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거힐스
Bunger Hills붕어 호수 또는 붕어 오아시스로도 알려진 붕어 힐즈는 남극 윌크스 랜드의 녹스 코스트에 있는 해안 산맥으로, 적당히 낮고 둥근 해안 언덕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랭한 표류로 덮여 있고 특히 일년 내내 얼음이 얼지 않은 곳으로 하이점프 군도의 남쪽에 놓여 있다.[1] 그 지역의 미세한 얼음의 양에 대한 이면의 추리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고 오늘날 과학자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 속에 남아 있다.
번거 힐즈는 중심에 위치해 있다. 66°17°S 100°47′E / 66.283°S 100.783°E/ , 65°58'S에서 66°20'S로, 100°20'E에서 101°28'E로 확장. 붕어 언덕은 수많은 녹은 연못으로 표시되며, 동서 방향으로 유행하는 녹조 호수(일명 피구르노예 호수)에 의해 거의 2등분된다. 미국 해군 작전 하이점프(1946-1947)가 촬영한 항공 사진에서 지도화했으며, 미국 남극 이름 자문 위원회(US-ACAN)가 데이비드 E 중령을 위해 명명했다. 번거, 미 해군, 14 E와 164 E. 데이비드 E 사이에 대부분의 해안 지역을 따라 사진 임무를 수행한 3대의 USN OpHp 항공기의 항공기 사령관. 번거와 그의 승무원들은 1947년 2월 이곳의 얼지 않은 호수에 비행기를 착륙시켰다.
붕어 힐즈는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남동쪽으로는 붕어힐스가 남극 빙상의 가파른 경사면과 접해 있고, 남쪽과 서쪽으로는 출구 빙하가, 북쪽으로는 이 지역을 공해와 분리하는 섀클턴 빙붕이 접해 있다.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무빙 면적은 450km2(174평방mi)로 750km 또는2 942km(290평방mi 또는 364평방mi)까지 측정된다(이러한 값들은 대륙 얼음이나 섀클턴 빙붕으로 덮이지 않는 해양 영역을 포함한다). 지형은 험준한 언덕이 특징이며, 담수호와 염호수가 많다. 가장 크고 깊은 호수인 녹조호수(레이크 피구르노예)는 길이 25km(16mi), 깊이 137m(449ft)에 이른다. 하이점프 작전의 리더, 리처드 E 제독. Byrd는 Banger Hills가 지구상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지역 중 하나라고 말했다. 생명에 적합한 섬이 죽음의 우주에서 발견되었다.'
호던 곶은 분거힐스 서쪽 끝에 있는 얼음 없는 망토다. 덴만과 스콧 빙하의 심한 크레바스 때문에 손이 닿지 않았던 호주 남극 탐험대(1911~1914)의 서부 당원들이 처음 관측한 것이다.
스테이션
소비에트 연방은 66°1에 오아지스(Oazis, и)라는 이름의 과학기지를 이 지역 중앙에 건설하였다.6′29″S 100°44′49″E / 66.27472°S 100.74694°E/ , 1956년 10월 15일부터 8인용 건물 2개 동. 이 역은 1959년 1월 23일 폴란드로 인계되어 A. B. 도브루올스키 역(안토니 도브루올스키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그 후 몇 주 동안만 계속 점령되었다. 1979년 2월 22일(2월 18일부터 준비) 잠시 역이 재활성화되었으나, 초과승차 시도가 실패하여 3월 17일 탑승객들은 미르니역(서쪽 350km 또는 220mi)으로 대피해야 했다.[citation needed]
1959년 1월 제1차 폴란드 남극 탐험대가 중력 측정을 위해 세운 콘크리트 기둥과 1956년 오아지스 역 개장을 기념해 명판을 단 정거장 자석전망대는 남극 역사 유적지로 인정받고 있다.[3]
소련은 1980년대 후반에 다시 번거힐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도브루올스키 서쪽 수백 미터 지점에 오아지스 2호역을 새로 건설했다. 이 역은 1990년대 중반까지 여름방문에 이용되었다.[citation needed]
도브루올스키 서북서 약 7km(4.3mi), 66°15°S 100°36′E / 66.250°S 100.600°E/ , 호주는 1986년부터 엣지워스 데이비드의 이름을 딴 여름 전용 스테이션 [citation needed]엣지워스 데이비드 기지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Highjump Archipelago".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R.E. (1947) 우리 해군은 남극을 탐험한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매거진 92: 429-522
- ^ [1]
추가 읽기
- R.E. (1947) 우리 해군은 남극을 탐험한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매거진 92: 429-522
- 번거힐스: 남극의 숨겨진 오아시스. 데미안 B. 고어와 소냐 버그.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온라인 출판: 2020년 2월 27일. [2]. 2021년 12월 20일에 접속.
- 전문 지리학자. 제8권 1956-제3호 남극 대륙의 방거 언덕 지역이지 13페이지에서 15페이지. 온라인 출판: 2010년 3월 15일 Taylor와 Francis Online. (1956) 남극 대륙의 붕거힐스 지역, 전문 지리학자, 8:3, 13-15, DOI: 10.11/j.0033-0124.1956.83_13.x. [3] 2021년 12월 20일에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