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랭겐

Bruce Laingen
브루스 랭겐
Defense.gov photo essay 110121-A-4565G-028.jpg
2011년 랑겐
주이란 미국 대사
재직중
1979년 6월 16일 ~ 1980년 4월 7일
대통령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선행윌리엄 H. 설리번
에 의해 성공자국교가 단절되었다
몰타 주재 미국 대사
재직중
1977년 1월 11일 ~ 1979년 1월 20일
대통령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선행로버트 P.스미스
에 의해 성공자조안 M. 클라크
개인 정보
태어난
로웰 브루스 랭겐

(802-08-06)1922년 8월 6일
미국 미네소타주, 버터필드
죽은2019년 7월 15일(2019-07-15) (96세)
미국 메릴랜드 주 베데스다
모교세인트올라프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군복무
얼리전스 미국
지점/서비스 미국 해군
근속 연수1943–1946
전투/전투세계 대전
레인겐은 1981년 1월 27일 백악관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연설했다.

로웰 브루스 라인겐(Lowell Bruce Laingen, 1922년 8월 6일 ~ 2019년 7월 15일)은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몰타 주재 미국 대사를 지낸 미국외교관이다.란겐은 이란 인질극 [1][2][3]당시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외교공관장(공관장)으로 일하면서 인질로 잡힌 미국 고위 관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초기 생활, 해군 복무 및 교육

랭겐은 미네소타 와톤완 카운티에 있는 버터필드와 오딘 근처의 농장에서 태어났다.세계 2차 대전 동안, 랭겐은 남태평양의 해군에서 [4]중위로 복무했습니다.전쟁 후 그는 세인트루이스 대학을 졸업했다. 올라프 칼리지를 거쳐 [4][5]미네소타 대학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그는 [6]또한 1968년에 국립 전쟁 대학에서 공부했다.

외교관 경력

1949년 랭겐은 미국 외무부에 입대했다.그는 독일,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서 근무했으며 1977년 [1][3]제럴드 포드 대통령에 의해 몰타 대사로 임명됐다.

랭겐은 1979년 6월 지미 [6]카터 대통령에 의해 윌리엄 H 설리번 대사찰리 나스 대사가 해임된 후 미국 대통령직으로 이란으로 돌려보내졌다.Laingen은 이전에 1950년대에 [4]이란에서 복무했었다.

1979년 11월 4일, 미국 대사관은 이란 혁명 이후 학생 시위대에 의해 점령되었다.63명의 인질이 대사관에서 납치되었고, 라잉겐과 다른 2명은 이란 외무부에서 납치되었다.Laingen 부인은 [7]위기 동안 그들의 집에 있는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을 달았습니다.랑겐과 51명의 인질은 444일간의 억류기간을 마치고 1981년 1월 20일 석방됐다.렝겐은 대사관 점거 이후 양국 정부의 직접적인 외교관계가 단절되고 그 이후로 복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란 주재 미국 공관 수장으로 남아 있다.

1981년 1월 이란에서 풀려난 뒤 라잉겐과 다른 인질들은 뉴욕 [8]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에 도착했다.4개월 후인 1981년 5월 26일, 웨스트 포인트 클래스는 카데트 메시 홀에서 열린 공식 만찬 행사에서 그를 졸업 연사로 추대했다.Laingen은 몇몇 다른 인정과 함께 국무부 용맹상을 받았습니다.

랭겐의 다음 직책은 국방대학교 부총장이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고위 외교관이 맡아왔던 직책이다.그는 38년간의 근무 끝에 1987년 외무부에서 은퇴했다.랭겐은 이전에 미국 외교 아카데미의 회장을 지냈다.

만년 생사

2010년, Laingen은 미국 외무 서비스 [9]협회로부터 평생의 미국 외교 공헌상을 수상했습니다.

2019년 7월 15일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의 요양시설에서 96세의 나이로 파킨슨병 [5]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Former Iranian Hostage, Ambassador Bruce Laingen Statement: Don't Hold Successful Diplomacy Hostage to History". Center for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n.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3-08.
  2. ^ "Diplomat's In Harm's Way – Bruce Laingen".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 Train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14. Retrieved 2014-06-17.
  3. ^ a b "Tribute to Ambassador L. Bruce Laingen – U.S. Senate" (PDF). Congressional Record. Library of Congress. 2012-07-26. p. S5474.
  4. ^ a b c 세픽, 맷, "전 외교관, 이란 인질, 미네소타 출신 브루스 라인겐 사망", 미네소타 공영 라디오 뉴스, 2019년 7월 17일.
  5. ^ a b "L. Bruce Laingen, 이란 주재 미국 최고 외교관 96세로 사망" 2019년 7월 17일 뉴욕타임스 AP.
  6. ^ a b "Interview with Ambassador L. Bruce Laingen" (PDF).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1993-01-09.
  7. ^ "How the Yellow Ribbon Became a National Folk Symbol".
  8. ^ 1981년 USMA 클래스 졸업 연회 프로그램과 역사, 대릴 웨인 피터슨, MD 멤버, 1981년 USMA 클래스
  9. ^ Honley, Steven Alan, "A Determined Optimist: L. Bruce Laingen", 포린 서비스 저널, 2010년 7월, 페이지 40.

외부 링크

외교직
선행 몰타 주재 미국 대사
1977년 1월 11일 ~ 1979년 1월 20일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