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고양
Consciousness raising의식 고양(Awareness raiseing, 일명 의식 고양)은 1960년대 후반 미국의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대중화된 활동주의의 한 형태다. 그것은 종종 어떤 원인이나 조건에 더 넓은 집단의 주의를 집중시키려 하는 사람들의 집단의 형태를 취한다. 일반적인 문제로는 질병(예: 유방암, 에이즈), 분쟁(예: 다르푸르 대학살, 지구 온난화), 운동(예: 그린피스, PETA, 지구촌) 및 정당이나 정치인이 포함된다. 대중에게 공공의 관심사를 알리는 것은 종종 기관의 대처 방식을 바꾸는 첫 번째 단계로 간주되기 때문에, 경각심을 높이는 것은 어떤 옹호 단체가 참여하는 첫 번째 활동이다.
그러나 실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은 종종 새로운 정보를 배우고 소화한 직후에 최고조에 달할 수 있는 새로운 서포터즈의 동기부여를 이용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기금 모금, 회원 가입 추진 또는 옹호 같은 다른 활동과 결합된다.
인식 제고라는 용어는 차별적 태도와[1] LGBT 고정관념에 대한 요기아카르타 원칙과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유해한 관행과 싸우기 위한 장애인권리협약에서 사용된다.[2]
용어.
17세기 초까지, 영어 사용자들은 "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적인 지식"이라는 의미에서 "의식"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오늘날 "양심"[3]이라고 일컫는 개념이다.
이슈 및 방법
페미니즘에서는
의식 고양 단체들은 뉴욕시의 초기 여성 해방 단체인 뉴욕 급진 여성들에 의해 결성되었고,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1967년 11월,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앤 코에트, 캐티 사라킬드(원래 캐티 아마티넥), 캐롤 하니쉬 등이 코에트의 아파트에서 모임을 갖기 시작했다. 회의에는 종종 그들 자신의 삶의 문제에 대해 "실내를 돌아다니며 이야기"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의식 고양'이라는 문구는 캐티 사라킬드가 앤 포어(Anne Forer)로부터 다음과 같은 문구를 받아들였을 때 그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구좌파에서는 노동자들이 자기들이 억압받고 있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의 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말하곤 했다. 어느 날 밤 회의에서 나는 '모두들 여자로서 어떻게 억압을 경험했는지에 대해 그들 자신의 삶에서 예를 들어줄 수 있을까? 내 자신의 의식을 끌어올리려면 그 말을 들어야 해.' 캐시는 내 뒤에 앉아 있었고 그 말이 마음속에서 울렸다. 그때부터 그녀는 그것을 일종의 기관으로 만들었고 의식 고양이라고 불렀다.
1968년 추수감사절에 캐티 사라킬드는 일리노이주 시카고 인근 제1차 전국여성해방회의에서 '페미니스트 의식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발표하면서 의식 제고의 원리를 설명하고, 지난 1년간 뉴욕 그룹이 발전해 온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요를 설명했다. 뉴욕 급진적 여성들(특히 레드스톡스)의 전 회원들에 의해 설립된 단체들은 1969년 뉴욕 급진적 여성운동가들과 뉴욕 급진적 여성운동가들이 의식 고양을 장려하고 단체모임을 위한 주제들을 암시하는 무언의 서명된 시트를 배포했다. 뉴욕 급진 페미니스트들은 맨해튼, 브루클린, 퀸즈 지역에 이웃에 기반을 둔 C.R. 그룹을 조직했는데, 최고조에 달한 C.R. 그룹에는 무려 400명의 여성들이 참여했다.[5] 그 후 몇 년 동안 미국 전역의 도시와 교외에서 소그룹 의식 제고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1971년까지 이미 시카고에서 여러 개의 의식 고양 단체를 조직한 시카고 여성 해방 연합은 작은 의식 고양 단체를 "여성 해방 운동의 중추"[6]라고 묘사했다. 웨스트 빌리지의[a] 일원인 수전 브라운밀러는 "소그룹 의식 제고는 이 운동의 가장 성공적인 여성 유대관계의 형태였으며, 대부분의 창의적 사고의 원천이었다"고 나중에 쓰곤 했다. 일부 소그룹들은 10년 이상 함께 지냈다.[7]
"1973년, 아마도 CR의 키에 미국의 10만 명의 여성이 CR 그룹에 속했을 것이다."[8]
중세 초기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 서로 고립되어 있다고 주장했고, 그 결과 여성의 생활에서 많은 문제들이 조직적인 형태의 억압보다는 '개인적', 즉 개별적인 남녀의 인격간의 갈등의 결과로 오해되었다. 의식을 높이는 것은 자신을 돕고 다른 사람들이 정치적으로 의식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했다. 의식 고양 단체들은 남성들의 존재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여성들을 한자리에 모아 그들의 삶을 토론하고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억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citation needed]
1973년 강연에서 의식 제고의 이면에 있는 이론을 설명하면서 캐티 사라킬드는 "의식 제고의 시작부터... 의식을 높이는 방법은 단 한 가지도 없었다. 의식 고양에서 정말로 중요한 것은 방법이 아니라 결과다. 의식 고양의 유일한 '방법'은 본질적으로 원칙이다. 이들은 역사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사람들에게나, 여성 자신들에게나, 이론과 전략을 위해 경험할 수 있는 최초의 원천으로 가는 기본적인 급진적인 정치 원칙이다."[9] 그러나 대부분의 의식 고양 단체들은 회의와 토론에서 비슷한 패턴을 따랐다. 회의는 보통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열리며, 소수의 여성 그룹과 함께, 종종 멤버 중 한 사람의 거실에서 열리곤 했다. 회의는 여자들만을 위한 것이었고, 대개는 각 여자가 미리 정해진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방을 돌아다니는 것이 포함되었다. 예를 들면, "자식을 가질 생각을 할 때, 차라리 남자아이를 가질래, 여자아이를 가질래?"—[citation needed]그녀의 경험으로 말하기, 토론을 위한 공식적인 리더가 없고 토론을 지시하거나 제한하는 규칙이 거의 없다. (일부 C.R. 그룹은 모든 여성에게 발언할 기회를 주고, 방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규칙을 시행했다.) 개인적 경험에서 말하는 것은 공유된 직접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추가적인 논의와 분석의 근거로 이용되었다.[citation needed]
일부 여성주의 의식제고 옹호론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여성들이 자신의 삶의 조건을 분석하고, 고립된 개인의 문제처럼 보였던 것(낙태 필요, 생존 강간, 집안일을 둘러싼 남편과 아내 사이의 갈등 등)이 실제로 공통 콘디를 반영하는 방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모든 여성이 마주한 [citation needed]텐션 사라킬드는 1969년에 썼듯이, "우리는 우리의 감정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무언가를 말해주고 있다고 가정한다... 우리의 감정은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우리의 감정은 우리에게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두려움이나 희망, 욕망, 좋은 일이 우리에게 일어날 것이라는 지식을 반영하여 정치적인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 조에서, 우리의 감정을 공유하고 함께 모읍시다. 우리의 감정이 우리를 어디로 이끌지 우리 스스로 가서 봅시다. 우리의 감정은 우리를 아이디어로 이끌 것이고 그 다음 행동으로 이끌 것이다."[10]
엘렌 윌리스는 1984년 "의식 함양은 종종 "치료의 한 형태로 오해되고 폄하되어 왔다"고 썼지만, 사실 그것은 그 시대와 맥락에서 "여성의 상태를 이해하는 일차적인 방법"이었고 "운동의 가장 성공적인 조직 도구"로 구성되었다고 썼다. 동시에 그녀는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이론과 강조의 부족을 '사전적 정치철학적 가정'[11]을 은폐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페미니스트 운동에서는 의식 고취 단체들을 "비극적이고 비정치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2]
시를 통해
역사적으로 시는 의식 고양 단체들에 의해 의식 고양 전술로 활용되어 왔다.[13] 활동가 겸 작가 오드레 로드는 색채운동가와 저항단체의 여성들을 위한 소통의 수단으로 시를 쓴 많은 학자 중 한 사람으로 주목받았다.[14] 이러한 초점은 다른 페미니스트 학자들에 의해서도 여성 문학 글쓰기 경험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15] 그리고 예술의 창조를 통한 비판 의식의 활용을 해방적 프락시로서 연구되어 왔다.[16] 레즈비언 글쓰기를 중시하는 온라인 출판물인 [18]'시니스터[17] 지혜와 조건'과 같은 다수의 출판물과 저널을 통해 급진적인 퀴어렌즈를 통해 자유주의 프락시로서의 예술도 탐구되어 왔다.
LGBT 권한의 경우
1960년대에 게이 해방 운동가들에게 의식 고취는 인기를 끌었는데,[19] 게이 해방 운동가들은, 그들은 참가자들이 환영받고 관대한 개인들 사이에서 옷장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나오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도록 도왔다. 의식 고양의 도구로 나온다는 생각은 마그누스 허슈펠트, 이완 블로흐, 칼 하인리히 울리히스 등 독일 이론가들의 훨씬 이전부터의 의견들이 선행되어 왔었는데, 이들은 모두 자기공개를 자기방해의 수단으로 보고, 동료의식이 없는 개인들의 의식 고양과 아와레네를 키우는 수단으로 보고 있었다.보다 넓은 사회의 [citation needed]ss
무신론에서
'신 환상'에서 반종교 운동가 리처드 도킨스는 여러 가지 다른 것에 대해 '의식 고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를 페미니스트 사건과 유사하다고 명시적으로 묘사하고 있다.[20] 여기에는 가톨릭, 무슬림 등으로서 아동을 지칭하는 것을 (그가 비성차별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비유) 이러한 종교의 일원인 성인의 자녀에 대한 언급으로, 다윈을 생물학에서 "우리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으로 대체하여 복잡성을 자연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 원칙적으로는, 상향의 가능성을 포함한다.다른 곳(특히 물리학에서)에서 그러한 일을 할 가능성에 대해 의식한다.[20] 이 책의 앞부분에서 그는 (페미니즘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부모님의 신앙을 떠나는 것이 선택사항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깨닫게 하는 것을 언급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20]
참고 항목
메모들
- ^ 뉴욕 급진 페미니스트들이 조직한 의식 고양 단체.
참조
- ^ 요기아카르타 원칙 제2조 제9조 제15조
- ^ 장애인권리협약, 제8조 "인식제고"
- ^ Koch, Christof (2004). The Quest for Consciousness: A Neurobiological Approach. Englewood, Colorado: Roberts and Company. p. 1. ISBN 9780974707709. Retrieved 3 Mar 2019.
The word consciousness derives from the Latin conscientia, composed of cum (with or together) and scire (to know).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consciousness was used in the sense of moral knowledge of right or wrong, what is today referred to as conscience.
- ^ Susan Brownmiller. In Our Time: Memoir of a Revolution. p. 21. (Susan Brownmiller 인용)
- ^ 브라운밀러, 78페이지
- ^ "How to start your own consciousness-raising group". Cwluherstory.com. The Chicago Women's Liberation Institution. 19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Leaflet) on 12 February 2004. Retrieved 18 February 2015.
- ^ 브라운밀러, 페이지 79
- ^ 엘러, 신시아, 여신의 무릎에 사는 것, op. 43 & n. 8 (p. 43 n. 8, Shreve, Anita, Women Together, Women Alone, op. cit, 페이지 5–6 & 9–14 인용)
- ^ 페미니스트 혁명, 페이지 147-148
- ^ 페미니스트 혁명, 부록 페이지 202.
- ^ 윌리스, 페이지 121.
- ^ 엘러, 신시아, 여신의 무릎에 산다: 미국의 페미니스트 영성 운동(보스턴, 미사: 비컨 프레스, 1995년 (ISBN 0-8070-6507-2) 페이지 188 & n. 3 (남캘리포니아의 유니브에서 종교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 예일 신학교 & 페어레이 디킨슨 유니브에서 가르쳤다) (페이지 188n. 3은 슈리브, 아니타, 함께 여자, 혼자: 의식 고양 운동의 유산 (N.Y.: Fawcett Columbine, 1989), 페이지 10–11).
- ^ Vernon), Reed, T. V. (Thomas (2005). The art of protest : culture and activism from the civil rights movement to the streets of Seattl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ISBN 978-0816637706. OCLC 59138260.
- ^ Audre., Lorde (2007). Sister outsider : essays and speeches. Crossing Press. ISBN 9780307809049. OCLC 773898749.
- ^ Castelao-Gómez, Isabel (February 2016). "Looking back at Feminism and Poetry: An interview with Jan Montefiore". European Journal of Women's Studies. 23 (1): 93–105. doi:10.1177/1350506815607838. ISSN 1350-5068. S2CID 148814316.
- ^ Yu, Nilan (2018), "Consciousness-raising and critical practice", Consciousness-Raising, Routledge, pp. 1–13, doi:10.4324/9781315107851-1, ISBN 9781315107851
- ^ "Journal Sinister Wisdom". www.sinisterwisdom.org. Retrieved 2018-11-29.
- ^ "Conditions: Five". Bitch Media. Retrieved 2018-11-29.
- ^ Jeffrey Weeks. "Gay Left: An Overview by Jeffrey Weeks". Gay Left. Archived from the original (Journal) on 2015-02-16. Retrieved 2015-02-25.
We said we could 'best explore our sexual attitudes most truthfully in an all-male group', and in many ways we did indeed operate as an awareness or conscious raising group as well as an editorial collective.
- ^ a b c Dawkins, Richard (2006). The God Delusion. Boston: Houghton Mifflin. p. 406. ISBN 978-0-618-68000-9.; (101KB)
참고 문헌 목록
- 브라운밀러, 수잔(1999년). 우리 시대: 혁명의 회고록 (ISBN 0-385-31486-8)
- 시카고 여성 해방 연합(1971년), 자신의 의식 고양 그룹을 시작하는 방법
- 프리먼, 조(1972년). "구조 무성의 횡포" Berkeley Journal of Sociology, 17, 151–165.
- 레드스톡(1975/1978). 페미니스트 레볼루션: 추가 글이 있는 요약판(ISBN 0-394-73240-5)
- 사라힐드, 캐티(1973년): 의식 고양: 급진적인 무기. 또한 페미니스트 혁명 144-150페이지에서 다시 인쇄되었다.
- 윌리스, 엘렌, "급진적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급진주의", 1984년, No More Nice Girls: Countercultural Essays, 1992년, ISBN 0-8195-5250-X, 페이지 117–150에 수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