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질라민

Benzylamine
벤질라민
Skeletal formula of benzylamine
Space-filling model of the benzylamine molecule
이름
선호 IUPAC 이름
페닐메타나민
기타 이름
α-아미노톨루엔
벤질 아민
페닐메틸아민
식별자
3D 모델(JSmol)
741984
체비
켐벨
켐스파이더
드러그뱅크
ECHA InfoCard 100.002.595 Edit this at Wikidata
EC 번호
  • 202-854-1
49783
케그
펍켐 CID
RTECS 번호
  • DP1488500
유니
UN 번호 2735
  • InChi=1S/C7H9N/c8-6-7-4-4-1-3-7/h1-5H, 6,8H2 checkY
    키: WGQKYBSKWIADBV-UHFFFAOYSA-N checkY
  • InChi=1/C7H9N/c8-6-7-4-2-1-3-7/h1-5H, 6,8H2
    키: WGQKYBSKWIADBV-UHFFFAOYAL
  • c1ccc(cc1)씨엔
특성.
C7H9N
어금질량 107.107 g·197−1
외관 무색액
냄새 약하고 암모니아 같은
밀도 0.981 g/mL[1]
녹는점 10°C(50°F, 283K)[2]
비등점 185°C(365°F, 458K)[2]
불능[2]
용해성 에탄올, 디에틸에테르를 잘못 함유한
아세톤에 매우 녹는
벤젠, 클로로포름에 녹는
도(pKa) 9.34[3]
기본성(pKb) 4.66
자기 감수성(magnetic susibility)
-75.26·10cm−63/192
1.543
구조
1.38 D
위험
산업안전보건(OHS/OSH):
주요 위험
인화성 및 부식성
GHS 라벨 표시:
GHS05: CorrosiveGHS07: Exclamation mark
위험
H302, H312, H314
P260, P264, P270, P280, P301+P312, P301+P330+P331, P302+P352, P303+P361+P353, P304+P340, P305+P351+P338, P310, P312, P321, P322, P330, P363, P405, P501
NFPA 704(화재 다이아몬드)
3
2
0
플래시 포인트 65°C(149°F, 338K)[2][1]
안전 데이터 시트(SDS) 피셔 사이언티픽
관련 화합물
아닐린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NVERIFI (?란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Benzylamine응축된 구조 공식 CHCHNH6522(때로는 PhCHNH22 또는 BnNH2 약칭)를 가진 유기 화학 화합물이다.벤질 그룹, 아민 기능 그룹, NH에2 부속된 CHCH로652, 구성되어 있다. 이 무색의 수용성 액체는 유기 화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구체로서 많은 의약품의 산업 생산에 사용된다.염산염 소금은 NASA 우주비행사글렌이 지구 궤도를 도는 첫 번째 미국인이 된 수성-아틀라스 6호 임무에서 멀미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제조업

벤질라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데, 주요 산업 루트는 벤질 염화물암모니아 반응이다.또한 래니 니켈을 통해 벤조니트릴 감소와 벤조알데히드환원 아미네이션을 통해 생산된다.[4]

Benzonitrile hydrogenation.svg

루돌프 르카르트가 현재 리우카르트 반응으로 알려진 과정에서 포말아미드와 함께 벤잘알데히드의 반응으로 우연히 생산한 것으로,[5] 알데하이드케톤이 해당 아민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과정이다.[6][7]

생화학

벤질라민은 아르스테로박터파스켄스균에 의해 생성되는 N-대체 포마미드 변형효소 효소의 작용으로 생물학적으로 발생한다.[8]하이드롤라제N-벤질포름아미드부산물로 벤질라민으로의 변환을 촉진한다.[9]벤질라민은 모노아민 산화효소 B 효소의 작용으로 생물학적으로 분해되어 [10]벤츠알데히드가 발생한다.[11]

사용하다

벤질라민은 가면을 쓴 암모니아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N-alkylation 후에 벤질 그룹은 수소 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12]

CHCNH6522 + 2 RBr → CHCNR6522 + 2 HBr
CHCNR65222 + H → CHH653 + RNH2

일반적으로 기지는 HBr(또는 다른 종류의 알킬링제용 관련 산)을 흡수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 사용된다.

벤질라민은 아세틸 염화물과 반응하여 1880년대에 처음 설명한 쇼텐-바우만 반응[13] 예인 N-벤질라세타미드를 형성한다.[14][15]반응은 2상 용매계(여기 디에틸에테르)에서 일어나 염화수소 부산물이 수용상(그리고 때로는 용해된 기초로 중화)으로 격리되어 아민이 양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응의 진행을 방해한다.이러한 조건을 흔히 쇼텐-바우만 반응 조건이라고 하며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16]이 특별한 예는 염화 이산화지질을 가진 직경의 계면 중합 메커니즘에 대한 모델로서 유용하다.[17]

Schotten-Baumann.png

이소퀴놀린은 의학적인 맥락(마취제 디메티소퀸, 항고혈압 이물질화, 바소딜라이터 파파베린 등)과 다른 영역(소독제 N-로릴리소퀴놀리늄 브로마이드 등)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벤조피리딘)의 일종이다.이소퀴놀린 자체는 포메라난츠-프릿치 반응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준비되지만, 슐리틀러-뮐러 수정이라고 알려진 유사한 접근법에 의해 벤질라민과 글리옥살 아세트로부터 포메라난츠-프릿치 반응에 대비할 수도 있다.이 수정은 대체된 이소퀴놀린을 준비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18]

벤질라민에서 HNIW 합성

아자-다이얼-알데르 반응이미인디엔테트라히드롭디리딘으로 변환하며, 질소 원자는 디엔이디엔오필의 일부가 될 수 있다.[19]이미인은 종종 아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현장에서 생성된다.시클로펜타디엔과 벤지아민과의 반응으로 아자노르보른을 형성한 것이 그 예다.[20]

Aza-Diels-Alder phenylmethylamine.png

벤지아민(Benzylamine)은 알니디탄([21]alniditan),[22][23] 라코사미드(lacosamide), 뜸(moxiflluxacin),[24] 네비볼(nebivol) 등 수많은 의약품의 산업 제조회사에서 사용된다.[25]HMX, RDX 등 구형 니트로아민 고폭약보다 우수한 군용폭발물 헥사니트로헥사자오루츠타네(HNIW) 제조에도 쓰이지만 안정성은 떨어진다.미 해군은 HNIW가 눈에 덜 띄는 연기와 같은 관측가능성이 낮아 미사일 로켓 추진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시험하고 있다.[26]HNIW는 우선 산성 및 탈수 조건에서 아세토나이트릴에 있는 글리옥살로 벤질라민을 응축하여 제조한다.[27]벤질 그룹 중 4개는 탄소에 팔라듐에 의해 촉매된 수소 분해에 의해 헥사벤질헥사자아소우르츠타네에서 제거되고, 그 결과 2차 아민 그룹은 아세트산 무수화물에서 아세틸화된다.[27]그 결과 디벤질 대체 중량은 설폴레인에서 니트로늄 테트라플루오보토니트로소늄 테트라플루오보토와 반응하여 HNIW를 생산한다.[27]

소금

벤질라민, CHCHNHCl6523 또는 CHCHNH6522·HCl의 염산염[28]벤질라민에 염산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멀미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NASA우주비행사글렌수성-아틀라스 6호 임무를 위해 이 목적으로 벤질라민 염산염을 투여받았다.[29]이 소금의 양이온을 벤질람모늄이라고 하며, 아스카리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무염제인 베페늄 히드록시나프토이트와 같은 약품에서 발견되는 모이종이다.[30]

벤질라민 및 그 염류의 다른 파생상품은 N-(3,4,5-트리메트호섹시벤조일)벤질라민 모이를 포함한 항이산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1]시나리진, 메클리진 등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멀미제는 벤질라민의 파생상품이다.

기타벤질라민

1-페닐시아민(Phenylethylamine)은 치랄인 메틸화 벤지아민(benzylamine) 유도체로, 엔노푸레 형태는 경주동료들해결함으로써 얻어진다.그것의 인종적 형태는 때때로 (±)α-메틸벤질아민으로 알려져 있다.[32]벤질라민과 1페닐타일아민 모두 상대적으로 기본성이 높아 안정적인 암모늄염과 이미인을 형성한다.

안전 및 환경

벤질라민은 LD50 1130mg/kg인 쥐에서 경구 독성이 보통이다.그것은 쉽게 생분해된다.[4]

참조

  1. ^ a b "Benzylamine". Sigma-Aldrich. Retrieved 28 December 2015.
  2. ^ a b c d 산업안전보건연구소게스티스 물질 데이터베이스기록
  3. ^ Hall, H. K. (1957). "Correlation of the Base Strengths of Amines". J. Am. Chem. Soc. 79 (20): 5441–5444. doi:10.1021/ja01577a030.
  4. ^ a b Heuer, L. (2006). "Benzylamines".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doi:10.1002/14356007.a04_009.pub2. ISBN 3527306730.
  5. ^ Crossley, F. S.; Moore, M. L. (1944). "Studies on the Leuckart Reaction". J. Org. Chem. 9 (6): 529–536. doi:10.1021/jo01188a006.
  6. ^ Webers, V. J.; Bruce, W. F. (1948). "The Leuckart Reaction: A study of the Mechanism". J. Am. Chem. Soc. 70 (4): 1422–1424. doi:10.1021/ja01184a038. PMID 18915755.
  7. ^ Pollard, C. B.; Young, D. C. (1951). "The Mechanism of the Leuckart Reaction". J. Org. Chem. 16 (5): 661–672. doi:10.1021/jo01145a001.
  8. ^ Schomburg, D.; Schomburg, I.; Chang, A., eds. (2009). "3.5.1.91 N-substituted formamide deformylase". Class 3 Hydrolases: EC 3.4.22–3.13. Springer Handbook of Enzymes (2nd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76–378. ISBN 9783540857051.
  9. ^ Fukatsu, H.; Hashimoto, Y.; Goda, M.; Higashibata, H.; Kobayashi, M. (2004). "Amine-synthesizing enzyme N-substituted formamide deformylase: screening,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gene cloning". Proc. Natl. Acad. Sci. 101 (38): 13726–13731. Bibcode:2004PNAS..10113726F. doi:10.1073/pnas.0405082101. PMC 518824. PMID 15358859.
  10. ^ "MAOB: Monoamine oxidase B – Homo sapien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6 December 2015. Retrieved 29 December 2015.
  11. ^ Tipton, K. F.; Boyce, S.; O'Sullivan, J.; Davey, G. P.; Healy, J. (2004). "Monoamine oxidases: Certainties and uncertainties". Curr. Med. Chem. 11 (15): 1965–1982. doi:10.2174/0929867043364810. PMID 15279561.
  12. ^ Gatto, V. J.; Miller, S. R.; Gokel, G. W. (1993). "4,13-Diaza-18-Crown-6". Organic Syntheses.; (벤지아민 알칼리화 작용에 이어 수소폴리시스가 뒤따른다.
  13. ^ Li, J. J. (2014). "Schotten–Baumann reaction". Name Reactions: A Collection of Detailed Mechanisms and Synthetic Applications (5th ed.). Springer. p. 362. ISBN 9783319039794.
  14. ^ Schotten, C. (1884). "Ueber die Oxydation des Piperidins". Ber. Dtsch. Chem. Ges. (in German). 17 (2): 2544–2547. doi:10.1002/cber.188401702178.
  15. ^ Baumann, E. (1886). "Ueber eine einfache Methode der Darstellung von Benzoësäureäthern". Ber. Dtsch. Chem. Ges. 19 (2): 3218–3222. doi:10.1002/cber.188601902348.
  16. ^ Anderson, N. G. (2012). "5. Solvent Selection". Practical Pro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 A guide for Organic Chemists (2nd ed.). Academic Press. pp. 121–168. ISBN 9780123865380.
  17. ^ Odian, G. (2004). "2.8c – Interfacial Polymerization". Principles of Polymerization (4th ed.). John Wiley & Sons. pp. 90–92. ISBN 9780471274001.
  18. ^ Li, J. J. (2014). "Schlittler–Müller modification". Name Reactions: A Collection of Detailed Mechanisms and Synthetic Applications (5th ed.). Springer. p. 492. ISBN 9783319039794.
  19. ^ Kobayashi, S. (2002). "Catalytic Enantioselective Aza Diels-Alder Reactions". In Kobayashi, S.; Jørgensen, K. A. (eds.). Cycloaddition Reaction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pp. 187–210. ISBN 9783527301591.
  20. ^ Grieco, P. A.; Larsen, S. D. (1990). "N-benzyl-2-azanorbornene". Organic Syntheses. 68: 206. doi:10.15227/orgsyn.068.0206.
  21. ^ Lommen, G.; De Bruyn, M.; Schroven, M.; Verschueren, W.; Janssens, W.; Verrelst, J.; Leysen, J. (1995). "The discovery of a series of new non-indole 5HT1D agonists". Bioorg. Med. Chem. Lett. 5 (22): 2649–2654. doi:10.1016/0960-894X(95)00473-7.
  22. ^ Choi, D.; Stables, J. P.; Kohn, H. (1996). "Synthesis and anticonvulsant activities of N-Benzyl-2-acetamidopropionamide derivatives". J. Med. Chem. 39 (9): 1907–1916. doi:10.1021/jm9508705. PMID 8627614.
  23. ^ Morieux, P.; Stables, J. P.; Kohn, H. (2008). "Synthesis and anticonvulsant activities of N-benzyl-(2R)-2-acetamido-3-oxysubstituted propionamide derivatives". Bioorg. Med. Chem. 16 (19): 8968–8975. doi:10.1016/j.bmc.2008.08.055. PMC 2701728. PMID 18789868.
  24. ^ Peterson, U. (2006). "Quinolone Antibiotics: The Development of Moxifloxacin". In IUPAC; Fischer, J.; Ganellin, C. R. (eds.).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p. 338–342. ISBN 9783527607495.
  25. ^ US patent 4654362, Van Lommen, G. R. E.; De Bruyn, M. F. L. & Schroven, M. F. J., "Derivatives of 2,2'-iminobisethanol", published 1987-03-31, assigned to Janssen Pharmaceutica, N.V. . Full text
  26. ^ Yirka, B. (9 September 2011). "University chemists devise means to stabilize explosive CL-20". Phys.org. Retrieved 28 December 2015.
  27. ^ a b c Nair, U. R.; Sivabalan, R.; Gore, G. M.; Geetha, M.; Asthana, S. N.; Singh, H. (2005). "Hexanitrohexaazaisowurtzitane (CL-20) and CL-20-based formulations (review)". Combust. Explos. Shock Waves. 41 (2): 121–132. doi:10.1007/s10573-005-0014-2. S2CID 95545484.
  28. ^ "Benzylamine hydrochloride". Sigma-Aldrich. Retrieved 28 December 2015.
  29. ^ Swenson, L. S.; Grimwood, J. M.; Alexander, C. C. "13: Mercury Mission Accomplished (13.1 Preparing a Man to Orbit)". This New Ocean: A History of Project Mercury. nasa.gov. pp. 413–418.
  30. ^ Hellgren, U.; Ericsson, Ö.; Aden Abdi, Y.; Gustafsson, L. L. (2003). "Bephenium hydroxynaphthoate". Handbook of Drugs for Tropical Parasitic Infections (2nd ed.). CRC Press. pp. 33–35. ISBN 9780203211519.
  31. ^ 미국 특허 2879293, 시드니, T. & Goldberg, M. W. "벤지아민 파생상품" 1959-03-24, 발행 1959-03-24, 호프만 라로슈. 전문 전문
  32. ^ PubChem Public Chemical Database (26 December 2015). "1-Phenylethylamin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Retrieved 29 December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