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 in Fires
Born in FlamesBorn in Fires | |
---|---|
![]() | |
연출자 | 리지 보든 |
작성자 | 리지 보든 |
생산자 | 리지 보든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
편집자 | 리지 보든 |
음악 기준 | 아이비스 레드 크레이올라 |
배포자 | 첫 번째 실행 기능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90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Born in Flame은 1983년 리지 보든의 다큐멘터리 형식의 페미니스트 픽션 영화로 미국의 대안 사회주의 민주주의에서 인종차별, 계급주의, 성차별주의, 이단주의를 탐구한다.[1] 제목은 아트 앤 랭귀지의 멤버인 밴드 레드 크레이올라의 메이요 톰슨이 작곡한 "Born in Flame"에서 따왔다.[2]
플롯
이 줄거리는 뉴욕의 두 페미니스트 단체와 관련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해적 라디오를 통해 대중에게 우려를 표명했다. 노골적인 백인 레즈비언인 이사벨(아델 베르테이)이 이끄는 한 단체는 라디오 라가자(Radio Ragazza)를 운영하고 있다. 부드러운 말투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허니(Honey)가 이끄는 다른 그룹은 피닉스 라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세계적인 정치운동가인 아델라이드 노리스(Jean Satterfield)가 뉴욕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체포되고, 경찰 구금 중에 의문스럽게 사망하자 지역사회가 자극받아 행동에 옮긴다. 또 힐러리 허스트(힐러리 허스트)가 지휘하고 젤라(플로 케네디)가 조언한 허니(Honey)와 이사벨(Loe Kennedy)이 초기에는 모두 가입을 거부하는 여성군도 있다. 이 단체는 노리스, 라디오 방송국과 함께 냉담한 FBI 요원(론 바우터)의 조사를 받고 있다. 이들의 진척은 사회주의 신문의 편집자 3명(베키 존스턴, 팻 머피, 캐스린 비글로우)에 의해 추적되고 있는데, 편집자는 너무 멀리 가서 해고된다.
이 이야기에는 여러 다른 시각에서 오는 여러 명의 다른 여성들과 성차별이 거리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리고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예를 보여주려는 시도들이 포함되어 있다. 어느 순간 두 남자가 거리에서 한 여성을 공격하고, 자전거를 탄 수십 명의 여성이 휘파람을 불며 남성을 쫓아내고 여성을 위로한다. 영화는 다양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회의를 조직하고, 라디오 쇼를 하고, 예술 작품을 만들고, 밀 패딩을 하고, 페니스에 콘돔을 씌우고, 가공 공장에서 생닭을 포장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여성에 대한 폭력, 높은 여성 실업, 정부의 억압으로 가득 찬 세계를 그리고 있다. 영화 속 여성들은 더 큰 충격을 주기 위해 모이기 시작하는데, 이는 어떤 이들은 테러리즘이라고 부를 것이다.
결국, 두 라디오 방송국이 모두 불에 탄 후, 허니와 이사벨은 팀을 이루어 훔친 유하울 밴에서 피닉스 라가자 라디오를 방송한다. 그들은 또한 여성군에 합류하는데, 이 단체는 미국의 대통령이 여성들에게 집안일을 하도록 돈을 지불하라고 제안하는 방송을 방해하기 위해 테러리스트들을 보낸다. 그리고 세계무역센터 꼭대기에 있는 안테나를 폭파하여 주류의 추가적인 파괴적인 메시지를 막는다.
캐스트
- 허니 애즈 허니, 피닉스 라디오 진행자
- 라디오 라가자 진행자 이사벨 역의 아델 베르테이
- 애들레이드 노리스 역의 장 새터필드
- 플로렌스 케네디("플로 케네디"로 칭함)는 젤라 윌리에 역을 맡았다.
- Becky Johnston 역, Becky Dunlop, 신문 편집자
- 팻 머피 역, 팻 크로스비, 신문 편집자
- 캐시 라슨 역의 캐서린 비글로우, 신문 편집자
- 여성 군단장 힐러리 허스트
- 쉴라 맥러플린(Sheila McLaughlin
- 마티 포텐거(Marty Pottenger)가 다른 리더/여성으로 현장에 있음
- 토크쇼 진행자 벨 게일 역의 벨 쉐비니
- 토크쇼 게스트로는 조엘 코벨이 출연한다.
- 론 보터, FBI 요원
- 존 코플란스 서장
- 존 루돌프 TV 뉴스 진행자
- 워너 슈라이너 TV 뉴스 캐스터
- 발레리 스말도네 TV 뉴스 진행자
- 형사로서 할 밀러
- 주브린스키 시장으로서의 빌 타툼
- 지하철에서 여자를 괴롭히는 남자 마크 분 주니어
이 영화는 에릭 보고시안의 첫 스크린 출연이다.[3] 그는 총구를 겨누는 방송국에서 네트워크 피드에 비디오테이프를 실행하도록 강요받는 기술자를 연기한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감독 캐서린 비글로우의 보기 드문 연기 출연도 특징이다.[1] 기사 기고자인 에드 보우즈는 궁극적으로 여성 기자들을 해고하는 사회주의 신문사의 수장을 그린다.
수상
1983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독자배심상을, 크레틸국제여성영화제에서는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리셉션
로튼 토마토는 30개 리뷰를 기준으로 87%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평균 7/10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4]
버라이어티는 "홈 영화의 모든 장점과 단점이 있다"[5]고 썼다. 뉴욕 타임즈의 자넷 매슬린은 "이미 보든 양의 생각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만이 그녀의 영화가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1]고 썼다. 오스틴 크로니클의 마조리 바움가르텐은 "아름답게 만들어지고, 용기 있게 편집되고, 빠르게 움직이는 이 도전적이고 도발적인 영화는 휴머니스트적이면서도 혁명적인 작품"[6]이라고 썼다. 타임아웃 런던의 프랜시스 디킨슨은 "보든은 대담하게 그녀의 이야기를 다루며 가장 건조한 논쟁조차 유머로 요란하게 만들며, 반면 더 가슴 아픈 순간은 사나운 백열로 타오른다"[7]고 썼다. TV Guide는 그것을 스타들의 2/4로 평가하고 "이 페미니스트 영화는 급진적인 영화 제작 노력에서 세부적인 것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영예를 얻는다"[8]라고 썼다. 메트로 타임즈의 그레그 베이즈는 이 영화를 "80년대 초반 인디 영화와 퀴어 영화의 랜드마크"[9]라고 불렀다.
이 영화는 2016년 35mm 복원 인쇄물이 앤톨로지 필름 아카이브에서 초연된 이후 일종의 르네상스를 경험했다. The New Yorker의 리차드 브로디는 "Born in Flame"의 자유롭고 열정적이며 자발적인 창조성이 급진적 변화의 필수불가결한 방식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정치적 의도를 가진 많은 현대 영화제작자들이 아직 동화되지 않은 것이다"라고 썼다. 그는 또한 "보든의 신나는 콜라주 같은 이야기 무대는 거친 액션 장면과 뮤지컬 넘버와 함께 뉴스 보도, 다큐멘터리 순서, 감시 영상 등을 썼다. 그녀의 폭력적인 시력은 이념적으로 복잡하고 소름끼친다." "더 빌리지 보이스"의 멜리사 앤더슨은 "이 다루기 힘들고 분류가 불가능한 영화, 아마도 급진-레즈비언-페미니스트 공상과학소설 베리테의 유일한 진출작은 레이건 정권으로 2년 동안 초연되었지만, 그 분노는 오늘날 이 나라가 거침없는 우경화를 시작했을 때만큼이나 긴장감을 주었다"고 썼다.
참조
- 흑인 페미니즘, 백인 페미니즘, 의식 고양, 독립 라디오, 경찰 잔혹성 등 많은 페미니즘 운동과 도구를 일컫는다.
- 한 무리의 여성들이 전투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방송을 납치하기 직전, 대통령이 TV를 통해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들에게 집안일을 위한 임금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하는 장면에서 70년대 여성 생식 노동 문제를 다룬 페미니스트 사회 운동인 집안일 임금에 대한 언급도 있다. 영화 속 이 순간은 백인 이성애적 페미니즘과 반인종적 반자본주의적 페미니즘 사이의 정치적 적대감을 부각시킨다.[10]
- 이 영화는 독신 여성과 괴짜 여성을 차별하는 1976년 노동절차와 완전고용균형성장법(Full Employment and Balance Growth Act of 1976) 같은 미국의 정책을 가리킨다.[10]
- 언론사학자 루카스 힐더브랜드는 흑인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단체인 콤바희 리버 콜렉티브(1977년)의 흑인 페미니스트 성명서와 평행선을 달렸다.[11]
- The film includes the Red Krayola song "Born In Flames", released as a single in 1980,[12] as well as the songs "I’ll Take You There" by the African-American gospel, R&B, and soul group The Staple Singers, "Strange Fruit" by Billie Holiday, "Voodoo Child" by Jimi Hendrix and "New Town" by the British female punk rock group The Slits.
- 이 영화의 배역은 민권 변호사이자 활동가인 플로린스 케네디, 밴드 블러드와 컨토션의 아델 베르테이, 여배우 캐서린 비글로, 배우 론 바우터와 에릭 보고시안이다.
영향
이 영화는 크리스티나 레인의 저서 페미니스트 헐리우드에서 논의되고 있다. "Born in Flame"부터 "Point Break"[13]까지.
리지 보든의 인터뷰를 담은 아티스트 카이사 라시나로가 만든 영화의 '그래픽 번역'은 2011년 '어플라이스 페이퍼스'가 출간했다.[14] 이 책은 스크린캡으로 만든 콜라주 작곡으로 영화의 대화 내용을 선별한 것이다.
2013년, 이 영화에 관한 서류가 여성 & 퍼포먼스: 페미니스트 이론 저널의 특별 호로 출판되었다.[15] 크레이그 윌스와 딘 스페이드의 소개로, 이 서류에는 인종, 괴상함, 교차성, 급진주의, 폭력, 페미니즘을 다룬 많은 에세이가 영화에 포함되어 있다.
이 영화는 2016년 앤톨로지 필름 보관소에 의해 복원되었다. 35mm 복원 영화는 2016년 2월 안토리에서 초연되었다. 그것은 뉴 Yorker.com의 리차드 브로디, "Born in Flame"의 정치 공상과학 소설, 그리고 더 빌리지 보이스의 멜리사 앤더슨을 포함한 많은 다른 언론인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보든은 브뤼셀,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산 세바스티안, 밀라노, 토론토, 에딘버러 영화제, 런던 영화제와 디트로이트, 로체스터, 샌프란시스코, 로스엔젤레스에서의 상영과 함께 일련의 "저항의 영화"를 포함한 새로운 35mm 프린트를 보여주도록 초청받았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Maslin, Janet (November 10, 1983). "Born in Flames (1983) FILM: 'BORN IN FLAMES,' RADICAL FEMINIST IDEAS". The New York Times.
- ^ Baise, Greg. "Lizzie Borden talks about her scrappy, feminist magnum opus, 'Born in Flames'". Detroit Metro Times. Retrieved 2017-08-21.
- ^ "Eric Bogosian Biography". Film Reference. Retrieved 2009-05-13.
- ^ "Born in Flames (1983)". Rotten Tomatoes. Fandango Media. Retrieved 2021-05-11.
- ^ "Review: 'Born in Flames'". Variety. 1984. Retrieved 2015-04-11.
- ^ Baumgarten, Marjorie (2001-06-20). "Born in Flames". The Austin Chronicle. Retrieved 2015-04-11.
- ^ Dickinson, Frances. "Born in Flames". Time Out London. Retrieved 2015-04-11.
- ^ "Born In Flames". TV Guide. Retrieved 2015-04-11.
- ^ Baise, Greg (2010-06-16). "Born in Flames". Metro Times. Retrieved 2015-04-11.
- ^ a b 베스 카퍼 (2017) 가정불화, 제3 텍스트, 31:1 페이지 97-116
- ^ Lucas Hilderbrand, ‘In the Heat of the Moment: 불꽃 속에서 태어난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노트, 여성 & 공연: 페미니스트 이론의 저널, 23권, no 1, 2013, p 8
- ^ "The Red Crayola* – Born In Flames". discogs.com. Retrieved 19 July 2018.
- ^ Kessler, Kelly (2001-03-22). "Feminist Hollywood: From Born in Flames to Point Break.(Book Review)". Velvet Light Tra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4. Retrieved 2015-04-11.
- ^ Born in Fires, Acceptly Paper, 2011, ISBN 978-0-9562605-9-8
- ^ "Women & Performance: a journal of feminist theory - Volume 23, Issue 1". Taylor & Francis. Retrieved 2015-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