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들링턴 테리어
Bedlington Terrier베들링턴 테리어 | |||||||||||||||||||||||||||||||
---|---|---|---|---|---|---|---|---|---|---|---|---|---|---|---|---|---|---|---|---|---|---|---|---|---|---|---|---|---|---|---|
기타 이름 | 로스베리 테리어 로드베리 테리어 로스베리의 양고기 | ||||||||||||||||||||||||||||||
기원 | 잉글랜드 | ||||||||||||||||||||||||||||||
| |||||||||||||||||||||||||||||||
| |||||||||||||||||||||||||||||||
개(국내견) |
베들링턴 테리어(Bedlington Terrier)는 영국 북동부 노섬벌랜드 베들링턴의 광산촌 이름을 딴 작은 개의 품종이다.원래 사냥을 위해 길러진 베들링턴 테리어는 그 이후 개 경주, 수많은 개 스포츠, 순응 쇼와 반려견으로 이용되었다.댄디 딘몬트 테리어, 휘펫, 오터하운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것은 매우 다재다능하지만 모순되는 개로 묘사된다.이들은 뉴펀들랜드 등 물개들에 버금가는 강력한 수영 실력을 갖추고 있으며, 매우 빠르고 지구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그들은 눈을 좋아하며, 강력한 코를 쟁기로 사용하여 얼음이나 깊은 가루에서 허스키와 같은 속도의 회전을 이룰 수 있다.베들링턴은 양과 외모가 유사하기로 유명하다.이 개들은 파란색, 간 또는 모래색이며, 세 마리 모두 그을린 점이 있을 수 있다.그들의 털은 개의 머리에 독특한 톱 매듭을 이루고 있다.그것은 털이 없고 최소한의 냄새만 나지만 죽은 머리카락을 제거하기 위해 매주 손질해야 한다.[2][3]
원래 로스베리 또는 로드베리 테리어로 알려져 있던 베들링턴 테리어라는 이름은 1825년까지 이 품종에 적용되지 않았지만, 어떤 개들은 1782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혈통을 가지고 있다.베들링턴 테리어스의 수업이 있는 첫 번째 개 쇼는 1870년 베들링턴에서 열렸다.초기 쇼에서 보여지는 베들링턴 테리어들은 털 모양을 개선하기 위해 자주 염색되었다.1948년, 록 리지 나이트 로켓으로 알려진 베들링턴 테리어(Bedlington Terrier)가 웨스트민스터 케넬 클럽 도그 쇼에서 쇼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이 품종은 구리 독성 발생률이 높지만 눈병을 제외하면 대부분 건강에 대한 불만이 없다.
설명
외관
베들링턴 테리어(Bedlington Terrier)는 어린 양을 닮은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4][5]그것은 또한 스코틀랜드 디어하운드 축소판과 비교되었다.[6]조지 쉴즈는 매우 잘 길들여진 개들이 철저한 경주마의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6]
이 개들은 파란색, 간 또는 모래색이며, 세 마리 모두 그을린 점이 있을 수 있다.Bedlington은 G locus에 전해지는 지배적인 특성인 Greening 유전자로 알려진 것을 가지고 있다.[7]이 유전자는 검정색이나 짙은 갈색 털을 가지고 태어난 강아지들이 나이가 들면서 회색이나 간으로 가벼워지게 한다.[7]베들링턴의 털은 상투로 알려진 개의 머리 꼭대기에 모양을 만든다.비록 대부분의 현대적인 품종 표준이 개의 상투를 몸보다 더 가벼워지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상투를 더 가벼워서는 안 된다고 믿었던 적어도 한 명의 저명한 사육자 피켓이 있었다.[6]
이 개의 코트는 털이 많고 딱딱하며 스타일이[8] 투박하며 질감이 보송보송한 것으로도 묘사되어 품종에게 '보송보송한 머리 테리어'라는 별명을 부여하고 있다.[9]그것의 외투는 단단한 털과 부드러운 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1]심지어 전문가들에게도 "쇼 클립"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몸치장도 꽤 비쌀 수 있다.[1][5]쇼 클립이라고 불리는 곳에 있는 개들, 혹은 쇼 링을 위해 손질된 개들은 그들의 몸에서 1인치(2.5 센티미터) 이상 눈에 띄는 털을 가질 수 없으며, 코트는 "크리스프" 질감을 가져야 한다.[4][10]정기적으로 몸치장을 하지 않으면 코트 상태가 급격히 악화된다.[10]그 때문에 애완용으로 엄격하게 사육되는 베들링턴은 대부분 정비 '펫 신랑' 스타일을 더 낮게 유지한다.Bedlington Terriers (푸들)은 푸들(Poodles)과 마찬가지로, 비-heedding, 저자극성 품종으로 언급되어 왔다.[2][3]그들은 코트와 귀가 건강하고 코트가 죽은 털을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손질되는 한 최소한의 개 냄새를 가지고 있다.베들링턴은 손질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클립 아래에서는 협동적이다.[2]
개의 머리는 멈추지 않고 둥글게 둥글게 만들어야 한다.[4]눈은 아몬드 모양으로 작고, 입술은 밀착되어 날개가 부족하다.[4]등은 아치형으로 하고, 몸은 키보다 약간 길어야 한다.[4]수컷은 16.5인치(42cm)가 선호되지만, 수컷은 16~17.5인치(41~44cm)가 허용되며, 암컷은 15.5인치(39cm)가 선호되고 허용 범위는 15~16.5인치(38~42cm)가 허용된다.[4]두 성별의 무게는 모두 17에서 23파운드(7.7에서 10.4 kg) 사이여야 한다.[4]그들은 경쾌하고 경쾌한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다.[1]
기질

베들링턴은 날카롭고 용감하다.그들의 껍질은 사냥개처럼[9] 불리며 기관총의 발포에 비유되어 왔다.[5]높은 지구력을 가진 빠른 [1]개 베들링턴 테리어호는 육지에서처럼 물속도 빠르고, 수영 속도도 뉴펀들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9]베들링턴 테리어스는 "말의 보통 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 만큼 페이스가 좋다"[6]고 말했다.그들의 혈통에 있는 휘펫 때문에 그들은 도망치는 경향이 있다.[1]그들의 다재다능함은 칭찬받았는데, 일부 개들은 기꺼이 "집안개, 총개, 쥐개, 오소리개, 또는 필요하다면 여우에게 빗장을 주려 한다"고 한다.."[11]
그들은 또한 해충을 잡을 때 지능과 끈기로도 알려져 있다.[9]베들링턴은 싸움을 꽤 좋아하며, 다른 개들과 함께 있으면 질투하기 쉽다.[9]한 남성은 "이 개는 자신의 몸무게를 가진 다른 개를 죽이기에 적합했다"[9]고 진술하고 그를 개 싸움에 사용되는 싸움개들과 비교했다.[9]그들은 개 싸움에도 이용되어 왔다.[5]
그러나 AKC와 ASPCA 모두 이 품종을 '마일드'와 '젠틀'이라고 부르며 아이들과 잘 지내는 것으로 추천하고 있다.[4][12]PetFinder는 이 품종이 기질이 부드럽고, 동반할 수 있으며, 과시적이고, 충성스럽고, 조용한 애완견이라고 말한다.[13]비록 이 품종이 밖에서 작은 동물들을 쫓아다닐지라도, 그것은 안에서 그들을 받아들이고 있다.[13]장난기 많고 명랑한 이 품종은 끈적끈적하고 흥분하기 쉬우며, 고집불통인 경향이 있다.[14]뉴질랜드 케넬클럽은 "한 번 도전한 것처럼 온화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무서운 투사"[14]라고 우세한 개와 함께 있어선 안 된다고 경고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다른 개와 잘 어울린다.[14]
일부 사육자들, 특히 조지 뉴컴베는 베들링턴 테리어가 보여주기 위해 사육되기 시작한 이후로 베들링턴 테리어의 작업 능력과 용기는 감소했다고 주장해왔다.[15]푸들은 코트를 손질하고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품종에 도입되었을지도 모른다.[15]워킹 베들링턴 테리어 클럽의 조지 뉴콤비는 "더 이상 순수 [베들링턴 테리어]는 심각한 작업 품종으로 여겨질 수 없다"고 말했고, 베들링턴의 작업 자질을 되살리기 위해 라클랜드 테리어와 함께 그의 개들을 건너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레이크베드와 베들랜드라는 이름이 십자가에 제안되었다.[15]
역사
Northumberland의 Bedlington 마을에서 사육된 Bedlington Terrier는 "북부의 광부들이 가장 좋아하는 동반자"[9][8]로 묘사되어 왔다.그들은 원래 로드베리 테리어스,[1] 로스베리 테리어스 [1][4]또는 "로스베리 램스"[4]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로스베리 영주가 개들을 특별히 좋아했기 때문이다.[4]이 이전에는, 그들은 "집시 개"로 알려져 있었는데, 당시 로마니족인 '집시'들이 밀렵꾼들을 사냥하기 위해 그들을 이용했기 때문이다.[4]베들링턴 테리어에 대한 첫 언급은, 아니 당시 알려진 대로, 로스베리 또는 로드베리 테리어에 대한 언급은,[8] 1825년에 있었는데,[9] 아마도 제임스 앨런의 삶에서 그랬을 것이다,[8] 하지만, 일부 개의 혈통은 1782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9]제임스의 아버지 윌리엄은 수달 사냥꾼으로서 수요가 많았으며, 사냥을 돕기 위해 베들링턴 테리어스를 데리고 있었다.[8]그들은 또한 주인들에 의해 토끼가 개와 경주용 개에게 구애하는 것으로서,[9] 휘펫이 경주용 개와 코서로 더 인기를 끌 때까지 가치 있게 여겨졌다.[11]
베들링턴 테리어 이름은 처음에 영 파이퍼라는 이름의 개에게 붙여졌는데, 이 개는 조셉 아인슬리라는 사람이 소유하고 있었다.[9][8]아인슬리의 파이퍼는 "인종 최고의 선수"[9]라고 불리며 "큰 용기와 용기로 명성을 얻었다"[9]고 말했다.Piper는 8개월 때부터 오소리들과 함께 일하기 시작했고, 그가 눈이 멀 때까지 일반적으로 해충으로 여겨지는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다.[9]Piper는 또한 도움이 도착할 때까지 그 동물을 가까이 두지 않고 돼지로부터 아이를 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9]Piper는 15살에 죽었다.[9]
베들링턴스 용맹한 자연도 종종 그것의 몰락이었다.많은 개들이 오소리 사냥 후에 죽거나 파괴되어야 했다.좋은 사냥개는 사냥꾼들이 도착할 때까지 오소리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을 알고 있었다.젊거나 경험이 없는 테리어들은 보통 끔찍한 결과로 오소리를 공격한다.사지를 절단하거나 더 강력한 오소리에 의해 턱이 찢어지는 경우가 흔했다.[16]
베들링턴 테리어 수업은 1870년에 베들링턴에서 열렸다.[9]이듬해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열린 쇼에서 베들링턴 테리어 클래스가 있었는데, 그곳에서 마이너라는 이름의 붉은 개가 1등을 했다.[9]마이너는 버밍엄에서 열린 쇼에서도 우승했다.[9]베들링턴 테리어 클럽은 1875년에 설립되었다.[9][11]초기 쇼의 많은 개들은 품종 기준에 더 가까워지고 우승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잘리고 염색되었다.[9]
당시의 판사들이 이런 관행을 알고 있었는지, 아니면 신경을 썼는지는 알 수 없다.[9]다듬는 관행은 결국 케넬 클럽에 의해 받아들여졌는데, '개에게 자신의 모양과 전체적인 윤곽을 보여주기 위해 다듬기를 한다'[17]는 핑계로 다듬었다.
베들링턴 테리어스는 댄디 딘몬트 테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9][8]실제로 앤트림 백작은 같은 쓰레기에서 나온 테리어 2개를 전시한 적이 있는데, 1원은 댄디 딘몬트로, 나머지 1원은 베들링턴으로 전시된다.[9]베들링턴 테리어스는 케리 블루 테리어와 소프트 코팅 위튼 테리어와도 관련이 있다.[4]등의 모양은 위펫과[4] 관련이 있을 수 있고 수달하운드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3]베들링턴 테리어스는 휘펫과 교차하여 "외부의 배짱, 활력, 그리고 불"[15]로 루쳐를 제작했다.
1948년, Ch. Rock Ridge Night Rocket은 Westminster Kennel Club Dog Show에서 가장 잘 선보였고, 그 후 LIFE 잡지에 실렸다.[3]그의 후손 중 한 명인 Ch.1960년 2월 8일자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표지에는 페마르의 케이블카가 실렸다.[18]
건강
장수
최근 두 번의 영국 조사에 따르면 베들링턴 테리어스의 평균 수명은 약 13.5년으로,[19] 일반적으로 순종 개보다 길고 크기가 비슷한 대부분의 품종보다 길다.[20]2004년 영국 케넬클럽 조사에서 죽은 개 48마리 중 가장 오래 산 개는 18.4년이었다.[21]영국 베들링턴 테리어스의 사망 원인으로는 노령(23%), 비뇨기과(15%), 간경(12.5%) 등이 가장 많았다.[21]가장 대표적인 "hepatic" 사인은 구리 독성증이었다.[21]간질환으로 죽은 개들은 대개 다른 원인들로 죽는 개들보다 더 어린 나이에 죽었다.[21]
영국의 베들링턴 테리어 주인들은 살아있는 개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건강 문제는 생식, 심장 잡음, 그리고 에피포라, 망막 이형성증, 백내장 같은 눈 문제라고 보고했다.[12][21]베들링턴은 다른 종들보다 이러한 눈병에 더 잘 걸리는 것 같다.[1]그들은 또한 신장 질환의 발생률이 높다.[12]구리 독성은 살아있는 개들의 약 5%에서 발생했다.일부 개들이 "손상할 정도로 번식했다"[9][11]는 점에서 교배가 우려된다.평판이 좋은 사육사들은 모든 리터들에 대한 DNA 검사를 실시할 것이며, 구리 독성 유전자를 가진 새끼들을 사육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동독성 유전자의 발생률을 현저히 낮춘 관행이다.이러한 문제를 제외하면 베들링턴은 일반적으로 매우 건강한 품종이다.[6]
구리 독성증
구리 독성증후군은 구리 저장병, 구리 과부하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데 간에 구리가 축적되는 것이 특징인 자가 열성 질환이다.[22]윌슨의 인간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2]베들링턴 테리어스는 대부분의 다른 개 품종보다 구리 독성에 더 잘 걸린다.[22]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스카이 테리어, 도베르만 핀처스 등도 구리 저장병에 걸리기 쉽다.[22]베들링턴 테리어스는 용혈이 보고된 유일한 개 품종이지만, 어떤 개 품종에도 신경학적 관련이 있다는 보고는 없었다.[22]연구 결과 베들링턴스에서 이 질병은 세포 리소솜이 구리로 포화되도록 하는 결함 있는 야금성에[23]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2]이것은 세포가 구리를 핵에 저장하게 한다.[22]병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구리가 쌓였을 때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그 질환의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형태, 주로 어린 개에게서 볼 수 있는 충혈형, 2~3일 후에 죽음을 일으키고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형태, 그리고 그 기간이 길어진 것이 특징인 만성형이다.간질환이 개를 서서히 죽게 하는 것 같다.[22]베들링턴 역시 간에 철을 축적하는 경향이 있지만 구리를 축적하는 정도까지는 아니다.[23]
참조
- ^ a b c d e f g h i Kern, Kerry V.; Vriends, Matthew M. (1988). Descriptions of Terrier Breeds: Bedlington Terrier. The New Terrier Handbook: Everything about Purchase, Care, Nutrition, Breeding, Behavior, and Training. Barron's Educational Series. pp. 77–79. ISBN 9780812039511.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Lee, Muriel P. (2001). Bedlington terrier. Dorking: Interpet. pp. 26ff. ISBN 1-903098-85-8.
- ^ a b c d Best U.S. Dog: A blue-coated Bedlington terrier becomes king of canine bluebloods. LIFE. February 23, 1948. p. 107.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Bedlington Terrier". Meet The Breeds.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Stall, Sam (Apr 28, 2005). Bedlington Terrier. The Good Bad, and the Furry: Choosing the Dog That's Right for You. Quirk Books. p. 53. ISBN 9781594740213.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e Shields, George O. (1891). "The Bedlington Terrier". The American Book of the Dog: The Origin, Development, Special Characteristics, Utility, Breeding, Training, Points of Judging, Diseases, and Kennel Management of All Breeds of Dogs. Rand McNally. pp. 395–411. Retrieved January 29, 2013.
- ^ a b "The Greying Gene". Dog Coat Color Genetics. Retrieved January 30, 2013.
- ^ a b c d e f g "The Bedlington Terrier". The Cultivator & Country Gentleman. Luther Tucker & Son. 1889.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Lee, Rawdon Briggs (2005) [1894]. A History and Description of the Modern Dog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The Terriers). Elibron.com (Originally Horace Cox). pp. 173–194. ISBN 9781402176494.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Barton, Frank Townend (1908). Terriers, their points and management. M. Kennerley. pp. 115–118.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Compton, Herbert (1904). Bedlington Terrier. The Twentieth Century Dog. G. Richards. pp. 309–319. Retrieved January 28, 2013.
Bedlington Terrier.
- ^ a b c Gerstenfeld, Sheldon (September 1, 1999). Bedlington Terrier. ASPCA Complete Guide to Dogs. Chronicle Books. p. 274. ISBN 9780811819046. Retrieved January 29, 2013.
- ^ a b "Adopt a Bedlington Terrier". Petfinder. Retrieved February 27, 2013.
- ^ a b c "Bedlington Terrier". Breed Standards. New Zealand Kennel Club. Retrieved February 27, 2013.
- ^ a b c d Plummer, David Brian (Apr 1, 2001). In Pursuit of Coney. Coch Y Bonddu Books. pp. 92–93. ISBN 9780953364886. Retrieved January 28, 2013.
- ^ King, H. (2013). Working Terriers. Read Books Ltd. ISBN 1-4465-4502-4. OCLC 936198832.
- ^ Jaquet, Edward William (1905). The Kennel Club: A History and Record of Its Work. Kennel Gazette. p. 130. Retrieved January 29, 2013.
- ^ "The Westminster: Road To Ruin". Sports Illustrated. February 8, 1960.
- ^ Cassidy, Kelly M. (February 1, 2008). "Breed Longevity Data". Dog Longevity. Retrieved January 28, 2013.
- ^ Cassidy, Kelly M. (February 1, 2008). "Breed Weight and Lifespan". Dog Longevity.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e "Individual Breed Results for Purebred Dog Health Survey". The Kennel Club. August 18, 2006. Retrieved January 28, 2013.
- ^ a b c d e f g h Leone, Arturo; Mercer, Julian F. B. (1999). Copper Overload Syndrome (Wilson's Disease) in Other Animals. Copper Transport and Its Disorders: Molecular and Cellular Aspects. Springer. p. 141. ISBN 9780306460456. Retrieved January 29, 2013.
- ^ a b Ingram, Peter; Shelburne, John D.; Roggli, Victor L.; LeFurgey, Ann (October 29, 1999). Microprobe Analysis in Hepatic Metal Overload Disease States. Biomedical Applications of Microprobe Analysis. Academic Press. p. 357. ISBN 9780080524566. Retrieved January 29, 2013.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베들링턴 테리어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