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검은개구리

Black dogfish
검은개구리
Centroscyllium fab.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코다타
클래스: 연골 어류
슈퍼오더: Selachimorpha
순서: 스칼리목
패밀리: 엣모프테라과
속: 센트로실륨
종:
C. fabrici
이항식 이름
센트로실리움 원단
(라인하르트, 1825년)
Centroscyllium fabricii distmap.png
검은 도그피쉬의 범위
동의어

스피낙스 직물 라인하르트, 1825년

검은 도그피쉬(Centroscyllium fabricii)는 엣모프테라과에 속하는 도그피쉬 상어일종이다.그것은 180–2,250m(590–7,380ft) 깊이의 바깥쪽 대륙붕대륙 경사면에서 흔히 볼 수 있다.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깊은 물에 서식하며, 지역에 따라 더 작은 상어가 큰 상어보다 다른 깊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 종은 그린란드아이슬란드에서 북쪽의 버지니아서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대서양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남쪽의 서남아프리카와 아르헨티나에도 분포하고 있다.그 가족의 가장 큰 구성원인 검은 도그피쉬는 보통 길이가 60-75cm(24-30 인치)이다.그것은 위보다 아래가 더 어두운 육중하고 짙은 갈색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곰들이 흩어진 미세한 생물 발광 기관을 가지고 있다.그것의 등지느러미 두 개는 앞부분이 뾰족하고, 항문지느러미는 없다.

활동적이고 교육적인 검은 도그피쉬는 주로 있는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 등을 섭취하는 기회주의적인 포식자악당이다.그것은 재생산성이며, 암컷은 노른자낭에 의해 지속되는 4에서 4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번식기가 잘 정해져 있지 않고 짝짓기와 번식이 연중 행해진다.검은 개고기는 북대서양에서 조업하는 심해상업 어업들어획에 크게 기여하는데, 상업적 가치가 거의 없고 보통 버려진다.그것의 범위의 많은 부분이 심해어업 활동이 거의 없고 북서 대서양 개체수가 안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자,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이 종을 "최소한의 관심사"에 포함시켰다.대서양 북동부 지역에서 Near Threated(근위협)로 평가되어 왔는데, 그곳에서는 심한 어압으로 인해 그 수가 줄어들었을지도 모른다.

분류학 및 계통발생학

검은 도그피쉬의 초기 삽화

검은 개고기의 첫 번째 알려진 표본은 그린란드줄리아네흐브 근처에서 수집되었고 덴마크 동물학자 요하네스 라인하르트가 그의 1825년 Ichtyologiske 비데아그에서 묘사했다.라인하르트는 그린란드 어류 연구를 개척한 선교사자연주의자 오토 패브릭시우스에게 경의를 표하여 스피낙스 패브릭시(Spinax fabriciii)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2]독일의 생물학자 요하네스 뮐러야콥 헨레는 1839–41 Systematische Beschreibung der Plagiostomen에서 이 종을 위한 새로운 속(Centroscyllium)을 만들었다.[3][4]

IUCN에 따르면 북대서양과 남동대서양에 있는 검은 도그피쉬가 같은 종을 대표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류학적 조사가 필요하다.[1]니콜라스 스트라우베와 동료들의 2010년 핵 및 미토콘드리아 DNA에 근거한 계통발생학 연구는 흑색 도그니테리가 흰개그루피쉬(C. granulatum)와 빗살개피쉬(C. nigrum)의 자매종이라는 것을 밝혀냈다.[5]

분포 및 서식지

검은 도그피쉬는 대서양 온대해에 넓고 불연속적인 분포가 있는 흔한 종으로, 북극해로 뻗어나가지 않는다.북동쪽에서는 아이슬란드에서 시에라리온까지 발생하는데, 페로 제도, 노르웨이 남부, 아일랜드 앞바다의 로칼 트루포르쿠파인 씨비트를 포함한다.북서쪽에서는 그린란드 남부와 배핀 섬에서 버지니아까지 발견되는데, 특히 로랑트 해협에서 많이 발견되며, 앨라배마 앞바다의 멕시코만에서 남쪽으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남동쪽에서는 나미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굴하스 곶까지 발견된다.[1][6]남서쪽에는 아르헨티나 남쪽 끝에 있는 비글 해협에서 녹음을 해 왔다.[7]

검은 도그피쉬는 바깥쪽 대륙붕대륙 경사면에서 서식하며, 대부분 180–2,250m(590–7,380ft) 깊이의 물에서 바닥 근처에서 발견된다.[6]It is most common at depths of 800–1,200 m (2,600–3,900 ft) off Iceland, 1,250–1,500 m (4,100–4,920 ft) in the Rockall Trough, 500–1,300 m (1,600–4,300 ft) off Greenland, 350–500 m (1,150–1,640 ft) off northern Canada, and below 500 m (1,600 ft) off southern Africa.[1][8]이 종들은 특히 어둡고 추운 겨울 달 동안 그것의 범위의 북쪽 극한 지역에서 표면에 더 가까이 모험을 할 수 있다.[6]성에 의한 깊이 분리는 북대서양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1km(0.62mi) 이상의 깊이에 있는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다.크기별 깊이 구분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더 큰 상어는 일반적으로 그린란드 서부의 깊은 물, 아이슬란드 서부의 얕은 물, 그리고 동부 아이슬란드 해안의 깊이에 관한 패턴이 없는 물에서 발견된다.[8]검은 도그피쉬는 3.5~4.5℃(38.3~40.1℃)의 수온을 선호하지만 캐나다 북부에서는 5~6.5℃(41.0~43.7℃)의 수온이 가장 풍부해 1℃(34℃) 이하의 수온을 견딜 수 있다.[1]이 종들이 겨울과 봄을 얕은 물에서 보내면서 계절 이동을 한다는 증거가 있다.[6]캐나다 북부의 상어들은 그린란드 서부에서 관찰되지 않은 개발 관련 움직임(아래 참조)을 수행하는데, 이는 북서 대서양에서 두 개의 뚜렷한 주식의 존재를 암시한다.[1]

설명

검은 도그피쉬는 뚱뚱하고 짙은 갈색의 몸체와 커다란 녹색 눈을 가지고 있는데, 이 표본은 피부 의치가 다루어지면서 벗겨진 부분이 옅은 조각으로 되어 있다.

성체 흑어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60-75cm(24~30인치)로 1.1m(3.6ft)에 이를 수 있어 가장 큰 어족이다.[5][9]암컷은 수컷보다 더 큰 궁극의 크기를 갖게 된다.[8]상어는 다소 육중하고 측면으로 압축된 몸을 가지고 있으며, 적당히 길고 두껍고 납작한 주둥이가 앞쪽에 매우 넓은 아치를 이루고 있다.크기가 크고 수평으로 타원형의 눈은 생명에 반사되는 녹색이며, 훨씬 작은 나선형(액세서리 호흡기 개구부)에 의해 근거리 뒤에 따라붙는다.콧구멍은 앞쪽에 위치하며, 그 앞에는 짧은 피부 날개가 있다.입은 넓고 고르게 아치형이며, 입술은 가늘고 짧지만 모서리에 깊은 이랑이 있다.양쪽 턱의 양쪽에 34개의 치아가 있다; 각각의 치아는 3개의 가는 쿠스를 가지고 있고, 중앙 치아가 가장 길다.[6][9][10]

등지느러미 두 개 모두 바로 앞부분이 뾰족하고, 홈이 우거진 가시가 있으며, 두 번째 지느러미는 첫 번째 지느러미보다 훨씬 길다.작은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원뿔형의 꼭지점과 거의 직선으로 된 여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원은 가슴지느러미 뒤에 놓여 있다.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다소 각이 져 있고 첫 번째 등지느러미 면적의 약 두 배가 되며, 그 기원은 골반지느러미 베이스의 중간점 반대편에 위치한다.가슴지느러미는 작고 둥글다.골반 지느러미는 두 번째 등지느러미만큼 크며, 끝부분이 둥글고 거의 직선의 후행 여백이 있다.까오달 족발은 짧고 전체 길이의 4분의 1 미만으로 구성된 넓은 까오달 지느러미로 이어진다. 위쪽 로브에는 볼록한 위쪽 여백이 있어 끝이 사각형인 반면 아래쪽 로브는 불분명하다.피부는 작은 피부 틀니로 촘촘히 덮여 있고, 각각은 불규칙한 별 모양의 밑부분에서 솟아나며, 가시처럼 생겼다.이 종은 위쪽의 담백한 짙은 갈색이며, 아래는 거의 검은색으로 어두워지고 등지느러미 가시가 있다.소년상어는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골반지느러미에 흰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미세한 발광 점들이 일정한 패턴 없이 피부 주위에 흩어져 있다.[6][9][10]

생물생태학

검은 개고기는 겨울과 봄에 더 큰 경향이 있는 모래톱이나 학교를 형성한다.[6][11]수영 근육은 상당히 활동적이지만 얕은 물 가시가 있는 도그피쉬(Squalus Acantias)에 비해 글리콜리틱 효소의 활성이 낮고 크레아틴 인포키나아제 활성이 높아 속도 폭발에 대한 능력이 낮음을 시사한다.[12][13]지질 가득 은 전체 무게의 약 5분의 1로 구성되며 중성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8]검은 개고기의 잠재적인 포식자는 더 큰 상어와 뼈다귀 물고기들이다.[9]두 번째 등지느러미 앞에 붙어 숙주의 생식발달을 저해하는 바나클 아넬라스마 스칼리콜라기생하는 심해상어 중 하나이다.[14]이 종의 다른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요정 오토디스토름 세스토이데스,[15] 요충류 네오알비오넬라균네오알비오넬라균 센트로실리균,[16][17] 원생대 해모그레가리나 델라지, 트라이파노소마 라재가 있다.[18]

쥐꼬리는 검은 도그피쉬가 먹는 먹이 중 하나이다.

먹이는 습관에 있어서 기회주의적인 것으로 보이는 검은 도그피쉬는 일반적으로 공터에서 사냥을 하지만, 밑바닥을 긁어내기도 한다.[12][19]그 식단의 대부분은 쥐꼬리, 흰자위, 바위, 연등, 배라쿠디나를 포함한 다양한 크릴, 새우 같은 펠라직 갑각류, 두족류로 구성되어 있다.물고기는 상어가 나이를 먹을수록 점차적으로 더 중요한 식량원이 되는 반면 갑각류는 덜 중요해진다.종종, 다람쥐 벌레해파리도 먹는다.[8][19]북서대서양에서는, 특히 머리와 같은 더 큰 조각을 소비할 수 있는 나이든 상어들에게, 어선에서 버려진 그린란드 넙치(Rainhardtius hiphoglosoides)와 쥐꼬리 이탈이 이 종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20]

인생사

검은 도그피쉬의 번식은 일년 내내 발생하며, 계절적 패턴이 잘 정의되지 않는다.[8][21]이 종은 발달된 배아자궁 안에 보존되어 노른자만으로 지속되는 재생산성 종이다.성숙한 암컷은 두 개의 기능성 난소와 두 개의 기능성 자궁을 가지고 있다.수정란은 3.0–4.5 cm(1.2–1.8 in)의 직경으로 자궁 으로 배란된다. 일부 난자는 난소에 보존될 수 있지만, 난자는 캡슐에 둘러싸여 있지 않다.외부 노른자 주머니는 배아가 용기에 가까울 때 완전히 재흡수되며, 나머지 노른자는 에 부착된 내부 노른자 주머니로 옮겨진다.내부 노른자 주머니는 갓 태어난 상어에게 먹이를 주는 것을 배울 때까지 먹이를 주는 역할을 한다.쓰레기의 크기는 4에서 40까지이다.[21]신생아는 길이가 13~19cm(5.1~7.5인치)이다.[21][22]

다양한 저자들이 성숙시기의 크기를 남성의 경우 46~63cm(18~25인치), 여성의 경우 51~70cm(20~28인치)로 보고해 지리적 차이를 반영했다.[1]캐나다 북부에서, 암컷들은 400m (1,300ft) 깊이의 로랑트 해협에서 새끼를 낳는다.새끼들이 자라면서 그들은 해협의 더 깊은 곳으로 이주하고, 결국 그랜드 뱅크스래브라도 선반을 넘어 북쪽으로 먼 거리를 두고 깊은 대륙 경사지대로 이주한다.이 이동 패턴은 그린란드 서부 근해에서 서식하는 검은 도그피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1]많은 변칙적인 헤르마프로디틱 표본들이 기록되어 있다.[21]

인간 상호작용

검은 도그피쉬는 인간에게 무해하고 상업적 가치가 거의 없다.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할리부트 어업, 프랑스 잡종 트롤 어업, 캐나다 그린란드 할리부트, , 홍어, 몽크피쉬, 마녀 어업 등 북대서양 전역에서 조업하는 상업적 심해 트롤, 길넷, 롱라인 어업 등에 의해 상당한 수가 우연히 잡힌다.포획된 상어들은 대개 버려지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이것과 다른 작은 심해 상어들은 점점 더 어류용 상어로 사용되고 있다.[1][9]프랑스가 가장 큰 기여를 한 유럽 국가들의 어획량은 2001년 486톤에서 2006년 35톤으로 감소 추세를 이어왔다.[23]캐나다 어업의 평균 어획량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연간 68톤이었다.검은 도그피쉬는 대부분 남부 아프리카 근해에서 어업을 하기에는 너무 깊은 곳에서 발생한다; 그것의 나머지 범위에서는 어업 영향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1]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전 세계적으로 흑색 도그피쉬를 '최소한의 관심사'에 등재했다. 이 도그피쉬는 현재 북대서양에서 서식하는 개체수가 안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1978년에서 1995년까지 증가했을 수도 있다.[1][24]이와는 대조적으로, 대서양 북동부의 심해 어업의 강도는 IUCN으로 하여금 이 종에 대해 Near Threated에 대한 지역 평가를 하게 만들었다.큰 암컷의 성숙기 크기와 같은 검은 개고기의 생식 특성은 다른 심해 개고기에 비해 번식력이 뛰어나지만 남획에 취약할 수 있다.북동 대서양에서, 이 종의 어획량은 국제 해양 탐험 위원회(ICES)가 정한 심해 상어의 총 허용 어획량의 일부로 관리된다.[1]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Kulka, D.W.; Anderson, B.; Cotton, C.F.; Herman, K.; Pacoureau, N.; Dulvy, N.K. (2020). "Centroscyllium fabrici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161521A124499082. doi:10.2305/IUCN.UK.2020-3.RLTS.T161521A124499082.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2. ^ Reinhardt, J.C.H. (1825). "Ichthyologiske bidrag". In Örsted, H.C. (ed.). Oversigt over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s Forhandlinger og dets Medlemmers Arbeider (Kjøbenhavn) (in Danish). pp. 1–35.
  3. ^ Müller, J. & Henle, F.G.J. (1839). Systematische Beschreibung der Plagiostomen (in German). Vol. 2. Berlin: Veit und Comp. p. 191.
  4. ^ Evermann, B.W. & Jordan, D.S. (1896). The Fishes of North and Middle America: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Species of Fish-like Vertebrates Found in the Waters of North America, North of the Isthmus of Panama. Vol. 1.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56.
  5. ^ a b Straube, N.; S.P. Iglésias; D.Y. Sellos; J. Kriwet & U.K. Schliewen (September 2010). "Molecular phylogeny and node time estimation of bioluminescent Lantern Sharks (Elasmobranchii: Etmopterid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3): 905–917. doi:10.1016/j.ympev.2010.04.042. PMID 20457263.
  6. ^ a b c d e f g Compagno, L.J.V. (1984).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pp. 46–48. ISBN 92-5-101384-5.
  7. ^ Menni, R.C.; G.H. Burgess & M.L. Garcia (1993). "Occurrence of Centroscyllium fabricii (Reinhardt, 1825)(Elasmobranchii, Squalidae) in the Beagle Channel, southern south America". Bulletin of Marine Science. 52 (2): 824–832.
  8. ^ a b c d e f Jakobsdóttir, K.B. (May 2001). "Biological aspects of two deep-water squalid sharks: Centroscyllium fabricii (Reinhardt, 1825) and Etmopterus princeps (Collett, 1904) in Icelandic waters". Fisheries Research. 51 (2–3): 247–265. doi:10.1016/S0165-7836(01)00250-8.
  9. ^ a b c d e 버지스, G.와 베스터, C. 생물학적 프로파일: 검은 도그피쉬.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 어체학부.2010년 10월 2일에 검색됨.
  10. ^ a b Bigelow, H.B. & Schroeder, W.C. (1953). Fish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Part 1. Sears Foundation for Marine Research, Yale University. pp. 480–486.
  11. ^ Uiblein, F.; M. Youngbluth; C. Jacoby; F. Pages; M. Picheral & G. Gorsky (2005). "In situ observations of deepwater fishes in four canyons off the Georges Bank, NW Atlantic". Deep Sea 2003: Conference on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Deep-sea Fisheries, Queenstown (New Zealand), 1–5 Dec 2003.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pp. 98–106. ISBN 92-5-105402-9.
  12. ^ a b Sedberry, G.R. & J.A. Musick (1978). "Feeding strategies of some demersal fishes of the continental slope and rise off the Mid-Atlantic Coast of the USA". Marine Biology. 44 (4): 357–375. doi:10.1007/BF00390900. S2CID 83608467.
  13. ^ Treberg, J.R.; R.A. Martin & W.R. Driedzic (2003). "Muscle enzyme activities in a deep-sea squaloid shark, Centroscyllium fabricii, compared with its shallow-living relative, Squalus acanthias". Journal of Experimental Zoology Part A: Comparative Experimental Biology. 300A (2): 133–139. doi:10.1002/jez.a.10318. PMID 14648673.
  14. ^ Yano, K. & J.A. Musick (2000). "The Effect of the mesoparasitic barnacle Anelasma on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organs of deep-sea squaloid sharks, Centroscyllium and Etmopteru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59 (3): 329–339. doi:10.1023/A:1007649227422. S2CID 6049145.
  15. ^ Gibson, D.I. (1996). Guide to the Parasites of Fishes of Canada, Volume 4. NRC Research Press. p. 74. ISBN 0-660-16403-5.
  16. ^ Rubec, L.A. & W.E. Hogans (1988). "Albionella fabricii n. sp. (Copepoda: Lernaeopodidae) from the gills of Centroscyllium fabricii from the Northwest Atlantic". Systematic Parasitology. 11 (3): 219–225. doi:10.1007/BF00010002. S2CID 32969107.
  17. ^ Rodríguez, S.M.; J.L. Luque & M. George-Nascimento (2010). "A parasitic copepod, Neoalbionella sp. (Lernaeopodidae), on the southern lanternshark Etmopterus granulosus (Etmopteridae) off Juan Fernández Archipelago, Chile". Revista de Biología Marina y Oceanografía. 45 (2): 359–363. doi:10.4067/S0718-19572010000200020.
  18. ^ McDonald, T.E. & L. Margolis (1995). Synopsis of the parasites of fishes of Canada: Supplement (1978–1993). NRC Research Press. pp. 9, 19. ISBN 0-660-15902-3.
  19. ^ a b Mauchline, J. & J.D.M. Gordon (1983). "Diets of the sharks and chimaeroids of the Rockall Trough, northeastern Atlantic Ocean". Marine Biology. 75 (2–3): 269–278. doi:10.1007/BF00406012. S2CID 84676692.
  20. ^ Punzón, A. & M.A. Herrera (2000). "Feeding of Centroscyllium fabricii and the influence of discards on its diet in Flemish Pass (north-west Atlantic)".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K. 80 (4): 755–756. doi:10.1017/S002531540000268X.
  21. ^ a b c d Yano, K. (1995).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lack Dogfish, Centroscyllium Fabricii, Collected From Waters off Western Greenland".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75 (2): 285–310. doi:10.1017/S002531540001818X.
  22. ^ Haedrich, R.L. (1995). "Structure over time of an exploited deepwater fish assemblage". In Hopper, A.G. (ed.). Deep-water Fisheries of the North Atlantic Oceanic Slope.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70–96. ISBN 0-7923-3511-2.
  23. ^ ICES(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Sea Provision for the Sea).(2007).작업 그룹 Elasmobranch Fishes (WGEF), 2007년 6월 22일–28일, Galway, ArelandWayback Machine에 2011년 6월 12일 보관.ICES CM 2007/ACFM:27.
  24. ^ Baker, K.D.; J.A. Devine & R.L. Haedrich (2009). "Deep-sea fishes in Canada's Atlantic: population declines and predicted recovery time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85 (1): 79–88. doi:10.1007/s10641-009-9465-8. S2CID 4424514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