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양족

Buyang people
부양 시
총인구
2,000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중국 윈난(雲南)성 윈난(雲南)
언어들
남서부 만다린어, 주앙, 부양

부양족중국 윈난완산 현광시 나포 현에 거주하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크라족이다.라하, 카바오, 겔라오, 라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현재 많은 부앙이 좡족서남부 만다린어로 옮겨가고 있지만, 부앙어가 사용된다.윈난(雲南)에서는 부양(富陽)을 중국 정부에 의해 주앙(周ang)으로 분류하고, 광시(廣西)에서는 야오(野大)로 분류한다(2006년 리).

이름

부양이라는 이름은 '다른 사람'이라는 뜻의 주앙뿌 쟈아ŋ(대체로 pu˨ ȵaŋ.")에서 유래하였다.광시 나포 현의 부이앙은 스스로를 ʔia hr hrɔ˥˧˧, 광난 부이앙은 스스로를 파오하˧이라고 부른다.나포군징시군에서는 많은 좡족들이 다른 좡족 집단에 의해 "부양"이라고 불린다.광시의 남동부 구이저우와 톈린, 룽린, 시린 군에서도 央이라는 단어가 많이 들어 있어 이들 마을이 과거 좡족에 의해 동화되었던 부이앙어권 지역일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광난 현 부양과 후닝 현은 공식적으로 주앙으로 분류되며, 나포 현에 있는 부양은 야오 현으로 분류된다.왜냐하면 부양의 의복은 야오 의복과 비슷하게 나타나며, 많은 좡족과 한스가 부양을 야오족으로 착각하여 다음과 같이 불렀기 때문이다.

  • 투야오 土瑶, "토종 야오"
  • 타이 야오 铁瑶, "아이언 야오"
  • 류야오 六瑶, "식야오"

나포 현의 부양은 6개 마을(리앤루오 2010)에 살았으므로 류야오 yao瑶("식스 야오")이라고도 불린다.나포군 가제터에 따르면 이 익명은 '식스 야오'가 니안이 念,, 구올리 ,,, 옌쿤 ,, 룽툰 荣, 공허 shan, 샨허 合의 마을에 살았던 청나라로 거슬러 올라간다.[1]

문화

전통적인 부양 의복은 겔라오라치족의 의복과 닮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현재 좡 스타일의 의복으로 바꾸었다.오늘날 대부분의 부앙은 광난부앙(또는 파하)이 용경축제와 음의 날, 즉 새해에는 축제를 기념하지만 좡족 축제를 기념한다.

역사

부양족은 원래 겔라오족이 점령하고 있는 북부 구이저우성에서 윈난성광시에 있는 현재의 위치로 이주했을지도 모른다.다양한 유형의 역사적 증거는 부양이 과거에 훨씬 더 인구가 많았다는 것을 암시한다.일례로 시린 현, 룽린 현, 나포 현의 많은 마을 이름은 옌( or, or)으로 시작되는데, 적어도 청나라 때부터 이전에 부양어를 사용하던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있다.오늘날 이들 지역의 지배적인 언어는 부예양주앙이다.리(1999년)는 다음과 같은 군들이 이전에는 부양 스피커가 거주했지만, 더 이상 거주하지 않았다고 진술하고 있다.

대다수는 홍수이 강(홍수이 헤 红河) 계곡에 거주하였다.오늘날 이 강은 북서부 광시와 서남부 구이저우 사이의 경계선 역할을 하고 있다.

광시 부양 사이에 전해지는 전설에 의하면 한때 세 명의 부양 형제가 가난하게 살고 있었다고 한다.한 명은 광시에 머물렀고, 다른 한 명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윈난으로 갔으며, 다른 한 명은 베트남 북부로 이주했다.베트남으로 이주한 셋째 형제는 (Nung Ven)이나 카바오족의 조상일 수도 있었다.

청나라 시대 연대기도 광난에 사는 푸양 央央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에 대해 언급했었다.

홀름(2003:15)에 따르면 부양은 광시 둥란군 시허읍 반원읍 板文村 부근 홍수의 큰 굽이 위 절벽에 관을 매달는 등 매달린 관을 쌓곤 했다.[2]

부이앙은 "부이족의 조상인 배우로도와 지혜를 겨룬 끝에 훨씬 남쪽인 '하늘의 끝과 바다 모퉁이'로 추방됐다"고 전했다.그러나 지금도 밤에 바람이 불면 마을 사람들은 여전히 등불을 켜놓지 않는데, 그렇지 않으면 부양의 귀신은 자기 집을 동굴로 착각하고 그 안으로 날아갈 것이기 때문이다.그런 밤에는 부양의 혼령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여자 의복이 나무에 장식된다.— Holm에서 인용(2003:15)[2]

홀름(2003:159-160)[2]광시 둥란 현 좡족구이저우 성이부이족의 전설 속에 부이족이 계속 존재한다고 보고한다.

부양족 자신들은 조상들이 광둥성과 광시 출신이라고 말한다.실제로 부양의 흔적은 널리 퍼져 있다.구구이저우 서남부의 옛 싱이 현과 광시 서북부의 시룽 부청에는 '양'을 원소로 하는 마을과 스톡사이드의 이름이 수없이 많다.이 지역의 주민 대다수는 자신들을 부예나 주앙이라고 부른다.그러나 지역 전설에 따르면 원래 이 지역을 개방하고 논밭을 조성한 것은 부양이었다.매년 음력 6월 6일, 지역 주앙과 부예가 닭을 죽이고 들판에서 술을 바치는 풍년을 기원하는 부앙 논에 제물을 바치는 이 같은 상황은 지금도 기념되고 있다.— Holm에서 인용(2003:159-160)[2]

참조

  1. ^ http://www.gxdqw.com/bin/mse.exe?seachword=&K=c&A=18&rec=46&run=13
  2. ^ a b c d 홀름, 데이비드.2003. 조상을 위해 버팔로를 죽이는 것: 중국 남서부로부터 온 좡 우주론 문서.DeKalb, IL: 동남아시아 출판물,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동남아 연구 센터.
  • 딜러, 앤서니, 제럴드 A.에드몽슨, 그리고 용시안 루오 에드.타이카다이어군.Routrege Language Family 시리즈.심리학 출판사, 2008.
  • 리진팡(1999년).부양유옌쥬우.베이징:중앙 민족 대학 출판부.
  • 리진팡과 뤄융시안.남중국 부양어: 문법 노트, 용어, 텍스트번역.태평양 언어학 출판사,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2010.

참고 항목