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나비루스과

Bornaviridae
보르나비루스과
PDB 1n93 EBI.jpg
바이러스 분류 e
(순위 미지정): 바이러스
영역: 리보비리아
왕국: 오르토나비라과
문: 네가르나비리코타
클래스: 몬지비리세테스
주문: 모노네가비랄레스
패밀리: 보르나비루스과

BornaviridaeMonegavirales목음가닥 RNA 바이러스 과이다.말, 양, 소, 설치류, 조류, 파충류, 그리고 인간은 자연 숙주의 역할을 한다.선천성 바이러스와 관련된 질병에는 중부 유럽으로 제한되는 포유류의 치명적인 신경 질환인 보르나병과 새의 방실 확장 질환이 있다.보르나바이러스는 말이나 양과 같은 포유동물에게 뇌염을 일으킬 수 있다.3속 [1][2][3]11종을 포함하고 있다.

역사

보르나병은 1926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그 게놈은 1990년에 분리되었다.ICTV는 1996년에 보르나바이러스속(오늘날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속)과 함께 보르나바이러스과(Bornaviridae)[4]의 창설을 제안했다.이 바이러스 과의 이름은 독일 작센보르나 시에서 따왔다. 보르나는 많은 동물들이 바이러스 질환으로 [5]인한 산발적인 뇌병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던 곳이다.

구조.

보르나병 바이러스(BDV) 게놈의 구성 및 전사 지도.

오르토보르나비온은 구면 기하학과 나선형 캡시드로 둘러싸여 있습니다.직경은 약 70~130 nm입니다.게놈은 음의 단가닥 RNA로 이루어져 있다.이들은 선형이며, 단층이며 길이는 약 8.9kbp입니다.게놈은 [2]9개의 단백질을 코드화한다.

특징이 있는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단백질:

라이프 사이클

보른 바이러스의 복제 주기의 핵 수출입 사건

BornaviridaeMononegavirales 목에서 핵에서 복제되는 바이러스를 가진 유일한 두 과 중 하나이다.숙주세포로의 진입은 숙주수용체에 대한 바이러스 GP당단백질의 부착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클라트린 매개성 엔도사이토시스를 매개한다.복제는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 복제 모델을 따릅니다.어떤 대체 스플라이싱 메커니즘과 함께 중합효소 말더듬을 사용하는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 전사가 전사 방법이다.바이러스는 핵의 모공의 수출에 의해 숙주 세포에서 빠져나간다.이 바이러스는 보통 몇 주에서 몇 [6]달 사이의 매우 가변적인 잠복기를 가지고 있다.말, 양, 소, 설치류, 새, 그리고 인간이 자연 숙주의 역할을 한다.전염 경로는 포름, 접촉, 소변, 대변, [2]침이다.

병원성

2011~2013년 독일산 얼룩다람쥐(Sciurus variegatoides) 사육자 3명이 비슷한 임상 증상의 뇌염에 걸려 임상 증상 발생 2~4개월 만에 사망했다.유전체 분석 결과 접촉 다람쥐와 세 남자의 뇌 조직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오르토보르나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그들의 죽음에 있어 "원인과 유사"한 물질이라고 연구진은 보고했다.이전에는 보너바이러스가 인간의 [8][9]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았다.독일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에서도 VSBV-1에 감염된 다람쥐 아과인 Sciurins SciurinaeCallosciurinae 아과의.VSBV-1 양성 다람쥐는 임상적으로 [10]감염 징후를 보였다.BoDV-1은 붉은털원숭이, 랫드 등 BoDV-1 감염동물의 행동질환이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정신분열증, 감정정신병 등 인간의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도 있다.표본 크기가 큰 여러 연구에서, 병원 정신과 환자에서 BoDV-1 항체의 존재가 증가하고 대조군에 [1][11]비해 정신과 환자에서 혈청 회복률이 더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분류법

보르나바이러스과계통수
Bornaviridae과 : 속, 종 및 그 바이러스[12]
종. 바이러스(약자)
카르보바이러스 퀸즐랜드카르보바이러스 정글 카펫 비단뱀 바이러스(JCPV)
남서카르보바이러스 사우스웨스트카펫 비단뱀바이러스(SWCPV)
컬터바이러스 샤프벨리콜터바이러스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엘라피드1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러버리지 가터뱀 바이러스 1(LGSV-1)
포유류 1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보르나병 바이러스 1(BoDV-1)
보르나병바이러스2(BoDV-2)
포유류2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얼룩다람쥐보르나바이러스1(VSBV-1)
참새목 1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카나리아보르나바이러스1(CnBV-1)
카나리아보르나바이러스2(CnBV-2)
카나리아보르나바이러스3(CnBV-3)
참새목2정서보르나바이러스 에스트릴디드 핀치보르나바이러스1(EsBV-1)
비단뱀류 1형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1(PaBV-1)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2(PaBV-2)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3(PaBV-3)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4(PaBV-4)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7(PaBV-7)
비타시형 2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앵무새보르나바이러스5(PaBV-5)
워터버드1 오르토보르나바이러스 수생조류보르나바이러스1(ABV-1)
수생 조류 보르나바이러스2(ABV-2)

레퍼런스

  1. ^ a b Richt, Jurgen; Pfeuffer, I.; Christ, M.; Frese, K.; Bechter, K.; Herzog, S. (1997). "Borna Disease Virus Infection in Animals and Human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3 (3): 343–352. doi:10.3201/eid0303.970311. PMC 2627631. PMID 9284379.
  2. ^ a b c "Viral Zone". ExPASy. Retrieved 12 June 2015.
  3. ^ Amarasinghe, Gaya K.; Bào, Yīmíng; Basler, Christopher F.; Bavari, Sina; Beer, Martin; Bejerman, Nicolás; Blasdell, Kim R.; Bochnowski, Alisa; Briese, Thomas (7 April 2017). "Taxonomy of the order Mononegavirales: update 2017". Archives of Virology. 162 (8): 2493–2504. doi:10.1007/s00705-017-3311-7. ISSN 1432-8798. PMC 5831667. PMID 28389807.
  4.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February 2018. Retrieved 2 February 2018.{{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5. ^ Carbone, KM (2001). "Borna". Clin Microbiol Rev. 14 (3): 513–27. doi:10.1128/CMR.14.3.513-527.2001. PMC 88987. PMID 11432811.
  6. ^ Richt, JA; Rott, R (2001). "Borna disease virus: a mystery as an emerging zoonotic pathogen". Vet J. 161 (1): 24–40. doi:10.1053/tvjl.2000.0533. PMID 11145828.
  7. ^ 수의학 미생물학과 미생물병, 제2판, PJ Quinn 외.와일리-블랙웰
  8. ^ Hoffmann, Bernd; Tappe, Dennis; Höper, Dirk; Herden, Christiane; Boldt, Annemarie; Mawrin, Christian; Niederstraßer, Olaf; Müller, Tobias; Jenckel, Maria; van der Grinten, Elisabeth; Lutter, Christian; Abendroth, Björn; Teifke, Jens P.; Cadar, Daniel; Schmidt-Chanasit, Jonas; Ulrich, Rainer G.; Beer, Martin (9 July 2015). "A Variegated Squirrel Bornavirus Associated with Fatal Human Encephalit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3 (2): 154–162. doi:10.1056/NEJMoa1415627. PMID 26154788.
  9. ^ "Is There a Killer Squirrel Virus?". 9 July 2015.
  10. ^ Schlottau, K; Jenckel, M; van den Brand, J; Fast, C; Herden, C; Höper, D; Homeier-Bachmann, T; Thielebein, J; Mensing, N; Diender, B; Hoffmann, D; Ulrich, RG; Mettenleiter, TC; Koopmans, M; Tappe, D; Schmidt-Chanasit, J; Reusken, CB; Beer, M; Hoffmann, B (2017). "Variegated Squirrel Bornavirus 1 in Squirrels, Germany and the Netherlands". Emerg Infect Dis. 23 (3): 477–481. doi:10.3201/eid2303.161061. PMC 5382762. PMID 28221112.
  11. ^ Milad Azami, Farid Azizi Jallian, Ali Korshidi, Younes Mohammadi, Zeinab Tardeh, 보르나병 바이러스와 정신분열증 사이의 연관성: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아시아 정신 의학 저널, Volume 34, 2018, Pages 67-73, ISSN 1876-2018, https://doi.org/10.1016/j.ajp.2017.11.026.
  12. ^ Amarasinghe, Gaya K.; Aréchiga Ceballos, Nidia G.; Banyard, Ashley C.; Basler, Christopher F.; Bavari, Sina; Bennett, Andrew J.; Blasdell, Kim R.; Briese, Thomas; Bukreyev, Alexander (11 April 2018). "Taxonomy of the order Mononegavirales: update 2018". Archives of Virology. 163 (8): 2283–2294. doi:10.1007/s00705-018-3814-x. ISSN 1432-8798. PMC 6076851. PMID 296374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