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애슬론 월드컵

Biathlon World Cup
IBU 바이애슬론 월드컵
상태적극적
장르.스포츠 경기
날짜북부동절기
시작합니다.11월
3월
빈도연간의
나라다변수의
취임식1978년 1월
조직:국제 바이애슬론 연맹
스폰서BMW[1]
바이애슬론 월드컵 2021-22

바이애슬론 월드컵바이애슬론 시즌 1위 대회 시리즈다. 1977-78년 남자 겨울 시즌부터, 1982-83년 여자 겨울 시즌부터 개최되고 있다. 1986-87시즌까지 여자부 시즌은 유럽인에게만 참가하지 않았지만 유러피언컵으로 불렸다.

경쟁 및 형식

월드컵 시즌은 11월 또는 12월 또는 3월 말에서 3월 말까지 지속되며, 일부 휴일과 시즌 메이저 대회(세계선수권 또는 동계 올림픽)를 몇 주 앞두고 매주 다른 장소에서 회의가 열린다. 대체로 이번 시즌은 9~10차례의 회의로 구성되며 수요일부터 행사가 열린다.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계주 경기는 한 시즌에 4~6회 열린다. 또한 월드컵 종목이 세계 선수권이고 이전 동계 올림픽 종목(월드컵을 향한 마지막 올림픽은 2010년 동계 올림픽이었다: 2014년 동계 올림픽부터 선수들은 더 이상 올림픽 경기력으로 월드컵 포인트를 받지 못한다)[2]으로 간주된다.

월드컵 시즌 총점(모든 종목의 총점)이 가장 높은 선수에게 빅 크리스탈 글로브 트로피를 수여한다. 스몰 크리스털 글로브 트로피는 각 부문별 시즌 총 1위에 수여된다. 따라서, 한 선수가 같은 월드컵 시즌에 빅 크리스털 글로브와 스몰 크리스털 글로브에서 모두 우승하는 것은 가능하다.[3]

아래 표는 각 WC 시즌의 최상위 생물종목과 국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각 종목별로 1위는 60점, 2위는 54점, 3위는 48점, 4위는 43점, 5위는 40점, 6위는 38점, 7위는 36점, 8위는 34점, 9위는 32점, 10위는 31점씩을 부여한 뒤 40위로 1점 아래로 선형 감소한다. 동일한 플래카드(타이)는 동일한 수의 포인트를 준다. IBU가 정한 이벤트 수(예: 2)에서 점수를 뺀 시즌의 모든 WC 포인트 합계는 생물 운동선수의 총 WC 점수를 제공한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WC 포인트가 주어져 1위 4개국은 각각 30점, 26점, 24점, 22점을 주고, 5위 25위는 21점, 20점, ..., 1점으로 낮아졌다. 이에 앞서 포인트는 단순히 25점부터 1점까지 선형적으로 부여됐다.

남자 결과

남자 종합

계절 위너 준우승 세 번째
1977–78 프랭크 울리히 (GDR) 클라우스 시베르 (GDR) 에베르하르트 뢰슈 (GDR)
1978–79 클라우스 시베르 (GDR) 프랭크 울리히 (GDR) 블라디미르 바르나쇼프 (URS)
1979–80 프랭크 울리히 (GDR) 클라우스 시베르 (GDR) 에베르하르트 뢰슈 (GDR)
1980–81 프랭크 울리히 (GDR) 아나톨리 알야비예프 (URS) 켈 쇠박 (NOR)
1981–82 프랭크 울리히 (GDR) 마티아스 제이콥 (GDR) 켈 쇠박 (NOR)
1982–83 피터 앤제러 (FRG) 에리크 크발포스 (NOR) 프랭크 울리히 (GDR)
1983–84 프랭크-피터 로에츠 (GDR) 피터 앤제러 (FRG) 에리크 크발포스 (NOR)
1984–85 프랭크-피터 로에츠 (GDR) 주리 카슈카로프 (URS) 피터 앤제러 (FRG)
1985–86 안드레 세미슈 (GDR) 피터 앤제러 (FRG) 마티아스 제이콥 (GDR)
1986–87 프랭크-피터 로에츠 (GDR) 프리츠 피셔 (FRG) 얀 마투시 (TCH)
1987–88 프리츠 피셔 (FRG) 에리크 크발포스 (NOR) 요한 파슬러 (ITA)
1988–89 에리크 크발포스 (NOR) 알렉산드르 포포프 (URS) 세르게이 체피코프 (URS)
1989–90 세르게이 체피코프 (URS) 에리크 크발포스 (NOR) 발레리 메드베데프 (URS)
1990–91 세르게이 체피코프 (URS) 마크 키르치너 (GER) 안드레아스 징글 (ITA)
1991–92 존 트일덤 (NOR) 미카엘 뢰프그렌 (SWE) 실페스트 글레스달 (NOR)
1992–93 미카엘 뢰프그렌 (SWE) 마크 키르치너 (GER) 피에랄베르토 카라라 (ITA)
1993–94 파트리스 베일리 샐린스 (FRA) 스벤 피셔 (GER) 프랭크 럭 (GER)
1994–95 존 트일덤 (NOR) 패트릭 파브르 (ITA) 윌프리드 팔허버 (ITA)
1995–96 블라디미르 드라체프()RUS¹ 빅토르 마이구로프 (RUS) 스벤 피셔 (GER)
1996–97 스벤 피셔 (GER)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빅토르 마이구로프 (RUS)
1997–98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리코 그로 (GER) 스벤 피셔 (GER)
1998–99 스벤 피셔 (GER)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프랭크 럭 (GER)
1999–00 라파엘 푸아레 (FRA)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스벤 피셔 (GER)
2000–01 라파엘 푸아레 (FRA)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프로데 안드레센 (NOR)
2001–02 라파엘 푸아레 (FRA) 파벨 로스토프체프 (RUS)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2002–03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블라디미르 드라체프()BLR¹ 리코 그로 (GER)
2003–04 라파엘 푸아레 (FRA)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리코 그로 (GER)
2004–05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스벤 피셔 (GER) 라파엘 푸아레 (FRA)
2005–06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라파엘 푸아레 (FRA) 스벤 피셔 (GER)
2006–07 마이클 그리스 (GER)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라파엘 푸아레 (FRA)
2007–08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드미트리 야로셴코 (RUS) 에밀 헤글 스벤던 (NOR)
2008–09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 토마시 시코라 (POL) 에밀 헤글 스벤던 (NOR)
2009–10 에밀 헤글 스벤던 (NOR) 크리스토프 수만 (AUT) 이반 체레조프 (RUS)
2010–11 타르제이 뵈 (NOR) 에밀 헤글 스벤던 (NOR) 마틴 포케이드 (FRA)
2011–12 마틴 포케이드 (FRA) 에밀 헤글 스벤던 (NOR) 안드레아스 비른바허 (GER)
2012–13 마틴 포케이드 (FRA) 에밀 헤글 스벤던 (NOR) 도미니크 란데르팅거 (AUT)
2013–14 마틴 포케이드 (FRA) 에밀 헤글 스벤던 (NOR)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2014–15 마틴 포케이드 (FRA) 안톤 시플린 (RUS) 야코프 팩 (SLO)
2015–16 마틴 포케이드 (FRA)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안톤 시플린 (RUS)
2016–17 마틴 포케이드 (FRA) 안톤 시플린 (RUS)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2017–18 마틴 포케이드 (FRA)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안톤 시플린 (RUS)
2018–19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알렉산드르 로게노프 (RUS) Quentin Fillon 메일릿 (FRA)
2019–20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마틴 포케이드 (FRA) Quentin Fillon 메일릿 (FRA)
2020–21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 슈렐라 홀름 뢰그리드 (NOR) Quentin Fillon 메일릿 (FRA)
운동선수별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마틴 포케이드 (FRA)7119
2 올레 에이나르 비외르달렌 (NOR)66113
3 라파엘 푸아레 (FRA)4127
4 프랭크 울리히 (GDR)4116
5 요하네스 씽네스 뵈 (NOR)3227
6 프랭크-피터 로에츠 (GDR)3003
7 스벤 피셔 (GER)2248
8 세르게이 체피코프 (URS)2013
9 존 트일덤 (NOR)2002
10 에밀 헤글 스벤던 (NOR)1427
11 에리크 크발포스 (NOR)1315
12 피터 앤제러 (FRG)1214
13 클라우스 시베르 (GDR)1203
14 프리츠 피셔 (FRG)1102
미카엘 뢰프그렌 (SWE)1102
블라디미르 드라체프 (RUS)1102
17 안드레 세미슈 (GDR)1001
마이클 그리스 (GER)1001
파트리스 베일리 샐린스 (FRA)1001
타르제이 뵈 (NOR)1001
나라별[4]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노르웨이14161040
2 프랑스.122620
3 동독94417
4 독일.35917
5 소비에트 연방2338
6 서독2316
7 러시아16411
8 스웨덴1102
9 이탈리아0145
10 오스트리아0112
11 벨라루스0101
폴란드0101
13 체코슬로바키아0011
슬로베니아0011
합계(14개국)444444132

남자 계전기

계절 위너 준우승 세 번째
2000–01 노르웨이 (189) 독일(173) 체코 (167)
2001–02 노르웨이 (238) 독일(230) 벨라루스(202)
2002–03 벨라루스 (319) 러시아(318) 노르웨이 (298)
2003–04 노르웨이 (176) 독일(174) 프랑스 (172)
2004–05 노르웨이(200) 독일(181) 러시아 (178)
2005–06 독일(200) 러시아(184) 프랑스 (169)
2006–07 러시아(196년) 노르웨이 (189) 독일 (178)
2007–08 노르웨이 (196년) 러시아(192년) 독일(175)
2008–09 오스트리아(276년) 노르웨이 (254) 독일(247년)
2009–10 노르웨이 (228) 오스트리아(210) 러시아(205)
2010–11 노르웨이(216년) 독일(199년) 우크라이나 (163)
2011–12 프랑스(198) 노르웨이 (190) 러시아(189)
2012–13 러시아(305) 노르웨이(302) 프랑스(296년)
2013–14 독일(200) 스웨덴(1999) 오스트리아(197)
2014–15 러시아(311) 노르웨이(308) 독일(305)
2015–16 노르웨이 (282) 러시아(255) 독일(236년)
2016–17 러시아(259) 프랑스(242년) 독일 (237)
2017–18 노르웨이 (228) 스웨덴(184) 프랑스(180)
2018–19 노르웨이(270) 러시아(236년) 독일(233년)
2019–20 노르웨이 (348) 프랑스(302) 독일(264개)
2020–21 노르웨이 (228) 스웨덴(204) 프랑스(203)
나라별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노르웨이125118
2 러시아45312
3 독일.25815
4 프랑스.1258
5 오스트리아1113
6 벨라루스1012
7 스웨덴0303
8 체코0011
우크라이나0011
합계(9개국)21212163

여성 결과

여성종합

1986-87년까지의 여자 월드컵 시즌은 모든 국적의 생물학자들에게 참여가 가능했지만, 실제로는 유러피언 컵이라고 불렸다. 1987-88년까지 여성들은 오늘날보다 더 짧은 트랙을 달렸다. 1988-89시즌은 여성들이 오늘날과 같은 길이의 트랙을 질주한 최초의 시즌이었다.

계절 위너 준우승 세 번째
1982–83 그리 외스트비크 (NOR) 시브 브르텐 (NOR) 아이노 칼룬키()FIN
1983–84 메테 메스타드 (NOR) 산나 그뢰니드 (NOR) 그리 외스트비크 (NOR)
1984–85 산나 그뢰니드 (NOR) 에바 코펠라 (SWE) 카이자 파르베 (URS)
1985–86 에바 코펠라 (SWE) 산나 그뢰니드 (NOR) 리세 멜로체 (CAN)
1986–87 에바 코펠라 (SWE) 앤 엘베박크 (NOR) 산나 그뢰니드 (NOR)
1987–88 앤 엘베박크 (NOR) 엘린 크리스티안센 (NOR) 나데즈다 알렉시에바 (BUL)
1988–89 엘레나 골로비나 (URS) 나탈리아 프리카즈치코바()URS 스베틀라나 다비도바 (URS)
1989–90 지지나 아다미치코바 (TCH) 앤 엘베박크 (NOR) 엘레나 골로비나 (URS)
1990–91 스베틀라나 다비도바 (URS) 미리엄 베다드 (CAN) 앤 엘베박크 (NOR)
1991–92 안피사 레츠소바 (CIS) 앤 브리앙 (FRA) 페트라 샤프 (GER)1
1992–93 안피사 레츠소바 (RUS) 미리엄 베다드 (CAN) 앤 브리앙 (FRA)
1993–94 스베틀라나 파라미기나 (BLR) 나탈리 산터 (ITA) 앤 브리앙 (FRA)
1994–95 앤 브리앙 (FRA) 스베틀라나 파라미기나 (BLR) 우시 이격 (GER)
1995–96 에마뉘엘 클라레 (FRA) 우시 이격 (GER) 페트라 벨 (GER)1
1996–97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우시 이격 (GER) 시몬 그리너 (GER)
1997–98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우시 이격 (GER) 마르티나 젤너 (GER)
1998–99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올레나 주브릴로바 (UKR) 우시 이격 (GER)
1999–00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올레나 주브릴로바 (UKR) 코린 니오그레트 (FRA)
2000–01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리브 그레테 푸아레 (NOR) 올레나 주브릴로바 (UKR)
2001–02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 리브 그레테 푸아레 (NOR) 우시 이격 (GER)
2002–03 마르티나 글라고우 (GER) 알비나 아카토바 (RUS) 실비 베커트 (FRA)
2003–04 리브 그레테 푸아레 (NOR) 올가 피레바 (RUS) 산드라린 베일리 (FRA)
2004–05 산드라린 베일리 (FRA) 카티 빌헬름 (GER) 올가 피레바 (RUS)
2005–06 카티 빌헬름 (GER) 안나 카린 올로프슨 (SWE) 마르티나 글라고우 (GER)
2006–07 안드레아 헨켈 (GER) 카티 빌헬름 (GER) 안나 카린 올로프슨 (SWE)
2007–08 막달레나 노이너 (GER) 산드라린 베일리 (FRA) 안드레아 헨켈 (GER)
2008–09 헬레나 존슨 (SWE)2 카티 빌헬름 (GER) 토라 버거 (NOR)
2009–10 막달레나 노이너 (GER) 시모네 하우스발트 (GER) 헬레나 존슨 (SWE)2
2010–11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 안드레아 헨켈 (GER) 헬레나 에크홀름 (SWE)2
2011–12 막달레나 노이너 (GER) 다랴 도메체바 (BLR) 토라 버거 (NOR)
2012–13 토라 버거 (NOR) 다랴 도메체바 (BLR) 안드레아 헨켈 (GER)
2013–14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 토라 버거 (NOR) 다랴 도메체바 (BLR)
2014–15 다랴 도메체바 (BLR)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 발지 세메렌코 (UKR)
2015–16 가브리엘라 수칼로바 (CZE) 마리 도린 하버트 (FRA) 도로테아 위러 (ITA)
2016–17 로라 달마이어 (GER) 가브리엘라 코우칼로바 (CZE)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
2017–18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 쿠즈미나 아나스타시야 (SVK) 다랴 도메체바 (BLR)
2018–19 도로테아 위러 (ITA) 리사 비토치 (ITA) 쿠즈미나 아나스타시야 (SVK)
2019–20 도로테아 위러 (ITA) 티릴 에크호프 (NOR) 데니스 헤르만 (GER)
2020–21 티릴 에크호프 (NOR) 마르테 올스부 뢰이스랜드 (NOR) 프란치스카 프레우제 (GER)
메모들
운동선수별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막달레나 포르스베르크 (SWE)6006
2 카이사 마케라이넨 (FIN)3115
3 막달레나 노이너 (GER)3003
4 에바 코펠라 (SWE)2103
5 도로테아 위러 (ITA)2013
6 안피사 레츠소바 (RUS)2002
7 카티 빌헬름 (GER)1304
8 다랴 도메체바 (BLR)1225
9 앤 엘베박크 (NOR)1214
산나 그뢰니드 (NOR)1214
11 리브 그레테 스키엘브레드 푸아레 (NOR)1203
12 안드레아 헨켈 (GER)1124
앤 브리앙 (FRA)1124
토라 버거 (NOR)1124
15 산드라린 베일리 (FRA)1113
16 가브리엘라 코우칼로바 (CZE)1102
스베틀라나 파라미기나 (BLR)1102
티릴 에크호프 (NOR)1102
19 헬레나 에크홀름 (SWE)1023
20 그리 외스트비크 (NOR)1012
마르티나 글라고우 (GER)1012
스베틀라나 다비도바 (URS)1012
옐레나 골로비나 (URS)1012
24 에마뉘엘 클라레 (FRA)1001
지지나 아다미치코바 (TCH)1001
로라 달마이어 (GER)1001
메테 메스타드 (NOR)1001
나라별[5]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스웨덴92314
2 노르웨이711523
3 독일.781227
4 프랑스.33511
5 핀란드3126
6 벨라루스2327
7 이탈리아2215
8 소비에트 연방2136
9 러시아1214
10 체코1102
11 CIS1001
체코슬로바키아1001
13 우크라이나0224
14 캐나다0213
15 슬로바키아0112
16 불가리아0011
합계(16개국)393939117

여자 계전기

계절 위너 준우승 세 번째
2000–01 노르웨이 (190) 독일(188) 러시아(182)
2001–02 독일(250) 노르웨이 (221)
러시아(221년)
2002–03 러시아(339) 독일(327) 벨라루스(293)
2003–04 노르웨이(180) 러시아 (178) 독일(176)
2004–05 러시아(200) 독일(188) 노르웨이 (163)
2005–06 러시아(189) 독일(181) 프랑스(179)
2006–07 프랑스(189) 독일(188) 러시아(180)
2007–08 독일(200) 러시아 (178) 프랑스 (172)
2008–09 독일(288년) 프랑스(242년) 우크라이나(232년)
2009–10 러시아 (234) 독일(205) 프랑스(204)
2010–11 독일(206) 스웨덴(190) 러시아(177)
2011–12 프랑스(216년) 노르웨이(205) 러시아(192년)
2012–13 노르웨이 (314년) 우크라이나(298년) 독일(294년)
2013–14 독일(174) 우크라이나 (162) 노르웨이 (142)
2014–15 체코 (316년) 독일(302) 프랑스(266년)
2015–16 독일(235년) 우크라이나(234개) 프랑스(228)
2016–17 독일(300) 프랑스(248년) 우크라이나(224년)
2017–18 독일(228) 프랑스(200) 이탈리아 (169)
2018–19 노르웨이 (249) 독일(241년 프랑스(230)
2019–20 노르웨이 (360) 스위스(260) 독일(260)
2020–21 스웨덴(216) 독일(216년) 프랑스(204)
나라별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독일.89320
2 노르웨이5229
3 러시아43411
4 프랑스.23712
5 스웨덴1102
6 체코1001
7 우크라이나0325
8 스위스0101
9 벨라루스0011
이탈리아0011
합계(10개국)21222063

혼합 계전기

계절 위너 준우승 세 번째
2010–11 프랑스(150) 독일(148) 스웨덴(143)
2011–12 러시아 (143) 프랑스(138) 독일(128)
2012–13 노르웨이 (114) 러시아(98) 체코(96)
2013–14 체코 (114)
노르웨이 (114)
이탈리아(91)
2014–15 노르웨이(216년) 프랑스(197) 체코 (174)
2015–16 노르웨이 (264) 독일(252) 프랑스(223)
2016–17 독일(264개) 프랑스 (257) 오스트리아(201)
2017–18 이탈리아(188) 노르웨이 (188) 프랑스(179)
2018–19 노르웨이(306) 프랑스 (281) 이탈리아(266년)
2019–20 노르웨이(307) 프랑스(272년) 독일(265년)
2020–21 노르웨이 (228) 프랑스(211년) 스웨덴(210)
나라별 통계
순위나라은색청동합계
1 노르웨이7108
2 프랑스.1629
3 독일.1225
4 러시아1102
5 체코1023
이탈리아1023
7 스웨덴0022
8 오스트리아0011
합계(8개국)12101133

경주 우승자

아래는 개인 월드컵이나 올림픽 경기에서 5번 이상 우승한 모든 남녀 바이애슬렛의 목록이다. 이름이 굵은 바이애슬렛은 여전히 활동적이다.[6]

  • 업데이트됨: 2021년 12월 4일

대부분의 시작

아래는 개별 월드컵이나 올림픽 경기에서 가장 많이 선발된 모든 남녀 바이애슬렛 상위 10위 목록이다. 이름이 굵은 바이애슬렛은 여전히 활동적이다.

  • 업데이트됨: 2021년 3월 20일

참고 항목

참조

  1. ^ "Infront, BMW Germany Renew Partnership For IBU, IBSF, FIL Events". Sports Business Journal. 18 October 2017. Retrieved 3 December 2020.
  2. ^ "World Cup Biathlon Victories: How Many for Ole?". International Biathlon Union. 3 Dec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15 March 2016.
  3. ^ Nordvall, Michael (2017). Two Skis and a Rifle: An Introduction to Biathlon.
  4. ^ "Records Men Real Biathlon". RealBiathlo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6. Retrieved 17 March 2015.
  5. ^ "Records Women Real Biathlon". RealBiathlon.com. Retrieved 17 March 2015.
  6. ^ "Biathlon federation of Ukraine". www.biathlon.com.ua. Retrieved 2019-06-2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