가 있던 마유 산맥의 일부였다. 이 공격을 위한 병력과 자원을 재배치하기 위해 인도 7사단의 기술자들은 언덕을 가로지르는 은키도크 고개로 알려진 좁은 선로를 개선했고, 이후 고갯길 동쪽 끝의 신즈웨야에 '관리상자'로 알려진 넓은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다.[5]
일본의 움직임
사쿠라이 쇼조 중장이 지휘하는 일본 28군은 아라칸과 버마 남부 지역을 방어했다. 하나야 다다시 중장 휘하의 55사단이 아라칸을 점령했다. (5battalions[6])사쿠라이 포스로 마유 지역 그룹이 사단의 군대의 대부분은, 그것의 보병 그룹 본부 아래 Major-General Tokutaro원 사쿠라이는 육군 사령관이다. 없는 관계로(일본 사업부는 별도의 당사, 이 경우처럼, 전술 통제할 수 있을 그것의 보병 부대들을 투여하는 것을 명령했다.o분단으로부터의 실질적인 분단)
일본인들은 현지 역습에서도 전년의 성공을 되풀이할 수 있다고 자신했고, 어쩌면 인도 XV군단이 물자를 의존하는 항구인 치타공까지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7] 또한 2월 첫째 주에 그들의 공격(HA-GO 또는 작전 Z)을 개시함으로써 연합군에게 중부전선에서 아라칸으로 증원군을 보내 3월 첫째 주에 시작될 예정이었던 일본군의 주요 공격의 길을 걷게 하려는 의도였다.
사쿠라이 군은 2월 5일부터 널리 분산된 인도 7사단 전선에 침투해 작은 마을 타웅바자르에서 발견되지 않고 북쪽으로 이동했다. 여기서 그들은 칼라판진 강을 건너 서쪽으로, 남쪽으로 휘둘러 2월 6일 7사단의 본부를 공격했다.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지만, 7사단의 서명인과 사무원들은 결국 서류와 장비를 파괴하고 작은 정당으로 갈라져 행정상자로 후퇴해야 했다.(사단의 주파수를 듣고 있는 다른 무선사업자들은 "저 무전기로 뽑아라"는 목소리를 듣고는 침묵했다.)[8]
그러자 사쿠라이의 힘이 신즈웨야와 7사단 후방을 향해 따라왔다. 제5 인도사단이 보급한 해안도로에 매복하기 위해 일본 대대(I/213연대, 지휘관으로부터 쿠보군으로 알려진)가 불가능해 보이는 곳에서 마유사거리를 건넜다. 아직도 라자빌을 억류하고 있는 일본인과 철도터널 지역(도이군)은 사쿠라이와 연계하기 위해 부차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소규모의 급습과 이탈을 감행하였고, 뜻밖에도 일본 전투기들이 아끼압에서 날아와 전장 상공에서 시합을 벌였다.
전투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은 모든 XV 군단에게 분명했다. 그러나 14군단은 일본의 표준적인 침투와 포위 전술에 대한 대응책을 검토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XV 군단의 전방 사단은 후퇴보다는 파고들어 진지를 유지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예비 사단은 그들의 구호에 진격했다.
일본인들의 다음 분명한 목표는 본부와 통신 부대가 방어하는 신즈웨야의 행정 구역이었고, 25개의 빛 AA/대 탱크 연대, RA가 있었다. 메서비가 밀림 속에 있다가 연락이 두절되자, 최근 인도 5사단의 일부인 인도 9보병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된 제프리 에반스 준장에게 행정상자로 진격해 모든 공격에 대비하여 지휘권을 장악하라고 명령했다.[9] 에반스는 자신의 여단 소속 2대대대, 웨스트요크셔 연대)와 24 산악포병 연대 IA로 상자의 수비수들을 보강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증원군은 드라군 25대의 M3 리 전차 2개 중대였다. 수비대원들은 이후 구르카 소총 8대대대(인도 제89보병여단, 인도 제7사단 일부)의 4대대대 일부와 8(벨파스트) HAA 연대 왕립포병, 6중대 RA의 포병에도 가담했다.[9]
에반스 휘하에서 박스는 방어 구역으로 전환되었다. 그 공원은 지름 1,200야드(1.1km)의 맨바닥이었다. 탄약고는 "암문 언덕"이라는 이름의 150피트(46m) 높이의 중앙 언덕의 서쪽 면 기슭에 쌓여 있었다. 메서비 소장이 일본군을 통해 소규모 정당에 진출했던 몇몇 HQ 요원들에 이어 행정상자에 이르자, 그는 자신이 사단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재정립하고 지휘하는 데 주력하는 동안 에반스에게 상자 방어를 맡겼다.[9]
한편 앨라이드 다코타 수송기는 어드민 박스의 수비대원을 비롯한 컷오프 부대에 배급품과 탄약을 투하했다. 그들은 총 714개의 소켓을 날리며 2300톤의 물량을 떨어뜨렸다.[10] 일본인들은 이러한 발전을 예견하지 못했다.[11] 그들이 물자가 부족한 동안, 인도 군대는 계속 싸울 수 있었다. 일제는 사쿠라이의 원래 침투 경로를 따라 사쿠라이군에 갑 노새와 아라칸 포병대의 호송차를 보급하려 했으나, 이것이 매복되어 보급품이 나포되었다.[12]
첫 공중 투하 임무는 일본 전투기들의 반대에 부딪혔고 일부 수송기는 회항할 수 밖에 없었지만 치타공 주변의 새로운 비행장에서 작전 중인 스피트파이어 3개 중대는 전장을 넘어 공중 우위를 점했다. 일본 항공기 65대가 스피트파이어 3대를 분실해 격추되거나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다(일본 전투기들도 호커 허리케인 전투기와 다른 항공기 여러 대를 격추했다).[13] 진상이 어떻든 간에 일본 전사들은 재빨리 그 지역에서 쫓겨났다.[2]
그라운드에서, 관리상자를 위한 싸움은 심각했고, 대부분 손을 맞잡았다.[9] 2월 7일 밤, 일부 일본군은 분단 메인 드레싱 스테이션을 점령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전쟁 범죄였던 곳에서 35명의 의료진과 환자들이 살해되었다.[14] 이는 이제 항복하면 어떤 운명이 닥칠지 알고 있던 수비수들의 결심이 높아졌을지도 모른다. 일본군의 화재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두 차례 탄약고에서 불이 났다. 수비수들을 압도하려는 모든 시도는 탱크에 의해 좌절되었는데, 일본인들은 그들의 몇 개의 산포가 탄약에서 떨어지자 카운터가 없었다. 일본군은 2월 14일 밤 전면공격을 시도하여 외곽의 한 언덕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탱크들의 지원을 받아 제2의 웨스트요크셔는 비록 큰 인명 피해를 입었지만 다음날 그것을 탈환했다.[15]
2월 22일까지, 일본인들은 며칠 동안 굶고 있었다. 사쿠라이 군의 본대를 제공한 일본 112보병연대를 지휘하는 다나하시 대령은 자신의 연대가 원래 병력 2150명 중 400명으로 축소돼 추가 공격을 거부했다고 진술했다.[15] 2월 24일(다른 소식통에 의하면 2월 19일) 무선 통신을 끊고 허가 없이 후퇴했다. 2월 26일 사쿠라이는 어쩔 수 없이 작전을 중단했다. 인도 26사단은 은케도크 고갯길을 뚫기 위해 여단을 파견한 5사단을 구원해 7사단을 구제했다. 쿠보군은 일본 전선으로 돌아가려다 큰 인명피해를 입었다.
여파
비록 연합군의 총 사상자는 일본인들보다 더 많았지만, 일본인들은 그들의 부상자 중 많은 사람들을 죽이기 위해 포기해야만 했다. 전쟁터에서는 일본인 사망자 5천명이 집계되었다.[16] 버마 유세에서 처음으로 일본의 전술은 반격되었고 실제로 그들에게 불리하게 돌아섰다. 임팔 전투가 임팔 전투가 임팔 전투에서 훨씬 더 큰 규모로 되풀이될 예정이었다. 사기 측면에서도 영국군과 인도군이 처음으로 일본의 주요 공격을 저지하고 격퇴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17]
연합군의 공군력의 가치는 증명되었고, 버마 전역에서의 연합군의 승리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었다. 1945년 9월 11일 랑군에서 열린 일본 항복 회의에서,[18] 이치다 소장은 일본인들을 "재난적 불이익"에 빠뜨린 두 가지 예측하지 못한 중요한 요인을 식별한 성명서를 읽었다.
(a) 연합군 항공 보급은 버마에서 지상군이 후퇴하지 않고 진지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의 침투와 포위 전술을 무력화시켰다.
(b) 버마와 더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일본 보급선을 그렇게 교란시켰던 연합군의 항공 우위성은 기아와 질병이 14군에 직면한 수천 명의 일본군을 앞질렀으며, 또한 연합군과 더 잘 장비되고 공급되는 연합군과 싸울 수 있는 연료, 장비 및 자재의 필수 공급도 부인했다.
3월 둘째 주에는 제161 인도 보병여단(5사단 일부)이 마침내 옆구리 기동으로 라자빌 주변의 토르토이즈와 다른 요새를 점령한 뒤 사단이 예비군으로 철수했다.[19] 인도 26사단과 영국 36사단은 3월말과 4월초에 공세를 재개했다. 36사단은 4월 4일까지 철도 터널을 점령했다. 4월 6일 26사단 병력이 1년도 채 되지 않아 중요한 승리를 거둔 포인트 551이라는 중요한 언덕을 점령했다.[20]
이 때, 임팔 전투를 위해 XV 군단의 작전은 자유 수송기와 부대로 축소되었다. 장마가 시작되자 부티다웅 주변의 저지대는 말라리아와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연합군은 실제로 이 지역에서 철수하여 질병에 대한 손실을 면했다.[21] 일본군은 54사단을 아라칸으로 옮기고, 제111보병연대 코바 대령 휘하의 4개 대대 병력을 칼라단 계곡의 서아프리카 81사단에 집중시켰다.[20] 인도 국민군과 현지 아라칸의 부대의 지원으로 이 부대는 고립된 서아프리카 사단에 성공적으로 반격을 가하여 퇴각하고 결국 계곡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아끼압은 1945년 1월 연합군의 새로운 진격과 수륙양용 상륙이 일본군을 아라칸에서 몰아내면서 상륙부대가 해안으로 후퇴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많은 사상자를 내도록 할 때까지 일본 수중에 남아 있었다.
인도 국민군 기부금
가볍게 무장한 인도국민군 제1유격연대 1대대는 일본군의 교대공격에 참가하라는 지시가 내려져 있었다. 이들은 2월 초 랑군에서 떠났지만 3월 초 아끼압에 이르렀을 무렵 일본군의 공세는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후 이 대대는 칼라단 강을 따라 진군하여 영연방 아프리카 부대를 상대로 느리지만 성공적으로 진군한 뒤 버마-인도 국경을 넘어 치타공 인근 모우독을 점령했다.[22]
홀랜드는 드레싱 스테이션 주변에 INA 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공격 중 붙잡혀 일본인에 의해 INA로 징집될 예정인 인도군 의사의 증언에 근거하여 INA의 공격과 그에 따른 학살에 대한 그들의 명백한 참여에 주목한다.[23]
용맹상
제1 대대 링컨셔 연대의 찰스 퍼거슨 호이 소령은 은케도크 고갯길에서 싸우는 동안 눈에 띄는 용맹으로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추서받았다.
영국 공병대의 에드워드 오토 브릭스 중위는 25 드라군 전차용 차웅(스트림) 건널목을 건설하는 데 용맹한 공로로 사후에 군십자사 훈장을 받았다.
세포이 카람 싱도 훈장을 받았다.[24] 그는 나중에 Param Vir Chakra에서 우승할 것이다.
L/B. H. 밀스 병장 8(벨파스트) HAA 연대 로열포병 W. M. Adrain이 군사훈장을 수여받았으며, 8(벨파스트) HAA 연대 로열포병 중 하나인 H.G. Bing 중위도 군사십자 훈장을 받았다.
메모들
- ^ 모어맨, 페이지 122
- ^ a b c 앨런, 페이지 178
- ^ 앨런, 페이지 638
- ^ 앨런 제프리스, 2005년 극동 1941–45, 옥스퍼드, 오스프리 출판사, p33.
- ^ 슬림, 페이지 230
- ^ Fraser, David (1999). And we shall shock them: the British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Cassell military. p. 307. ISBN 978-0-304-35233-3.
- ^ 앨런, 페이지 177
- ^ 앨런, 페이지 182
- ^ a b c d 미드 134쪽
- ^ 우드번 커비, 144페이지
- ^ 앨런, 페이지 187
- ^ 슬림, 페이지 236–237
- ^ 슬림, 페이지 232–233
- ^ 앨런, 페이지 183
- ^ a b 앨런, 페이지 186
- ^ 앨런, 페이지 188
- ^ 앨런, 페이지 187–188
- ^ Park, Keith (August 1946). Air Operations in South East Asia 3rd May 1945 to 12 September 1945. London: War Office. p. 2154. 로 출판된.
- ^ Anthony Brett-James. "Ball of Fire:The Fifth Indian Division in the Second World War". Retrieved 22 December 2009.
- ^ a b 슬림, 페이지 242–243
- ^ 슬림, 페이지 243–245
- ^ 1993년 7월 285일 페이지
- ^ 홀랜드 2016, 페이지 252
- ^ "No. 3651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6 May 1944. p. 2271.
참조
- Allen, Louis (1984). Burma: The Longest War. Dent. ISBN 0-460-02474-4.
- Fay, Peter W. (1993). The Forgotten Army: India's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1942-1945.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ISBN 0-472-08342-2.
- Holland, James (2016). Burma '44. Bantam Press. ISBN 978-0-593-07585-2.
- Latimer, Jon (2004). Burma: The Forgotten War. John Murray. ISBN 0-7195-6576-6.
- Leyin, John (2000). Tell Them of Us: The Forgotten Army - Burma. Stanford-le-Hope, Essex: Lejins Publishing. ISBN 0-9528789-3-3.
- Mead, Richard (2007). Churchill's Lions: A Biographical Guide to the Key British Generals of World War II. Stroud (UK): Spellmount. pp. 132–135. ISBN 978-1-86227-431-0.
- Moreman, Tim R. (2005). The Jungle, the Japanese and the British Commonwealth Armies at War, 1941-45. Frank Cass. pp. 109–124. ISBN 0-7146-4970-8.
- Slim, William (1956). Defeat Into Victory. London: Cassell. OCLC 253543428.
- 제2차 세계 대전의 역사, 영국 군사 시리즈: 일본과의 전쟁 Vol III, The Checolate Battles, London: HM 문방구 사무소, 1961/Uckfield: 해군 & 군사, 2004, ISBN 1-8457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