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트포드 루프 라인
Hertford loop line허트포드 루프 라인 | |||
---|---|---|---|
![]() | |||
개요 | |||
상태 | 운영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로캘 | 대런던 잉글랜드의 동쪽 | ||
터미 | 런던 무어게이트 스테버니지 | ||
스테이션 | 11 | ||
서비스 | |||
유형 | 헤비 레일 | ||
시스템 | 내셔널 레일 | ||
서비스 | 1 | ||
연산자 | 그레이트 노던 | ||
디포 | 혼세이 EMUD | ||
롤링 스톡 | 717급 "데시로시티" | ||
역사 | |||
열린 | 1871—1924 | ||
기술 | |||
선 길이 | 24mi(39km) | ||
트랙 수 | 2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
로딩 게이지 | W9 | ||
경로 가용성 | RA 7-9 | ||
전기화 | 25kV AC OHLE | ||
작동 속도 | 최대 75mph(121km/h) | ||
|
허트포드 루프 라인 | ||||||||||||||||||||||||||||||||||||||||||||||||||||||||||||||||||||||||||||||||||||||||||||||||||||||||||||||||||||||||||||||||||||||||||||||||||||||||||||||||||||||||||||||||||||||||||||||||||||||||||||||||||||||||||||||||||||
---|---|---|---|---|---|---|---|---|---|---|---|---|---|---|---|---|---|---|---|---|---|---|---|---|---|---|---|---|---|---|---|---|---|---|---|---|---|---|---|---|---|---|---|---|---|---|---|---|---|---|---|---|---|---|---|---|---|---|---|---|---|---|---|---|---|---|---|---|---|---|---|---|---|---|---|---|---|---|---|---|---|---|---|---|---|---|---|---|---|---|---|---|---|---|---|---|---|---|---|---|---|---|---|---|---|---|---|---|---|---|---|---|---|---|---|---|---|---|---|---|---|---|---|---|---|---|---|---|---|---|---|---|---|---|---|---|---|---|---|---|---|---|---|---|---|---|---|---|---|---|---|---|---|---|---|---|---|---|---|---|---|---|---|---|---|---|---|---|---|---|---|---|---|---|---|---|---|---|---|---|---|---|---|---|---|---|---|---|---|---|---|---|---|---|---|---|---|---|---|---|---|---|---|---|---|---|---|---|---|---|---|---|---|---|---|---|---|---|---|---|---|---|---|---|---|---|---|---|
|
허트포드 선[1][2](Hertford Line, 구어적으로 Hertford Loop이라고도 함)은 이스트 코스트 본선의 분선이며, 허트포드 및 다른 허트포드셔 마을들을 위해 런던으로 가는 노던 시티 라인 통근 노선의 일부분이며, 간간이 본선을 우회하는 노선이다.이 노선은 네트워크 레일 전략 노선 8번 SRS 08.03의 일부로서 런던 및 남동부 통근 노선으로 분류된다.[3]
역사
이 노선은 1871년에서 1924년 사이에 3단계로 개통되었다.엔필드 분기 철도라고 불리는 첫 번째 구간은 런던과 요크 철도에 의해 개발되었고 우드 그린에서 엔필드로 갔다.[4]1898년, 웰윈 비아드로를 넓힐 필요 없이 본선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허트포드와 스테베나주 북쪽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이 승인되었다.1905년에 작업이 시작되었고 커플리는 1910년 4월 4일에 도달했다.제1차 세계대전의 인력과 물자의 부족과 결합하여 두 개의 주요 고로와 폰스본 터널(2,684야드 또는 2,454미터, 영국의 동부 카운티에서 가장 길고 전통적 방법으로 건설된 마지막)의 건설은 1918년 3월 4일까지 스테파니지로 가는 노선 개통을 지연시켰다.그리고 그것은 단일 트랙이었고 상품 서비스만을 위한 것이었다.이 노선은 마침내 1924년 6월 2일 새로운 허트포드 노스역이 개통되면서 승객들에게 개방되었다.[5]그 노선은 1977년에 전기화되었다.[6]
이 선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웰윈/디그스웰 고가도로가 폭탄으로 인해 위험성이 높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었다.
노선 및 정산 서비스
허트포드 선은 스티븐리지의 바로 남쪽에 [1]있는 랭글리 분기점에 있는 동부 코스트 본선을 출발한다.
- 왓튼앳스톤 마을을 섬기는 왓튼앳스톤
- 허트포드 노스(Hertford North), 허트포드(Hertford) 마을을 섬기고 있다.
- 베이포드, 베이퍼드와 브릭튼의 마을을 섬기는
- 커플리, 노쇼, 고프스 오크 등의 커플리 마을을 섬기는 커플리
- 크루스 힐, 크루스 힐 마을에 봉사하다
- 고든 힐과 포스 힐을 섬기고 있는 고든 힐도 체이스 팜 병원과 가까운 곳에 있다.
- Enfield Chase, Enfield Town 서비스
- 그랜지 파크, 그랜지 파크 서빙
- 윈치모어 힐, 윈치모어 힐 서빙
- Palmers Green, Palmers Green 제공
- 보우즈 공원, 보우즈 공원, 바운스 그린 및 목재 그린을 섬김
알렉산드라 팰리스 역 북쪽[7]우드 그린 남단 분기점에 있는 동해안 본선과 다시 합류한다.
운영
그레이트 노던(Great Northern)은 런던 킹스 크로스와 무어게이트 사이의 허트포드 선과 스테버니지, 왓튼앳스톤 또는 허트포드 노스 사이의 교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때때로, 런던 북동부 철도, 헐 트레인, 그랜드 센트럴 그리고 다른 더 빠른 북방 서비스는 엔지니어링 작업으로 인해 동부 해안 본선의 주요 구간에서 우회할 때 노선을 따라 논스톱으로 운행된다.바우즈 공원의 북쪽에는 역행하는 쪽이 있는데, 바운스 그린 디포(Bounds Green Depot)로 향하는 런던 북동부 철도 열차를 후진시키는 데 가끔 사용된다.허트포드 노스, 스티븐리지, 고든 힐 등에도 베이 플랫폼이 있는데, 이 플랫폼은 피크타임과 야간에만 종착역 역할을 한다.
사회 기반 시설
이 라인의 길이는 약 24마일(39km)이며, 전체에서 이중 트랙이며 오버헤드 라인 장비를 사용하여 25 kV AC에서 전기를 공급한다.W9의 적재 게이지와 최대 회선 속도는 121km/h이다.[3]
등급으로 구분된 연결선은 북행 선로의 각 끝과 본선을 연결한다.모든 스테이션은 2대의 3-카(20m) EMU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다.모든 스테이션이 새로 도입되는 6량 EMU를 위한 긴 시간은 아니지만, 이 스테이션의 워크스루 설계로 접근이 가능하다.
터널과 고가도로
허트포드 선의 주요 토목 구조물은 다음과 같다.[8]
철도 구조 | 길이 | 런던 킹스 크로스로부터의 거리 | 위치 |
---|---|---|---|
몰우드 터널 | 364야드(333m) | 20마일 31개 체인 – 20마일 14개 체인 | 허트포드 노스 역 |
허트퍼드 비아덕터 | 14개의 쇠사슬 | 19마일 15마일 체인 – 19마일 01 체인 | 허트포드 노스 역과 베이포드 역 사이 |
호른스밀 비아드리토 (리버 리아) | 쇠사슬 6개 | 18마일 58개 체인 – 18마일 52개 체인 | |
폰스본 터널 | 1마일 924야드(2454m) | 16마일 21개 체인 – 14마일 59개 체인 | 베이포드 역과 커플리 역 사이 |
소퍼스 농장 비아도로 | 쇠사슬 6개 | 12마일 43개 체인 – 12마일 37개 체인 | 커플리와 크루스 힐 역 사이 |
렌들스햄 비아덕트 | 7개의 쇠사슬 | 10마일 40마일 체인 – 10마일 33체인 | Crews Hill과 Gordon Hill 역 사이 |
다운 Enfield Viadicro(다운 라인) | 5마일 22개의 체인 | 알렉산드라 궁전역 북쪽 |
허트포드 루프 라인에서 ERTMS 시험
네트워크 레일사는 허트포드 선의 ERTMS 시험 차량으로 비콘 레일 소유 등급 313121을 사용하고 있다.[9]이 계획에는 기존 승객과 화물 서비스가 허트포드 루프 라인 상공에서 양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복선 노선의 5+1⁄2 마일(8.9 km) 구간을 재계약하여 ERTMS 시험 및 평가를 위한 하선을 해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0]
참조
- ^ a b Network Rail (2 December 2006). London North East Route Sectional Appendix. Vol. Module LNE1. p. 46. NR30018/01a.
- ^ 메추리 지도 2 - 영국:동부[24페이지] 1998년 2월 (2014-04-12년 회수)
- ^ a b "Route 8 - East Coast Main Line" (PDF). Network Rai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June 2011. Retrieved 1 June 2009.
- ^ 영국 철도의 지역사 (Vol. 3 Great London), H P White, David & Charles Ltd 1971 (166-7페이지)
- ^ 영국의 철도의 지역사 (제5권 The East Counties), D I Gordon, David & Charles Ltd 1977 ISBN 0-7153-4321-1 (123-4)
- ^ "English Heritage Pastscape: Hertford Loop 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12. Retrieved 20 August 2011.
- ^ Network Rail (2 December 2006). London North East Route Sectional Appendix. Vol. Module LNE1. p. 44. NR30018/01a.
- ^ Brailsford, Martyn (2016). Railway Track Diagrams Book 2: Eastern. Frome: Trackmaps. pp. 14, 24. ISBN 978-0-9549866-8-1.
- ^ "Railway Industry Association: Update #52 page 6" (PDF). Retrieved 4 March 2011.[영구적 데드링크]
- ^ "The signal for change". Rail Magazine. 664. 22 February – 8 March 2011. Retrieved 29 March 2015.
혼비, 프랭크(1995) 런던 통근 노선. 제1권: 템즈강 북쪽의 본선.케터링: 실버 링크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