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 헨더슨
Loy W. Henderson로이 헨더슨 | |
---|---|
![]() | |
이란 주재 미국 대사 | |
재직중 1951년 9월 29일 – 1954년 12월 30일 | |
대통령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선행자 | 헨리 F. 그래디 |
성공자 | 셀던 채핀 |
인도 주재 미국 대사 | |
재직중 1948년 11월 19일 – 1951년 9월 21일 | |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
선행자 | 헨리 F. 그래디 |
성공자 | 체스터 보울스 |
이라크 주재 미국 장관 | |
재직중 1943년 11월 20일 ~ 1945년 4월 7일 | |
대통령 | 프랭클린 D. 루즈핏 |
선행자 | 토마스 M. 윌슨 |
성공자 | 조지 워즈워스 2세 |
개인내역 | |
태어난 | 미국 아칸소 주 로저스 | 1892년 6월 28일
죽은 | 1986년 3월 24일 메릴랜드 주 베데스다 | (93)
수상 | ![]() |
![]() |
미국 근동문제 외교관 |
---|
|
로이 웨슬리 헨더슨(Loy Wesley Henderson, 1892년 6월 28일 ~ 1986년 3월 24일)은 미국 외무부 관리 및 외교관이었다.
배경
로이 웨슬리 헨더슨은 1892년 6월 28일 아칸소 주 로저스에서 가난한 감리교 설교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노스웨스턴 대학교로 편입하기 전에 캔자스의 작은 마을에서 대학을 다녔다.
경력
초기 경력
팔 부상으로 헨더슨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신 적십자 자원봉사를 했다.[1]
동유럽과 구소련
아일랜드에서의 초기 영사 여행 후 헨더슨은 소련과 동유럽 문제에 24년 동안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어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등에서 활동하면서 미국의 소련 코민테른과 좌익 조직의 연관성을 조사했다.[citation needed]
1933년 루즈벨트 행정부는 소련에 외교적 인정을 확대했고 헨더슨은 러시아에 파견되어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의 재개를 도왔다. 이 임무에서 그를 도운 것은 동료 하급 장교인 조지 F. 나중에 헨더슨과 함께 소련 최고 전문가로 여겨질 케넌과 찰스 볼렌. 1935년 크렘린궁은 미국 국내 정치에 간섭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겼다. 이에 불릿 대사는 혐오감을 느끼며 워싱턴으로 돌아와 헨더슨을 모스크바에서 한동안 차르게 했다. 헨더슨은 차르제로서 소련이 나치 독일과 협력할 가능성이 있다고 워싱턴에 경고했다. 4년 후 모스크바는 1939년 소련-독일 불가침 조약에 서명했다. 헨더슨은 1940년 웰즈 선언에 기여한 사람 중 한 사람으로, 소련이 발트해 국가 점령에 대한 미국의 불인정 정책을 수립했다.[citation needed]
헨더슨은 크렘린궁을 깊이 불신했고 1942년 초 대부분의 미국인과 루즈벨트 대통령이 새로운 소련 전시 동맹국들에 대해 가졌던 열정과 대립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과 소련의 수교 3주년을 맞아 1936년 11월 16일자 헐 국무장관에게 소련에서의 샤르제(Chargé)로서 마지막 해의 실패에 대한 설명을 담은 각서를 제출하여 그 논쟁에 많은 자리를 주었다. 소련측에서 더 나은 이해도를 높인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레노어 루즈벨트와 백악관의 다른 소련 동조자들은 국무부에 헨더슨을 소련 구역에서 빼내라고 압력을 가했다. 그 결과 헨더슨은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로 바그다드로 파견되었다.[4] "최고의 인격자, 절대 청렴결백한.......그는 1943년 사단장직에서 해임될 것을 요청했다.[5]
근동문제
헨더슨은 이라크 주재 미국 장관(1943–45), 인도 대사(1948–51–51) 및 이란 대사(1951–54)를 역임하는 사이에 1945년 워싱턴으로 돌아와 근동문제국 국장을 역임했다.[6][citation needed]
1945년 다마스쿠스의 시리아인들은 프랑스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를 이끌었다. 이에 프랑스군은 다마스쿠스를 폭격했다. 헨더슨은 근동문제 책임자로서 해리 트루먼 대통령에게 프랑스를 강제로 철수시킬 것을 권고했다. 헨더슨은 프랑스의 폭격은 새로 창설된 유엔뿐만 아니라 아랍 세계와의 서방 관계도 훼손시켰다고 주장했다. 헨더슨은 서방이 시리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면 소련권 안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정확하게 예측했다.[citation needed]
1946년 초 소련군은 이란 북서부 타브리즈 외곽으로 남진하면서 이란 사태로 알려진 초기 냉전 스탠드오프에 불을 붙였다. 헨더슨은 그러한 움직임이 터키, 이라크, 이란 유전들을 어떻게 위협하는지 트루먼 행정부에 보여주었다. 헨더슨의 충고에 따라 트루먼은 스탈린에게 엄중한 경고를 보냈다. 그 후 스탈린은 군대를 철수시켰다.[citation needed]
헨더슨은 샌프란시스코 변호사 바틀리 크럼으로부터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크럼은 영미 조사 위원회에서 활동했었다. 크럼은 헨더슨을 팔레스타인의 아랍 명분을 지지하는 국무부의 이중성의 상징으로 지목했다.[7]
1946년 말, 크렘린궁은 앙카라를 괴롭혀 터키 동부의 메들링 영토와 다르다넬스 지역을 통제하려고 시도했는데, 이것은 모스크바에 오랫동안 원했던 따뜻한 물 항구를 제공했을 것이다. 헨더슨은 딘 애치슨 국무장관 대행과 함께 트루먼에게 터키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지중해 동부 지역에 해군 부대를 파견할 것을 설득했다. 이에 소련은 자신들의 요구 중 일부를 철회했다.[citation needed]
1947년 워싱턴 주재 영국 대사관은 헨더슨에게 영국은 그리스 내전에서 공산주의자 선동자들에 맞서 친서방 세력을 더 이상 보강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헨더슨은 다시 한 번 트루먼을 설득하여 소련의 침입으로부터 지중해에 대한 서구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방어하도록 했다. 헨더슨은 트루먼 독트린 계획을 설계했는데, 이는 향후 수십 년간 미국의 봉쇄 정책에 영향을 미칠 초기 조치다.[citation needed]
1948년 헨더슨은 이스라엘 국가 창설을 위해 로비를 벌이는 국내 단체들과 충돌했다. 국무장관 조지 C. 마샬과 헨더슨은 이스라엘이 스스로를 방어할 수 없을 것이고 아랍 세계와의 관계를 망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팔레스타인을 유대인과 아랍 국가로 나누는 유엔 결의안에 반대했다. 그들의 견해는 이 지역이 유엔 산하의 신뢰로 남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데이비드 네이일스, 클라크 클리포드 같은 대통령 고문들은 미국의 유대인 단체들과 많은 일반 대중들과 함께 팔레스타인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로 분할하는 것을 선호했다. 헨더슨은 이스라엘 창설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혹평을 받았다. 1948년 그의 견해는 우세하지 않았고 그의 인도 대사직으로의 이적은 그의 지지자들에 의해 친지오니즘 단체들의 정치적 압력의 결과라고 소문이 났다.[8] 1954년 국무부 행정차관에 임명되었다.[9] 1956년 그는 직업대사로 임명되었다.[10] 그는 1960년에 은퇴했고 워싱턴 D.C.의 아메리칸 대학에서 국제 관계를 가르치는데 7년을 보냈다. '신뢰의 질문: 미-소 외교 관계의 기원'이라는 제목의 그의 회고록은 1986년에 출판되었다.[11]
헨더슨은 1951년 이란 주재 대사로 중동으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그는 모사데그가 최근 국유화했던 영국의 이익에 의해 이전에 소유되었던 이란의 석유 매장량과 관련된 질문들에 대해 새로 선출된 모하메드 모사데그 총리를 다루었다. 미국은 국유화에 반대했고,[12] 그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인 모사데그를 제거한 1953년 CIA가 지원하는 쿠데타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다.
헨더슨은 1957년 미국 외무부에서 은퇴했다.[citation needed]
죽음
헨더슨은 1986년 3월 24일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citation needed]
레거시
미 국무부 해리 S 트루먼 빌딩 본부의 대강당은 그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citation needed]
경력요약
포지션 | 주최국 또는 조직 | 연도 |
---|---|---|
미국 영사부 | 아일랜드 더블린 | 1922년부터 1924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리가, 라트비아 | 1924년부터 1927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리투아니아 코브노 | 1927년부터 1930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탈린, 에스토니아 | 1930년부터 1933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1934년부터 1938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미국, 동유럽 문제국 | 1938년부터 1943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1943 |
미국 대사 | 이라크 바그다드 | 1943년부터 1945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미국, 근동문제국장 | 1945년부터 1948년까지 |
미국 대사 | 인도 뉴델리 | 1948년부터 1951년까지 |
미국 대사 | 이란 테헤란 | 1951년부터 1954년까지 |
미국 대외 서비스 | 미국, 국무부 차관보 | 1955년부터 1960년까지 |
참조
- ^ Brands, H. W. (1991). Inside the Cold War: Loy Henderson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Empire, 1918–1961.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15. ISBN 0-19-506707-X.
- ^ Brands, H. W. (1991). Inside the Cold War: Loy Henderson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Empire, 1918–1961.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viii. ISBN 0-19-506707-X.
- ^ 미국 대외관계(FRUS), 미국 국무부. „ 소비에트 연방, 1933–1939, 문서 310
- ^ Kaplan, Robert (1995). The Arabists : The Romance of an American Elite. New York: Free Press. ISBN 0-02-874023-8.
- ^ Bohlen, Charles E. (1973). Witness to History 1929–1969. W. W. Norton & Company. p. 125. ISBN 0-393-07476-5.
- ^ Office of the Historian. "Loy Wesley Henderson (1892–1986)". Department of State.
- ^ Bosworth, Patricia (1997). Anything Your Little Heart Desires: An American Family Story. Simon and Schuster. pp. 167-201 (AACIP experience), 168 (Henderson), 171 (Henderson), 175 (Henderson), 177 (British surveillance), 183 (Vienna), 197 (Henderson), 200-201 (Henderson), 201 (American Christian Palestine Committee). Retrieved 17 April 2020.
- ^ 해리 S. 트루먼 도서관, 에드윈 M의 구두 역사 인터뷰 1974년 7월 26일 라이트
- ^ 국무부 행정차관보
- ^ 커리어 앰배서더
- ^ "신뢰의 문제"
- ^ Abrahamian, Ervand (2013). The Coup: 1953, the CIA, and the roots of modern U.S.-Iranian relations. New York: The New Press. p. 97. ISBN 978-1-59558-826-5.
추가 읽기
- 브랜드, H. W. Inside the Cold War: Loy Henderson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Empire, 1918–1961(Oxford University Press, 1991년)
- 헨더슨, 로이 웨슬리 신뢰에 대한 질문: 미-소 외교관계의 기원: 로이 W. 헨더슨 회고록(Huver Institute Press, 1986년) 온라인 주요 소식통
- Jones, Kenneth Paul, ed. U.S. in Europe, 1919–41 (ABC-CLIO. 1981) 온라인에서 Henderson의 구소련 유럽에서의 역할 페이지 149–164.
- 쿠니홀름, 브루스 R. "로이 헨더슨, 딘 애치슨, 트루먼 독트린의 기원" 딘 애치슨과 미국의 외교정책 수립 (Palgrave Macmillan, 1993년 런던, Palgrave Macmillan, 1993년) 페이지 73-108.
외부 링크
- 정치 묘지 - 세부 사항의 간략한 요약.
- 로이 W. 헨더슨: 의회 도서관에 있는 그의 논문 목록
- 1973년 Harry S에서 구술 역사 인터뷰 트루먼 도서관.
- 의회도서관의 로이 W. 헨더슨 회고록
- William N. Dale의 간략한 전기
- 무덤 찾기 로이 W. 헨더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