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및 빌드

Broaden-and-build

긍정적인 심리학에서 넓히고 쌓이는 이론긍정적감정(행복, 어쩌면 흥미기대와 같은)이 사람의 인식을 넓히고 소설, 탐구적인 생각과 행동을 장려한다는 것을 암시한다.[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렇게 확장된 행동 레퍼토리는 유용한 기술과 심리적 자원을 만들어낸다. 이 이론은 1998년경 Barbara Fredrickson에 의해 개발되었다.[2]

긍정적인 감정은 즉각적인 필요와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마음을 빼앗기 때문에 즉각적인 생존 가치가 없다. 하지만, 행동의 폭을 넓힌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존을 강화시킨다.[2] 예를 들어, 풍경에 대한 호기심은 항해 지식이 되고, 낯선 사람과의 즐거운 상호작용은 지지적인 우정이 되며, 목적 없는 육체적 놀이는 귀중한 운동이 된다. 프레드릭슨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을 통해 얻은 자원은 그들이 획득한 감정보다 오래 지속된다. 자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쌓이고 개인의 전반적인 안녕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긍정적인 순환을 형성한다: 웰빙의 증가는 더 많은 긍정적인 감정들로 이어지고, 이것은 더 높은 회복력으로 이어지고, 그것은 웰빙의 증대로 이어진다.[3] 그렇다면 행복은 성공과 고기능행동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4]

이는 편협하고 생존 지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감정과는 대조적이다. 예를 들어, 불안은 구체적인 전투-비행 대응으로 이어진다. 특정한 행동 경향이라고 불리는 제한된 수의 충동은 반응 시간을 단축시킨다.[3]

후발달

프레드릭슨의 원론적인 확대 구축 이론은 긍정적인 감정이 어떻게 사람의 관심을 넓히는지에만 초점을 맞췄다. 후기 이론가들은 개인적 자원을 구축할 때 넓어지는 것 외에 심리적 협소의 중요성에 더 무게를 둔다. 좁히는 것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지만, 그들의 부정적인 영향은 긍정적인 감정에 의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좁혀지는 유익한 측면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를 비례적으로 경험한다면 해로운 영향이 없는 경험일 수 있다.

창조적 과정은 종종 이것과 관련하여 연구되는데, 그것은 정신의 확대, 개인적 자원의 구축, 그리고 감정적 영역의 양면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2005년의 한 연구는 자연적으로 창조적인 사람들이 그 당시 그들이 성취하려고 하는 것에 따라 긍정적인 감정 공간과 부정적인 감정 공간 모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더 넓은 기분 변화를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느 한쪽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해로울 수 있다: 적절한 균형감각이 없는 지나친 긍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을 냉담하고 집중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5]

창조적인 과정은 종종 집중적인 관심의 두 단계로 논의된다: 집중적인 관심.

집중력이 떨어지는 주의력은 사람이 다양한 가능성을 볼 수 있고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집중적인 관심은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이 느껴질 때 일어나며 집중되지 않은 관심에서 발견되는 가능성을 분석하게 한다. 이런 과정이 없으면 구체적인 생각이 형성되지 않는다.

창조성에 대한 전뇌 가설도 심리적인 축소의 중요성을 조장한다. 이 이론은 집중력이 떨어진 단계는 뇌의 오른쪽 부분을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집중된 과정은 왼쪽 부분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말한다. 창조성은 논리 정연한 이론을 형성하고 개인적인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두 반구 사이의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5]

지원

프레드릭슨은 참가자들이 오락과 만족 같은 긍정적인 감정, 공포와 슬픔 같은 부정적인 감정, 또는 아무런 감정도 없는 영화를 보기 위해 무작위로 배정되는 무작위 제어 실험실 연구를 실시했다.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참가자들은 창의성, 창의성, 그리고 "큰 그림" 지각의 초점을 보여준다. 종적 개입 연구는 긍정적인 감정이 심리적 탄력성과 번영과 같은 장기적 자원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6] 긍정적인 감정은 단지 현재 번창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또한 더 넓은 생각-행동 레퍼토리를 만들 수 있고, 이것은 자원을 증가시키고 더 만족스러운 삶을 이끌어낸다.[4]

명상과 쾌락적 러닝머신

2008년의 한 연구는 명상,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사랑스런 친절 명상이 개인적인 자원을 만드는데 필요한 긍정적인 감정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7] 이런 종류의 명상에서는 참가자가 먼저 자신이 이미 생각하고 있는 사람을 '따뜻한' 방식으로 생각한다. 그런 다음, 그들은 우선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고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 다음, 점점 더 넓어지는 일련의 사람들로 확장한다.

쾌락적 러닝머신 이론은 긍정적인 감정은 항상 일시적인 것이며, 사람들은 오래된 테크닉이 비효율적이 되면서 긍정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끊임없이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9주 동안 수행되었는데, 연구자들이 애정어린 친절 명상이 즉시 긍정적인 감정을 발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긍정적인 감정을 발달시키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했다. 느린 진행은 긍정적인 효과가 미래에 더 많은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자원을 만들었다는 증거를 제공했다.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확대 구축 접근법은 이를 회피한다: 긍정적인 감정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고(그리고 그 결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효과성을 잃는다), 대신에 장기간에 걸쳐 이용될 수 있는 유익한 심리적 자원을 구축한다.

긍정적인 감정에 대해 쓰는 것

2004년의 한 연구는 매우 긍정적인 경험에 대해 쓰는 것이 피실험자들의 행복과 건강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8]

3일 동안 하루에 20분 동안 피실험자들은 매우 긍정적인 경험에 대해 쓴 반면 통제 그룹은 중립적인 주제에 대해 썼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행복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험군도 이후 3개월 동안 통제군보다 훨씬 덜 자주 병원을 찾았다.[8] 긍정적인 경험에 대해 쓴 주제들은 과거의 긍정적인 감정을 다시 체험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경험을 넓히고 관계와 기술을 쌓을 수 있었다.[3]

종교

2002년 연구에 따르면, 특정 종교행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것과 비슷한 혜택을 누린다.[9] 어떤 종교적인 관행은 "삶에서 더 큰 의미를 갖는 믿음"에 기초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 결과 가게의 옛 친구와 마주치는 등 우연한 일부터 배우자를 잃는 등 극도의 고난에 이르기까지 어떤 일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된다.[9] 더 큰 의미에 대한 이러한 믿음은 긍정적인 감정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로 인해 회복력, 창의력, 지혜, 미덕, 신체적 건강, 사회적 통합이 증대되었다.[9]

비판

게이블과 하모니존스의 2010년 연구는 특정 부정적인 감정에 피험자를 노출시키는 것이 그것을 감소시키기 [10]보다는 그들의 관심의 폭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동기식 치수 모델을 신뢰할 수 있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일부 긍정적인 감정은 만족도와 같은 접근 동기가 낮다. 즉, 그들은 개인이 어떤 행동을 개시하거나 즉시 행동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긍정적인 감정은, 넓어지고 쌓이는 이론과 일치하여, 관심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개인은 많은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추상적인 개념을 취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흥분과 같은 다른 긍정적인 감정들은 접근 동기가 높다. 이러한 감정들은 개인들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개시하도록 강요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감정은, 넓어지고 쌓이는 이론과는 반대로, 좁은 관심이다. 아마도, 개인이 어떤 물체에 접근함에 따라, 그들은 관계없는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사람들을 무시하도록 진화해 왔을 것이다.[10]

연구에 의한 이전의 연구들은 유사한 결과를 발견했다: 바람직한 디저트에 관한 영화를 본 참가자들은 관심을 좁혔고, 2009년의 신경생리학 연구는 왼쪽 전두엽 피질의 활성화가 접근 동기 부여와 심리적인 좁혀짐 둘 다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0]

참고 항목

참조

  1. ^ Fredrickson, B. L. (2004).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9 (1449): 1367–1378. doi:10.1098/rstb.2004.1512. PMC 1693418. PMID 15347528.
  2. ^ a b Compton, William C (2005). "2".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Wadsworth Publishing. pp. 23–40. ISBN 0-534-64453-8.
  3. ^ a b c Fredrickson, B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3): 218–226. doi:10.1037/0003-066X.56.3.218. PMC 3122271. PMID 11315248.
  4. ^ a b Cohn, MA; BL Fredrickson (2006). "Beyond the Moment, Beyond the Self: Shared Ground between Selective Investment Theory and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sychological Inquiry. 17: 39–44. doi:10.1207/s15327965pli1701_02.
  5. ^ a b Rathunde, K (2000). "Broadening and Narrowing in the Creative Process: A Commentary on Fredrickson's "Broaden-and-Build" Model". Prevention & Treatment. 3 (1). doi:10.1037/1522-3736.3.1.36c.
  6. ^ Fredrickson, B. L. (2003).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Scientist. 91 (4): 330–335. doi:10.1511/2003.26.865.
  7. ^ Fredrickson, B.L.; Cohn, M.A.; Coffey, K.A.; Pek, J.; Finkel, S.M. (2008).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5): 1045–1062. doi:10.1037/a0013262. PMC 3156028. PMID 18954193.
  8. ^ a b Burton, Chad; Laura King (April 2004).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Intensely Positive Experien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8 (2): 150–163. doi:10.1016/s0092-6566(03)00058-8.
  9. ^ a b c Fredrickson, B.L. (2002). "How Does Religion Benefit Health and Well-Being? Are Positive Emotions Active Ingredients?". Psychological Inquiry. 13 (3): 209–13. doi:10.1207/S15327965PLI1303_05. JSTOR 1449332.
  10. ^ a b c "Broaden and build theory / Dr Simon Moss / - Sicotests". www.sicotests.com. Retrieved 202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