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마 술탄국
Bima Sultanate비마 술탄국 | |||||||||||||
---|---|---|---|---|---|---|---|---|---|---|---|---|---|
c. 1640–1958 | |||||||||||||
자본 | 비마 | ||||||||||||
공용어 | 비마, 셈바와, 게당, 시카 | ||||||||||||
종교 | 이슬람교 | ||||||||||||
정부 | 이슬람 군주국 | ||||||||||||
술탄 (루마) | |||||||||||||
• 1620–1640(첫 번째) | 압둘 카히르 | ||||||||||||
• 1915–195 (마지막) | 무하마드 살라후딘 | ||||||||||||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 |||||||||||||
• 1636–1645 (첫 번째) | 앤서니 판 디멘스 | ||||||||||||
• 1936–196 (마지막) | 알리디우스 티르다 판 스타켄보르흐 스타커우워 | ||||||||||||
역사시대 | 인도네시아 이슬람 확산과 네덜란드 식민지화 | ||||||||||||
• 이슬람화 | c. 1640 | ||||||||||||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로의 수저랭티 | 1667 | ||||||||||||
• 인도네시아로의 흡수 | 1958년 8월 17일 | ||||||||||||
통화 | 네덜란드령 인도령 | ||||||||||||
| |||||||||||||
오늘의 일부 | ![]() |
인도네시아의 역사 |
---|
![]() |
타임라인 |
![]() |
비마 술탄국(Bima)은 인도네시아의 셈바와 동부에 있는 무슬림 국가로서, 현재의 비마 섭정이 있던 자리에 있었다.[1]인도네시아 이 지역에서 이슬람의 동쪽 한계를 형성하고 마카사레스와 말레이 모델에서 영감을 받아 엘리트 문화를 발전시킨 지역적으로 중요한 정치였다.비마는 1669년부터 1949년까지 간접 식민지 지배를 받았으며 1958년에 술탄국가가 되었다.
역사
오리진스
초창기부터 셈바 섬은 셈바와, 탐보라, 돔푸, 페카트, 상가, 비마라고 불리는 여섯 개의 왕국으로 나뉘었다.이 중 마지막 네 사람은 플로레스어와 셈바의 언어와 관련된 비만족의 언어인 응가히 음보조를 말했다.힌두교-불교 비마 왕국은 비마 술탄국가의 선구자였으며 아마 11세기경에 세워졌을 것이다.[2]이 왕국의 토착 이름은 음보조다.현지 역사 전설은 신화 속의 영웅 비마의 아들이자 금빛 용녀의 아들이며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두 형제를 말한다.그들은 사톤다 섬에서 셈바와에 도착하여 이 땅의 통치자로 인정받았다.[3]15세기와 16세기의 비마에 대한 역사적 출처는 거의 없다.적어도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정부의 제도가 술라웨시의 고와 왕국에 만연한 제도에 부분적으로 적응되었다.상아지(왕)와 투렐리 응암포(전임 섭정) 외에 임명한 투렐리(장관), 제넬리(소속 군수), 겔라랑(마을 두목) 등이 왕국의 행정에 포함되었다.포루투갈인 토메 피레스(1515년)가 비마가 의류, 말, 노예, 브라질 우드를 수출했다고 증언한 것처럼 해운과 상업은 급속히 성장했다.[4]초기에는 자바(Java)가 주요 문화 참조자였지만, 이후 술라웨시 남부와 관계가 중요해졌다.배와 배는 수와 질이 높아졌고 고와 제국이 지탱하는 항해와 상업의 패턴을 따랐다.
왕국의 정치적 통합이 증가함에 따라, 국토의 보안도 강화되었다.육해군의 시설, 그리고 무기의 질이 갱신되었다.렌다라는 관리가 군단장을 지냈다.해군은 파비즈라고 불리는 제독이 이끌었다.이리하여 15세기 말에 비마 음보조 왕국은 고오와 테르나테의 편에 있는 동쪽 군도의 붐비는 상업 중심지로 진화하였다.당시 비마 음보조 왕국은 롬복과 비슷한 이 지역의 쌀 저장고였다.
그 왕국은 문학, 예술, 문화 분야의 발전을 보았다.역사적 전통은 마와 빌마나, 망감포 동고라 불리는 두 왕자가 술라웨시에 있는 고와로 보내져 유용한 지식을 얻었다고 주장한다.몇 년 후 그들은 돌아와 습득한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를 개혁하고, 젖은 논을 계획하며, 관개 체계를 개선하고, 지역 관리인을 임명했다.[5]이후 왕이 된 망감보 동고는 고와에게 배운 문자 체계를 도입하였다.그것은 결국 음보조 알파벳으로 알려진 체계가 되었다.고와의 예술과 문화는 지역사회에서 연구되고 발전되었다.그렇게 해서 마카사르와 부기스의 예술과 문화와의 닮은 점이 많은 음보조 문화예술이 탄생하게 되었다.
비마 음보조 왕국의 영토는 서쪽에 있는 사톤다에서 섬까지, 셈바와 동쪽까지 뻗어 있었다.전통에 따라 망가라이, 엔데, 플로레스의 라란투카, 셈바, 소우, 알로르, 솔로 등이 의존했다.이 지역에서의 확장은 16세기 중반 무렵 번영했을지도 모르는 빌마나 왕의 아들인 라 음빌라와 라아라에 의해 행해졌다.[6]비마 음보조 왕국은 AD 16세기 말경 망감포 동고의 아들 산가지와 나이다파 마가 죽을 때까지 번성하였다.
술탄국가가 되는 것
마카사르 왕국은 17세기 초, 일부분은 군도에 이슬람을 전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모든 방면에서 일련의 군사작전을 전개하였다.셈바와는 1618년, 1619년, 1626년에 세 차례의 원정을 통해 공격을 받았다.침략의 한 근거는 마카사르가 확장정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쌀의 배달을 확보하는 것이었다.[7]보(비마궁의 옛 역사적 사건 기록)에 기록된 비만족의 전통에 따르면, 왕번호 16세(XXI, 다른 백작 XXI)인 만타우 아시 사와가 마카사르와 동맹 계약을 맺었다.그가 죽었을 때, 사위의 아들과 후계자를 사냥 파티 도중 죽인 살리시 왕자에 의해 권력이 강탈되었다.사워의 작은 아들 라 카이는 동쪽의 테케로 도망쳐 마카사레스와 동맹을 맺었다.그는 라비울라왈 1030 AH 15년(1621년 2월 7일)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유명한 선교사 다토 리 반당으로부터 신앙 교육을 받았다.살리시는 한동안 마카사레세군에 저항하는 데 성공했으나 결국 비마네그란데 라 음빌라가 이끄는 술라웨시 출신의 함대에 패했다.[8]
라 카이는 '타 마 바타 와두 루마'(돌무덤을 가진 자)라는 제목으로 왕번호 XXVII로 설치되었다.보에 따르면, 이 왕은 카랑 카수아랑의 딸인 댕 시콘투라는 마카사르의 술탄 알라우딘의 아내의 여동생과 결혼했다.지금까지 상가지 비마라는 칭호로 알려진 이 왕은 비마의 "술탄"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이슬람교 이름인 술탄 압둘 카히르를 채택했다.그의 마카사레스의 후원에 대한 반란이 1632-33년에 일어났으나 술라웨시 출신의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1640년 술탄 비마 1세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시라주딘이나 술탄 아부엘-케어가 그의 뒤를 이어 술탄 비마 2세가 되었다.1627년(라마단 1038 H) 4월에 태어났으며, 우마 티크 루마라는 칭호를 얻었다.라 음빌라(La Mbila)라는 이름도 붙었고, 마카사레세(Makassarese)는 그를 "I Ambela"라고 불렀다.그는 1646년 9월 13일(22라자브 1066 AH) 마카사르의 술탄 하사누딘의 누이동생인 카렝 본토 제네와 결혼했다.아부엘케르 시라예딘은 1640년(1050 H)에 술탄 비마 2세로 즉위하였다.[9]그는 셈바와 밖에서 여러 번 마카사르를 도와 전쟁을 벌인 어떤 능력을 가진 사람이었다.이제 말레이인 일행 6명과 함께 비마에 도착한 전도사 다토 마하라얄라의 노력으로 이슬람의 영향력은 더욱 깊어졌다.정부 체계가 바뀌어 '하닷과 이슬람 율법'에 근거하게 되었는데, 다시 말해 토착 풍습과 종교 원칙이 혼합된 것이다.술탄 비마 13세(Sultan Ibrahim, 1881-1915)의 치세까지 유효했다.1682년(라자브 1099 AH 17) 7월 22일 사망하였고, 톨로발리에 묻혔다.
아부바카르 술탄 누루딘 알리 시라는 술탄 아부일케르 시라주딘의 아들이었다.그는 1651년 12월 5일(29 Dhul-Hijah 1061 AH)에 태어났다.마카사레스는 그에게 "붕 마파라 딘 다엥 마탈리 카라엥 파나라강"이라는 타이틀을 주었다.새로운 술탄은 1682년(Dhul-Hijah 1093 AH)에 왕위에 올랐다.1684년 5월 7일(주마다 1095H)에 라자 탈로 카라엥 랑케세의 딸 다메망 다엥과 결혼하였다.이리하여 마카사레 공주와 결혼하는 정책은 끊임없이 있었는데, 이 전통은 네덜란드 초저체제가 도입된 지 오래인 18세기 중반까지 유지되었다.그가 죽은 후, "마 루마 와 파주"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는데, 그가 "파주 몬카"로 알려진 노란 파라솔을 처음 가졌기 때문이다. 파라솔은 동남아시아에서 왕권의 중요한 상징이었다.[10]
초현대적인 비만 주(州)는 그 시대 동안 현저하게 구조화된 것으로 특징지어 왔다.사회는 루마와 라토라는 두 귀족계급과 자유민계급인 두마르디카로 나뉘었다.그 아래에는 노비의 범주가 있었는데, 그들은 플로레스나 셈바의 망가라이에서 종종 끌려나왔다.인구는 다리라 불리는 다수의 태스크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세습 직업에 따라 규정되었기 때문에 때로는 유럽의 길드에 비유되기도 했다.왕과 그의 비지어(Ruma Bicara), 왕실의회는 마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비교적 안정된 사회를 보장할 수 있었다.[11]
네덜란드 군함
마카사르 제국 아부엘케르 시라예딘의 통치 기간 동안 1667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에 완패했고, 1669년에 다시 한번 패했다.그 결과 마카사레스는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그들의 방대한 소유물들을 잃었고, 그 중에는 셈바와에 대한 그들의 통치권도 포함되어 있었다.비마 술탄국은 1669년 12월 8일 바타비아(자카르타)에서 서명한 협정으로 VOC에 항복했다.[12]
심바와에 있는 비마와 다른 다섯 왕국의 위치는 처음에는 VOC의 후순위 동맹국들의 위치였다.비마는 이 섬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인이었기 때문에 술탄의 궁정 근처에 네덜란드식 포스트휴더가 배치되었다.식민지 지배자들은 셈바완 숲으로부터 값진 삽판우드의 인도 확보에 열심이었고, 1874년까지 지속된 목재 수출 독점권을 시행했다.네덜란드의 존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미했고, 비마는 대체로 자신의 일을 처리했다.술라웨시와의 문화적 유대는 단절되지 않았으며, 이는 비만과 마카사레스의 귀족들 사이의 부부 관계에서 나타났다.정치적으로 비마는 이 지역의 비무슬림 땅을 장악하려고 했다.술탄국가는 셈바에 대해 막연한 체하고 플로레스의 망가라이에서 영향력을 놓고 마카사와 다투었다.마카사레스 공주는 1727년 비만 왕자와 결혼하였고, 마카사르 궁정은 망가라이를 선랑(선랑)으로 주장하여 이 지역에 대한 오랜 분쟁으로 이어졌다.[13]술탄국은 1815년 탐보라 화산이 폭발하면서 파괴와 심각한 기근을 초래하면서 재앙을 맞았다.
그렇지 않으면 19세기는 술탄국 역사에서 비교적 평온한 시기였다.그러나 네덜란드의 식민지 국가는 점점 더 지역 지배구조를 통제하려고 노력했다.1905년 비마는 '도둑'(leen)으로 변했고 술탄 이브라힘은 대외 무역에 대한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또한, 과세는 식민지 당국에 의해 재편되고 처리되었다.유럽 침해가 증가하면서 몇 가지 작은 반란이 일어났는데, 특히 1908년에서 2009년 닐리에서 그랬다.[14]1920년 비마는 망가라이에 대한 지배권을 잃었지만, 술탄은 1928년 비마와 합병한 이웃 왕국 상가르와 부분적으로 보상받았다.일본은 1941-42년 네덜란드 동인도 제도를 침공했고, 셈바와에 대한 네덜란드 행정부는 순식간에 와해되었다.일본인 거주자들은 비마 술탄과 (웨스트) 셈바와를 제자리에 두고 술탄 무함마드 살라후딘이 또 다른 이웃인 돔푸 술탄국을 자신의 영역에 편입시키는 것을 허락했다.1945년 8월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 비마의 술탄은 처음에는 새로운 공화국을 편애했다.그러나 네덜란드는 셈바와에 대한 그들의 이전 입장을 재빨리 되짚어 무함마드 살라후딘에게 자신의 술탄 가문에 돔푸를 돌려주도록 강요했다.동부 군도의 큰 부분과 함께, 이 섬의 술탄들은 1946년 12월 네덜란드에서 만든 새로운 준주 인도네시아에 합류하라는 압력을 받았다.이 주는 결국 1949년 인도네시아 연방공화국에 가입했고 이듬해 해산됐다.술탄 무함마드 살라후딘은 1951년 자카르타에서 사망했다.그의 아들 압둘 카히르는 1953-57년 자치령(케팔라 대라 스와프라자)의 수장을 지냈다.1958년 마침내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의해 셈바완 주권이 폐지되고 근대적 관료체제로 대체되었다.[15]
지배자 목록
- 인데라 잼브루트
- 바타라인데라비마(아들)
- 바타라상루카(아들)
- 바타라상비마(아들)
- 바타라 마트라 인다르와타 (아들)
- 바타라 마트라 인데라타라티 (형)
- 망감포 자와(아들)
- 푸테리 라트나 라일라(누나)
- 마하라자 인데라 쿠말라(형)
- 바타라 인데라 루카(아들)
- 마하라자 비마 인데라 세리(아들)
- 마와에 파주롱게(아들)
- 마와에 인데라 음보조(형제)
- 마와 빌마나 (형)
- 망감포동고(형)
- 맘보라 바 필리 투타 (아들)
- 투렐리 응감포(마와 빌마나의 아들)
- 마와에 은다파(망감포 동고의 아들)
- 루마 사마라 (아들)
- 루마 사리스 (형)
- 루마 만타우 아시 사오(형)
- 루마 마누루 사레이(형)
- 투렐리 응암포
- 맘보라 디 사페가 (맘보라 바 필리 투타의 아들)
- 만토 아시 페카 (마와에 은다파의 아들)
- 압둘 카히르(루마 만토 아시 사오의 아들) c. 1620-1640
- 암벨라 아부일케르 시라주딘(아들) 1640-1682
- 누루딘 아부바카르 알리 시아(아들) 1682-1687
- 자말루딘 알리 시아 (아들) 1687-1696
- 하사누딘 무함마드 알리 시아 (아들) 1697-1731
- 알라우딘 무하마드 시아 (아들) 1731-1748
- ((딸) 1748-1751
- 압둘 카딤 무함마드 시아 (형제) 1751-1773
- 압둘 하미드 무하마드 시아 (아들) 1773년-1817년
- 이스마일 무함마드 시아 (아들) 1817-1854
- 압둘라 (아들) 1854-1868
- 압둘 아지즈 (아들) 1868년-1881년
- 이브라힘 (형) 1881-1915
- 무하마드 살라후딘 (아들) 1915-1951년
- 압둘 카히르(아들) 영토수반장 1954-1957
참고문헌
메모들
- ^ 영어권에서는 비마어의 언어학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비마 술탄국의 유일한 고유명칭인 비마어 언어학은 라틴어 대본으로 쓰여 있다.
인용구
- ^ Haris, Thawaluddin (1997). Kerajaan tradisional di Indonesia: Bim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RI. p. 89.
- ^ Kahin, Audrey (2015). Historical Dictionary of Indonesia. Rowman & Littlefield. p. 73. ISBN 978-0-8108-7456-5.
- ^ 히치콕, 마이클(1996), 이슬람교와 동인도네시아의 정체성.헐: 헐 프레스 대학, 31페이지.
- ^ 헤거달, 한스(2017), 홀드스 수바와의 역사.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 대학 출판부, 31페이지[1]
- ^ 헤거달, 한스(2017), 페이지 58.
- ^ 헤거달, 한스 (2017), 페이지 55.
- ^ 헤거달, 한스(2017), 페이지 64.
- ^ 참베르-루아르, 앙리(1985) '다토' 리 반당.Légendes de l'islamization de la région de Celébes-Sud', 군도 29, 페이지 152.
- ^ "Sejarah Bi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1. Retrieved 9 January 2013.
- ^ "Sejarah Bi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1. Retrieved 9 January 2013.
- ^ 헤거달, 한스(2017), 페이지 14.
- ^ "Dana Ro Rasaku Mbojo Mantika Moc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3. Retrieved 9 January 2013.
- ^ 노오르두앵, 야코부스(1987) 비마엔 셈바와.도드레흐트:포리스, 54페이지
- ^ 타집, H. 압둘라 (1995) 세자라 비마 다나 다나 음보조.자카르타: 하라판 마사, 페이지 262-9.
- ^ 히치콕, 마이클(1996), 페이지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