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다리 도그피시
Mandarin dogfish만다리 도그피시 | |
---|---|
![]()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코다타 |
클래스: | 콘드리히테예스 |
슈퍼오더: | 셀라치모르파 |
순서: | 스칼리목 |
패밀리: | 누룩과 |
속: | 서리갈루스 |
종: | C. 바비퍼 |
이항식 이름 | |
서리갈레우스 바비퍼 S. 다나카(I), 1912년 | |
![]() | |
짙은 청색의 C. 바비퍼와 옅은 청색의 C.오스트레일리아 산맥. |
만다리 도그피쉬(Cirrhigaleus babifer)는 도그피쉬로, 스칼리폼목(Squaliformes)의 순서로 스칼리데과에 속한다. 그것은 일본 남부, 대만, 인도네시아 (발리와 롬복)에서 140–650 미터(460–2,130 피트)의 깊이에서 발견된다. 이전에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개체수가 이 종에 포함되었지만, 2007년에는 새로운 종인 남부 만다린 도그피쉬에 할당되었다. 이 종들 중 어떤 종들이 열대 서태평양의 다른 개체군에 관여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2013년 3월, 2011년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로트네스트 섬 근처에서 잡힌 두 마리의 상어가 Cirrhigaleus babibifer로 확인되었다고 발표되었다.[2][3]
역사
일본 해역 밖에서 이 종을 처음으로 관찰한 것은 1912년부터 기록으로 발견되어 뉴질랜드 해역의 시르히갈루스 바비페르를 확인할 수 있다. 1969년에 암컷 Cirrhigaleus Barbifer는 관찰을 위해 약 360m에 긴 줄로 늘어섰고, 총 길이는 922mm이다. 암컷은 시장 섬과 풍요의 만 화이트 섬 사이에서 상업 어선인 페어 섬에서 골디 히치링 씨가 발견했다. 이 물고기는 신원 확인을 위해 뉴질랜드 해양부를 통해 웰링턴으로 보내졌다. 두 번째 표본은 1970년 9월 22일 J. I. Phillips가 어선 모아나에서 발견했다. 이 표본은 총 길이 1082mm로 약 440m의 긴 줄무늬가 있는 또 다른 암컷이었다. 두 사람 모두 웰링턴의 도미니언 박물관에서 각각 5105번과 5163번 등록 번호를 통해 찾을 수 있다.[4]
두 암컷은 지금까지 기록된 시르히갈루스 바비페르의 가장 큰 개체로, 일본 해역 외에 다른 곳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개체다. 뉴질랜드에서 그들이 관찰한 위치는 이 종에 대한 범위의 큰 확장을 나타낸다. [4]
서리갈레우스 바비페르는 1912년 탄카에 의해 도쿄 어시장에서 발견된 한 마리의 수컷 개인을 바탕으로 스칼리대(독어) 내에 새로운 속과 종으로 설립되었으나, 이후 사가미 해에서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곳에서, Herre는 일본의 미사키 만에서 발견된 암컷 Cirrhigaleus babibifer를 위한 새로운 속과 종을 제안했다. 헤르르는 처음에 이 개인을 파에노포곤 바불리퍼라고 불렀으나, 탄카의 기록이 발견되자 그 이름을 시르히갈레우스 바비퍼에게 인정했다. 가르만(1913년), 파울러(1941년), 비글로우와 슈뢰더(1948년, 1957년)는 탄카와 헤르르의 두 계정을 모두 사용해 시르히갈레우스의 지위와 그것이 스쿠알루스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파악했다. [4]
외관
만다리 도그피쉬(Cirrhigaleus babifer)는 회색에서 갈색까지 다양하며 밑부분이 옅다.[1] 또한 주둥이와 등측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얼룩무늬가 나타난다. Cirrhigaleus babifer는 튼튼한 몸체와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위턱과 아래턱 모두에 2~3줄의 이빨이 있다[2]. 종의 최대 길이는 확실하지 않지만, 기록된 가장 긴 길이 중 하나는 125cm의 성숙한 암컷으로 관찰되었다[3]. 평균적으로 수컷은 암컷보다 길이가 짧다. 이 종의 가장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길쭉한 콧구멍이다. [5]
해비타트와 다이어트
선호 서식지인 Cirrhigaleus Barbifer는 잘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에 서식하는 이 종의 존재를 근거로 아열대 기후/열대 기후의 깊은 물이 서식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뉴질랜드와 서호주에는 Cirrhigaleus Barbifer가 서식하는 범위가 더 넓다는 것을 암시하는 사례가 눈에 띄었다.[6]
귤은 구부러진 물고기와 특정 무척추동물을 먹을 것으로 예상된다.[4]
생식행동
이 종은 난태생물로, 한배에 10마리의 새끼를 낳거나 자궁마다 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성적 불안정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아의 크기는 213-233mm TL이다. 암컷은 알이 아직 자궁 안에 있을 때 부화한다는 뜻의 재생산성을 보이는 것 같다. [3]
참조
- ^ Rigby, C.L.; Bin Ali, A.; Bineesh, K.K.; Chen, X.; Dharmadi, Ebert, D.A.; Fahmi, Fernando, D.; Gautama, D.A.; Ho, H.; Hsu, H.; Maung, A.; Sianipar, A.; Tanay, D.; Utzurrum, J.A.T.; Yuneni, R.R.; Zhang, J.; Derrick, D. (2020). "Cirrhigaleus barbifer".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41795A124417203. doi:10.2305/IUCN.UK.2020-3.RLTS.T41795A124417203.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cite journal}}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New Predator Enters Australian Waters". smh.com.au. Retrieved 1 March 2013.
- ^ a b Kempster, Ryan; Hunt, David; Human, Brett; Egeberg, Channing; Collin, Shaun (2013). "First record of the mandarin dogfish Cirrhigaleus barbifer (Chondrichthyes: Squalidae) from Western Australia". Marine Biodiversity Records. 6. doi:10.1017/S175526721300002X. Retrieved 1 March 2013.
- ^ a b c Garrick, J. A. F. (August 1971). "Cirrhigalevs barbifer (Fam. Squalidae), a Little Known Japanese Shark from New Zealand Waters". Zoology Publications from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54 to 57.
- ^ "Marine Species Identification Portal : Mandarin dogfish - Cirrhigaleus barbifer". species-identification.org. Retrieved 2020-11-04.
- ^ Kempster, Ryan M.; Hunt, David M.; Human, Brett A.; Egeberg, Channing A.; Collin, Shaun P. (2013). "First record of the mandarin dogfish Cirrhigaleus barbifer (Chondrichthyes: Squalidae) from Western Australia". Marine Biodiversity Records. 6: e25. doi:10.1017/S175526721300002X. ISSN 1755-2672.
- 프루즈, 레이너; 파울리, 다니엘 (eds.) (2006) 피쉬베이스의 "Cirrhigaleus babifer". 2006년 5월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