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북스 (정)

Black Books (Jung)
블랙 북스
Black-Book-Fig-1.jpg
1913년 11월 12일, 정씨의 블랙 북 저널 2가 초입에 개설되었다.
작가칼 구스타프 융
원제목블랙 북스 1913-1932.변혁의 노트북
번역기마르틴 렙셔
존 펙
소누 샴다사니
출판사필레몬재단과
W. W. Norton & Co.
발행일자
2020
페이지1.648
ISBN9780393088649

블랙북스》는 칼 구스타프 융이 주로 1913년에서 1932년 사이에 기록한 7개의 사설 학술지 모음집이다.이들은 최종 5개 저널 표지(실제 처음 두 저널은 갈색 커버를 가지고 있다)의 색깔 때문에 "블랙 북스"로 언급되어 왔다.

저널 계정 중 특히 관심 있는 부분은 1913년 11월 12일 밤 7개 저널 중 두 번째 저널에서 시작된다.평소 일상사에 신경 쓰지 않고 마음의 내용과 대결로 구성되는 자신에게 어려운 '실험'을 하게 된 것이 정씨의 동기였다.이 저널의 출품작들은 다음 몇 년 동안 계속되며 다음 여섯 권의 공책을 채운다.칼 융은 이 공책에서 '의식과의 대화'라고 불려온 변혁기 동안의 상상력과 선견지명이 있는 것이다.[1]이 경험의 대장은 융의 <붉은 책:리버 노부스> 본문의 기초가 되었다.학술지 출품작의 대다수는 1920년 이전에 작성되었지만, 융은 적어도 1932년까지 이따금 출품작들을 계속했다.[2]"블랙북스"는 소누 샴다사니가 <레드북: 리버 노버스>의 사설에서 인용되고 가끔 인용되기도 하지만,[3] 이 저널들은 그렇지 않으면 이전에는 학술 연구를 할 수 없었다.[4]

컨텍스트 및 내용

융은 이러한 고의적으로 유발된 환상이나 비전을 '블랙북스'에 기록했다.이들 학술지는 융이 자신의 '가장 어려운 실험'[5]에 동시대의 임상 기록으로, 혹은 훗날 그가 '세계의 다른 극으로 향하는 발견의 항해'라고 묘사한 것이다.[6]그는 나중에 그 과정을 "모토피아적 상상력"[7]이라고 불렀다.그 사건들과 비전은 "블랙북"지에 밤마다 기록되었다.1913년 11월 12일 첫 번째 항목은 다음과 같은 청원으로부터 시작된다.

내 영혼, 내 영혼, 어디 있는 거야?내 말 듣고 있는 거야?나는 말하고, 나는 너를 부르지. 거기 있니?돌아왔어, 또 왔어나는 내 발에 있는 모든 땅의 먼지를 흔들어 주었고, 나는 너에게로 왔다. 나는 너와 함께 있다.오랜 방황 끝에 다시 그대에게 찾아왔네....

아직도 날 알아?이별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가!모든 것이 너무나 달라졌다.내가 어떻게 널 찾았지?내 여행이 얼마나 이상한지!좋은 별이 어떤 꼬인 길을 안내해 주었는지, 어떤 말을 써야 좋을까?거의 잊혀진 내 영혼, 너의 손을 내게 줘.너를 다시 보게 되어 얼마나 기쁜지, 이 영혼은 오래도록 실의에 빠져 있었다.삶은 나를 다시 당신에게로 인도했다. ...내 영혼아, 내 여정은 너와 함께 계속되어야 해.나는 너와 함께 방황하며 나의 고독으로 올라갈 것이다.[8]

이 기록은 1914년 여름까지 점점 더 강렬하게 계속된다.1914년 6월에서 1915년 늦여름 사이에 일기장에 공백이 생겼다.이 기간 동안 융은 그의 첫 번째 리베르 노부스의 원고를 초안했다.

1914년 8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융은 전년도 자신의 비전적인 경험이 개인적인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문화적 순간과 얽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1914년 말과 1915년 그는 완성된 세 개의 저널에서 각 상상력 있는 에피소드에 대한 해설을 원고 초안에 추가하면서 비전을 정리했다. 초안은 레드북의 시초 역할을 했다.[9]

1915년 8월, 리버 노부스의 초안을 완성한 후, 비전적인 행사와 저널 엔트리가 재개되었다.1916년까지 융은 7개의 저널 중 6개를 채웠다.1920년경부터는 출품작들이 더욱 산발적이 되었지만, 때때로 출품작들이 적어도 1932년까지 7번째와 마지막 "블랙북"에 추가되기도 했다.[10]

지난 30년 동안 정씨와 친했던 전기 작가 바바라 한나는 자신의 일기에 재조명된 정씨의 상상력이 담긴 경험을 오디세이에서 프로테우스메넬라오스의 만남에 비유했다.정씨는 "그들이 왜 그에게 나타났는지 말하기 전까지는 마주친 인물이나 인물들이 떠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11]고 말했다.리베르 노부스에 대한 소개에서 샴다사니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913년 12월부터 그는 같은 과정을 계속했는데, 그것은 일부러 깨어 있는 상태에서 환상을 환기시킨 다음, 드라마로 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이러한 환상은 그림 형태로 극화된 사고의 한 유형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돌이켜보면 자신의 과학적 질문은 의식의 스위치를 껐을 때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보는 것이었다고 회상했다.꿈의 예는 배경 활동의 존재를 나타냈으며, 메스칼린을 복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이것이 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고 싶었다."[12]

출판

"블랙북스"는 소누 샴다사니가 팩시밀리로 출판하기 위해 편집한 것이다.C.G.》(1913-1932)의 《블랙 북스》, ed. 소누 샴다사니, (Stiftung der Werke von C. G. Jung & W. Norton & Company).그것들은 2020년 10월에 출판되었다.

이 출판물에 대한 미리보기 정보에서 편집자는 더 나아가 "블랙북스"와 정씨의 레드북의 관계에 대해 설명했다.

"붉은 책의 본문은 1913년에서 1916년 사이의 검은 책의 자료를 그린다.The Red Book 본문의 약 50퍼센트는 블랙 북스에서 직접 유래하며, 매우 가벼운 편집과 재작업으로 이루어진다.'블랙북스'는 개인적인 일기가 아니라 정씨가 '무의식과의 대화'라고 부른 독특한 자기 실험의 기록이다.그는 매일 일어나는 일이나 외부 사건들을 기록하지 않고, 그의 정신 상태에 대한 적극적인 상상과 묘사 그리고 그에 대한 반성과 함께 기록하였다.정씨가 '빨간책'에 담지 않은 자료는 그가 담지 않은 자료와 동등한 관심사라고 했다.[13]

참고 항목

참조

  1. ^ 융, 칼 구스타프(1961년).아니엘라 자페, 에드기억, 꿈, 반사. 페이지 170–198.
  2. ^ C.G. 정》(1913~1932)의 《블랙 북스》(1913~1932) ed. 소누 샴다사니(Stiftung der Werke von C. G. Jung & W. Norton & Company)가 2020년 10월에 출간되었다.
  3. ^ Jung, C. G. The Red Book: Liber Novus.에드. S. 샴다사니, tr.M. 키부르즈, J. 펙, S.샴다사니.뉴욕: W. W. Norton.ISBN 978-0-393-06567-1
  4. ^ 샴다사니는 "블랙북스"의 성격을 설명하며, 이러한 저널의 고해상도 사진을 제공한다: 샴다사니, C. G. 정: 책의 전기, 63-73페이지.
  5. ^ 리버 노부스, 198-202쪽
  6. ^ 랜스 S.오웬스, "비전의 헤르메뉴틱스: C. G. Jung and Liber Novus", Gnonistics: Gnostism, 서양의 난해성 영성 이슈 3, 2010년 7월.ISBN 978-1686834043 온라인판, 페이지 2 https://www.academia.edu/6922849/The_Hermeneutics_of_Vision_C._G._Jung_and_Liber_Novus
  7. ^ 리버 노부스 208 페이지
  8. ^ C. G. Jung, The Red Book: Liber Novus, Ed.소누 샴다사니, tr.존 펙, 마크 키부츠, 소누 샴다사니 (WW 노튼 & Co, 2009), 232 페이지
  9. ^ 이러한 노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Shamdasani의 Red Book: Liber Novus, 198-203 페이지를 참조하라.
  10. ^ "블랙북스"는 현재 출판용으로 편집되었다.C.G. Jung》(1913-1932)의 《블랙 북스》, Ed. Sonu Shamdasani, (Stiftung der Werke von C. G. Jung & W. Norton & Company), 2020년 10월.
  11. ^ Hannah, Barbara (1976). Jung: His Life and Work. p. 115. ISBN 0-87773-615-4.
  12. ^ 리베르 노부스 200페이지
  13. ^ 필레몬 재단, http://philemonfoundation.org/current-projects/black-books/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블랙북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