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롬리 노스 라인
Bromley North Line브롬리 노스 라인 | |||
---|---|---|---|
![]() 브롬리 노스 사우스웨스트 클래스 465 유닛 465001 | |||
개요 | |||
상태 | 운영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로캘 | 대런던 | ||
터미 | 그로브 파크 브롬리 노스 | ||
스테이션 | 3 | ||
서비스 | |||
유형 | 교외 철도, 중철도 | ||
시스템 | 내셔널 레일 | ||
서비스 | 1 | ||
연산자 | 남동부 | ||
디포 | 히더 그린 | ||
롤링 스톡 | 클래스 465 "네트워크 사용자" | ||
기술 | |||
트랙 수 | 2 | ||
캐릭터 | 지선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
전기화 | 750 V DC 3차 레일 | ||
작동 속도 | 64km/h 40mph | ||
|
브롬리 노스 라인 | |||||||||||||||||||||||||||||||||||||||||||||||||||||||||||||||
---|---|---|---|---|---|---|---|---|---|---|---|---|---|---|---|---|---|---|---|---|---|---|---|---|---|---|---|---|---|---|---|---|---|---|---|---|---|---|---|---|---|---|---|---|---|---|---|---|---|---|---|---|---|---|---|---|---|---|---|---|---|---|---|
|
브롬리 노스 노선은 그레이터런던에 있는 2마일(3.2km) 미만의 지선으로, 그로브 공원에서 남동부에서 운영하는 남동부 본선과 연결된다. 2010년대 동안 두 개의 자체 역이 있는 이 노선은 르위샴의 런던 자치구에 있는 그로브 파크 기차역을 오가는 비스루(셔틀) 서비스를 받아왔다. 네트워크 레일은 이 노선을 경로 SO350으로 기록하고 있다.
역사
이 노선은 '브롬리 직통 철도 회사'가 남동부 철도(SER)와 협력하여 다른 브롬리 역인 브롬리 남부를 소유했던 런던, 채텀, 도버 철도와 경쟁하기 위해 건설했다. 그것은 1878년 1월 1일에 열렸고 처음부터 SER에 의해 작동되었다. 두 회사는 같은 해 말 합병했다.[1]
이 노선은 1926년부터 남부 철도에 의해 다른 SECR 도시 노선과 함께 750 V DC (제3 철도)에서 전기화되었다.
서비스
직원들에 의해 "포퍼"로 알려진 셔틀 서비스가 운영된다.[citation needed] 그 서비스는 각 방향에서 시간당 2대의 열차다. 공휴일과 일요일은 가맹점주가 운영하지 않는다.[2]
브롬리 노스(Bromley North)에서 홀본 비아덕트(Holborn Viador), 빅토리아(Victoria), 캐넌 스트리트(Cannon Street), 채링 크로스(Charing Cross)까지 이것들은 1976년에 피크 타임 전용 서비스로 삭감되었다가 1990년에 완전히 철회되었다.[3]
기차
465 등급의 롤링 스톡은 주로 이 경로에서 운행된다. 2010년까지 이 지점은 그레이터런던에서 기차가 운전사와 경비원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유일한 지점인 '진정한 지점'이었다. 2010년 이후, 미러와 모니터가 플랫폼에 제공되어 운전자가 뒤를 돌아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이제 운전자 전용이다.
미래 제안
런던 중심부로 들어가는 남동부 간선은 만원이다. 서비스 패턴은 직통, 시간당 많은 열차, 역으로 모든 장거리 서비스 목적지를 긴밀하게 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사우스웨스트는 브롬리 노스로부터 런던 중심부로 직접 서비스를 복구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정당하지 않으며, 따라서 모든 (비정규 브롬리 남부 백업) 서비스는 가까운 장래에 그로브 공원에서 종료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고립된 철도 인프라를 더 잘 활용하기 위해 브롬리 노스 라인을 대체 교통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런던 교통부는 브롬리 노스 라인을 런던의 다른 대중 교통 시스템 중 하나에 연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가능한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4]
- 르위샴 남쪽의 링크를 통해 도클랜드 경전철에 편입하다.
- Elephant and Castle에서 베이커루 노선을 연장하여 런던 지하철로 편입하다.
- 트램링크 시스템의 연장선상에서 트램을 사용하기 위한 변환.
- 뉴 크로스(New Cross)를 통해 런던 오버그라운드(London Overground)에 통합됨 - 회선 용량 문제로 인해 이는 가능성이 낮은 해결책이다.[5]
이러한 계획은 제안 단계를 넘어서지 않았으며 2017년경[needs update] 권고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브롬리의 런던 자치구가 2012년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트램링크를 베켄햄 분기점을 넘어 브롬리 마을 중심지로 확장하는 제안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으며, 브롬리 노스 라인을 따라 그로브 파크까지 이 노선을 계속하는 추가 선택권이 있다. 이 보고서는 또한 베이커루 노선 연장도 유리하다고 생각하지만, 르위샴과 그로브 공원 사이의 터널링과 창고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6] 트램링크 제안서는 네트워크 레일의 철도 이용 전략 보고서에도 수록되어 있다.[7]
참조
- ^ 본문(1989), 페이지 57.
- ^ "Timetable 6 - London to Catford Bridge, Elmers End and Hayes. London to Bromley North, Orpington and Sevenoaks via Grove Park" (PDF).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The Past and Future of the Bromley North Branch". 25 January 2013.
- ^ "Could the DLR or Bakerloo line be coming to Bromley?". This is Local London. 23 January 2012. Retrieved 26 January 2013.
- ^ "The Past and Future of the Bromley North Branch". London Reconnections. 25 January 2013. Retrieved 26 January 2013.
- ^ "Future Rail and Tram Links to Bromley" (PDF). Report No. ES12004. London Borough of Bromley. 18 January 2012. Retrieved 26 January 2013.
- ^ "8.10 Gap Q – Tramlink extensions" (PDF). London and South East Route Utilisation Strategy. Network Rail. July 2011. p. 159. Retrieved 26 January 2013.
원천
제프리 보디, 남부 지역의 철도, (1978년), 패트릭 스티븐스 주식회사 1-85260-29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