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레자니

Berezhany
베레자니
Бережани
Panorama over the new town of Berezhany
베레자니 신도시의 파노라마
Flag of Berezhany
Coat of arms of Berezhany
Berezhany is located in Ternopil Oblast
Berezhany
베레자니
우크라이나가 없는 베레자니의 위치
좌표: 49°26′45″N 24°56′10″E / 49.44583°N 24.93611°E / 49.44583; 24.93611좌표: 49°26′45″N 24°56′10″E / 49.44583°N 24.93611°E / 49.44583; 24.93611
나라 우크라이나
테르노필 주
라이온테르노필 라이온
처음 언급된 것1375
정부
• 시장볼로디미르 무지치카
면적
• 합계12km2(5제곱 mi)
인구
(2021)
• 합계17,316
• 밀도1,400/km2(3,700/sq mi)
지역 번호+ 380-3548
웹사이트베레자니 시의회

Berezhany (Ukrainian: Бережани, Polish: Brzeżany, Yiddish: ברעזשאַן‎, romanized: Brezhan, Hebrew: בּז'יז'אני/בּז'ז'ניBzhezhani/Bzhizhani) is a city in Ternopil Raion, Ternopil Oblast (province) of western Ukraine. 그곳은 수도 테르노필에서 약 50km 떨어져 있다. 그 도시는 해발 약 400m이다. 베레자니의 연간 온도는 겨울의 경우 -35°C(-31°F)부터 여름에는 40°C(104°F)까지 다양하다. 베레자니는 우크라이나의 크로마다 중 하나인 베레자니 도시 크로마다의 행정부를 주관한다.[1] 인구: 17,316명(2021년 기준)[2]

역사

베레자니에 대한 첫 서면 언급은 1374년 갈리시아와 로도메리아 블라디슬라우스 2세 주지사가 이 마을을 루테니아 보야르 바스코 텝투호비치에게 허가한 때부터 시작된다. 그 직후인 14세기에 그것은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부차치 출신의 귀족 가문의 소유물이 되었다. 부차키 가문 출신 멤버들, 후에 시에니아와. 1530년 3월 19일 폴란드의 유명한 군 사령관이자 정치가인 미코와이 시에니아프스키가 그의 가족의 자리를 구상하자, 폴란드의 시기문트 1세는 마을에 마그데부르크 법을 본뜬 도시 헌장을 수여했다. 이 문서는 다른 특권 중에서도 1945년 이전에 부르던 브르제사니 신도시를 허가했는데, 이 두 시장은 매년 열리는 두 개의 시장, 하나는 주님의 등정일, 다른 하나는 사슬에 매여 있는 성 베드로의 날에 행해진다. 매주 열리는 박람회에 관해서는, 비록 인근 다른 마을의 권리에 관한 것이지만, 매주 금요일마다 개최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 마을은 국가, 성별, 신앙, 의례에 관계없이 모든 상인, 카트 운전사 또는 사업가가 브레제나니 마을에 무역을 위해 도착하도록 허용한다.

베레자니 요새의 재건.

LvivTerebovlya 사이의 노선에 있는 그 마을의 위치는 그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이로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 마을에 처음으로 정착한 사람들 중에는 시에니아프스키에 의해 타타르 포로로부터 해방된 루우프 출신 사람들이 있었다. 그것은 곧 유대인, 우크라이나인, 아르메니아인을 포함한 폴란드 전역에서 이주자들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1534년 미코와이 시에니아프스키도 즈워타 리파 강에 있는 작은 섬의 가파른 언덕에 큰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베레자니참조). 거성은 1554년에 완공되어 시에니아프스키 가문의 본거지이자 이 지역에서 가장 요새화된 곳 중 하나가 되었다. 동시에 인근 언덕에 거대한 요새화된 수녀원과 베르나르디네스의 교회가 건설되었다. 두 곳 모두 상인들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했고, 이는 무역과 상업에서 도시의 위상을 더했다. 17세기 초에는 미코와이 시에니아프스키의 손자들 중 한 명인 미코와이(Mikowaj)가 도시 자체를 요새화했다. 이 요새는 1648년 크멜니츠키 봉기가 코사크족에게 붙잡힐 때까지 타타르족코사크족의 모든 공격을 견뎌냈다. 1655년 《The Deluge》가 진행되는 동안 다시 스웨덴의 군대에 포로로 잡혔고, 도시는 다시 약탈당했다. 그러나 이후 재건되었고 1667년과 1672년에 더 많은 코삭의 공격을 견뎌냈다.

베레자니 시청
성당 피터와 폴

1675년에 그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군대에 의해 다시 약탈당하고 약탈당했다. 그러나 미코와이 히에로님 시에니아프스키가 마을 재건에 자금을 대주었다. 재건된 건물들 중에는 베르나르디네 교회와 폴스카 아다모우카 교외의 유니테 교회(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폴란드인이 아닌 우크라이나인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가 있었다. 그 마을은 비교적 안전했기 때문에 17세기 말까지 거의 8,000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 그의 마지막 혈족인 아담 미코와이 시에니아프스키가 죽은 후, 이 마을은 시에니아프스키의 딸 마리아 조피아를 통해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크자토리스키에 의해 계승되었다. 저명한 거물인 차르토리스키가 18세기 초 마을 근방에 커다란 인공 호수를 만들었다. 그 호수의 둑을 따라 시오우코와 카스텔루카 교외가 건설되었다. 1772년 폴란드 제1차 분할 이후 그 도시는 오스트리아에 의해 합병되었는데, 오스트리아에서는 그것을 갈리시아 지역에 첨부하였다. 1867년 이후, 이 마을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새로운 주택의 건설이 심각하게 제한되었던 요새 지역 바깥에 있었기 때문에 계속해서 번창했다. 문법학교는 1805년에 그곳에 설립되었고, 많은 주목할 만한 동문들이 있었다. 그 중에는 브와지미에르스 베드나르스키, 프란츠 코코프스키, 보흐단 레프키, 루돌프 모흐, 코르넬 우제스키, 루슬란 샤쉬케비치, 폴란드의 미래의 마샬 에드워드 리츠-미그와이 등이 있었다. 이 마을은 1894년 철도로 타르노폴(우크라이나 현대 테르노필)과 연결되었고, 1900년에는 인구가 10,610명이었다.

베레자니 시장 광장에 있는 트리니티 교회

비록 그 도시는 꽤 인구가 많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무역 중심지로서의 그것의 중요성을 많이 잃었고, 주로 전형적인 슈테틀로서 유대인에 의해 거주하게 되었다. 또한 시에니아프스키 가문의 후계자인 크자토리스키 가문이나 루보미르스키 가문도 더 많은 성의 소유주들이었고, 특히 이 성에는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성은 방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마을은 잠시 러시아에 의해 점령당했으나 곧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의해 탈환되었다. 이 성은 전쟁 중에 주둔하고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들이 부분적으로 약탈당했고, 예술 작품 중 일부는 푸와비, 우와베트, 윌라노프의 궁전에서 피난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이 마을은 단명된 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일부였지만, 1919년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국제연맹 대사회의로부터 부활한 폴란드에 수여되었다. 폴란드-볼셰비키 전쟁 때는 잠시 홍군이 점령했으나 바르샤바 전투 이후 폴란드군에 의해 곧 탈환되었다. 그러나 크라쿠프로 피난한 성곽과 지역 교회에서 가장 귀중한 조각품과 그림들 중 일부는 돌아오지 않았고 대신 오이코프 근처의 피스코와 스카와 성에서 전쟁에서 살아남았다.

1939년 폴란드 방어 전쟁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이 마을은 나치 독일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고, 그 후 소련으로 옮겨졌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많은 지역 주민들이 굴라크 수용소로 보내졌다. 또한 그 마을에는 주목할 만한 NKVD 감옥이 있었다. 1941년, 나치-소련 동맹의 종식과 러-독일 전쟁이 발발한 후, 이 마을은 다시 독일에 점령되어 총정부의 이른바 디스트리프트 갈리지엔에 부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 브레자니의 유대인 인구는 약 4,000명이었던 반면, 1939년 이후 이 인구는 8,000명이 추가로 독일 동부 점령지에서 피난한 유대인들로 3배가 되었다. 1942년 7월(우크라이나 민간인을 많이 살해한 후) 소련군이 떠난 후 우크라이나 인들은 포그롬을 일으켜 마을 유대인 수십 명을 살해하고 유태인을 약탈하고 부상을 입혔다.[3] 1941년 12월, 약 1,000명의 유대인들이 리타틴 숲에서 살해되었다.[4] 1943년 6월 12일 나치는 브레자니 빈민굴과 지역 공동묘지의 노동 캠프에서 거의 모든 유대인들을 살해했다. 단지 몇몇만이 탈출했다. 1942년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지역에서는 주로 아르미아 크라조와 지방 지부에 의해 당파적 활동이 활발했다.

1944년 이 마을은 반란을 일으킨 폴란드 내무군의 템페스트 작전 과정에서 점령되었으나, 이 마을이 홍군에 점령되면서 폴란드 민족주의자들은 곧 밀려났다. 1945년 소련에 합병되어 우크라이나 SSR에 부속되었다. 1991년부터 우크라이나의 일부였다.

2020년 7월 18일까지 베레자니는 말살적[5] 의미가 있는 도시로 지정되었고, 비록 라이온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베레자니 라이온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테르노필 주(州)의 습격 횟수를 3회로 줄인 우크라이나의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이 도시는 테르노필 라이온으로 통합되었다.[6][7]

기후

숨기다Berezhany에 대한 기후 데이터(1981–2010)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평균 높은 °C(°F) −0.1
(31.8)
1.4
(34.5)
6.2
(43.2)
13.8
(56.8)
19.8
(67.6)
22.3
(72.1)
24.3
(75.7)
23.9
(75.0)
18.7
(65.7)
13.1
(55.6)
5.9
(42.6)
0.8
(33.4)
12.5
(54.5)
일평균 °C(°F) −3.1
(26.4)
−2.1
(28.2)
2.0
(35.6)
8.5
(47.3)
14.0
(57.2)
16.8
(62.2)
18.7
(65.7)
17.9
(64.2)
13.3
(55.9)
8.2
(46.8)
2.6
(36.7)
−1.9
(28.6)
7.9
(46.2)
평균 낮은 °C(°F) −6.0
(21.2)
−5.2
(22.6)
−1.6
(29.1)
3.7
(38.7)
8.5
(47.3)
11.7
(53.1)
13.5
(56.3)
12.8
(55.0)
8.7
(47.7)
4.2
(39.6)
−0.3
(31.5)
−4.6
(23.7)
3.8
(38.8)
평균 강수량 mm(인치) 30.0
(1.18)
35.3
(1.39)
37.3
(1.47)
42.2
(1.66)
67.9
(2.67)
80.5
(3.17)
80.8
(3.18)
71.7
(2.82)
54.1
(2.13)
41.9
(1.65)
36.0
(1.42)
37.5
(1.48)
615.4
(24.23)
평균 강수일(평균 1.0mm) 8.9 8.8 8.2 7.7 10.1 10.7 9.9 9.1 8.4 7.1 8.7 9.5 107.1
평균 상대습도(%) 84.7 83.4 79.4 73.0 73.0 75.4 76.3 77.6 80.7 82.1 85.8 86.8 79.9
출처: 세계기상기구[8]

교육

이 도시에는 네 개의 중등학교와 한 개의 문법학교가 있다.

이코노미

벽돌 공장, 가구 공장, 유리 공장은 모두 베레자니에게 경제적 중요성이 있다.

랜드마크

건축적으로 중요한 것은 17세기에 원래 조성된 공원인 오각형 요새(1554년 완공)와 성 니콜라스의 목조 교회(1691년 완공)[9]의 유적이다.

인근 지역

사람

참조

  1. ^ "Бережан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in Russian).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Actual population of Ukraine)" (PDF) (in Ukrainian).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Retrieved 11 July 2021.
  3. ^ Megargee, Geoffrey (2012).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of Indiana Press. p. Volume II 759-761. ISBN 978-0-253-35599-7.
  4. ^ "Execution Sites of Jewish Victims Investigated by Yahad-In Unum". Yahad Map. Retrieved 18 December 2014.
  5. ^ Redactor (14 May 2015). Кременець став містом обласного значення [Kremenets has become a city of regional significance] (in Ukrainian). Radyvyliv.info. Retrieved 12 March 2017.
  6. ^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Голос України (in Ukrainian). 2020-07-18. Retrieved 2020-10-03.
  7. ^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in Ukrainian).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8.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21. Retrieved 17 July 2021.
  9. ^ портал в Мир путешествий и приключений - хватит сидеть на месте, открой для себя Землю! (러시아어)
  10. ^ 아르카디 주콥스키, 토마시브스키, 우크라이나 백과사전 스테판(1993)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