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베어 호
Big Bear Lake빅 베어 호 | |
---|---|
![]() 중국섬에서 동쪽을 바라보다 | |
위치 | 캘리포니아 주 샌버너디노 카운티 샌버너디노 산맥 |
좌표 | 34°14°31°N 116°58′37″w/34.24194°N 116.97694°W좌표: 34°14º31°N 116°58 37 37 ww / 34 . 24194 ° N 116 . 97694 °W / . 、 - . 94 |
호수형 | 저장고 |
유역 국가 | 미국 |
최대 길이 | 7 mi (11 km) |
최대 폭 | 2.5 mi (4.0 km) |
표면적 | 2,971에이커 (1,196ha) |
평균 깊이 | 35 피트 (11 m) |
최대 깊이 | 72 피트 (22 m) |
용수량 | 73,320에이커피트(0.09044km3) |
빅 베어 레이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 버나디노 카운티에 있는 샌 버나디노 산맥에 있는 저수지입니다.눈과 비가 내리는 호수이며, 다른 지류나 기계적인 보충 수단이 없다.6,743피트(2,055m)의 표면 고도에서, 호수의 너비는 대부분 평균보다 조금 더 크지만, 동서 길이는 약 7mi(11km)이고, 가장 넓은 측정에서 약 2.5mi(4.0km)이다.0.8km ([1]1⁄2 mi)이러한 근사치는 최적의 유지 가능한 수위를 가진 호수에 기초한다.댐 끝에서 빅 베어(Big Bear)는 72피트(22m)에서 가장 깊은 물을 측정합니다.
올드 베어 밸리 댐 | |
---|---|
지었다. | 1884 |
건축가. | 프랭크 브라운 |
지정 | 1960년[2] 2월 5일 |
참조 번호 | 725 |
역사
이 지역은 약 2,500년 동안 원주민인 세라노 인디언 부족의 조상의 고향이었다.그들은 이 지역을 "유하비트"라고 불렀는데, 이는 "소나무밭"으로 번역된다.그들은 담수원을 따라 위치한 10~30개의 둥근 건물들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에 살았고, 딸기, 견과류, 덩이줄기, 도토리, 무성한 계곡을 따라 수확된 풍부한 사냥감을 먹고 살았다.Serrano는 토착 회색곰들을 조상처럼 보고 고기를 먹거나 이 거대한 동물들의 털을 입지 않았다.이 지역의 몇몇 커뮤니티는 빅 베어 지역의 풍부한 원주민 역사를 반영하는 지명들을 특징으로 합니다.이것들은 유카이파, 쿠카몽가,[3] 무스큐피아베를 포함한다.
이 지역은 벤자민 윌슨이 인디언 사냥대를 결성했을 때 유럽 탐험가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윌슨은 멕시코령 Alta California 시절 캘리포니아로 이사했다.그는 스페인의 지주 가문인 요바스와 결혼하여 후안 반디니로부터 란초 주루파(리버사이드)의 일부를 샀다.그는 지역 목장 정치가가 되었다.
윌슨은 내륙 지역의 평화 재판관으로 임명되었고, 인근 리버사이드의 목장을 급습한 것으로 의심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위치를 찾고 추적하는 것을 영토 당국으로부터 위임받았다.맹렬한 추장 왈카라가 이끄는 이 무리는 샌 버나디노스의 북쪽에 있는 루체른 계곡으로 무리를 몰아넣었다.윌슨은 다른 22명과 함께 산타 아나 강 상류로 협공하여 루체른의 반대편 끝의 우트족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안 카종 고갯길을 통해 22명을 보냈다.
여행 중에 윌슨은 야생동물, 특히 곰으로 가득한 넓은 분수령을 만났다.그의 부대는 즉시 사냥 파티가 되었고, 남자들은 11쌍으로 나뉘어져 각각 곰 가죽을 가지고 돌아왔다.윌슨은 풀이 무성한 넓은 지역을 "베어 밸리"라고 불렀고 근처의 얕은 계절 습지 중 하나를 "빅 베어 호수"라고 불렀다.1876년 자신의 이름을 딴 인근 골드 마운틴 광산을 구입한 랜초 산타 아니타의 엘리아스 J. "럭키" 볼드윈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 볼드윈 호수라고 불립니다.윌슨의 귀환 여행에서 일행은 곰 가죽을 11개나 더 가져갔다.
1859년, 새롭게 발견된 계곡은 금 시굴자들을 위한 장소가 되었다.윌리엄 F. 인디애나에서 온 탐사자 홀콤은 북캘리포니아 광산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하여 빅베어의 탐사 소식을 들었다.그는 기아 지역으로 이사했는데, 그곳에서 첫 겨울은 운이 별로 없었다.그의 사격술 때문에, 그는 고기를 얻기 위해 곰을 사냥하기 위해 다른 광부들 중 몇 명에게 고용되었다.홀콤은 인도 동료와 함께 베어 밸리 북쪽의 한 산등성이에 있는 회색 곰을 추적해 총을 쏘고 부상을 입혔다.거기서 그는 황금 반점이 있는 석영 광맥을 발견했다.이 발견이 알려졌을 때, 남부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가 시작되었고, 홀콤 밸리는 빠르게 샌 버나디노 카운티에서 가장 큰 인구 밀집 지역이 되었다.
1884년, 거의 평평한 베어 밸리는 하나의 아치형 화강암으로 댐을 만들어 레드랜즈 지역의 관개 목적으로 약 2만 5천 에이커3 피트의 물을 막았습니다.레드랜즈 감귤 재배업자들은 1884년 댐에서 물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Bear Valley Mutual Water Company(베어 밸리 관개 회사의 후계자)는 John S.를 고용했습니다.이스트우드가 새 [4]댐을 설계할 거야1912년 72피트(22m)의 다중 아치 댐이 옛 댐의 하류 약 300피트(91m)에 건설되었고 호수 용량이 73,000에이커 피트(90,000개3 댐)로 증가하였다.원래의 화강암 댐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보통 약 20피트 수심 아래에 있다.1923년 새로운 댐의 아치 위에 고속도로 다리(SR 18)가 건설되었다.2009년 옛 교량 옆에 새로운 우회교가 건설되었고, 새 댐 위에 있던 옛 교량은 제거되었다(12).지표면의 표고는 6,750피트(2,060m)이지만, 이 레벨은 연간 융설량과 유출량에 따라 변동한다.빅베어 시영 수역은 [5]1977년 상호 수자원회사로부터 댐과 다른 자산을 인수했다.
샌버나디노에서 회색곰을 무법천지로 사냥한 것은 한때 중요했던 개체군에 큰 피해를 입혔고, 1906년까지 모든 현지 Ursus californicus가 멸종되었다.
관광은 자동차가 등장하고 궁극적으로 외진 지역에 접근하는 고속도로가 생기면서 시작되었다.할리우드는 곧 빅베어를 발견했고, 몇몇 영화들, 특히 서부 영화들이 이 지역에서 촬영되었다.
지리
Big Bear Lake는 북쪽과 남쪽 해안에 의해 지구물리학적으로 정의된다.Big Bear Boulevard는 South Shore를 따라 Big Bear Valley로 이어지며 18번 고속도로(서쪽에서 접근하는 세계 고속도로의 림)의 연장선입니다.Big Bear Bouldlevard는 파푸스 만, 볼더 만, 메트카프 만을 지나 동쪽으로 곧장 Big Bear Lake로 향합니다.The Village라고 불리는 지점에서, 길은 호수 쪽으로 방향을 틀고, 그리고 나서 동쪽으로 꺾여 Snow Summit과 Bear Mountain의 스키 리조트인 Moonridge와 호수의 동쪽 끝 근처에 위치한 둑길인 Stanfield Cutfo로 향한다.Big Bear Boulevard는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법인화되지 않은 Big Bear City로 동쪽으로 계속 갑니다.베어 크릭과 시베리아 크릭은 호수로 흘러 들어가고 베어 크릭은 호수에서 나와 남서쪽으로 약 9마일(14km) 떨어진 산타 아나 강으로 이동합니다.
노스 쇼어(38번 고속도로)는 18번 고속도로의 댐 분기점에서 시작된다.그것은 1920년대의 유명한 낚시 캠프인 그레이스랜딩을 지나 동쪽으로 이동한다.그것은 그라우트 만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돌아서 작은 법인화되지 않은 폰스킨 마을을 통과합니다.이 도로는 북해안을 가로질러 임야를 지나 Big Bear Solar Observatory를 지나 Big Bear Discovery Center를 지나 Serrano Campground(U.S.F.S.)를 지나 공공보트 진수장으로 진입하고 Stanfield Cutfield를 통과합니다.North Shore Drive는 Big Bear City와 Baldwin Lake를 향해 동쪽으로 계속됩니다.
빅 베어로의 주요 접근은 샌 버나디노에서 18번 고속도로와 교차하는 러닝 스프링스를 통해 330번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것입니다.18번 고속도로는 Arrowbear와 Snow Valley를 지나 7,200ft(2,190m) 이상의 Lake Vista Summit을 지나 15mi(24km)의 "북극권"을 가로질러 총 33mi(53km)의 거리를 나아갑니다.빅베어 레이크는 레드랜드 인근 샌버너디노(10) 고속도로에서도 Hwy38('뒷면')이 접근할 수 있으며, 동쪽에 빅베어 시티를 통과하는 84km(52mi) 루트를 이용합니다.루체른 밸리 북쪽에서 18번 고속도로를 통해 볼드윈 호수로 진입하고 북쪽을 통해 빅 베어 시티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기후.
국립 기상청에 따르면 빅 베어에서 가장 따뜻한 달은 7월이며, 일평균 기온은 화씨 64.7도이다.가장 추운 달은 1월이며, 일평균 기온은 34.1°F(1.2°C)입니다.매년 평균 1.7일이 발생하며 최고 기온은 90°F(32°C) 이상입니다.빙하는 매달 발생하며 9월 24일부터 6월 4일까지 매년 평균 186일 정도 발생한다.1960년 이후로만 기록되는 가장 높은 온도는 1998년 7월 15일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94°F(34°C)였고, 가장 낮은 온도는 1979년 1월 29일에 -25°F(-32°C)였다.
기상 관측소의 해발고도는 6,790~7,200피트(2,070~2,190m)이기 때문에 강수량은 San Bernardino County의 저지대보다 많아 연평균 21.15인치(537mm)이다.최대 24시간 강수량은 1966년 12월 6일 9.43인치(240mm)였다.측정 가능한 강수량은 보통 1년에 44.9일 발생한다.산악 뇌우는 한여름에도 가끔 많은 비를 내립니다(캘리포니아 남부 저지대 지역이 매우 건조한 경우).빅 베어 호수의 기후는 쾨펜 기후 분류로 Csb(온여름 지중해)입니다.
대부분의 남부 캘리포니아와 대조적으로, 빅 베어 호수 지역은 높은 고도 때문에 보통 겨울 눈이 많이 내린다.호수 수준에서 측정한 적설량은 계절당 평균 72인치(180cm)이며, 100인치(250cm) 이상의 적설량은 8,000피트(2,400m) 이상의 고도에서 호수 주변의 숲이 우거진 능선에 쌓일 수 있습니다.1990년 2월에는 59.5인치(151cm)의 눈이 내렸다.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눈은 1991년 3월 27일 69cm의 27.0인치였다.1979년 2월 3일의 가장 큰 눈의 깊이는 150cm였다.7월과 8월을 제외하고는 매달 눈이 내린다.보통 매년 18일 동안 0.25cm 이상의 눈이 내린다.
캘리포니아 빅 베어 호수에 대한 기후 데이터(1991–2020년 기준) | |||||||||||||
---|---|---|---|---|---|---|---|---|---|---|---|---|---|
달 | 1월 | 2월 | 마루 | 에이프릴 | 그럴지도 모른다 | 준 | 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높은 °F(°C)를 기록하십시오. | 71 (22) | 72 (22) | 80 (27) | 82 (28) | 87 (31) | 98 (37) | 94 (34) | 92 (33) | 87 (31) | 85 (29) | 74 (23) | 70 (21) | 98 (37) |
평균 최대 °F(°C) | 60 (16) | 60 (16) | 65 (18) | 72 (22) | 78 (26) | 86 (30) | 89 (32) | 87 (31) | 82 (28) | 76 (24) | 68 (20) | 62 (17) | 90 (32) |
평균 높은 °F(°C) | 46.1 (7.8) | 45.7 (7.6) | 51.2 (10.7) | 57.3 (14.1) | 65.8 (18.8) | 75.1 (23.9) | 79.7 (26.5) | 78.7 (25.9) | 73.0 (22.8) | 63.4 (17.4) | 53.5 (11.9) | 46.2 (7.9) | 61.3 (16.3) |
평균 낮은 °F(°C) | 23.6 (−4.7) | 23.7 (−4.6) | 27.0 (−2.8) | 31.0 (−0.6) | 37.2 (2.9) | 43.5 (6.4) | 50.5 (10.3) | 49.5 (9.7) | 44.0 (6.7) | 35.0 (1.7) | 27.8 (−2.3) | 23.5 (−4.7) | 34.7 (1.5) |
평균 최소 °F(°C) | 9 (−13) | 10 (−12) | 14 (−10) | 20 (−7) | 27 (−3) | 33 (1) | 40 (4) | 39 (4) | 33 (1) | 25 (−4) | 15 (−9) | 10 (−12) | 5 (−15) |
낮은 °F(°C)를 기록하십시오. | −9 (−23) | −10 (−23) | −8 (−22) | 3 (−16) | 18 (−8) | 22 (−6) | 28 (−2) | 29 (−2) | 19 (−7) | 10 (−12) | −15 (−26) | −14 (−26) | −15 (−26) |
평균 강수량(mm) | 4.51 (115) | 4.39 (112) | 2.37 (60) | 0.78 (20) | 0.42 (11) | 0.15 (3.8) | 0.69 (18) | 0.82 (21) | 0.40 (10) | 0.79 (20) | 1.35 (34) | 3.31 (84) | 19.98 (508.8) |
평균 적설량(cm) | 13.4 (34) | 14.3 (36) | 11.7 (30) | 3.0 (7.6) | 0.6 (1.5) | 0 (0) | 0 (0) | 0 (0) | 0 (0) | 1.2 (3.0) | 3.4 (8.6) | 11.0 (28) | 58.6 (148.7) |
평균강수일수( 0 0.01인치) | 7 | 7 | 5 | 4 | 2 | 1 | 3 | 3 | 2 | 2 | 3 | 5 | 43 |
평균 강설일수 (0.1인치 이하) | 4 | 3 | 3 | 1 | 0 | 0 | 0 | 0 | 0 | 0 | 1 | 3 | 16 |
출처: NOAA[6] |
교통.
로스앤젤레스에서 동쪽으로 100마일(160km) 떨어진 San Bernardino 국유림으로 둘러싸인 Big Bear Lake는 세 가지 경치 좋은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샌버너디노에서 330번 고속도로, 레드랜즈에서 38번 고속도로, 그리고 서쪽으로 빅터빌에서 18번 고속도로, 동쪽으로 샌버너디노에서.
San Bernardino 및 호수를 둘러싼 커뮤니티를 오가는 대중 교통은 Mountain Transit에 의해 제공됩니다.
활동.
빅 베어 레이크는 낚시(트라우트, 블루길, 크레이피, 메기, 라거머스 베이스), 유람 보트, 수상 스키를 포함한 많은 야외 활동을 위한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매우 차가운 물과 해안선 근처에 수중 장애물이 있기 때문에 수영은 권장되지 않습니다.그 호수는 BBMWD 호수 순찰대에 의해 순찰된다.
많은 호숫가 주민들은 개인 부두를 가지고 있고, 방문하는 보트 운전자들은 양쪽 해안에서 발견되는 여러 개의 마린에 정박지를 얻습니다.Big Bear Civily Water District(캘리포니아 주의 특별 구역)는 North Shore의 동쪽 끝과 서쪽 끝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지역 마리나가 다양한 스포츠 보트나 유람선을 대여하고 파라세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환경보건위험평가국(OEHHA)은 이곳에서 잡힌 물고기에서 발견된 수은과 PCB 때문에 빅 베어 호수에 대한 권고안을 개발했습니다.이[7] 권고는 검은 배스, 잉어, 크래피, 무지개 송어 등에게 안전한 식생활 조언을 제공한다.
관심장소
노스 쇼어(서쪽에서 동쪽)
- 폰스킨(샌버나디노 카운티 uninc.)
- 빅 베어 태양 관측소(뉴저지 공과대학)
- 빅 베어 디스커버리 센터
사우스 쇼어(서쪽에서 동쪽)
캘리포니아 역사 랜드마크
빅 베어 댐의 캘리포니아 역사 랜드마크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 No. 725 올드 베어 밸리 댐 - 1884년 프랭크 브라운은 레드랜즈 지역에 관개수를 공급하기 위해 이곳에 특이한 댐을 건설했다.단일 아치형 화강암 댐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였던 빅 베어 호수를 형성했다.기술자들은 댐이 버틸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댐이 버틸 때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선언했다.이 오래된 댐은 1912년에 서쪽으로 200피트 떨어진 곳에 건설된 20피트 높이의 댐 때문에 보통 물에 잠겨 있다. [8]
베어밸리 댐은 1972년 [9]미국 토목학회에 의해 지역 역사 토목 랜드마크로 지정되기도 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빅 베어 호수 동쪽의 비법인 도시, 캘리포니아 주 빅 베어 시티
- 캘리포니아 주의 댐 및 저수지 목록
- 캘리포니아 주의 호수 목록
- 캘리포니아 샌버너디노 카운티의 캘리포니아 역사 유적
레퍼런스
- ^ "Big Bear Municipal Water District » Current Lake Stats". www.bbmwd.com. Retrieved June 1, 2021.
- ^ 캘리포니아 역사 유적 725
- ^ Big Bear Lake California의 역사 - Big Bear Lake의 역사
- ^ Donald C. Jackson (2005). Building the Ultimate Dam: John S. Eastwood and the Control of Water in the We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 281. ISBN 978-0-8061-3733-9.
- ^ "Lake History". BBMWD Lake Management. Big Bear Municipal Water Distri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0, 2018. Retrieved December 11, 2016.
- ^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Retrieved July 3, 2013.
- ^ Pham, Huyen Tran (January 4, 2018). "Big Bear Lake". OEHHA. Retrieved January 30, 2018.
- ^ 캘리포니아 역사 랜드마크, 725
- ^ "Bear Valley Dams Honored". Redlands Daily Facts. Redlands, California. March 4, 1972. p.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