욘 야콥 베르셀리우스
Jöns Jacob Berzelius야콥 베르셀리우스 | |
---|---|
![]() | |
태어난 | 욘 야콥 베르셀리우스 1779년 8월 10일 |
죽은 | 1848년 8월 7일 | (68세)
국적. | 스웨덴의 |
모교 | 웁살라 대학교 |
유명한 | 원자량 화학적 표기법 촉매 작용 실리콘 셀레늄 토륨 세륨 |
상 | 코플리 메달 (1836) |
과학경력 | |
필드 | 화학 |
기관 | 카롤린스카 연구소 |
박사지도교수 | 요한 아프셀리우스 |
박사과정생 | 제임스 핀레이 위어 존스턴 하인리히 로즈 프리드리히 뵐러 |
스웨덴 한림원 회원 (5번 좌석) | |
재직중 1837년 12월 20일 ~ 1848년 8월 7일 | |
앞에 | 칼 폰 로젠슈타인 |
성공자 | 요한 에리크 뤼드크비스트 |
욘 야콥 베르셀리우스 남작 스웨덴어:[j œ인 ɑ̌ː ɔ크 æˈʂěː브 ɪɵ브 ˈ스; 동시대 사람들인 야콥 베르셀리우스(Jacob Berzelius, 1779년 8월 20일 ~ 1848년 8월 7일)는 스웨덴의 화학자입니다. 베르셀리우스는 로버트 보일, 존 돌턴,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함께 현대 화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3] 베르셀리우스는 1808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고 1818년부터 주요 기능직으로 근무했습니다. 그는 스웨덴에서 "스웨덴 화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베르셀리우스의 날은 그를 기리기 위해 8월 20일에 기념됩니다.[4][5]
베르셀리우스는 의사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지만, 그의 지속적인 공헌은 전기 화학, 화학 결합 및 화학량론 분야에 있었습니다. 특히, 그는 원자량의 결정과 화학양론의 원리를 보다 완벽하게 이해하게 된 실험으로 유명합니다. 화학적 화합물과 화학 반응에서 원소들 사이의 정량적 관계와 이들이 일정한 비율로 발생하는 화학의 한 분야입니다. 이러한 이해는 "상수 비율의 법칙"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6]
베르셀리우스는 엄밀한 경험주의자였고, 어떤 새로운 이론도 현대 화학 지식의 총합과 일치해야 한다고 기대했습니다. 그는 화학 분석의 개선된 방법을 개발했는데, 이 방법들은 그의 화학량론에 대한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초 데이터를 개발하는 데 필요했습니다. 그는 이성질화, 동소성, 촉매 작용을 조사했는데, 이 현상들은 그의 이름에 기인합니다.[7] 베르셀리우스는 무기화합물과 유기화합물의 차이를 처음으로 분명히 밝힌 사람들 중 하나였습니다.[7][5] 그가 연구한 많은 광물과 원소들 중에서, 그는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했고, 실리콘과 토륨을 최초로 분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광물학에 대한 관심에 이어 베르셀리우스는 이들 원소와 다른 원소의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고 화학적으로 특성화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전기화학 전지를 사용하여 특정 화학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반대되는 성분의 쌍으로 분해하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는 화학 화합물이 산화염이며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된다고 주장하며 전기화학적 이원론으로 알려지게 된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 이론은 몇몇 맥락에서 유용하기는 하지만 불충분하다고 여겨지게 되었습니다.[6] 원자량에 대한 베르셀리우스의 연구와 전기화학적 이원론에 대한 그의 이론은 어떤 화합물의 조성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보여주는 현대적인 화학식 표기 체계의 개발로 이어졌습니다. 그의 체계는 원소의 라틴어 이름을 한두 글자로 축약하고 위첨자를 적용하여 화합물에 존재하는 각 원소의 원자 수를 지정했습니다. 나중에 화학자들은 위 첨자가 아닌 첨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6]
전기
초기의 삶과 교육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베베르순다 교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사무엘 베르셀리우스는 링쾨핑 근처의 도시에서 학교 선생님이었고, 그의 어머니 엘리자베스 도로테아 쇤은 가정주부였습니다.[8] 그의 부모님은 둘 다 교회 목사 집안 출신이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모두 잃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1779년에 사망했고, 그 후 그의 어머니는 안데르스 에크마르크라는 목사와 결혼했고, 그는 베르셀리우스에게 자연 세계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 기초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1787년 그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 린쾨핑의 친척들이 그를 돌보았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오늘날 Katedralskolan이라고 알려진 학교에 다녔습니다.[9] 10대 때, 그는 집 근처의 농장에서 가정교사로 일했고, 그 기간 동안 그는 꽃과 곤충을 수집하고 그들의 분류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10]
베르셀리우스는 후에 1796년부터 1801년까지 웁살라 대학의 의대생으로 입학했습니다. 탄탈룸의 발견자인 앤더스 구스타프 에케베르크는 이 시기에 그에게 화학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약국에서 견습생으로 일했고, 그 기간 동안 실험실에서 유리 불기와 같은 실용적인 것들을 배우기도 했습니다.[10] 그는 연구 기간 동안 혼자서 스웨덴의 화학자 칼 윌리엄 셸레가 수행한 실험을 성공적으로 반복하여 셸레가 산소를 발견하게 했습니다.[9] 그는 또한 메데비 광천에서 의사와 함께 일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이 수원의 물을 분석했습니다. 또한 1800년에 베르셀리우스는 알레산드로 볼타의 전기 더미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이것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최초의 장치(즉, 최초의 배터리)였습니다. 그는 구리와 아연을 번갈아 가며 디스크로 구성된 비슷한 배터리를 직접 제작했는데, 이것이 전기화학 분야에서 그의 첫 번째 작업이었습니다.[6][10]
그의 의학 연구 논문 연구로서, 그는 갈바닉 전류가 여러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이 실험 라인은 그러한 영향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10] 베르셀리우스는 1802년에 의사로 졸업했습니다. 그는 스톡홀름 근처에서 의사로 일하다가 화학자이자 광산 소유자인 빌헬름 히징거가 분석 화학자로서의 능력을 인정하고 실험실을 제공하기 전까지 일했습니다.[5]
학업경력
1807년 베르셀리우스는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화학과 약학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6] 1808년에서 1836년 사이에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 최초의 여성 화학자이자 그의 조수 역할을 한 안나 순트룀과 함께 일했습니다.[11]
1808년, 그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이때 스웨덴의 낭만주의 시대가 과학에 대한 관심을 줄이면서 아카데미는 몇 년 동안 침체되어 있었습니다. 1818년 베르셀리우스는 아카데미의 서기로 선출되어 1848년까지 그 자리를 맡았습니다. 베르셀리우스의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아카데미를 활성화하고 아카데미를 제2의 황금 시대로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첫 번째는 천문학자 페르 빌헬름 바르젠틴이 1749년부터 1783년까지 비서로 있었던 기간입니다).[12] 그는 1822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13] 1827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연구소의 통신원이 되었고, 1830년에는 준회원이 되었습니다.[14] 1837년, 그는 5번 의장으로 스웨덴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템퍼런스 무브먼트
베르셀리우스는 절제 운동에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는 1837년에 스웨덴 템퍼런스 협회(Svenska nikterhetsällskapet, 스웨덴 템퍼런스 협회 의 창립자 중 한 명이자 초대 회장이었습니다[15] 베르셀리우스는 칼라프 에켄스탐의 [ 주제에 관한 작품 중 하나에 서문을 썼고, 그 중 5만 부가 인쇄되었습니다.[16]

만년
베르셀리우스는 일생의 많은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질병을 앓았습니다. 여기에는 반복적인 편두통이 포함되었고 나중에 통풍으로 고생했습니다. 그는 또한 우울증의 에피소드도 있었습니다.[10]
1818년, 베르셀리우스는 그의 작품의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하는 신경쇠약에 걸렸습니다.[9] 그가 받은 의학적 조언은 여행을 하고 휴가를 가지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베르셀리우스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의 화학 실험실에서 일하기 위해 프랑스로 갔습니다.[10]
1835년, 그는 56세의 나이로 스웨덴 각료의 딸인 엘리자베스 포피우스와 결혼했습니다.[10]
그는 1848년 8월 7일 스톡홀름에 있는 그의 집에서 사망했습니다.[17] 그는 솔나 묘지에 묻혔습니다.[9]

업적
정비례의 법칙

스톡홀름에 도착한 직후 베르셀리우스는 의대생들을 위한 화학 교과서인 레르보키 케미엔을 집필했는데, 이것이 그의 첫 번째 중요한 과학 출판물이었습니다. 그는 이 교과서를 쓰기 위해 무기화합물의 조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는데, 이것은 그가 초기에 한 확실한 비율에 대한 연구였습니다.[6] 1813년에 그는 화합물의 원소 비율에 관한 에세이를 출판했습니다. 에세이는 일반적인 설명으로 시작하여 그의 새로운 상징성을 소개하고, 알려진 모든 요소를 조사하고, 구체적인 가중치의 표를 포함하고, 그의 새로운 형식주의에 쓰여진 화합물의 선택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18] 1818년, 그는 상대적인 원자량의 표를 작성했는데, 여기서 산소는 100으로 설정되었고, 그 당시에 알려진 모든 원소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19] 이 연구는 존 돌턴이 제안한 원자 이론에 유리한 증거를 제공했습니다. 즉, 무기 화학 화합물은 서로 다른 원소의 원자들이 정수의 양으로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원자량이 수소의 무게의 정수배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는 수소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프라우트의 가설을 반증하기도 했습니다.[20]: 682–683 베르셀리우스의 원자량표의 마지막 개정판은 1826년 그의 화학 교과서의 독일어 번역본으로 처음 출판되었습니다.[21]
화학적 표기법
그의 실험을 돕기 위해, 그는 특정한 화학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들에 숫자로 표시된 화학 화합물의 비율과 함께 산소에 대한 O, 철에 대한 Fe와 같은 간단한 쓰여진 라벨을 부여하는 화학 표기 체계를 개발했습니다. 따라서 베르셀리우스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화학 표기법을 발명했는데, 주요 차이점은 베르셀리우스가 오늘날 사용되는 첨자 숫자(예: HO2 또는 FeO23) 대신 위첨자(HO2 또는 FeO23)를 사용했다는 것입니다.[22]
원소의 발견
베르셀리우스는 세륨과 셀레늄이라는 화학 원소를 발견하고 실리콘, 토륨, 티타늄, 지르코늄을 최초로 분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1803년에[23] 세륨을, 1817년에 셀레늄을 발견했습니다.[24] 베르셀리우스도 1824년에 실리콘을,[25] 1824년에 토륨을 분리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26][27] 베르셀리우스의 실험실에서 일하는 학생들도 리튬, 란탄, 바나듐을 발견했습니다.[28]
베르셀리우스는 Gay-Lussac과 Thenard가 수행한 실험을 반복하여 4불화규소와 칼륨 금속을 반응시켜 매우 불순한 실리콘을 생성하는 비정질 실리콘을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의 변형에서 Berzelius는 칼륨과 함께 플루오로규산칼륨을 가열했습니다. 칼륨 실리사이드를 만들어낸 다음 물과 교반하여 비교적 순수한 실리콘 분말을 만들어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이 분말을 실리콘의 새로운 원소로 인식했고, 이를 앞에서 데이비가 제안한 이름인 [29]규산염이라고 불렀습니다.[30]
베르셀리우스는 1824년에 지르코늄을 최초로 분리했지만, 1925년까지 안톤 에두아르트 판 아르켈과 얀 헨드릭 드 보어에 의해 순수한 지르코늄이 생산되지 않았습니다.[31]
신화학용어

베르셀리우스는 "촉매작용", [32]"고분자", "이성질체", "단백질", "알로트로프"라는 화학 용어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3] 한 예로, 그는 1833년에 동일한 경험적 공식을 공유하지만 전체 분자량이 다른 유기 화합물을 설명하기 위해 "고분자"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34] 이때 그는 각 원소의 원자 수만을 고려할 정도로 아직 화학구조의 개념이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식으로, 그는 포도당이 포름알데히드의 중합체가 아니라는 것을 우리가 지금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포도당(CHO6126)을 포름알데히드(CHO2)의 중합체로 보았습니다.[35]
생물학과 유기화학
베르셀리우스는 유기 화합물(탄소를 함유한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구별한 최초의 사람입니다. 특히, 그는 커피, 차, 그리고 다양한 단백질과 같은 유기 화합물의 원소 분석에서 제라두스 요하네스 멀더에게 조언했습니다. 단백질이라는 용어 자체는 1838년 물더가 모든 단백질이 동일한 경험식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는 것을 관찰한 후 매우 큰 분자의 단일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한 후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용어는 "일등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베르셀리우스는 단백질이 살아있는 유기체에 매우 기초적이기 때문에 이 이름을 제안했습니다.[36]
1808년 베르셀리우스는 젖산이 우유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 조직에서도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빌리베르딘이라는 용어는 1840년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그는 빌리루빈(빨강)보다 빌리풀빈(노란색/빨간색)을 더 좋아했습니다.[37]
생기론

베르셀리우스는 1810년에 생명체는 신비한 "활력"에 의해 작동한다고 말했는데,[38] 이 가설은 생기론이라고 불립니다. 활력론은 이전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지만, 베르셀리우스는 화합물이 합성에 어떤 유기체가 필요한지(유기 화합물) 또는 필요하지 않은지(무기 화합물)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는 실수로 시안산암모늄을 가열하여 유기화합물인 요소를 얻었습니다. 이것은 요소와 같은 유기 화합물이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서만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요소 합성 결과에 대해 뵐러와 일치했습니다. 그러나 유기 화합물의 비생물적 합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생명주의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할 때까지 생명주의의 개념은 계속 유지되었습니다.[39][40]
작동하다
- Berzelius und Liebig: Ihre Briefe von 1831 - 1845 (in German). München: Lehmann. 1893.
- Letters of Jöns Jakob Berzelius and Christian Friedrich Schönbein. London: Williams & Norgate. 1900.
- Selbstbiographische Aufzeichnungen (in German). Leipzig: Johann Ambrosius Barth. 1903.
- 레르보키케미엔(스웨덴어). 스톡홀름, 노르트스트룀, 1808-1830.
- 타벨, 슈토르레 델렌 비덴 오오르가니스카 케미엔스 스튜디오 마어크베르디가 엔클라오흐 삼만사타 크로파르스토머, 젬테 데라스 삼만사트닝, 라크나디 프로센트(스웨덴어). 스톡홀름: H.A. Nordström, 1818.

다른 과학자들과의 관계

베르셀리우스는 제라두스 요하네스 멀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험프리 데이비, 프리드리히 뵐러, 아일하르트 미첼리히,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과 같은 당대의 선도적인 과학자들과 다작 통신원이었습니다.
1812년, 베르셀리우스는 당시의 저명한 영국 과학자들을 만나기 위해 그리니치를 포함한 영국 런던으로 여행을 갔습니다. 여기에는 험프리 데이비, 화학자 윌리엄 울러스턴, 의사 과학자 토마스 영,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화학자 스미스소 테넌트, 발명가 제임스 와트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도 데이비의 실험실을 방문했습니다. 데이비의 실험실을 방문한 후 베르셀리우스는 "깔끔한 실험실은 게으른 화학자의 표시"라고 말했습니다.[33]
1810년 험프리 데이비는 염소는 원소라고 제안했습니다. 베르셀리우스는 모든 산이 산소를 기반으로 한다는 믿음 때문에 이 주장을 거부했습니다. 염소는 강산(무륨산, 현대 HCl)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소는 산소를 포함해야 하므로 원소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1812년 베르나르 쿠르투아는 요오드가 원소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그 후 1816년에 Joseph-Louis Gay-Lussac은 프루신산(시안화수소)이 수소, 탄소, 질소만 포함하고 산소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베르셀리우스에게 모든 산이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데이비와 게이뤼삭이 옳다는 것을 설득시켜 주었는데, 염소와 요오드는 정말로 원소입니다.
명예와 인정

1818년 베르셀리우스는 칼 14세 요한 왕에 의해 귀족이 되었습니다. 1835년, 그는 그곳에서 프리허의 칭호를 받았습니다.[41]
1820년에 그는 미국철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42]
런던 왕립학회는 1836년 베르셀리우스에게 "광물체 분석에 대한 명확한 비율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공로로, 그의 누보 시스템 드 미네랄로지와 그의 다른 작품들에서"라는 표창장을 수여했습니다.[citation needed]
1840년, 베르셀리우스는 레오폴트 훈장의 기사로 임명되었습니다.[43] 1842년, 그는 과학과 예술을 위한 푸를 르 메리트 상을 받았습니다.[44]

구리 셀레나이드인 광물 베르셀리아나이트는 1850년에 발견되었고 제임스 드와이트 다나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45][46]
1852년, 스웨덴 스톡홀름은 베르셀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공원과 동상을 지었습니다. 그의 모교인 카테드랄스콜란 옆에 위치한 학교인 베르젤리우스콜란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1890년 예테보리의 상당히 유명한 거리는 그를 기리기 위해 베르셀리가탄(Berzelii street)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1898년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는 베르셀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베르셀리우스 박물관을 개관했습니다. 박물관의 소장품에는 그의 연구실에서 가져온 많은 물건들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박물관은 베르셀리우스 사후 50주년을 맞아 개관했습니다. 이 행사를 기념하는 행사에 초대된 사람들은 11개의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과학 고위 인사들을 포함했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베르셀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공식적인 연설을 했습니다.[47] 베르셀리우스 박물관은 나중에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일부인 천문대로 옮겨졌습니다.[5]
1939년 그의 초상화는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설립 200주년 기념 우표 시리즈에 등장했습니다.[48] 스웨덴 외에도 그레나다도 그를 기렸습니다.[10]
예일 대학교의 베르셀리우스 비밀 학회는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KI:s grundare Jöns Jacob Berzelius (in Swedish). Karolinska Institute. 9 September 2013. Event occurs at 00: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December 2021. Retrieved 5 October 2019 – via YouTube.
- ^ "Svenska akademien, ledamotsregister (Swedish Akademy, register of members)" (in Swedish). Retrieved 19 November 2020.
- ^ "Jöns Jacob Berzeliu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Retrieved 3 August 2008.
- ^ "Berzelius Day honoured on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September 2012. Retrieved 20 August 2012.
- ^ a b c d Marshall, James L.; Marshall, Virginia R. "Rediscovery of the Elements: Jöns Jacob Berzelius" (PDF). chem.unt.edu. University of North Texas Department of Chemistry. Retrieved 21 December 2019.
- ^ a b c d e f "Jöns Jakob Berzelius". sciencehistory.org. Science History Institute. June 2016. Retrieved 20 December 2019.
- ^ a b "Jons Jacob Berzelius – discoverer of thorium&cerium elements". worldofchemicals.com. World of Chemicals. 2015. Retrieved 21 December 2019.
- ^ Berzelius, Jöns Jakob (23 June 2016). Jakob Berzelius: Selbstbiographische Aufzeichnungen. Forgotten Books. ISBN 978-1-332-58610-3.
- ^ a b c d "Jacob Berzelius". famousscientists.org. Famous Scientists. Retrieved 27 December 2019.
- ^ a b c d e f g h Kyle, Robert A.; Steensma, David P. (May 2018). "Jöns Jacob Berzelius – A Father of Chemistry". Mayo Clinic Proceedings. 93 (5): e53–e54. doi:10.1016/j.mayocp.2017.07.020. PMID 29728209. Retrieved 27 December 2019.
- ^ "Karolinska Institutet 200 År – 1810–2010". 20 October 2010.
- ^ 스웨덴 왕립과학원 과학사 센터: KVAoch Berzelius 2007년 8월 19일 웨이백 기계에서 보관, 2009년 5월 23일 접속 (스웨덴어로)
- ^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PDF).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4 June 2011.
- ^ "Jöns Jacob Berzelius (1779–1848)".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19 July 2015.
- ^ "Svenska nykterhetssällskapet". Nordisk familjebok (in Swedish). 1918. pp. 1025ff – via Project Runeberg.
- ^ Lundell, Patrik (2010). "Nykterhetsfrågans mediala förutsättningar och karaktär" (PDF). 1800-talets mediesystem (in Swedish). Stockholm: Kungliga biblioteket. p. 92. ISBN 9789188468222.
- ^ "Berzelius, Johan Jakob, Baron".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1897.
- ^ Berzelius, Jacob (1813), Thomson, Thomas (ed.),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Annals of Philosophy, London: Robert Baldwin, vol. II & III, pp. 51–62, 93–106, 244–256, 353–364, 443–454, retrieved 13 December 2014 또한 제3권
- ^ NationalEncyklopedin. Höganäs, Sweden: Bra Böcker AB. 1990. p. 484. ISBN 91-7024-619-X.
- ^ John L. Heilbron (2003).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pp. 683–. ISBN 978-0-19-974376-6.
- ^ "Jöns Jacob Berzelius Swedish chemist".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2 February 2018.
- ^ 베르셀리우스 1813, 3권, 51~52쪽.
- ^ "Cerium".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1 January 2020.
- ^ "Selenium".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1 January 2020.
- ^ "Silicon".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1 January 2020.
- ^ "Thorium".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1 January 2020.
- ^ "Jöns Jakob Berzelius (1779–1848)". Nature. 162 (4110): 210. 1948. Bibcode:1948Natur.162R.210.. doi:10.1038/162210b0.
- ^ Blamire, John. "Jons Jacob Berzelius". brooklyn.cuny.edu. City University of New York. Retrieved 28 December 2019.
- ^ Berzelius, Jons Jacob (1825). "On the mode of obtaining silicium, and on the characters and properties of that substance". The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65: 254–267. doi:10.1080/14786442508628433 – via Google Books.
- ^ Wilton, Dave. "Silicon". wordorigin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9. Retrieved 30 December 2019.
- ^ "Zirconium".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1 January 2020.
- ^ 베젤리우스는 촉매작용이라는 용어를 도입했지만, 그는 이 개념을 도입하지 않았으며, 이는 엘리자베스 풀하메(Elizabeth Fulhame)가 한 세대 앞서 잘 이해했습니다.
- ^ a b Thomas, John Meurig (2013). "Sir Humphry Davy: Natural Philosopher, Discoverer, Inventor, Poet, and Man of Act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57 (2): 143–163. JSTOR 24640238.
- ^ Jensen, William B. (2008). "The Origin of the Polymer Concep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5 (5): 624. Bibcode:2008JChEd..85..624J. doi:10.1021/ed085p624.
- ^ Percec, Virgil; Suter, Ulrich (2014). Hierarchical Macromolecular Structures: 60 Years after the Staudinger Nobel Prize I. Springer. p. 66. ISBN 978-3-319-01137-0.
- ^ Tammi, Martti T. "Searching for protein composition and function". bioinformaticshome.com. Retrieved 30 December 2019.
- ^ Watson, Cecil J. (1977). Berk, Paul D. (e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emistry and Physiology of Bile Pigment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 4.
- ^ Cornish-Bawden, Athel, ed. (1997), New Beer in an Old Bottle. Eduard Buchner and the Growth of Biochemical Knowledge, Universitat de València, pp. 72–73, ISBN 978-84-370-3328-0
- ^ Wilkinson, I. (2002). "History of Clinical Chemist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13 (4): 114–118. PMC 6208063.
- ^ Rocke, Alan J. (199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ed.). The Quiet Revolution: Hermann Kolbe and the Science of Organic Chemistry. Berkeley. pp. 239–. ISBN 978-0-520-08110-9.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과학자 전기사전 ed. T. I. Williams. 런던: A. & C. Black, 1969; 55-56쪽
- ^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Retrieved 5 April 2021.
- ^ 알마나흐 왕궁전 벨기케/1841p.118
- ^ Orden Pour le Mérite für Wissenschaften und Künste (1975). Die Mitglieder des Ordens. 1 1842–1881 (PDF). Berlin: Gebr. Mann Verlag. p. 6. ISBN 3-7861-618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ne 2018. Retrieved 22 June 2018.
- ^ "Handbook of mineralogy Berzelianite" (PDF).
- ^ "Berzelianite: Berzelianite mineral information and data". www.mindat.org. Retrieved 23 October 2016.
- ^ Jorpes, Johan Erik (1970). Jac. Berzelius: His Life and Work.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21. ISBN 978-0-520-01628-6.
- ^ "Sweden – Circa 1939: stamp printed by Sweden, shows Jons Jakob Berzelius". 123rf.com. 123RF. Retrieved 26 December 2019.
더보기
- Jaime Wisniak (2000). "Jöns Jacob Berzelius A Guide to the Perplexed Chemist". The Chemical Educator. 5 (6): 343–350. doi:10.1007/s00897000430a. S2CID 98774420.
- Paul Walden (1947). "Zum 100. Todestag von Jöns Jakob Berzelius am 7. August 1948". Naturwissenschaften. 34 (11): 321–327. Bibcode:1947NW.....34..321W. doi:10.1007/BF00644137. S2CID 36477981.
- Holmberg, Arne (1933) Bibliografi över J. J. Berzelius. 5권 2부. 스톡홀름: 쿵. Svenska Vetenskapsakademien, 1933-67. 1. deloch suppl. 1-2. 베르셀리우스 보크의 트라이크타 아르베텐. 2. 델로치 서플라이. 원고
- Jorpes, J. Erik (1966) Jac. 베르셀리우스 – 그의 삶과 작품; 바바라 스틸의 스웨덴 필사본 번역. 스톡홀름: Almqvist & Wiksell, 1966.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 버클리, 1970 ISBN 0-520-01628-9에서 재발행)
- Leicester, Henry (1970–1980). "Berzelius, Jöns Jacob".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Vol. 2.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p. 90–97. ISBN 978-0-684-10114-9.
- 파팅턴, J. R. (1964) 화학사; vol. 4. 런던: 맥밀런; pp. 142–77
외부 링크
라이브러리 리소스 정보 욘 야콥 베르셀리우스 |
요한스 야콥 베르셀리우스 |
---|

- 베르셀리우스의 작품 목록 (접속일 2011-12-29 기준 301점)
- Project Runeberg(라틴어)의 온라인 작업
-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의 욘 야콥 베르셀리우스 작품
- 인터넷 아카이브의 Jöns Jacob Berzelius에 의한 또는 그에 관한 작품
- Wikisource에서 Berzelius와 Humphry Davy경 간의 온라인 서신(영어 및 프랑스어)
- Gallica(프랑스어 및 스웨덴어)에 대한 온라인 작업(접속일 2011-12-29 기준 27개 항목)
- 노르디스크 가족제복(1905), 밴드 3, s. 90–96 (스웨덴어로)
- Poliakoff, Martyn. Jöns Jacob Berzelius. University of Nottingham: The Periodic Table of Videos.
- 뒤셀도르프 대학 및 국립도서관 디지털 판 "Lehrbuch der Chemie" 1823/1824
- 1840년 뒤셀도르프 국립도서관 디지털 판 "Das saidschitzer Bitterwasser : chemischuntersucht"
- "Aus Jac"의 디지털 판. 베르셀리우스와 구스타프 마그누스의 간략한 책 "덴 자렌의 1828년-1847년" 1900년 뒤셀도르프 대학교와 국립도서관의 책
- The American Cyclopædia. 18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