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마어
Bima language비마 | |
---|---|
응가히 음보조 | |
![]() 비마(음보조) 대본의 'Aksara Mbojo' | |
네이티브: | 인도네시아 |
지역 | 셈바와 |
민족성 | 비만어 |
원어민 | (50만 명 1989년 인용)[1] |
방언 |
|
라틴어, Lontara 스크립트(Mbojo 변종) | |
언어 코드 | |
ISO 639-3 | bhp |
글로톨로지 | bima1247 |
ELP | 비마 |
비마어 또는 비만어(비마어: 응가히 음보조, 인도네시아어:바이마(Bahasa Bima)는 인도네시아 셈바 섬 동쪽 반쪽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로서, 셈바어(Sumbawa language)의 스피커와 함께 사용한다.비마 영토에는 한때 멸종된 파푸아어 탐보라어가 사용되었던 상가르 반도가 포함된다."비마"는 익명이고, 영토의 자동 명칭은 "음보조"이며, 그 언어를 "응가히 음보조"라고 부른다.50만 명이 넘는 비마 스피커가 있다.비마족도, 셈바족도 부기족과 말레이어의 알파벳을 무관심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그들만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지 않다.[2]
분류
오랫동안 동남쪽으로의 셈바 섬의 언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어온 이 가정은 블러스트(2008)에 의해 반박되어 왔으며, 블러스트(2008)는 비마를 중앙-동방 말레이-폴리네시아의 하위그룹 내의 일차 지부로 만든다.[3]
분배
비마는 주로 인도네시아의 셈바 섬 동쪽 절반에서 사용된다.반타 섬, 산양 섬, 코모도 섬에서도 쓰였다.[4]
방언
에트놀로그에 따르면 이 언어의 방언에는 코로, 산가르(상가), 토라토리, 비마, 음보조가 있다.
동고는 도로오롬보하 지역의 도로 니티카 등 비마만 서쪽 산악지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비마의 주요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그것은 이전에 주로 기독교도와 애니미스트였던 약 25,000명의 사람들에 의해 쓰여진다; 많은 사람들이 주로 결혼의 결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5]
음운론
자음
라비알 | 치조류 | 구개체 | 벨라르 | 글로탈 | ||
---|---|---|---|---|---|---|
콧물 | m | n | ɲ | ŋ | ||
플로시브/ 애프랙레이트 | 무성음의 | p | t | t | k | ʔ |
목소리 있는 | b | d | dʒ | ɡ | ||
애원하는 | ɓ | ɗ | ||||
프리커티브 | f | s | h | |||
측면 | l | |||||
트릴 | r | |||||
근사치 | w | j |
모음.
앞면 | 중앙 | 뒤로 | |
---|---|---|---|
가까운. | i | u | |
중앙의 | e | o | |
개방하다 | a |
모음 /i e o u/는 [ɪ ɛ ɔ ʊ]로서 [6]allopone을 단축시킬 수 있다.
참조
- ^ Ethnologue의 Bima (2015년 18차 개정판) (가입 필요)
- ^ Prichard, J. C. (1874). Researches into the Physical History of Mankind. Vol. 5: Containing Researches Into the History of the Oceanic and of the American Nations. London: Sherwood, Gilbert, and Piper. ASIN B0041T3N9G.
- ^ Blust, R. (2008). "Is There a Bima-Sumba Subgroup?". Oceanic Linguistics. 47 (1): 45–113. doi:10.1353/ol.0.0006. JSTOR 20172340. S2CID 144311741.
- ^ 에트놀로그
- ^ Just, P. (2001). Dou Donggo Justice: Conflict and Morality in an Indonesian Society. Oxford: Rowman & Littlefield.
- ^ Tama, I Wayan; Sukayana, I Nengah; Partami, Ni Luh; Z.M., Hamidsyukrie (1996). Fonologi Bahasa Bima.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Jakarta.
추가 읽기
- Jonker, J. C. G. (1893). Bimaneesche Texten [Bima Texts] (in Dutch). Batavia: Landsdrukkerij.
- Jonker, J. C. G. (1896a). Bimaneesch-Hollandsch Woordenboek [Bima-Dutch Dictionary] (in Dutch). Batavia: Landsdrukkerij.
- Jonker, J. C. G. (1896b). Bimaneesche Spraakkunst [A Grammar of Bima] (in Dutch). Batavia: Landsdrukkerij.
외부 링크
- 파라다이스c는 2005년 언어 문서 수업에서 비마의 공개 액세스 레코드와 로버트 블러스트의 일부 레코드를 소장하고 있다.
- 카이풀로호네는 또한 비마 녹음을 포함한 로버트 블러스트의 자료의 오픈 액세스 컬렉션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