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아트리체 워드
Beatrice Warde베아트리체 워드 | |
---|---|
![]() 1925년 베아트리체 워드 | |
태어난 | 베아트리체 램버튼 베커 1900년 9월 20일 뉴욕 시 |
죽은 | 1969년 9월 16일 영국 서리 엡섬 | (68세)
국적 | 미국인의 |
기타 이름 | 폴 보종 |
모교 | 바르나드 대학교 |
직업 | 홍보 관리자, 편집자 |
로 알려져 있다. | 인쇄 역사학자, 타이포그래퍼 |
주목할 만한 작품 | 크리스탈 고블렛 (이세이) |
베아트리체 램버튼 워드(Beatrice Lamberton Warde, 1900년 9월 20일 ~ 1969년 9월 16일, née Beatrice Becker)는 20세기 작가 겸 타이포그래피 학자였다.[1][2]영국 모노타이프사의 마케팅 매니저로 20세기 중반 영국 등지에서 인쇄 취향 개발에 영향력을 발휘했고, 당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여성 타이포그래퍼 중 [o]ne]으로 인정받았다.[3][4][5]그녀의 글은 인쇄에 있어 더 높은 기준을 주창했고, 모노타입이 부활에 특화된 과거의 역사 활자체들과 현대 활자체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옹호했다.[5][6][7][8]
초기의 생활과 관심사
뉴욕에서 태어난 워드는 뉴욕 헤럴드 트리뷴 직원인 메이 램버튼 베커와 작곡가 겸 교사인 구스타브 베커의 외동딸이었다.[9]워드는 컬럼비아 대학의 바르나드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열세 살 때 그녀의 학교는 그녀에게 서예술을 소개했다.[5]이것은 그녀의 대학 시절 타이포그래피와 편지 형식의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을 가져왔다.그녀는 "수세기 동안 사실이었다"는 사실인 "인쇄업무는 장인 차원에서 여성들에게 금지되어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이러한 관심은 인쇄업과 관련된 견습생으로 번지지 않았다.[5]그녀는 여성에 대한 편견에도 불구하고, 대조적으로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사람은 남자든 여자든 자신의 것을 알면 성적을 낼 수 있다"[5]고 말했다.
경력
아메리칸 타입 창업자 회사
그녀는 브루스 로저스와 알게 되었고, 그의 추천으로 졸업 후 아메리칸 타입 파운더스 컴퍼니에 보조 사서직으로 임명되었다.그녀는 Henry Lewis Bullen 아래에서 Jersey City에서 일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자기 교육과 연구에 집중했다.그곳에서 그녀는 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 스탠리 모리슨과 같은 저명한 타이포그래피 작가들과 알게 되었고, 그는 후에 그녀의 직업 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그녀는 1921년부터 1925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citation needed]ATF에서 그녀는 불렌이 16세기 판화가 클로드 가라몬드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그의 회사가 부활하고 있는 "가라몬드" 타입이 사실 그 시대의 책에서 본 적이 없는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고 확신한다는 말에 흥미를 느꼈다.[10][11]
1925년, 베아트리체는 새로운 모노타이프 합성 기계로 활판화와 책 디자인의 미래가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고 보았다.[5]그 결과, 그녀는 1925년에 유럽으로 이주했다.
역사연구와 플뢰론
베아트리체 워드는 유형의 가라몬드 디자인의 기원을 조사하는 데 시간을 보냈고, 그 결과를 1926년 "폴 보존"[a]이라는 필명으로 더 플뢰런에 발표했다.이전에 클로드 가라몬트에게 많은 활자체가 귀속되었다는 그녀의 결론은 사실 90년 후에 장 제논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이 장학금에 대한 지속적인 공헌이었다.[12][b]후에 워드는 자신의 '폴 보존' 페르소나가 "긴 회색 수염의 남자, 네 명의 손자, 골동품 가구에 대한 큰 관심, 몽파르나스에서의 다소 모호한 주소"[14]라고 상상하며 즐거워했다고 회상했다.그녀는 그 속임수가 혼란스럽다는 점에 주목했지만, 프랑스인의 작품을 관용적인 영어로 읽고 조롱하는 것이 놀라 스나크의 사냥을 인용하여 지혜를 얻었다는 다른 역사학자들의 의심을 즉각 받지 않았다.[5]
모노타이프 홍보 담당자

가라몬드의 기원을 발견한 후, "폴 보존"은 1927년에 모노타이프 리코더 편집자의 시간제 자리를 제안했고, 워드는 한 남자를 기다리고 있던 런던의 랜스턴 모노타이프 회사 간부들의 놀라움에 받아들였다.그녀는 약 1929년에 홍보부장으로 승진했는데, 1960년 그녀의 60번째 생일에 은퇴할 때까지 유지했던 직책이다.그녀는 자신이 남자의 세계에서 일하는 아웃사이더라고 생각했지만, 자신의 일과 개인적인 자질에 대한 존경을 얻었다.[citation needed]
그곳에서 지내는 동안, 그녀는 모노타이프의 새롭고 널리 호평을 받은 제품에 대한 광고와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는 일을 담당했다.워드는 모리슨과 함께 영국의 민족주의 정서를 기업의 시각적 정체성과 효율성에 대한 기능주의적 시각으로 연결시키는 자료와 강의를 제작했다.[15]이러한 종류의 홍보 활동은 얀 치콜드의 뉴(Modern Typeography) 또는 모던 타이포그래피(Modern Typeography)의 정치적, 공적 의도를 사업목표에 일치시켰다.[15]
좋은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가독성의 이점이 되는 가운데, 워드는 에릭 길과 협력하여 길 산스를 출시하고 홍보했다.[15][16]워드는 자신의 유명한 측면인 "여기는 인쇄소다"를 펜으로 펜으로 써서 페르구아 활자체를 과시했다.그 후 수많은 인쇄소 벽에서 발견되어 청동으로 주조되어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정부출판소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패러디 되었다.
타이포그래피 공예와 비즈니스에 대한 우려를 연결시키는 워드의 접근이 모노타이프 안에서도 항상 환영받는 것은 아니었다.그녀는 에릭 길과 그의 디자인을 팔기 위해 홍보물을 사용하는 것을 폄하하는 등 이 관계의 본질에 대해 많은 열띤 편지를 주고 받았다.[15][c]워드는 한 역사학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예술가들이 사회적 책임을 받아들이게 되면 대중문화는 상승하고 공익은 달성될 것이며, 광고의 힘을 모든 것의 패배가 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옹호했다.[15]
디자인커뮤니케이터
워드는 "새로운 전통주의자" 활판 운동과 미학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좋은 경영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위해"를 표방함으로써 상업 출판의 수준을 높이려는 더 큰 캠페인의 한 부분을 만들었다.[15]그녀는 이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영국과 해외의 인쇄 학교, 대학, 공장을 자주 방문했다.호주에서 연설 초대를 받는 동안, 그녀는 인쇄업계가 최선을 다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인쇄에 민감한 대중"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워드에게 이것은 좋은 글씨를 가르치고 아이들을 위한 매력적인 교과서를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했다.이 모든 것은 "대중에게 일반적이고, 높고, 비판적인 기준"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었다.[5]
앨런 허트가 1969년에 썼듯이:
- 그녀는 제1급의 오리지널 인쇄학자('폴 보존' 가라몬드와 플뢰런과 모노타이프 리코더'의 다른 연구), 확실한 취미의 실천적인 타이포그래퍼였고 우아함의 서예가였다; 30년 이상 그녀는 헌신적인 봉사의 일환으로 리코더와 모노타이프 뉴스레터의 뛰어난 편집자였다.모노타이프 주식회사의 홍보책임자로서, 그녀는 스탠리 모리슨의 영국 활자 르네상스 시대의 위대한 업적에서 뗄 수 없는, 비길 데 없는 중역이었다. 그녀는 공개 엑스포자로서, 그리고 훌륭한 활자 인쇄술에 대해 선전할 수 없었다.[17]
작동하다
크리스탈 고블렛
"크리스탈 고블렛"은 베아트리체 워드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에세이 입니다.이 에세이는 1930년 10월 7일 런던의 성 브라이드 연구소에서 영국 타이프라이터 길드에 주어진 "인쇄는 보이지 않아야 한다"라는 연설로 처음 전달되었다.[18][19]워드의 다른 많은 글들과 마찬가지로, 이 에세이는 큰 소리로 읽으면서 목소리와 존재감, 개인적 인맥의 발현을 신중하게 고려했기 때문에 인쇄되기 전에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쓰여졌다.[19]
이 에세이는 역사적으로 인쇄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 명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로서 주목할 만하다.그것은 이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 연구에서의 일반적인 읽을거리로서 중요하다.[d]에세이는 여러 차례 재인쇄되었으며, '명확한' 타이포그래피 개념과 내용의 직설적인 제시를 위한 시금석이다.
그녀의 1930년 연설이 있은 지 며칠 후, 이 강의는 영국 & 콜로니얼 프린터 & 스테이션러라는 뉴스레터에 실렸다.1932년과 1937년에 팸플릿으로 다시 인쇄되었다.그리고 나서, 그것은 "The Crystal Goblet" 또는 "The Crystal Goblet, 또는 인쇄는 보이지 않아야 한다"로 나타났다.1955년에 그것은 다시 출판되었고 지금까지도 크리스탈 고블렛: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16편의 에세이라는 책에서 가장 넓은 청중에게 도달했다.
전형적으로 디자인 역사가들은 스탠리 모리슨을 '신 전통주의자' 사상의 근원으로, '크레디 베아트리체 워드'를 그의 영향력 확산에 연관시킨다.[20]"크리스탈 고블렛"은 은유가 풍부하다.제목 자체는 와인을 들고 있는 맑은 그릇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 그릇, 인쇄된 단어는 그 내용인 본문의 제시를 방해하지 않는다.와드는 와인잔 중 하나를 선택했다: "가장 정교한 패턴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금"과 "크리스탈 클리어 글라스".
이제 자신의 포도주를 담기 위해 흙이나 금속 대신 유리를 처음 택한 사람은 내가 그 용어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모더니스트'였다.즉, 그가 이 특정한 대상에 대해 처음 물어본 것은 "어떻게 보여야 하는가?"가 아니라 "그것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것이었고, 그 정도로 좋은 타이포그래피는 모두 현대주의자라는 것이다.
이 에세이를 통해 워드는 조용히 정해진 "투명한" 책 페이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규율과 겸손함을 주장한다.
기타 작품
- Beaujon, Paul (1926). "The Garamond Typ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Sources Considered". The Fleuron (5).
- Warde, Beatrice (September 1, 1935). "Type faces, old and new". The Library. s4-XVI (2): 121–143. doi:10.1093/library/s4-xvi.2.121. ISSN 0024-2160.
- 영국의 한 미국인 (Pen name of Warde), 즐거운 영국: LNER에 의해 1931년에 출판된 마법에 걸린 섬에 관한 책
- Ibbett, William J. (1931). "Preface". One Hundred Facets of Winter and Spring. Paul, Beaujon. Shaftesbury at the High House Press.
- Beaujon, Paul (1938). Peace under the Earth: dialogues from the year 1946 recorded by Paul Beaujon. London: Megaw.
- 세계 2차 대전 동안 그녀는 또한 미국 전초기지 뉴스레터에 기고했고, 그녀의 어머니는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에 런던에 관한 그녀의 편지를 실었다.
- 자유의 징표 편집자 c 1940, (2차 세계대전 중 북아메리카로 대피한 모든 어린이들에게 주어지는 만화)
- Warde, Beatrice (October 1943). "Books as Ammunition". Wilson Library Bulletin.
- Warde, Beatrice (Summer 1945). "Whither British Typography?". Printing Review.
- Warde, Beatrice (1970). The Monotype Recorder:" I Am a Communicator", a Selection of Writings and Talks by Beatrice Warde. Monotype Corporation.
- H., Steinberg, S. (2017). "Foreword". Five Hundred Years of Printing. Warde, Beatrice. Mineola: Dover Publications. pp. 7–10. ISBN 9780486814452. OCLC 987642726.
레거시
디자인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워드의 성공은 그래픽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 역사의 캐논 안에 크리스탈 고블렛과 같은 그녀의 작품의 많은 부분을 배치했다.한 역사학자가 지적했듯이, 그녀는 인쇄 교육과 인쇄 무역을 연결시킨 "대중적인 터치"를 가지고 있었다.[21]예를 들어 1990년대 "가독성 전쟁"이나 전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관한 토론에서 그녀의 작업은 그래픽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논의 내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왔다.[22]
2010년 버밍엄 대학의 캐드베리 연구 도서관에 그녀의 삶과 일과 관련된 기록 보관소가 설립되었다.
TDC 베아트리스 워드 장학금
타이프 디렉터스 클럽과 모노타이프는 타이포그래피 사용에서 뛰어난 재능과 세련됨, 그리고 기술을 발휘하는 젊은 여성들을 위해 그녀의 이름으로 장학금을 제공한다.베아트리체 워드 장학금은 그녀가 디자인에서 기술의 최선의 사용을 장려했던 것처럼 기술과 타이포그래피의 결합을 강조한다.[23]
사생활
1922년, 베아트리체는 프린스턴 대학교의 인쇄공이자 타이포그래픽 디자이너인 프레데릭 워드와 결혼했다.1925년 유럽으로 이주한 뒤 1926년 11월 두 사람의 결혼은 별거로 끝났고, 이후 1938년 이혼이 이어졌다.[24]비록 매력적인 워드가 에릭 길에게 포즈를 취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녀와 오랫동안 친밀한 관계를 맺었던 사람은 스탠리 모리슨이었다.모리슨은 아내를 위해 이혼했고, 베아트리체는 남편을 버리고 그를 위해 떠났다.비록 가톨릭 신자인 모리슨은 워드와 실제로 결혼할 수 없다고 결정했지만, 그가 1967년에 사망했을 때 그와 함께 있었다.[25]
참조
![]() |
- 온라인.
- '비트리스 워드'의 셸리 그뤼엔들러.20세기 그래픽 커뮤니케이션:기술, 사회, 문화 (2002년 9월 24일과 25일 성 브라이드의 첫 번째 연례 친구 회의)[26]
- 크리스탈 고블렛: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16편의 에세이, 1955년
- 인쇄됨
- 사이먼 록슬리편지의 비밀 역사.I.B.Tauris & Co. Ltd. 2004.ISBN 1850433976/ISBN 978-1850433972.
- 아논, 1964년 2월 10일자 타임즈지의 '남자의 세계 속의 개척자'; 페이지 13; 이슈 55931; 콜 A.그녀의 삶과 작품에 대한 짧은 특집 기사.
- 아논, 부고, 베아트리체 워드 부인1969년 9월 16일자 The Times에 실린 타이포그래피 영부인 페이지 12호 57666, col, E.
- 1969년 9월 25일자 The Times에서 아서 뉴웰 교수, 부고, 베아트리체 워드 부인; 호 57674; 콜 G.
- 니콜라스 바커, 스탠리 모리슨 1972 ISBN 0-674-83425-9
- 제임스 모란, 스탠리 모리슨 그의 타이포그래픽 업적 1971 ISBN 0-85331-300-8
- 메모들
- ^ Jones, Sandy (February 23, 2017). "Finding Beatrice Warde". De La Warr Pavilion. Retrieved August 10, 2017.
- ^ "Beatrice Warde (1900–1969)". University of Brighton. Retrieved August 10, 2017.
- ^ Badaracco, Claire (1991). "Innovative Industrial Design and Modern Public Culture: The Monotype Corporation, 1922–1932" (PDF). Business & Economic History. 20 (second series): 226–233. Retrieved December 19, 2015.
- ^ Barnum, George (March 28, 2016). "Beatrice Warde at the GPO". American Printing History Association. Retrieved August 10, 2017.
- ^ a b c d e f g h i De Bondt, Sara (2012), Beatrice Warde: Manners and type, Eye Magazine, retrieved March 24, 2018
- ^ Warde, Beatrice (1932). "Plumed Hats and Modern Typography". Commercial Art. Retrieved August 10, 2017.
- ^ Warde, Beatrice (1935). "Type Faces, Old and New". The Library. s4-XVI (2): 121–143. doi:10.1093/library/s4-XVI.2.121.
- ^ Warde, Beatrice (1932). "Twenty Years of Advertising Typography, or, Up from the Gutter". Advertiser's Weekly: 130. Retrieved August 10, 2017.
- ^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British Academy., Oxford University Press. (Online ed.). Oxford. ISBN 9780198614128. OCLC 56568095.
{{cite book}}
: CS1 maint : 기타(링크) - ^ Haley, Allan (1992). Typographic milestones ([Nachdr.].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pp. 125–127. ISBN 978-0-471-28894-7.
- ^ Mosley, James (2006). "Garamond, Griffo and Others: The Price of Celebrity". Bibliologia. 1 (1): 17–41. doi:10.1400/53248. Retrieved December 3, 2015.
- ^ Warde, Beatrice (1926). "The 'Garamond' Types". The Fleuron: 131–179.
- ^ "Jannon". French Ministry of Culture.
- ^ Simon Loxley (June 12, 2006). Type: The Secret History of Letters. I.B.Tauris. pp. 41–4, 124–9. ISBN 978-1-84511-028-4.
- ^ a b c d e f g Badaracco, Claire (Spring 1996). "Rational Language and Print Design in Communication Management". Design Issues. 12, 1 (1): 26–37. doi:10.2307/1511743. JSTOR 1511743.
- ^ Warde, Beatrice (1934). "Standardisation of Type by the LNER". Commercial Art. Retrieved August 10, 2017.
- ^ Hutt, Allen (1969). "Beatrice Warde, a personal tribute". Monotype Newsletter, December (86): 18.
- ^ Jacob, H. Ed, Beatrice Warde, The Crystal Goblet: 인쇄술에 관한 16편의 에세이, Sylvan Press, 1955년 런던.
- ^ a b 맥바리쉬, 에밀리 '크리스털 고블렛':서적협약의 기초"디자인과 문화, 2:3, 285-307
- ^ 맥바리쉬, 페이지 285
- ^ Kinross, Robin (2004). Modern typography : an essay in critical history. London: Hyphen Press. p. 80. ISBN 978-0907259183.
- ^ 맥바리쉬, 에밀리, 페이지 299, 페이지 301
- ^ "Awards: Beatrice Warde – The Type Directors Club". The Type Directors Club. Retrieved March 11, 2017.
- ^ Glaser, Jessica (January 7, 2010). "Warde (née Becker), Beatrice Lamberton Becker".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33924.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 ^ 맥클린, R(2000) 유형 델라웨어 참:Oak Knoll Press ISBN 0907961118 페이지 63.
- ^ STbrid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