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상어

Blind shark
맹상어
시간 범위:백악기 후기-최근[1] S C K N
Blindshark.jpg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콘드리히티예스
상위 순서: 셀라치모르파
주문: 옥톨로브아목
패밀리: 브라카엘루루스과
속: 브라카엘루루스
종류:
B. 와디
이항명
브라차엘루루스 와디
Brachaelurus waddi distmap.png
맹상어의 서식 범위
동의어

칠로실리움 퍼붐 맥클리, 1881년
칠로실리움후스쿰 파커 & 해스웰, 1897년
칠로실리움 모데툼 귄터, 1872년
스칼로스 와디 Bloch & J. G. Schneider, 1801

장님상어(Brachaelurus waddi)는 청회색 카펫상어(Brachaelurus colcloughi)와 함께 양탄자상어과2종 중 하나이다.호주 동부 해안을 따라 발견되는 야행성 해저 서식 종은 조간대 암반 지역과 해초층에서 140m(460피트) 깊이의 해초층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그것은 종종 썰물에 갇힐 수 있는 조수 웅덩이를 배회하고 물 밖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다.

몸길이가 62~66cm(24~26인치) 미만으로 성장한 이 장님 상어는 땅딸막하고 회색빛에서 갈색을 띠며 흰 반점과 나이가 들면서 퇴색하는 어두운 띠를 가지고 있다.그것의 머리는 넓고 평평하며 무딘데, 위에는 작은 눈이 있고 아래에는 긴 바벨이 있다.그것은 큰 가슴지느러미와 몸 뒤쪽에 있는 거의 같은 크기의 두 개의 등지느러미와 꼬리 지느러미 가까이에 위치한 뒷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맹상어는 주로 작은 무척추동물과 뼈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암컷은 여름에 7~8마리의 새끼를 낳는 태반성 태생동물이다.이 작은 상어는 사육되는 것에 쉽게 적응한다.그것은 상업적인 어부나 레크리에이션적인 어부들에 의해 평가되지 않으며, 그것의 견고성은 우연히 잡힌 개체들이 살아서 물 위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개체수에 대한 실질적인 위협이 없는 경우, 국제자연보호연합은 이 종을 "관심대상종"으로 평가했습니다.

분류 및 계통발생

독일 박물학자 마르쿠스 엘리저 블로흐와 요한 고틀롭 슈나이더1801년 이치티올로지아에서 원래 맹상어를 스칼로스 와디라고 묘사했다.하지만, 그들의 설명이 이 종을 지칭하는 것인지 갈색 띠가 있는 대나무 상어(Chiloscyllium phontatum)를 지칭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것은 존 래텀의 그림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1907년 제임스 더글러스 오길비는 "짧은"을 뜻하는 그리스 브라키스와 "고양이"[3]를 뜻하는 아일루스에서 유래하여 브라키아엘루루스속이라는 이름을 만들었다.1973년, 레너드 컴파뇨는 그것을 블루 그레이 카펫 상어와 함께 그들의 [4]가족에 두었다.이 상어는 갈색 캣상어 또는 어둑어둑한 [5]개복치라고도 불립니다.

형태학에 기초한 다양한 계통학 연구들은 맹상어의 혈통이 wobbegongs[6]자매 분류군을 나타낸다는 결론을 내렸다.맹상어 화석은 유럽의 백악기 후기(99.6~65.5Ma) 퇴적물과 칠레페루플리오세기(5.3~2.6Ma) 퇴적물에서 발견됐다.많은 다른 브라카엘루루스 종들도 화석 [1]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분포 및 서식

맹상어는 바위가 많은 서식지를 선호합니다.

이 맹상어의 분포 지역은 퀸즐랜드 남부물룰라바에서 뉴사우스웨일스저비스 만까지 호주 동부 해안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와 노던테리토리에서의 과거 보고는 갈색 띠가 있는 대나무 [2]상어의 잘못된 식별으로 보입니다.장님 상어는 바닥에 사는 종으로, 보통 조간대에서부터 몸통까지 겨우 덮을 정도의 깊이의 조수 웅덩이를 포함한 대륙붕에 서식하지만, 140미터(460피트)[4][5]의 깊이로 기록되어 있다.선호하는 서식지는 암석 지역과 인접한 해초층이다. 청소년은 고에너지 서빙 [2]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넬슨 만에서, 이 상어는 해면동물 [7]위에 열린 곳에 누워 있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묘사

장님 상어는 땅딸막한 몸과 넓고 다소 납작한 머리와 뭉툭한 코를 가지고 있다.작고 타원형의 눈은 머리 위 높은 곳에 위치해 있고 그 아래에 강한 능선을 가지고 있다; 타원형의 나선형은 앞뒤로 배치되어 있고 뚜렷하게 솟아오른 테두리를 가지고 있다.콧구멍은 코끝에 거의 위치해 있고 앞쪽에 길고 끝이 가늘어지는 바벨이 있고 불순물 개구부 주변에 잘 발달된 피부 플랩과 홈이 있다.눈에 띄는 한 쌍의 홈이 콧구멍과 거의 가로로 나 있는 작은 입을 연결합니다.윗니열은 32-34개, 아랫니열은 21-29개입니다. 각 치아는 직립된 송곳 모양의 중앙 첨탑과 한 쌍의 측면 커스플이 있습니다.5쌍의 아가미 구멍은 작고, 5쌍은 [4][8]4쌍에 가깝습니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넓으며 가장자리가 둥글다.의 등지느러미는 크기가 거의 같고 둥근 끝과 각진 자유자재로 된 뒷부분 끝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골반 지느러미의 밑부분에서 기원한다.골반 지느러미는 둥글고 가슴 지느러미만큼 크다.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의 절반보다 작으며 길고 낮은 꼬리 지느러미의 밑부분에 매우 가깝게 위치해 있습니다.꼬리 지느러미는 전체 길이의 약 4분의 1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엽이 없고 상엽 끝 부근에 강한 복엽 노치가 있습니다.피부 틀니가 커서 피부가 거칠다.[4][8]이 종은 윗부분은 밝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으로 종종 흰 반점이 있고 아랫부분은 더 밝다.청소년들은 또한 몸과 꼬리에 검은 띠를 가지고 있는데,[9] 나이가 들수록 그 띠가 사라진다.맹상어는 길이가 0.9-1.2미터에 달하지만, 대부분은 훨씬 [4]더 작습니다.

생물학 및 생태학

일반적인 이름과는 달리, 맹상어는 "완벽하게 적절한"[10] 시야를 가지고 있습니다.그것은 물에서 [4]꺼냈을 때 눈알을 수축시키고 두꺼운 아랫눈꺼풀을 감아주기 때문에 낚시꾼들에 의해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이 종은 물 밖에서 18시간까지 살 수 있으며, 밀려오는 조류에 [9]좌초되어도 살아남을 수 있다.이 맹상어는 낮 동안 은밀하고 느릿느릿하며, 성충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틈에 숨어 있고, 어린 상어는 틈새에 숨어있지만, 기회가 주어지면 먹이를 가져가게 된다.밤에는 암초와 해초 초원 위로 이동해 작은 무척추동물(게, 새우, 두족류, 말미잘 포함)과 경골어류를 사냥한다.먹잇감은 [2][4]석션을 통해 포획됩니다.

노른자 주머니가 아직 완전히 흡수되지 않은 맹상어 태아의 그림.

맹상어는 태반성 태생으로 매년 번식 [2]주기를 가질 수 있다.암컷은 여름에 7-8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신생아는 15-18cm(5.9-7.1인치)의 몸길이를 가진다.수컷은 62cm(24인치) 이하,[4] 암컷은 66cm(26인치) 이하에서 성적 성숙이 이루어진다.그것은 [10]감금된 채 20살까지 살았다.이 상어의 알려진 기생충은 [11]카르포보티움속에 속하는 기록되지 않은 촌충 종이다.

인간 상호 작용

맹상어는 강한 턱과 강력한 [8][9]흡입력 때문에 자극이 가해지면 물 수 있고 제거하기 어렵지만 기본적으로 사람에게 무해하다.잠수부들이 부상한 에도 맹상어가 잠수부의 잠수복을 물고 붙잡는 경우가 있는데, 상어의 [7]턱을 비집고 들어가야만 제거할 수 있었다.이 종은 민간 물병아리에 적합한 몇 안 되는 상어 중 하나로, 튼튼하고 작은 크기로 자라며, 야행성이고 은둔형이기 때문에 관찰하기 어렵다.시드니 수족관이 성공적으로 번식 [10]군락을 유지하면서 맹상어는 포획 상태에서 번식하도록 유도되기도 했다.

상어는 살이 암모니아 맛이 강해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상업어업에서는 표적으로 삼거나 이용하지 않는다.퀸즐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 앞바다의 새우 저인망 어선과 다른 어업에 의해 우연히 잡히지만, 물 밖으로 나오는 것을 견딜 수 있는 능력 때문에 폐기 후 생존율이 높을 수 있다.소수의 시각장애인 상어들은 작은 입과 강한 턱으로 인해 막힌 갈고리를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그들을 성가신 존재로 여기는 레크리에이션 어부들에 의해 잡힌다.그것은 해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어 그물에 걸리기에는 일반적으로 너무 작다.수족관 거래를 위한 수집이 이 상어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2][4]심각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맹상어가 풍부하게 남아 있고 개체수에 대한 다양한 압력이 큰 위협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맹상어를 '관심대상'으로 지정했다.그 범위는 현재 및 제안된 해양 보호 구역(MPA)[2]과 겹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윌리엄스, G.S.(1999년)세계의 상어 화석과 광선 목록2010년 1월 30일 취득.
  2. ^ a b c d e f g Kyne, P.M.; Bennett, M.B. (2015). "Brachaelurus wadd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41732A68610784. doi:10.2305/IUCN.UK.2015-4.RLTS.T41732A68610784.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3. ^ J.D. 오길비(1908년 8월 25일)"새로운 속과 어종"퀸즐랜드 왕립학회 절차 21: 1-26.
  4. ^ a b c d e f g h i Compagno, L.J.V. (2002년)세계의 상어: 지금까지 알려진 상어 종에 대한 주석과 삽화가 있는 카탈로그(2권).로마: 유엔 식량농업기구. 페이지 142-146 ISBN 92-5-104543-7.
  5. ^ a b Froise, Rainer; Pauly, Daniel (ed.) (2010).피시 베이스의 "Brachaelurus waddi"입니다.2010년 1월판
  6. ^ 고토, T. (2001년)'오렉톨로브목(Chondrichthyes, Elasmobranchii)'의 비교 해부학, 계통발생학 및 분지학 분류.홋카이도 대학 수산과학대학원 회고록 48(1) 1~101.
  7. ^ a b Murch, A. Blind Shark - Brachelurus Waddi 정보.Elasmodiver.com 를 참조해 주세요.2010년 1월 31일 취득.
  8. ^ a b c 마지막으로 P.R.과 J.D.Stevens(2009년).호주의 Sharks and Rays (제2판).하버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131. ISBN 0-674-03411-2.
  9. ^ a b c 마이클, S.W. (1993)Reef Sharks & Rays of the World.바다 도전자들, 페이지 40ISBN 0-930118-18-9.
  10. ^ a b c 마이클, S.W. "Sharks at Home"아쿠아리움 피쉬 매거진 2004년 3월: 페이지 20-29.
  11. ^ Caira, J.N., K. Jensen 및 C.J. Healy(1999)테트라피올라이드속, 레카니체팔리드속, 디필리드속 촌충속 간의 계통발생학적 관계에 대하여계통 기생충학 42: 77~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