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치녹

Bill Chinnock
빌 치녹
출생명윌리엄 치녹
태어난(1947-11-12)1947년 11월 12일
뉴어크, 뉴저지 주
죽은2007년 3월 7일 (59)
메인 주, 야머스
장르블루스

나라
계기보컬스
기타
키보드
년 활동19672007
레이블파라마운트 레코드
애틀랜틱 레코드
라운더 레코드
에픽 레코드
동부 코스트 레코드
관련 행위E 스트리트 밴드
로베르타 플랙
웹사이트www.billchinnock.com

빌 치녹 또는 빌리 치녹이라고도 불리는 윌리엄 치녹(William Chinnock, 1947년 11월 12일 ~ 2007년 3월 7일)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리스트였다.뉴저지 뉴어크에서 태어난 치녹은 이스트 오렌지밀번의 인근 에섹스 카운티 커뮤니티에서 자랐다.[1]는 1960년대 후반에 Jersey Shore 음악계의 저명한 멤버였으며, E Street Band의 미래 멤버를 포함하는 선두 밴드였다.이후 쇼어를 떠나 뉴욕시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시간을 보낸 뒤 결국 메인주 야머스에 정착했다.1987년, 그는 "Somewhere in the Night"가 "Search for Tomorrow"의 주제로 사용된 후 에미상을 수상했다.그가 로베르타 플랙과 함께 녹음한 듀엣곡 'Hold On To Love'도 가이딩 라이트(Guiding Light)의 주제곡으로 수록됐다.[2][3]

저지 쇼어 밴드 리더

1967년, 치녹은 NJ의 밀번에서 살고 있었고, 짐 멜처(주인공), 빌 울프(베이스), 칩 갤러거(드럼스)가 출연하는 The Storytellers라는 밴드를 이끌었다.이후 대니 페데리치(키보드)를 영입했고, 비니 로페즈도 이 밴드에 합류하기 위해 오디션을 봤다.The Storytellers는 "Cry With Me" / Little Boy Sad"라는 싱글 앨범을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저지 쇼어에서 히트를 쳤다.그것은 Freehold, Middletown, Asbury Park헐라발루 클럽에서의 정규 공연과 지역 TV 출연으로 이어졌다.다음으로 치녹은 페데리시, 로페즈, 웬델 존(bass)이 출연하는 다운타운 탕게르 밴드를 이끌었다.1968년, 그들은 코펠만 & 루빈 레코드와 함께 앨범을 녹음했지만, 프로듀서는 음반과 함께 사라졌고, 그것은 공개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녹음된 것으로 추정되는 곡으로는 치녹 원곡 '뱀 물어뜯기', '번 베이비 번', '크라운 주류' 등이 있었다.그들은 또한 일렉트릭 서커스를 연주했고 조슈아 라이트 쇼와 함께 순회 공연을 했다.이 밴드의 생애 말기에 존스는 게리 탈렌트로 대체되었지만, 치녹이 잠시 메인주로 이사하면서 밴드는 해체되었다.페데리치와 로페즈는 이후 브루스 스프링스틴, 비니 로슬린과 함께 제철소를 설립했다.스틸밀이 연주한 곡 중에는 친녹의 '크라운 주류'도 있었다.1969년까지 친녹은 메인주에서 돌아와 탈렌트, 바비 윌리엄스(드럼스), 대니 만솔리노(키보드)와 함께 새로운 밴드인 글로리 로드(Glory Road)를 결성했다.1970년 6월 21일, 그들은 스틸 밀의 개업지인 뉴저지 애틀랜틱 하이랜드의 클리어워터 수영 클럽에서 경기를 했다.만솔리노는 후에 젊은 데이비드 산커스에 의해 밴드에서 교체되었지만, 그들은 친녹이 간염과 모노에 걸린 후 결국 헤어졌다.그는 8개월 동안 침대에 누워 있었고 거의 죽을 뻔했다.한편 탈렌트와 산시오스는 로페즈, 페데리치와 함께 뉴저지 애즈버리 파크에 있는 더 업스테이지에 기반을 둔 여러 단명 밴드에서 함께 연주하기 시작했다.그들은 브루스 스프링스틴 & 더 프렌들리 적인츠, 선댄스 블루스 밴드, 닥터 줌 & 더 소닉 붐 그리고 브루스 스프링스틴 밴드를 포함했다.이 밴드들은 결국 E 스트리트 밴드로 진화할 것이다.[4][5][6][7][8][9][10] 비록 Chinnock은 나중에 Shore에서 멀어졌지만, 그는 The Stone Pony와 The Fast Lane에 출연하면서 그의 녹음 활동 내내 정기적으로 그곳에서 경기하기 위해 돌아왔다.[11][12]1982년 6월 26일, 빅맨스웨스트에서 연주하는 동안, 그는 스프링스틴에 의해 "루실"의 연출을 위해 무대에 올랐다.[13]

기록경력

치녹은 병에서 회복된 후, 뉴저지 해안을 떠나 잠시 뉴욕 시로 이동한 후 메인주에 정착했다.그는 결국H. 해먼드의 추천으로 파라마운트 레코드에 계약되었다.Hammond는 일찍이 Bruce SpringsteenColumbia Records에 서명했었다.1975년 데뷔 앨범 빌 치녹 블루스를 발매하였다.는 또한 톰 다우드가 제작한 파라마운트와 함께 두 번째 앨범인 로드 마스터를 녹음했는데,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고 있다.1976년 그는 노스 컨트리 레이블에 "Alive Att The Loft"라는 EP를 발매했다.1977년 친녹은 자신의 세 번째 정규 LP인 배들랜드를 자신의 레이블인 노스 컨트리 레코드에 발매했다.이 앨범에는 비니 로페즈, 랜디 브레커, 마이클 브레커, 그리고 어린 아이린 카라의 노래가 일부 배경 보컬을 제공했다.발매 직후, 치녹은 그에게 사인을 하려는 몇몇 주요 음반사들 사이의 싸움에 불을 붙였다.아틀란틱 레코드와 계약한 후, 라벨은 스트링, 스튜디오 뮤지션 추가, 보컬 백싱 등을 추가하며 앨범 리믹스를 주장했다.[14]많은 팬들은 원곡을 특별하게 만든 "원래와 배짱이 있는" 사운드의 아틀란틱의 "쾌감"에 실망했다.[14]불행하게도, 이 앨범의 주요 레이블 재출시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히트 앨범 "Darkness on the Edge of Town"의 발매와 동시에 이루어졌는데, 이 앨범에는 "Badlands"라는 곡도 수록되어 있어, 치녹의 앨범 리셉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1977년 발매된 앨범의 오리지널 믹스는 2019년 발매 이후 처음으로 리마스터된 CD 형태로 재발매되었다.[15]그의 1980년 앨범 "Dime Store Heroes"는 아틀란틱, 노스 컨트리, 라운더 레코드 레이블에 발표되었고, 그 중에서도 데이비드 산본, 하우 와이에스, 윌 , 토니 레빈, 앤디 뉴마크와 함께 작업하는 것을 보았다.[6][8][16]

1980년대 초 치녹은 다음 두 장의 앨범을 제작한 프로듀서 해롤드 브래들리와 함께 일하기 위해 테네시주 내슈빌로 이사했다.원래 내슈빌에 본사를 둔 레이블인 Alliance Records에 의해 발매된 그의 1985년 로큰롤 카우보이즈는 이후 에픽 레코드에 의해 다시 혼합되어 다시 발매되었다.객원 음악가 중에는 맥스 와인버그가 있었다.1987년 에픽 릴리즈 "현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학습"은 "Somewhere In The Night"로 작은 히트 싱글을 제작했다.이 곡은 또한 비누 Search for Tomorrow의 주제곡으로도 사용되어, 1987년 치녹이 에미상을 수상하는 결과를 낳았다.이 친녹은 이후 에픽과 그의 다음 앨범 Thunder In The Valley에 의해 삭제된 자신을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다시 아틀란틱으로 돌아왔다.1990년 앨범은 Craig Krampf (드럼스), Steve Hill (bass), Rex Stemn (guitar) 그리고 Clayton Ivy (피아노)를 포함한 그룹인 Billy & The American Suns에게 돌아갔다.그의 이전 두 앨범과 마찬가지로 내슈빌에서도 녹음되었다."Just Another Falling Star"라는 곡은 원래 친녹이 Towntown Tangiers 밴드와 함께 공연한 곡이다.[2][16][17][18]

1991년 치녹은 메인주로 돌아왔고 이듬해에는 자신의 레이블인 East Coast Records에 Out On The Borderline을 발매했다.게스트 뮤지션 중에는 'Take This Heart of Mine'이라는 곡도 공동 작곡한 더 두비 브라더스의 마이클 호삭이 있었다.1988년 스프링스틴 팬사인 백스트릿은 친녹이 실제로 마이클 맥도날드의 대체자로 두비브라더스에 합류했다고 보고했다. 1992년 친녹, 대니 페데리치가리 탈렌트도 다운타운 탕게르 밴드를 부활시키려 시도했고 몇몇 세션은 녹음했지만 현재까지 아무것도 공개되지 않았다.[6][16][19][20]치녹의 마지막 앨범 리빙 인 언약드랜드(Livin' In The Promed Land)는 2003년 이스트 코스트 레코드에서 다시 발매되었다.치녹의 마지막 음반 중 하나는 "No Christmas in New Orleans"로, 2005년에 허리케인 카트리나 희생자들을 돕기 위해 녹음된 필 오치의 "No Christmas in Kentucky"의 재작곡이다.[16]

만년

그의 생의 마지막 무렵 치녹은 라임병을 앓았다.[citation needed]

2007년 3월 7일, 치녹이 사망했다는 보고가 있었다.그의 매니저 폴 파파스는 후에 WCSH-TV에 치녹이 자살했다고 말했다.

치녹은 그의 아내 테리와 아들 윌리엄과 존이 생존했다.친녹과 함께 살던 어머니는 열흘 전에 돌아가셨었다.[2][3]

2010년 4월, 다임 스토어 히어로즈 CD의 리마스터 버전이 발매되었다.이 CD에는 치녹의 2003년 스톤 포니 콘서트에서 라이브로 발매된 적이 없는 네 곡이 들어 있었다.한정판 DVD 커리어 회고전도 수록했다.빌 치녹의 삶과 음악을 기념하기 위해 2010년 3월 스톤 포니에서, 2010년 4월 메인주 포틀랜드에서 두 번의 CD 발매 콘서트가 열렸다.

음반 목록

  • 빌 치녹
    • 빌 치녹 블루스 (1974년)
    • 도로 마스터(1975 - 미공개)
    • 로프트에서 살아 있음 (EP)(1976)
    • 배들랜드(1977 - 1978년 재발행)
    • 다임 스토어 히어로즈 (1980)
    • 록앤롤 카우보이(1985)
    • 현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학습 (1987년)
    • 아웃 온 더 보더라인 (1992)
    • 약속된 땅의 리빈(2003)
  • 빌리 & 더 선스
    • 썬더 인 더 밸리 (1990)
  • 스토리텔러즈
    • "Cry to Me" / "Little Boy Sad"(1968년)

참조

  1. ^ Jay Lustig (2010-03-26). "Bill Chinnock tribute hits the Stone Pony on Saturday". NJ.com. Retrieved July 12, 2014.
  2. ^ a b c [1] 2009년 4월 26일 웨이백머신보관
  3. ^ a b "'Legend of North Country' Bill Chinnock dies at 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rch 2007. Retrieved January 21, 2020.
  4. ^ "Brucebase - 1949-1964". Brucebase. Retrieved 2014-07-12.
  5. ^ "Steel Mill Retro". Steel Mill Retro. Retrieved 2014-07-12.
  6. ^ a b c "Welcome to the Bill Chinnock Web Site". Billchinnoc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3. Retrieved 2014-07-12.
  7. ^ "Garry's Corner, The tribute page to Garry W. Tallent". Perso.wanadoo.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2. Retrieved 2014-07-12.
  8. ^ a b 백스트릿 #28 1989년 봄: 빌리 치녹의 배드랜드
  9. ^ 찰스 R.크로스: 백스트릿 - 스프링스틴: The Man And His Music (1989년)
  10. ^ "Brucebase - 1970". Brucebase. Retrieved 2014-07-12.
  11. ^ 백스트릿 #31 겨울 1990년
  12. ^ [2] 2005년 3월 19일 웨이백머신보관
  13. ^ "Brucebase - 1982". Brucebase. Retrieved 2014-07-12.
  14. ^ a b "Bill Chinnock". Billchinnock.com. Retrieved January 21, 2020.
  1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2-12. Retrieved 2019-12-12.{{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16. ^ a b c d "Cellar Do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09. Retrieved January 21, 2020.
  17. ^ 백스트릿 #19 1987년 겨울
  18. ^ 백스트릿 #32 1990년 봄
  19. ^ 백스트릿 #40 1992년 여름
  20. ^ 백스트릿 #24 1988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